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695B1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695B1
KR100889695B1 KR1020080100918A KR20080100918A KR100889695B1 KR 100889695 B1 KR100889695 B1 KR 100889695B1 KR 1020080100918 A KR1020080100918 A KR 1020080100918A KR 20080100918 A KR20080100918 A KR 20080100918A KR 100889695 B1 KR100889695 B1 KR 10088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ens
camera
screw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주)달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달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달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10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지지부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부착되는 장소에 관계없이 설치가 용이하고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돔형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정창이 횡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렌즈고정판과, 상기 렌즈고정판과 고정나사로 연결되는 지지회로기판과, 상기 렌즈고정판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을 고정나사와 돌출암나사로 나사 결합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렌즈고정판을 상, 하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수 스프라인이 형성된 회전축이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수 스프라인과 치차 연결되어 각도조정을 행하고, 스라이딩나사를 중심으로 지지부재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각도 조정부재와,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고정부라켓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지지부재 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라켓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의 위치 조정 후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전접촉면의 모서리부와, 지지부재의 상부 경사면부의 시작부에는 마찰력 조정부재가 별도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은, 회전부재와 각도 조정부재를 손으로 간편하게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신속하게 희망하는 촬영각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에 장착되는 마찰력 조정부재로 인하여, 각도 조정시의 회전력(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외에도 렌즈고정판에 형성되는 조정창으로 손쉽게 카메라의 원근(줌)조절 등이 가능한 구성이어서, 잦은 위치변경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분해(탈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각도와 원근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증진된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감시, 카메라, 마찰력 조정부재, 실리콘, 돔형, 스라이딩

Description

감시 카메라{The security camera}
본 발명은 각도 조작과 변경이 간편함과 동시에 사각지대의 촬영이 가능하며, 촬영각도를 고정시키면 별도의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기구인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장치는 에레베이터와 백화점, 은행 등과 같이 보안과 기밀이 요구되는 장소의 내, 외부에 설치되어 방범 및 안전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어린이 성추행 등 강력범죄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종래 감시 카메라 장치는 도 1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 및 제3프레임(3)으로 형성되어,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카메라 장치는 벽이나 기둥과 같이 수직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촬영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조정이 완료되어도 작은 외력에도 촬영각도가 변경되어 촬영된 자료가 폐기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촬영각도를 X축(4)과 Y축(5) 및 Z축(6)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이른바 "3축 각도 조정용" 감시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으나, 미세한 각도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풀림방지(유동방지)에 관한 구성도 다수개의 나사와 풀림방지너트로 조정하게 되는 구조이어서 체결력이 크면 유동은 방지되나 조정이 곤란하며, 반대로 조정을 용이하도록 체결력을 줄이면 작은 외력에도 쉽게 카메라의 촬영각도가 변경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기존의 3축 각도 조정용 감시 카메라에 비하여 스라이딩 기능을 갖는 각도 조정부재를 별도로 채용함으로써, 미세한 조정과 신속한 각도 설치(셋팅)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윤활성과 마찰력이 우수한 마찰 조정부재를 고정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전접촉면의 모서리부와, 지지부재의 상부 경사면부의 시작부에 별도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각도 조작과 변경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촬영각도를 고정시키면 위치가 용이하게 변동되지 않는 감시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의 원근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창이 복수개 형성되는 렌즈고정판과, 상기 렌즈고정판과 고정나사로 연결되는 지지회로기판과, 상기 렌즈고정판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을 고정나사와 돌출암나사로 나사 결합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렌즈고정판을 상, 하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수 스프라인이 형성된 회전축이 장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수 스프라인과 치차 연결되어 각도조정을 행하고, 스라이딩나사를 중심으로 지지부재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각도 조정부재와,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고정부라켓에 고정나사로 고정되는 지지부재 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부라켓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의 위치 조정(세팅)후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재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전접촉면의 모서리부와, 지지부재의 상부 경사면부의 시작부에는 마찰력 조정부재가 별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각도 조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각도 조정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별도로 구성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은, 종래 감시 카메라에 비하여 회전부재와 각도 조정부재를 손으로 간편하게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신속하게 희망하는 촬영각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에 장착되는 마찰력 조정부재로 인하여 각도 조정시의 