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477B1 -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 Google Patents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477B1
KR100889477B1 KR1020080054935A KR20080054935A KR100889477B1 KR 100889477 B1 KR100889477 B1 KR 100889477B1 KR 1020080054935 A KR1020080054935 A KR 1020080054935A KR 20080054935 A KR20080054935 A KR 20080054935A KR 100889477 B1 KR100889477 B1 KR 10088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ipe
w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김길남
이영상
Original Assignee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102008005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수관로 양측에 세관밸브를 설치하여 일측의 세관밸브로 삽입된 크리닝 피크가 상수관로의 내면에 적층된 스케일 등의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여 타측의 세관밸브로 물과 함께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된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에 있어서, 상기 세관밸브의 밸브몸체내에 T형웨이가 형성된 개폐볼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밸브몸체는 좌,우로 제1웨이 및 제2웨이가 형성되고, 상부로 제3웨이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밸브몸체의 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힌지부에 의하여 상기 개폐볼의 후방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밸브몸체의 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작동힌지부에 의하여 개폐볼의 전방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밸브몸체의 제1웨이 및 제2웨이에 제1플랜지가 형성되어 볼가압부가 끼워진 관로연결부가 각각 볼트결합되어지며 상기 제3웨이의 상부에 뚜껑이 볼트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웨이, T형웨이, 세관밸브, 개폐볼, 밸브몸체, 플랜지, 뚜껑

Description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Extraneous matter remove valve of drinking water pipe line}
본 발명은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수관로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는 부스 내부로 각각 상수관로에 결합되어지는 세관밸브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일측의 세관밸브를 통해 삽입된 크리닝 피그가 상수관로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수관로의 내벽에 증착된 스케일 또는 이물질(고형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타측의 세관밸브를 통해 물과 같이 배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수관로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세관밸브를 통해 크리닝 피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제수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상수관로내의 물이 차단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부스내의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수관로내로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배관을 설치한 후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관 내면에 는 물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배관 내면이 산화되면서 녹 등이 발생되어지게 된다.
상수도 배관 내부에 이물질 퇴적에 의한 스케일층이 형성되면 내부 단면적이 줄어들므로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압을 떨어뜨리고 부패한 스케일링층으로 부터 역으로 물속에 녹아드는 불순물들에 의하여 수질이 크게 악화되는 원인으로 인하여 상수도 배관의 내면은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상수도 배관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이나 녹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수단이 제안되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상수도 배관의 청소유지 비용이 저렴하고 청소방법이 단순한 클리닝 폴리 피그(Cleaning polly pig)에 의한 스케일 제거방식이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클리닝 폴리 피그방식은 내부는 탄성이 강한 스펀지체나 우레탄 등의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어지고, 외부는 탄성이 강하고 매우 질긴 특성이 있는 엘레시토모 수지가 도포된 폴리 피그를 상수도 배관의 내부에 삽입시키면 수압에 의해 물의 흐름방향으로 폴리 피그가 전진하면서 상수도 배관 내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수압의 마찰력에 의하여 떨어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폴리 피그방식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로(750)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 일측의 제수변부스(700)의 내부에 제수밸브(710) 및 세관밸브(720)가 결합되어지며 타측의 제수변부스(700)의 내부에 이물질 처리부(730)의 플렉시블관(740)이 커플링으로 결합된 다른 세관밸브(720) 및 다른 제수밸브(710)가 결합되어 있다.
