KR100890272B1 -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272B1
KR100890272B1 KR1020080071123A KR20080071123A KR100890272B1 KR 100890272 B1 KR100890272 B1 KR 100890272B1 KR 1020080071123 A KR1020080071123 A KR 1020080071123A KR 20080071123 A KR20080071123 A KR 20080071123A KR 100890272 B1 KR100890272 B1 KR 10089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ing
sensor
fluid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빈
윤희철
Original Assignee
(주) 유진정공
윤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진정공, 윤희철 filed Critical (주) 유진정공
Priority to KR102008007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8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지보수 작업장이나 정거장에 정차된 차량이 제동이 걸려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제동표시기의 운용과 관련하여 제동 표시 동작 에러를 줄이고, 관리 및 유지보수를 간단히 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는, 브레이크 제동에 따라 공압을 받는 공압라인이 있고, 일측에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제동표시기 몸체와, 상기 제동표시기 몸체의 내부에는 공압라인과 연결된 실린더가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그리고 피스톤을 실린더 안에서 탄지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에 연동 되어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시창에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 상태를 나타내주는 제1표시판 및 상기 제1표시판에 대응되도록 정적으로 고정되어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상태를 식별하게 해주는 제2표시판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동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공압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유도하도록 공압라인에 개설된 유체 유도홀과, 상기 공압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압력 강하 유체를 상기 유도홀을 통하여 전달받아 반응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제동표시기 몸체의 외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제동표시기,센서,신호발생기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A braking indicator for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지보수 작업장이나 정거장에 정차된 차량이 제동이 걸려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제동표시기의 운용과 관련하여 제동 표시 동작 에러를 줄이고, 관리 및 유지보수를 간단히 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고속철도차량 등에는 제동표시기가 설치된다. 제동표시기는 유지보수 작업장이나 정거장에 서 있는 차량에 제동이 걸려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제동표시기가 없으면 점검자가 차량 밑으로 직접 들어가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밀착 여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확인도 어렵고 위험도 따르므로 쉽게 제동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표시기를 설계하는 것이다.
제동표시기는 기본적으로 브레이크의 라이닝 밀착여부를 확인하도록 되어 있으며, 라이닝이 밀착되어 있으면, 제동상태를 확인시켜주고, 이완상태이면, 제동이 아닌 상태로 표시해주도록 되어 있다.
고속철도차량에 사용되는 제동표시기는 표시창이 1개인 단식과 2개 이상인 복식이 있는데 대부분 동작 원리는 단식이나 복식이나 동일하다.
종래 대표적인 복식 제동표시기(30)는 도 1 및 도 2와 같다. 주요부분은, 외부 압력원(10)과 제동실린더(11)와 연결되는 공압라인(12)이 개설되어 있으며, 일측방에 투시창(13)을 구비하는 제동표시기 몸체(14)와, 상기 제동표시기 몸체(14)와 통하는 공압라인(12)과 연결된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16)과, 상기 피스톤(16)을 실린더(16) 안에서 탄지하는 스프링(17)과, 상기 피스톤(16)에 연동되어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에 따라 움직이는 가동자(18)와, 상기 피스톤(16)에 연동 되어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시창(13)에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 상태를 나타내주는 제1표시판(19)과, 상기 제1표시판(19)에 대응되는 몸체(14)측에 정적으로 고정되어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상태를 식별하게 해주는 제2표시판(19)과, 상기 가동자(18)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제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몸체(14) 내부에 내장된 리미트스위치(21)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동표시기(30)는 브레이크 제동 여부에 따라 기계적 작동과 전기적 작동을 병행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제동은 몸체(14)측 실린더(15) 내부로 압력을 작용시키고, 제동이 아니면 실린더(15) 내부로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다.
즉 제동표시기(30)의 피스톤(16)은 철도차량의 브레이크 제동 여부에 따라 그 상태를 유체를 통해 전달받아 작동한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공압장치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유체를 공압라인(12)을 통해 공급하거나, 아니면, 브레이크 작동 공압을 공압라인(12)에 연결하는 형식 등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기계적 작동은, 브레이크 제동 과정에서 압력을 전달받아 제1표시판(19)을 이동시켜 제동 상태임을 확인하도록 동작한다.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실린더(15) 안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로 인해 피스톤(16)은 스프링(17) 탄성을 받아 제1표시판(19)이 투시창(13)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여 제동상태가 아님을 확인시킨다.
