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963B1 -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963B1
KR100889963B1 KR1020020012217A KR20020012217A KR100889963B1 KR 100889963 B1 KR100889963 B1 KR 100889963B1 KR 1020020012217 A KR1020020012217 A KR 1020020012217A KR 20020012217 A KR20020012217 A KR 20020012217A KR 100889963 B1 KR100889963 B1 KR 100889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ealed container
vibration noise
compression unit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925A (ko
Inventor
허종태
노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9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밀폐용기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 및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이 조립된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 유닛과,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밀폐용기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압축기의 운전 중 밀폐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에 의해 그 밀폐용기가 가진되어 그 밀폐용기 외부로 소음이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 중 진동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IN COMPRESSOR}
도 1은 종래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압축기 진동소음 저감구조가 구비된 압축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압축기 진동소음 저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밀폐용기 11 ; 상부 캡
12 ; 하부 캡 20 ; 압축 유닛
40 ; 강도 보강부
본 발명은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의 운전 중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밀폐용기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는 증발기에서 유입되는 저온 저압 상태의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고압의 상태로 토출시키는 기기이다.
상기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회전식 압축기, 왕복동식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등으로 분류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는 보통 밀폐용기와 그 밀폐용기내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상기 전동기구부에서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전동기구부에서 상기 전동기구부의 직선 왕복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도 1은 상기 압축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용기(10)의 내부에 상기 전동기구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과 상기 압축기구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이 조립된 압축 유닛(20)이 위치하고 상기 압축 유닛(20)을 상기 밀폐용기(10)에 탄성 지지하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0)이 상기 밀폐용기(10)의 저면과 압축 유닛(20)사이에 장착 된다.
상기 밀폐용기(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반구 형상의 상부 캡(11)과 하부 캡(12)이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3은 흡입관이고, 14는 토출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상기 압축 유닛(20)을 구성하는 전동기구부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축 유닛(20)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에서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지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 유닛(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코일 스프링(3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상기 압축 유닛(20)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이 상기 밀폐용기(10)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게 되면 그 진동 소음이 증폭되어 상기 밀폐용기(10)를 통해 외부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운전 중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밀폐용기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 캡과 하부 캡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밀봉 결합되는 밀폐용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용기 내부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압축 유닛; 및 상기 밀폐용기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그 선단이 상기 압축 유닛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압축 유닛의 전복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압축기 진동소음 저감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축기 진동소음 저감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용기(10) 내부에 압축 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 유닛(2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를 구성하는 부품들과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 유닛(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밀폐용기(10)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동기구부는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압축기구부는 상기 전동기구부의 직선 왕복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30)은 상기 압축 유닛(20)의 직선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용기(10)는 일정 두께를 갖는 반구 형상의 상부 캡(11)과 하부 캡(12)이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 유닛(20)은 그 압축 유닛(20)을 구성하는 전동기구부의 직선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선 방향에 상기 밀폐용기(10)의 상부 캡(11)과 하부 캡(12)의 배면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기(10) 내벽에 그 밀폐용기(1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도 보강부(40)가 구비된다. 