회전력(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외에도 렌즈고정판에 형성되는 조정창으로 손쉽게 카메라의 원근(줌)조절 등이 가능한 구성이어서, 위치변경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분해(탈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각도와 원근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증진된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감시 카메라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 3축 각도 조정용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인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렌즈고정판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인 회전부재의 사시도와 중요 단면도 이며, 도 3c는 본 발명인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각도 조정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인 고정부재의 주요단면도와 마찰 조정부재의 설치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지지부재의 전면 및 후면의 사시도와 중요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고정부라켓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의 조립 및 작 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고정판(10)과, 상기 렌즈고정판(10)의 원형공간부로 그 상단부가 삽입되는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과, 상기 렌즈고정판(10)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렌즈고정판(10)을 상, 하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재(40)와, 스라이딩나사(53)를 중심으로 지지부재(60)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각도 조정부재(50)와, 상기 각도 조정부재(50)와 면접촉을 하는 지지부재(60) 및 상기 지지부재(60)를 고정하는 고정부라켓(70)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는 도 3a 내지 도 3c와 도 4,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21)의 조절손잡이(22)를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조정창(11)이 횡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렌즈고정판(10)과, 고정부재(30)에 나사공(23)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2')로 체결되고, 렌즈(21)의 원근 등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22)가 장착되는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과, 상기 렌즈고정판(10)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이 고정나사(12, 12')와 돌출암나사부(31, 31')에 의하여 체결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고, 저부에는 걸이구(38)를 갖는 회전지지구(34)가 장착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회전지지구(34)와 회전가능한 범위내에서 탄력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30)의 회전접촉면(35)과 면접촉을 하는 회전접촉면(35')이 상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고정판(10)을 상, 하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부에 수 스프라인(44)이 형성되는 회전축(41)을 갖는 회전부재(40)와, 상기 회전부재(40)의 수 스프라인(44)과 치차 연결되고, 관통 공(54)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 스프라인(55)과 상호 미끄럼 접촉을 함과 동시에, 스라이딩나사(53)를 중심으로 지지부재(60)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각도 조정부재(50)와, 상기 각도 조정부재(50)의 저면경사부와 미끄럼 면접촉되는 경사면부(62)가 형성되고, 고정부라켓(70)에 고정나사(12'')로 체결되는 지지부재(6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지지부재(60)의 중앙부에는 스라이딩(53) 나사와 결합되고 내부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되는 지지금구(66)가 장착되도록 한다.
위 구성요소들의 조립은 도 3(a, b, c)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나사공(23)이 형성되는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과 고정부재(30)를 복수개의 고정나사(12')로 고정부재(30)의 상,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암나사부(31)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는,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단부의 돌출암나사부(31)와 결합하고,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이 길이가 긴 경우에는 하단부의 돌출암사나수(31)와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길이)의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위와 같이 고정부재(30)와 나사결합된 카메라 지지회로 기판(20)의 전단부(렌즈부위)를, 렌즈 고정판(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형공간부로 렌즈(21)가 노출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도 3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드라이버 삽입공(13) 저단부의 암나사부(14)에 삽입된 상태의 십자 또는 일자형의 홈을 갖는 고정나사(12)를 회전시켜, 상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암나사부(31')와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렌즈 고정판(10)과 카메라 지지회로 기판(20) 이 고정부재(30)에 부착되는 것이 완성된다.
이때,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의 조절손잡이(22)들이 조정창(11) 방향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한다.
한편, 세팅된 상태에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재(30)의 중간저부에 형성되는 회전접촉면(35)의 모서리부와, 지지부재(60)의 상부 경사면부(62)의 시작부에는 카메라의 위치조정 후 유동을 방지하는 마찰력 조정부재(36, 36')가 홈(37, 37')에 각각 내장되도록 장착하되, 상기 마찰력 조정부재(36, 36')는 그 직경의 15% ~ 25%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재질은 윤활성과 마찰력을 동시에 구비하는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프라스틱 재질이 되도록 한다.
이는 외부로 노출되는 마찰력 조정부재(36, 36')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활한 조정(면접촉)에 어려움이 있고, 반대로 위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세팅 후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고정부재(30)와 회전부재(40)는 상기 고정부재(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회전지지구(34)의 걸이구(38)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40)의 내주 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걸림 회전턱(43)과 탄력결합 되도록 밀어넣어 결합한다.
한편, 회전부재(40)와 각도 조정부재(50)와의 조립은 먼저 회전부재(40)의 좌, 우 회전축(41) 외부에 형성되는 수 스프라인(44)을 각도 조정부재(50)의 관통공(54) 내측에 형성되는 암 스프라인(5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정을 실시하고 세팅(고정)이 완료되면, 도 3 b에 도시된 유동방지나사공(42)에 유동방지나사(51)를 체결함으로써, 조정(세팅)후에 회전부재(40)와 각도 조정부재(50)의 유동이 방지되 도록 한다.