반대로 브레이크를 작동 시키면, 몸체(14)의 실린더(15) 내부 피스톤(16)은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압력이 작용하여 실린더(15) 안의 스프링(17)을 수축시키면서 피스톤(16)을 밀어올리고 연속적으로 제1표시판(19)이 연동되어 투시창(13)을 통하여 브레이크가 제동 상태임을 확인하도록 한다.
여기서, 투시창(13)을 통해 확인되는 제1표시판(19)을 녹색판으로 하고, 제2표시판(20)을 적색판으로 하는 경우, 녹색이면 브레이크 이완 상태이고, 적색이면 제동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전기적 작동은, 브레이크 제동에 의해 연동하는 피스톤(16)의 위치에 따라 가동자(18)가 연동되어 리미트스위치(21)를 직접 접촉으로 작동시키고, 그 리미트스위치(21)의 작동 신호를 제어부(22)로 전달하여 자동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계적 작동이 직접 육안으로 브레이크 제동 상태를 확인하는 것인 반면, 전기적 작동은 브레이크 제동 상태를 리미트스위치(21)를 통해 제어부(22)로 전달하여 제동 상태 유무를 표시하거나 자동 제어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 제동표시기는, 기계적 작동은 제동 압력에 따라 반응되는 피스톤 작동에 따라 제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육안 식별이 가능하며, 오작동의 가능성이 낮고 간결하면서도 정확한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전기적 작동은, 가동자(18)를 통한 반복적 접촉을 받는 리미트스위치(21)의 고장 가능성이 크다. 만약 리미트스위치(21)가 1개라도 고장이 나면 제동표시기 몸체(14)를 철도차량에서 탈거 하여 제동표시기 몸체(14) 전체를 분해한 뒤 수리를 해야 하므로 교체나 수리에 따르는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리미트스위치(21)와 피스톤(16)간 간격이 정밀하게 유지되지 못할 경우에도 신호를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제동 상태 확인 불량이 많아지고, 고장수리나 점검시에는 직접 제동표시기 몸체(14)를 분해하여 내부 실장 부품 전체를 들어내고 교체와 수리를 병행해야 하므로 복잡하고 고숙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 제동표시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제동 상태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오작동 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동표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으로는 오작동 가능성이 낮고 간결하면서도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적 신호 발생을 위한 스위칭 접촉 방식을 리미트스위치 접촉에 의한 센싱 방식에서 다이어프램 방식으로 대체하여 제동표시기 몸체 외부에서 간단히 교체나 보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유지 보수에 따르는 비용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는, 브레이크 제동에 따라 공압을 받는 공압라인이 있고, 일측에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제동표시기 몸체와, 상기 제동표시기 몸체의 내부에는 공압라인과 연결된 실린더가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그리고 피스톤을 실린더 안에서 탄지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에 연동 되어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시창에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 상태를 나타내주는 제1표시판 및 상기 제1표시판에 대응되도록 정적으로 고정되어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상태를 식별하게 해주는 제2표시판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동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철도차 량의 제동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공압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유도하도록 공압라인에 개설된 유체 유도홀과,
상기 공압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압력 강하 유체를 상기 유도홀을 통하여 전달받아 반응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제동표시기 몸체의 외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유도홀은 제동표시기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다이어프램식 압력 센서를 상기 유체 유도홀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브레이크 제동으로 발생 되는 공압 유체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입력전원단과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을 구비하고 내부가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제동표시기 몸체에 형성된 유체 유도홀에 결합되며 유체 이동통로가 형성된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이동통로를 통하여 유도되는 유체에 응답하여 제1공간에서 작동하도록 제1공간의 베이스상에 설치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베이스에 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과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 은 가동접점을 구비하여 제2공간상에서 가동접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을 제2공간상에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될 수 있도록 제2공간 상에 설치된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하여 센서 본체에는 조절스크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의 결합단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 상에는 나사산을 형상하여 제동표시기 몸체에 형성된 유체 유도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제동표시기 몸체의 유체 유동홀의 내경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의 결합단을 