상기 강도 보강부(40)는 소정의 길이와 단면적을 갖는 복수개의 리브로 형성되며 그 리브들이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벽에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리브들은 상기 밀폐용기(10)의 상부 캡(11) 및 하부 캡(12)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접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도 보강부(40)의 변형예로 상기 밀폐용기(10)의 일측에 일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눌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부(40)의 다른 변형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용기(10)를 구성하는 상부 캡(11)과 하부 캡(12)에서 그 상부 캡(11)과 하부 캡(12)이 서로 접촉되는 상부 캡(11) 또는 하부 캡(12)의 단부에 소정 형상을 갖도록 연장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강도 보강부(40)는 니은자 또는 기억자 형태로 연장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강도 보강부(40)의 측부에 별도의 별도의 일정 단면적과 길이를 갖는 리브(41)를 접합시킬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3은 흡입관이고, 14는 토출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압축기 진동소음 저감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되어 압축 유닛(20)을 구성하는 전동기구부가 작동하게 되면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 즉 직선 왕복 구동력을 전달받아 압축기구부에서 가스를 흡입하고 압축하여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구부로 흡입되는 가스는 상기 밀폐용기(10)의 일측에 결합된 흡입관(13)을 통해 흡입되며 상기 압축기구부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 상태의 가스는 상기 밀폐용기(10)의 일측에 결합된 토출관(14)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압축 유닛(20)에서 가스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진동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그 압축 유닛(20)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이 상기 밀폐용기(10)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게 되면 그 진동 소음이 크게 증가하여 그 밀폐용기(10)의 외부로 방사되는데, 이때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벽에 구비되는 강도 보강부(40)에 의해 그 밀폐용기(10)의 구조적 강성을 조절 강화시켜 그 밀폐용기(10)의 고유 진동수를 변화 조절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압축 유닛(20)에 의한 밀폐용기(10)의 진동 소음을 저감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진동 소음이 밀폐용기(10)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용기(10)의 상부 캡(11) 또는 하부 캡(12)의 단부를 연장 절곡하여 형성되는 강도 보강부(40)는 상기 밀폐용기(10)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게 되며 아울러 상기 압축기의 운반시 그 밀폐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 유닛(20)이 움직이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부에 강도 보강부가 구비되어 그 밀폐용기(10)의 구조적 강도를 높여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는 압축기의 운전 중 밀폐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에 의해 그 밀폐용기가 가 진되어 그 밀폐용기 외부로 소음이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 중 진동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상부 캡과 하부 캡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밀봉 결합되는 밀폐용기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 및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이 조립된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용기 내부에 탄력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압축 유닛과, 상기 밀폐용기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그 선단이 상기 압축 유닛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그 밀폐용기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압축 유닛의 전복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부 캡과 하부 캡이 서로 접촉되는 개구단 중에서 어느 한 쪽 단이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로 연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일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리브가 상기 상부 캡 또는 하부 캡의 내주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KR1020020012217A 2002-03-07 2002-03-07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KR10088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17A KR100889963B1 (ko) 2002-03-07 2002-03-07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217A KR100889963B1 (ko) 2002-03-07 2002-03-07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25A KR20030072925A (ko) 2003-09-19
KR100889963B1 true KR100889963B1 (ko) 2009-03-24

Family

ID=3222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217A KR100889963B1 (ko) 2002-03-07 2002-03-07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722B1 (ko) * 2003-12-30 2006-02-02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선폭 측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89U (ko) * 1980-06-25 1982-01-20
JPS62199989A (ja) * 1986-02-26 1987-09-03 Matsushita Refrig Co 回転型圧縮機
JPH11230038A (ja) * 1998-02-10 1999-08-24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コンプレッサ、そのシェルおよびシェ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289U (ko) * 1980-06-25 1982-01-20
JPS62199989A (ja) * 1986-02-26 1987-09-03 Matsushita Refrig Co 回転型圧縮機
JPH11230038A (ja) * 1998-02-10 1999-08-24 Matsushita Refrig Co Ltd 密閉型コンプレッサ、そのシェルおよびシェ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925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3245B2 (en) Piston support structure of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350805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889963B1 (ko)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US20040047750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EP1655487B1 (en) Discharge valve assembly of reciprocating compressor
US7284971B2 (en) Hermetic compressor
JP3005603B2 (ja) キーパーの位置を堅固に固定させることができる圧縮機のシリンダー装置
KR100517459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253240B1 (ko)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KR10056534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케이싱 구조
US20080152520A1 (en) Hermetic compressor
KR20050029419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진동방지장치
KR100279600B1 (ko)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JP2002130132A (ja) 密閉型電動圧縮機
KR19990058921A (ko)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KR101366566B1 (ko) 밀폐형 압축기
KR100548445B1 (ko) 압축기의 고정장치
WO2007052905A1 (en) Hermetic compressor
KR100511333B1 (ko) 압축기의 고정장치
KR100764782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 흡입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4565924B2 (ja) 圧縮機
KR10032021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진동 저감구조
KR19990058920A (ko) 압축기의 진동소음 저감구조
JP4810885B2 (ja) 密閉型圧縮機
KR2004002343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소음 저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