상기 암, 수 스프라인(55, 44)은 일정한 카메라의 미세한 각도 조정을 위하여 일정한 회전외력을 가하면 미끄럼 접촉을 행하고, 조정이 끝나면 유동이 방지되도록 치형의 높이(h)는 회전축(41) 직경(D)의 1/20 ~ /30로 하며, 상호 맞물리는 치형의 수는 40 ~ 60개 가 되도록 한다.
이는, 맞물리는 치형의 높이가 수가 상기 범위보다 작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도를 미세조정하기 위한 회동이 곤란하거나, 고정상태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정부재(50)는 지지부재(60) 내에서의 원활한 상, 하 각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 조정부재(50)의 내측면의 중앙부에 스라이딩홈(52)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내측으로는 지지부재(60)의 암나사부(14')와 나사결합되는 스라이딩나사(53)가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0)의 상부면에도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찰 조정부재(36')를 설치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찰 조정부재의 외측으로는 복수개의 배선안내공(64)과 고정부라켓(70)의 삽입돌출부(74)에 삽입되는 삽입홈(65)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삽입홈(65)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하여 하부에는 고정부라켓(70)의 삽입돌출부(74)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재(60)의 고정나사공(67)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2'')로 암나사부(14'')에 나사 체결하면, 중앙지지부(61)를 갖는 지지부재(60)는 접속단자(71)와 접속구(72) 및 전원케이블(73)이 장착되는 고정부라켓(70)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감시 카메라의 모듈부위(렌즈 장착부)를 경사각(틸팅)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도 조정부재(5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렌즈고정판(10)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치합상태의 암, 수 스프라인치형의 상호 미끄럼접촉으로 미세한 각도조정(치형의 피치 : p)이 가능하며, 모듈부위의 단순 회전(로테이팅)을 행할 경우에는 모듈부위(렌즈 장착부)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모듈의 상, 하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각도 조정부재(5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스라이딩 나사(53)를 중심으로 스라이딩홈(52) 내에서 회전시킨다.
모듈의 회전(로테이팅)과 상, 하 각도의 조정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각도 조정부재(5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각도 조정부재(50)를 지지부재(60) 상에서 상, 하 스라이딩 되도록 외력을 가하면, 한번의 조작으로 모듈의 회전과 상, 하 각도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체적인 촬영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을 행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은, 일반적인 종래의 감시 카메라에 비하여 스라이딩 작용을 하면서 각운동을 하는 각도 조정부재를 더 채용함으로써,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여 촬영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회전부재와 각 조정부재를 손으로 간편하게 회전(1회)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신속하게 희망하는 촬영각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지지부재에 장착되는 마찰력 조정부재와 유동방 지나사 등의 구성으로 인하여 각도 조정시의 회전력(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외에도 렌즈고정판에 형성되는 조정창으로 손쉽게 카메라의 원근(줌)조절 등이 가능한 구성이어서, 위치변경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분해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각도와 원근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증진된 효과도 아울러 예상된다.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예 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윤활성과 마찰성능이 동시에 요구되는 마찰 조정부재는 실리콘과 연질의 프라스틱 재질에 한정하지 않고, 변형이 적고 내구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을 채용해도 좋다.
도 1a는 일반적인 감시 카메라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 3축 각도 조정용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의 전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인 고정부재에 장착되는 렌즈고정판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인 회전부재의 사시도와 중요 단면도 이며,
도 3c는 본 발명인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인 고정부재의 주요단면도와 마찰 조정부재의 설치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지지부재의 전면 및 후면의 사시도와 중요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고정부라켓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감시 카메라의 조립 및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프레임 2 : 제2프레임 3 : 제3프레임 4 : X축회전축
5 : Y축회전축 6 : Z축회전축 10 : 렌즈고정판
20 : 카메라지 지지회로 기판 30 : 고정부재 36 : 마찰력 조정부재
40 : 회전부재 50 : 각도 조정부재 60 : 지지부재 70 : 고정부라켓

Claims (5)

  1. 삭제