안내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도차량 제동표시기는, 브레이크 제동 압력에 따라 반응되는 피스톤 작동에 의해 기계적으로 제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육안 식별이 가능하며, 오작동의 가능성이 낮고 간결하면서도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고,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보내는 센서의 오작동이나 파손 및 수리 그리고 유지 보수 등에서 간단한 이착탈과 점검 및 교환이 가능하므로 교체나 수리에 따르는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를 제동표시기 몸체의 내부가 아닌 외부 장착형으로 변화되어 별도의 외부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제동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고숙련자가 아닌 일반작업자에 의한 상시 점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고장이나 불량 등으로 발생 되는 제동 상태 확인 불량 의 문제점을 사전 점검을 통하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의 센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의 센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취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40)는, 도 3과 같이, 외부측 브레이크 제동에 따라 공압을 받는 공압라인(41)이 있고, 일측에는 투시창(42)을 구비하는 제동표시기 몸체(43)와, 상기 제동표시기 몸체(43)의 내부에는 공압라인(41)과 연결된 실린더(44)가 있으며, 상기 실린더(44)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45), 그리고 피스톤(45)을 실린더(45) 안에서 탄지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46)에 연동 되어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시창(42)에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 상태를 나타내주는 제1표시판(46) 및 상기 제1표시판(46)에 대응되도록 정적으로 고정되어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상태를 식별하게 해주는 제2표시판(47)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동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센서(48)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49는 공압라인(41)과 상통하는 압력원 이며, 50은 공압라인(41)에 상통되는 제동 실린더측 연결라인 이다.
주요 부분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공압라인(41)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유도하도록 공압라인(41) 일측에 개설된 유체 유도홀(51)과, 상기 공압라인(41)을 따라 유동하는 압력 강하 유체를 상기 유체 유도홀(51)을 통하여 전달받아 반응하 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는 센서(48)와, 상기 센서(48)를 제동표시기 몸체(43)의 외부에 결합하는 결합부(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 유도홀(51)은 제동표시기 몸체(43)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45)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된다.
상기 센서(48)는 다이어프램식 압력 센서를 상기 유체 유도홀(51)에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센서(48)는 브레이크 제동으로 발생 되는 공압 유체로 작동된다.
상기 센서(48)는, 제동표시기 몸체(43)에 직접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입력전원단(53)과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54)을 구비하고 내부가 제1공간(55)과 제2공간(56)을 구비하는 센서 본체와, 센서 본체에 형성되어 제동표시기 몸체(43)에 형성된 유체 유도홀(51)에 결합되며 유체 이동통로(57)가 형성된 결합단(58)과, 상기 결합단(58)의 이동통로(57)를 통하여 유도되는 유체에 응답하여 제1공간(55)에서 작동하도록 제1공간(55)의 베이스(59) 상에 설치된 다이어프램(60)과, 상기 베이스(59)에 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60)과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은 가동접점(61)을 구비하여 제2공간(56) 상에서 가동접점(61)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작동봉(62)과, 상기 작동봉(62)을 제2공간(56) 상에서 탄지하는 스프링(63)과, 상기 가동접점(61)이 접촉될 수 있도록 제2공간(56) 상에 설치된 고정접점(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48)의 본체에는 스프링(63) 탄성력 조절을 통하여 다이어프램(60)의 작동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스프링(63)을 직접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조절 스크류(65)를 장착할 수 있다. 조절스크류(65)는 센서 본체에 결합 되어 외부에서 회전시켜 스프링(63)을 밀어올림으로서 작동봉(62)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다이어프램(60)의 작동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결합단(58)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그 외경 상에는 나사산(66)을 성하여 제동표시기 몸체에 형성된 유체 유도홀(51)에 결합 되도록 구성하면, 견고한 결합과 압력 누수를 방지하면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2)는, 제동표시기 몸체(43)의 유체 유동홀(51)의 내경에 나사산(67)을 형성하여 센서의 결합단(58)을 안내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40)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40)는 브레이크 제동 여부에 따라 기계적 작동과 전기적 작동을 병행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제동은 제동표시기 몸체(43)측 실린더(44) 내부로 압력을 작용시키고, 제동이 아니면 실린더(44) 내부로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다.