폴리 피그를 이용하여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제수변부스(700)내에 설치된 각각의 제수밸브(710)를 닫은 상태에서 좌측의 세관밸브(720) 뚜껑을 오픈시키는 과정에서 미리 일정량의 물을 배출시킨 후 폴리 피그(760)가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뚜껑을 닫고 제수밸브(710)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상수관로(750)를 흐르는 물의 수압에 의하여 폴리 피그(760)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어지면서 상수관로(750)의 벽내에 부착된 스케일을 분리시키고, 분리되어진 스케일은 폴리 피그(760)와 함께 타측의 세관밸브(720) 및 플랙시블관(740)을 통해 이물질처리부(740)로 배출되어 처리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수관로(750)에 각각 제수밸브(710)와 세관밸브(720)가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변실이 증가하게 됨과 동시에 이로 이한 유지관리 비용의 지출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수변 부스의 좁은 내부공간에 각각 제수밸브(710)와 세관밸브(720)가 설치되어짐으로써, 공간활용율이 낮아지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세관밸브(720)를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관밸브(710)의 내부로 폴리 피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수관로내에 있는 일정량의 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이 더 소요되어지게 됨에 따라 그 만큼의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수관로의 내면을 세척한 후 뚜껑을 세관밸브(7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만 통수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통수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이 세관밸브(720)의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뚜껑이 결합된 상측 방향을 경유하여 흐르게 되는 과정에서 캐비테이션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는 부스 내부로 각각 상수관로에 결합되어지는 세관밸브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일측의 세관밸브를 통해 삽입된 크리닝 피그가 상수관로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수관로의 내벽에 증착된 스케일 또는 이물질(고형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타측의 세관밸브를 통해 배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수관로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세관밸브를 통해 크리닝 피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제수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상수관로내의 물이 차단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부스내의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수관로내로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 양측에 세관밸브를 설치하여 일측의 세관밸브로 삽입된 크리닝 피크가 상수관로의 내면에 적층된 스케일 등의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여 타측의 세관밸브로 물과 함께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된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에 있 어서, 상기 세관밸브(100)의 밸브몸체(120)내에 T형웨이(TW)가 형성된 개폐볼(110)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밸브몸체(120)는 좌,우로 제1웨이(1W) 및 제2웨이(2W)가 형성되고, 상부로 제3웨이(3W)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밸브몸체(120)의 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힌지부(130)에 의하여 상기 개폐볼(110)의 후방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밸브몸체(120)의 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작동힌지부(140)에 의하여 개폐볼(110)의 전방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밸브몸체(120)의 제1웨이(1W) 및 제2웨이(2W)에 제1플랜지(121)가 형성되어 볼가압부(150)가 끼워진 관로연결부(160)가 각각 볼트결합되어지며 상기 제3웨이(3W)의 상부에 뚜껑(170)이 볼트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수관로의 양측에 설치되어지는 부스 내부로 각각 상수관로에 결합되어지는 세관밸브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일측의 세관밸브를 통해 삽입된 크리닝 피그가 상수관로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수관로의 내벽에 증착된 스케일 또는 이물질(고형 이물질)을 제거한 후 타측의 세관밸브를 통해 배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수관로내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세관밸브를 통해 크리닝 피크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제수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상수관로내의 물이 차단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부스내의 공간활용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수관로내의 물이 흐르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캐비테이션 현상 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세관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내부 구조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작동상태에 따라 크리닝 피그가 삽입되어 이동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100)는 도2 내지 도6a 및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관로(200) 양측에 각각 세관밸브(100)를 설치하여 일측의 세관밸브(100)로 삽입된 크리닝 피크(P)가 상수관로(200)의 내면에 적층된 스케일 등의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여 타측의 세관밸브(100) 및 플렉시블관(174)를 통해 이물질 처리부(300)로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관밸브(100)의 밸브몸체(120)내부에는 T형웨이(TW)가 형성된 개폐볼(110)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밸브몸체(120)는 좌,우로 제1웨이(1W) 및 제2웨이(2W)가 형성되어 물이 흐르거나 단수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부로 제3웨이(3W)가 각각 형성되어 크리닝 피그(P)가 삽입되어질 수 있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 다.