  2.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감시용 케메라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렌즈(21)의 조절손잡이(22)를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조정창(11)이 횡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렌즈고정판(10)과, 고정부재(30)에 나사공(23)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2')로 체결되고, 렌즈(21)의 원근 등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22)가 장착되는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과, 상기 렌즈고정판(10)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이 고정나사(12, 12')와 돌출암나사부(31, 31')에 의하여 체결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고, 저부에는 걸이구(38)를 갖는 회전지지구(34)가 장착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회전지지구(34)와 회전가능한 범위내에서 탄력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30)의 회전접촉면(35)과 면접촉을 하는 회전접촉면(35')이 상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고정판(10)을 상, 하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부에 수 스프라인(44)이 형성된 회전축(41)을 갖는 회전부재(40)와, 상기 수 스프라인(44)과 치차 연결되고, 관통공(54)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 스프라인(55)과 상호 미끄럼 접촉을 함과 동시에, 스라이딩나사(53)를 중심으로 지지부재(60)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각도 조정부재(50)와, 상기 각도 조정부재(50)의 저면경사부와 미끄럼 면접촉되는 경사면부(62)가 형성되고, 고정부라켓(70)에 고정나사(12'')로 체결되는 지지부재(6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수 스프라인(44)의 치형 높이(h)는 회전축(41) 직경(D)의 1/20 ~ /30로 하며, 상호 맞물리는 치형의 수는 40 ~ 60개 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3. 내부에 렌즈가 장착되는 감시용 케메라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렌즈(21)의 조절손잡이(22)를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조정창(11)이 횡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렌즈고정판(10)과, 고정부재(30)에 나사공(23)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2')로 체결되고, 렌즈(21)의 원근 등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22)가 장착되는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과, 상기 렌즈고정판(10)과 카메라 지지회로기판(20)이 고정나사(12, 12')와 돌출암나사부(31, 31')에 의하여 체결되어 그 상단부에 설치되고, 저부에는 걸이구(38)를 갖는 회전지지구(34)가 장착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부재(30)의 회전지지구(34)와 회전가능한 범위내에서 탄력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30)의 회전접촉면(35)과 면접촉을 하는 회전접촉면(35')이 상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고정판(10)을 상, 하 각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부에 수 스프라인(44)이 형성된 회전축(41)을 갖는 회전부재(40)와, 상기 수 스프라인(44)과 치차 연결되고, 관통공(54)의 내측에 형성되는 암 스프라인(55)과 상호 미끄럼 접촉을 함과 동시에, 스라이딩나사(53)를 중심으로 지지부재(60)와 미끄럼 접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각도 조정부재(50)와, 상기 각도 조정부재(50)의 저면경사부와 미끄럼 면접촉되는 경사면부(62)가 형성되고, 고정부라켓(70)에 고정나사(12'')로 체결되는 지지부재(6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고정부재(3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전접촉면(35)의 모서리부와, 지지부재(60)의 상부 경사면부(62)의 시작부에는, 카메라의 위치조정 후 유동을 방지하는 마찰력 조정부재(36, 36')가 각각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 조정부재(36, 36')는 그 직경의 15% ~ 25%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5. 삭제
KR1020080100918A 2008-10-15 2008-10-15 감시 카메라 KR100889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918A KR100889695B1 (ko) 2008-10-15 2008-10-15 감시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918A KR100889695B1 (ko) 2008-10-15 2008-10-15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695B1 true KR100889695B1 (ko) 2009-03-19

Family

ID=4069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918A KR100889695B1 (ko) 2008-10-15 2008-10-15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6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33Y1 (ko) * 2004-09-13 2004-12-16 아프로미디어 (주)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80043458A (ko) * 2006-11-14 2008-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33Y1 (ko) * 2004-09-13 2004-12-16 아프로미디어 (주)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80043458A (ko) * 2006-11-14 2008-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6225B1 (en) Support mechanism, adjusting apparatus and pan tilt head for use with same
KR101725118B1 (ko)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US836970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US9772541B2 (en) Adjusting seat and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021341A1 (en) Image-captur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160010794A1 (en) Adjustable hanging device
KR101650725B1 (ko) 팬틸트 카메라
US20080149795A1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JP4597225B2 (ja) 監視用ビデオカメラ
KR100984837B1 (ko) 감지기 고정 브라켓
JP3137699U (ja) 監視ビデオカメラの自動絞りレンズの遠近およびフォーカス調整装置
KR20030062727A (ko) 팬틸트 카메라
KR100889695B1 (ko) 감시 카메라
US20140003025A1 (en) Photographic device
KR20070092792A (ko) 돔 카메라
US20130242179A1 (en) Video device and adjusting mechanism thereof
US7969665B2 (en) Lens adjusting device of projector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CN212900700U (zh) 一种投影机架及投影装置
JP2010048406A (ja) パン・チル微動機構ユニット。
JP2003302695A (ja) 監視用カメラの支持機構
KR200403448Y1 (ko) 감시카메라장치
KR101529394B1 (ko) 감시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KR100731200B1 (ko) 감시용 카메라
CN219655788U (zh) 一种视频监控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