제동표시기 몸체(43)의 피스톤(16)은 철도차량의 브레이크 제동 여부에 따라 그 상태를 유체를 통해 전달받아 작동한다. 예를 들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 공압원(49)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유체를 공압라인(41)을 통해 공급하거나, 아니면, 브레이크 작동 공압 변동에 반응하여 압력원(49)측 압력이 변동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식으로 공압라인(41)에 연결하는 형식 등 다양한 구조의 적용이 가능하다.
기계적 작동은, 브레이크 제동 과정에서 압력을 전달받아 제1표시판(46)을 이동시켜 제동 상태임을 확인하도록 동작한다.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실린더(44) 안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로 인해 피스톤(45)은 스프링 탄성을 받아 제1표시판(46)이 투시창(42)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여 제동상태가 아님을 확인시킨다.
반대로 브레이크를 작동 시키면, 몸체(43)의 실린더(44) 내부 피스톤(45)은 브레이크 작동에 따른 압력이 작용하여 실린더(44) 안의 스프링을 수축시키면서 피스톤(45)을 밀어올리고 연속적으로 제1표시판(46)이 연동되어 투시창(42)을 통하여 브레이크가 제동 상태임을 확인하도록 한다.
여기서, 투시창(42)을 통해 확인되는 제1표시판(46)을 녹색판으로 하고, 제2표시판(47)을 적색판으로 하는 경우, 녹색이면 브레이크 이완 상태이고, 적색이면 제동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전기적 작동은, 공압라인(41)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브레이크 제동에 따라 유체 유도홀(51)을 통하여 압력이 작용하면 센서(48)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다.
여기서, 센서(48)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다이어프램식 압력 센서로서 유체 유도홀(51)에 결합되어 있고, 센서(48)는 브레이크 제동으로 발생 되는 공압 유체로 작동되고, 제동표시기 몸체(43)에 직접 장착된다.
공압라인(41)으로 부터 압력이 작용하면, 공압은 이동통로(57)를 통하여 센서 본체의 제1공간(55)으로 유입되어 다이어프램(60)을 밀게되고, 연속적으로 작동봉(62)을 작동시켜 스프링(63)에 의해 탄지된 가동접점(61)을 제2공간(56) 상에서 수축시키면서 고정접점(64)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센서(48)는 브레이크 제동을 압력 작용 시켜 제1공간(55)에 위치하는 다이어프램(60)을 작동시켜 가동접점(61)과 고정접점(64)을 접촉 시킴으로서 입력전원단(53)을 통한 스위칭 검출신호를 전송단(54)을 통하여 목적지로 전송하여, 종래의 몸체 매립형 리미트스위치 접촉구조에 비해 센서가 몸체의 외부에 장착되어 고장이나 유지보수에 대한 다양한 이득과 보다 안정적인 동작으로 제동 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의 (a)(b)는 종래의 제동표시기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제동표시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의 센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표시기의 센서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취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제동표시기
41:공압라인
42:투시창
43:제동표시기몸체
44:실린더
45:피스톤
46:제1표시판
47:제2표시판
48:센서
51:유체유도홀
52:결합부
53:입력전원단
54:전송단
55:제1공간
56:제2공간
57:이동통로
58:결합단
59:베이스
60:다이어프램
61:가동접점
62:작동봉
63:스프링
64:고정접점
65:조절스크류

Claims (8)

  1. 브레이크 제동에 따라 공압을 받는 공압라인이 있고, 일측에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제동표시기 몸체와, 상기 제동표시기 몸체의 내부에는 공압라인과 연결된 실린더가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 그리고 피스톤을 실린더 안에서 탄지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에 연동 되어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투시창에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 상태를 나타내주는 제1표시판 및 상기 제1표시판에 대응되도록 정적으로 고정되어 브레이크 제동 압력 강하상태를 식별하게 해주는 제2표시판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제동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에 있어서,
    상기 공압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를 유도하도록 공압라인에 개설된 유체 유도홀과,
    상기 공압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압력 강하 유체를 상기 유체 유도홀을 통하여 전달받아 반응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를 제동표시기 몸체의 외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도홀은 제동표시기 몸체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다이어프램식 센서를 상기 유체 유도홀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브레이크 제동으로 발생 되는 공압 유체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입력전원단과 검출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을 구비하고 내부가 제1공간과 제2공간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제동표시기 몸체에 형성된 유체 유도홀에 결합되며 유체 이동통로가 형성된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이동통로를 통하여 유도되는 유체에 응답하여 제1공간에서 작동하도록 제1공간의 베이스상에 설치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베이스에 