상기 밸브몸체(120)의 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힌지부(130)에 의하여 상기 개폐볼(110)의 후방이 밸브몸체(120)의 내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밸브몸체(120)의 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작동힌지부(140)에 의하여 개폐볼(110)의 전방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볼(110)은 T형웨이(TW)가 형성된 일측에 고정힌지부(130)와 대응되는 힌지홈(1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힌지홈(111)과 대응되는 타측으로 +형 결합홈(11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힌지부(130)는 밸브몸체(120)에 형성된 제1관통홈(120-1)에 고정부시(131)가 끼워져 상기 힌지홈(11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시(131)에 제1실링(132)이 끼워진 부시고정커버(133)가 삽입되어 볼트에 의하여 밸브몸체(120)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힌지부(140)는 제1관통홈(120-1)에 대응되는 제2관통홈(120-2)이 밸브몸체(120)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2관통홈(120-2)에 밸브몸체(12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작동힌지축(141)이 관통되어지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작동힌지축(141)은 상기 +형 결합홈(112)에 삽입되어지는 걸림편(142)에 걸림턱(14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림턱(143)에 핸들결합축(144)이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몸체(120)의 전방으로 노출된 부분의 핸들결합축(144)에 나사산(145)을 형성하여 링너트(146)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핸들결합축(144)에 볼스토퍼(147-1)가 끼워진 핸들(147)이 삽입되어 볼트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스토퍼(47-1)는 제2관통홈(120-2)의 둘레에 90°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홈(120-3)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핸들(147)을 원형태를 갖도록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형태를 갖는 로드핸들(147a)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120)의 제1웨이(1W) 및 제2웨이(2W)에 제1플랜지(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볼가압부(150)가 끼워진 관로연결부(160)가 각각 볼트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웨이(3W)의 상부에는 뚜껑(170)이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170)의 하부에는 디스크(172)가 고정축(171)으로 결합되어 상수관로(200)를 경유한 물이 밸브몸체(120)의 내부를 흐르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가 제3웨이(3W)측으로 유입되어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120)의 하부에는 드레인밸브(dv)가 결합되어 상수관로(200) 및 밸브몸체(120)를 통하여 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된 잔류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가압부(150)는 제2실링(152)이 외주연부에 끼워지는 보호링(151)의 내부연부에 상기 개폐볼(110)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는 만곡부(153-1)가 형성된 가압링(153)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링(153)이 끼워진 보호링(151)이 관로연결부(16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61)에 헐겁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삽입홈(161)에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162)을 형성하여 스프링(155)의 일측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스프링(155)의 타측이 보호링(151)에 맞대어져 상기 보호링(151)이 개폐볼(110)로 가압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로연결부(160)의 타측에는 관로 연결플랜지(163)가 형성되어 상수관로(200)에 볼트 결합되어지고, 상기 뚜껑(170)은 중앙에 연결링(173)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링(173)에 플랙시블관(174)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플랙시블관(174)의 타측에 이물질 처리부(30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100)에 크리닝 피그(P)를 이용하여 상수관로(200)의 내부에서 발생된 고형 이물질을 분리 세척하여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부스(400)의 내부로 상수관로(200) 사이에 결합된 세관밸브(100)의 개폐볼(110)이 좌측에서 우측방향 즉, 제1웨이(1W)와 제2웨이(2W)가 관통된 형태로 위치되어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수관로(200)의 물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측의 제수변 부스(400) 내에 있는 핸들(147)을 반시계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작동힌지축(141)의 걸림편(142)이 개폐볼(110)에 형성된 +자형 결합홈(112)에 결합되어 개폐볼(110)이 고정힌지부(130)의 고정부시(13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지게 되며 핸들(147)에 결합된 볼스토퍼(147-1)가 좌측에 형성된 다른 스토퍼홈(120-3)에 걸릴때 까지 회전시키면 도6b의 좌측 하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볼(110)의 막혀진 부분이 좌측으로 위치된 가압링(153)의 만곡부(153-1)에 스프링(155)의 압력으로 밀착되어지게 됨에 따라 제1웨이(1W)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좌측의 상수관로(200)내의 물이 차단되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우측의 제수변 부스(400) 내부에 있는 세관밸브(100)의 핸들(147)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웨이(2W)가 막힘으로써, 우측의 상수관로(200)내의 물이 차단되어지게 된다.
다음, 도6b의 양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유로(3W)의 상부에 볼트 결합을 풀어 뚜껑(170)이 오픈되어지도록 한 후 우측의 제3웨이(3W)에 플렉시블관(174)이 연결된 다른 뚜껑(170)이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좌측이 제3웨이(3W)에 크리닝 피그(P)를 삽입한 후 오픈되어져 있던 뚜껑(170)을 다시 볼트 결합으로 고정시킨다.