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다이어프램과 일측이 접촉되고 타측은 가동접점을 구비하여 제2공간상에서 가동접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을 제2공간상에서 탄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될 수 있도록 제2공간 상에 설치된 고정접점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조절을 위하여 센서 본체에는 조절스크류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결합단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 상에는 나사산을 형상하여 제동표시기 몸체에 형성된 유체 유도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동표시기 몸체의 유체 유동홀의 내경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센서의 결합단을 안내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KR1020080071123A 2008-07-22 2008-07-22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KR10089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23A KR100890272B1 (ko) 2008-07-22 2008-07-22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123A KR100890272B1 (ko) 2008-07-22 2008-07-22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272B1 true KR100890272B1 (ko) 2009-03-24

Family

ID=406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123A KR100890272B1 (ko) 2008-07-22 2008-07-22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776B1 (ko) 2014-07-21 2015-12-03 (주) 유진정공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KR101573770B1 (ko) 2014-07-21 2015-12-03 (주) 유진정공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886A (en) 1989-12-18 1991-02-05 James Stanulis Vehicle brake indicator system
KR19990041260U (ko) * 1998-05-15 1999-12-15 이재영 철도차량용 제동표시장치
KR20040021742A (ko) * 2002-09-04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제동등 스위치
US7307518B2 (en) 2005-05-23 2007-12-11 Nicholas Bogos Multi-level brake light indicator for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0886A (en) 1989-12-18 1991-02-05 James Stanulis Vehicle brake indicator system
KR19990041260U (ko) * 1998-05-15 1999-12-15 이재영 철도차량용 제동표시장치
KR20040021742A (ko) * 2002-09-04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제동등 스위치
US7307518B2 (en) 2005-05-23 2007-12-11 Nicholas Bogos Multi-level brake light indicator for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776B1 (ko) 2014-07-21 2015-12-03 (주) 유진정공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KR101573770B1 (ko) 2014-07-21 2015-12-03 (주) 유진정공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4369B2 (ja) バルブの切換運動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404514A (en) Valve device
US9518676B2 (en) Devic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valve spindle
CN101071087B (zh) 汽车轮胎预警系统
JP2001027360A (ja) 位置検出機能付きパイロット式切換弁
KR100890272B1 (ko)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US7387080B2 (en) Pneumatic actuator movement indicator
US9163675B2 (en) Clutch control device
US20130019531A1 (en) Optical pressure switch, door operating system and method
CN204783957U (zh) 一种嵌入式自动监测内泄漏的液压缸
US8313083B2 (en) Signaling of the active safety position of electropneumatic position regulators
US20060016183A1 (en) Position control system for an adjusting member actuated by a pneumatic actuating drive
US20130146158A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device
CN103681113B (zh) 继电器和用于指示继电器失效的方法
US3532069A (en) Fluidic indicator and system therefor
ATE323015T1 (de) Elektropneumatisches regelventil mit einer führungsanordnung für einen steuerkolben
CN203906620U (zh) 液压式制动器的制动显示机构
CA2635228A1 (en) Pneumatic actuator movement indicator
JP2007270957A (ja) ガス遮断弁
KR101573770B1 (ko)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CN109404604B (zh) 一种滑阀式气动换向阀诊断装置
KR101573776B1 (ko) 철도차량의 제동표시기
CN219570477U (zh) 一种带位置检测的电液换向阀
CN100436211C (zh) 带有客车载荷补偿结构的制动系统
JPH10263941A (ja) スナップリング装着不良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