다음, 도6b의 좌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147)을 시계방향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6c의 좌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웨이(TW)가 수평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상수관로(200)내의 물이 흐르게 됨에 따라 그 압력에 의하여 크리닝 피그(P)가 상수관로(200)의 내부를 이동하는 가운데 관벽내에 끼여 있는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며, 관벽에서 분리되어진 고형 이물질은 크리닝 피그(P)와 함께 도6c의 우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세관밸브(100)의 내부에 결합된 개폐볼(110)의 T형웨이(TW)의 좌측으로 유입된 후 T형웨이(TW)의 우측이 막혀진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크리닝 피그(P)가 꺽여져 방향이 전환되어진 후 상측으로 계속 이송되어지고, T형웨이(TW)의 상측으로 이송된 크리닝 피그(P)와 고형 이물질은 제3웨이(3W)를 경유한 후 뚜껑(170)에 연결링(173)으로 결합된 플렉시블관(174)를 통해 이물질 처리부(300)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다음, 플렉시블관(107)이 결합된 뚜껑(170)을 세관밸브(100)의 밸브몸체(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핸들(147)을 회전시켜 개폐볼(110)의 T형웨이(TW)가 도6a의 우측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으로 위치되어지도록 한 후 분리시키고, 다른 뚜껑(170)을 다시 결합시킨 후 핸들(147)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물이 계속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밸브몸체(120)의 제3웨이(3W)에 볼트 결합되어지는 뚜껑(170)이 전체적으로 막혀진 것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70)에 제3관통홈(175)을 형성하여 볼 밸브가 내장된 소방호스연결구(176)가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다른 제4관통홈(177)을 형성하여 압력계(178)가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방호스연결구(176)를 이용하여 상수관로(200) 내의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핸들(147)을 회전시켜 개폐볼(110)의 T형웨이(TW)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웨이(2W)가 막혀지도록 함으로써, 소방호스연결구(176)을 통해 물이 배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계(178)는 크리닝 피그(P)를 이용하여 상수관로(200)의 내부에 있는 고형 이물질이 제거되어지는 과정에서 상수관로(200)가 막혔을 경우 압력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외부에서 현재 상수관로(200)의 일부가 막혀져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수관로에 세관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삽입형 세관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내부 구조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
도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작동상태에 따라 크리닝 피그가 삽입되어 이동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로에 설치되어지는 세관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W:제1웨이 2W:제2웨이
3W:제3웨이 TW:T형웨이
100:세관밸브 110:개폐볼
120:밸브몸체 121:제1플랜지
130:고정힌지부 140:작동힌지부
150:볼가압부 160:관로연결부
170:뚜껑

Claims (7)

  1. 상수관로 양측에 세관밸브를 설치하여 일측의 세관밸브로 삽입된 크리닝 피크가 상수관로의 내면에 적층된 스케일 등의 고형 이물질을 제거하여 타측의 세관밸브로 물과 함께 배출되어지도록 구성된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에 있어서,
    상기 세관밸브(100)의 밸브몸체(120)내에 T형웨이(TW)가 형성된 개폐볼(110)이 삽입되어지되, 상기 밸브몸체(120)는 좌,우로 제1웨이(1W) 및 제2웨이(2W)가 형성되고, 상부로 제3웨이(3W)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밸브몸체(120)의 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힌지부(130)에 의하여 상기 개폐볼(110)의 후방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밸브몸체(120)의 전방을 관통하여 삽입된 작동힌지부(140)에 의하여 개폐볼(110)의 전방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밸브몸체(120)의 제1웨이(1W) 및 제2웨이(2W)에 제1플랜지(121)가 형성되어 볼가압부(150)가 끼워진 관로연결부(160)가 각각 볼트결합되어지며 상기 제3웨이(3W)의 상부에 뚜껑(170)이 볼트결합되어지되,
    상기 관로연결부(160)의 타측에 관로 연결플랜지(163)가 형성되어 상수관로(200)에 볼트 결합되어지고, 상기 뚜껑(170)은 중앙에 연결링(173)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링(173)에 플랙시블관(174)의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상기 플랙시블관(174)의 타측에 이물질 처리부(300)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볼(110)은 T형웨이(TW)가 형성된 일측에 고정힌지부(130)와 대응되는 힌지홈(11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힌지홈(111)과 대응되는 타측으로 +형 결합홈(11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힌지부(130)는 밸브몸체(120)에 형성된 제1관통홈(120-1)에 고정부시(131)가 끼워져 상기 힌지홈(11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시(131)에 제1실링(132)이 끼워진 부시고정커버(133)가 삽입되어 볼트로 밸브몸체(12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작동힌지부(140)는 제1관통홈(120-1)에 대응되는 제2관통홈(120-2)이 밸브몸체(120)에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2관통홈(120-2)에 밸브몸체(12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작동힌지축(141)이 관통되어지게 결합되어지되, 상기 작동힌지축(141)은 상기 +형 결합홈(112)에 삽입되어지는 걸림편(142)에 걸림턱(143)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걸림턱(143)에 핸들결합축(144)이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몸체(120)로 노출된 부분의 핸들결합축(144)에 나사산(145)을 형성하여 링너트(146)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핸들결합축(144)에 볼스토퍼(147-1)이 끼워진 핸들(147)이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가압부(150)는 제2실링(152)이 외주연부에 끼워지는 보호링(151)의 내부연부에 상기 개폐볼(110)에 밀착되는 형태를 갖는 만곡부(153-1)가 형성된 가압링(153)이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압링(153)이 끼워진 보호링(151)이 관로연결부(16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61)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삽입홈(161)에 다수개의 스프링 삽입홈(162)을 형성하여 스프링(155)의 일측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스프링(155)의 타측이 보호링(151)에 맞대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54935A 2008-06-12 2008-06-12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KR10088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935A KR100889477B1 (ko) 2008-06-12 2008-06-12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935A KR100889477B1 (ko) 2008-06-12 2008-06-12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477B1 true KR100889477B1 (ko) 2009-03-19

Family

ID=4069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935A KR100889477B1 (ko) 2008-06-12 2008-06-12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732B1 (ko) * 2012-04-20 2012-08-17 신진정공 주식회사 다용도 점검구 밸브
WO2014021509A1 (ko) * 2012-08-02 2014-02-06 (주)삼진제이엠씨 나선형 시트 구조를 갖는 탑엔트리 볼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7A (ja) * 1985-06-25 1987-01-08 Hitachi Zosen Corp 三方切換弁
JPH09242895A (ja) * 1996-03-08 1997-09-16 Kitz Corp ボールバルブ
KR100357481B1 (ko) * 2000-04-25 2002-10-25 김길남 배관라인의 청소를 위한 제수밸브 겸용 크리닝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77A (ja) * 1985-06-25 1987-01-08 Hitachi Zosen Corp 三方切換弁
JPH09242895A (ja) * 1996-03-08 1997-09-16 Kitz Corp ボールバルブ
KR100357481B1 (ko) * 2000-04-25 2002-10-25 김길남 배관라인의 청소를 위한 제수밸브 겸용 크리닝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732B1 (ko) * 2012-04-20 2012-08-17 신진정공 주식회사 다용도 점검구 밸브
WO2014021509A1 (ko) * 2012-08-02 2014-02-06 (주)삼진제이엠씨 나선형 시트 구조를 갖는 탑엔트리 볼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601B1 (ko)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US4700732A (en) Faucet drain apparatus
US20040255378A1 (en) Filter guard for sink drain pop-up plunger
KR100889477B1 (ko) 상수관로 삽입형 세관밸브
KR20120046363A (ko)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KR100870100B1 (ko) 다기능 세척밸브
JP2019027147A (ja) 継ぎ手部材
JP7064727B2 (ja) 継ぎ手部材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200447776Y1 (ko) 이중 제수 기능을 가진 관 세척 밸브
CN213929507U (zh) 一种防尘硬密封球阀
KR101959442B1 (ko) 파이프 어셈블리
US11536408B1 (en) Drain-pipe interface device
KR20010059504A (ko) 스트레이너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복합식 밸브
JP2016050446A (ja) 管トラップ
CN220035642U (zh) 一种防堵排水管道
KR100461847B1 (ko) 상수도관의 제수변장치
JP6303089B2 (ja) 排水配管
US9581261B2 (en) Valve assemblies with internal protective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18031515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弹性密封座闸阀
CN216242418U (zh) 一种新型金属密封闸阀
KR200447777Y1 (ko) 제수 기능을 가진 관 세척 밸브
CN219994409U (zh) 一种便清洁防堵塞沟槽蝶阀
CN220930227U (zh) 一种能清除渣杂防止阀芯卡阻的平装闸板阀
KR100341062B1 (ko) 관 청소용 피그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