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961B1 - 배터리락커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락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961B1
KR100888961B1 KR1020020067869A KR20020067869A KR100888961B1 KR 100888961 B1 KR100888961 B1 KR 100888961B1 KR 1020020067869 A KR1020020067869 A KR 1020020067869A KR 20020067869 A KR20020067869 A KR 20020067869A KR 100888961 B1 KR100888961 B1 KR 10088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protrusion
groove
battery
lift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723A (ko
Inventor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96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배터리팩을 착탈하는 배터리락커와, 상기 배터리락커에 돌출·형성되는 락커돌기와, 상기 락커돌기가 삽착되도록 배터리팩의 일측에 요입·형성되는 락커홈을 포함하는 배터리락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락커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들림방지홈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락커홈의 하단 좌·우측부에는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좌·우측부와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되는 좌·우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들림방지홈에 내삽되는 걸림턱으로서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유격되어 있으나 상기 좌·우걸림턱이 상기 락커돌기를 밀어내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좌·우걸림턱이 상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들림방지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락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락커돌기 삽입시 락커돌기의 하단부와 락커홈의 걸림턱이 선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양산시 배터리 초음파 융착 및 단말기 조립 후의 치수관리가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전원 및 외관 불량률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커돌기의 하단 중앙부에는 들림방지홈을 요입·형성하고, 락커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들림방지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좌·우걸림턱이 락커돌기를 밀어내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들림방지걸림턱이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좌·우걸림턱이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배터리팩, 배터리락커, 락커돌기, 선접촉, 면접촉

Description

배터리락커장치{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ACK}
도1a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정면도.
도1b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측면도.
도1c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락커홈의 측면도.
도1d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락커홈의 정면도.
도1e는 종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와 락커홈의 삽착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정면도.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측면도.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락커홈의 측면도.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락커홈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와 락커홈의 삽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본체
200: 배터리락커 210: 락커돌기
212: 들림방지홈
300: 배터리팩
400: 락커홈 410-L, 410-R: 좌·우걸림턱
420: 들림방지턱
500: 스프링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팩을 단말기의 본체에 탈착하는 배터리팩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복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팩은 단말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a, 도1b, 도1c, 도1d, 도1e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a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정면도를, 도1b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측면도를, 도1c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락커홈의 측면도를, 도1d는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락커홈의 정면도를, 도1e는 종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와 락커홈의 삽착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는 락커돌기(22)가 형성된 배터리락커(20)와, 배터리팩(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락커홈(32)과, 배터리락커(20)에 연결되는 락커스프링(40) 등을 포함한다.
특히 도1e를 참조하면 배터리락커(20)는 단말기 본체(10)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배 터리락커(20)에는 본체(10)의 타단부를 향하여 락커돌기(22)가 돌출·형성된다.
특히 도1e를 참조하면 배터리팩(30)에는 락커돌기(22)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락커홈(32)이 형성된다.
특히 도1e를 참조하면 종래 배터리팩탈착장치에는 일측이 본체(10)에 탄력지지 되고 타측 이 배터리락커(20)에 탄력지지 되는 락커스프링(40)이 설치되어 배터리팩(30)을 본체(10)에 체결하는 경우 배터리락커(20)를 본체(10) 하단부쪽으로 이동시켜 락커돌기(22)가 락커홈(32)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한 종래 배터리팩탈착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배터리팩(30)의 타단부를 본체(2)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도면 미도시)에 건 다음 배터리락커(20)를 본체 일단부쪽으로 이동시켜 락커돌기(22)를 본체 일단부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배터리팩(30)을 본체(10)에 안치시킨다.
이어서, 배터리락커(20)에 작용했던 힘을 제거하면 락커스프링(40)에 의해 배터리락커(20)가 본체(10) 타단부쪽으로 이동하며 락커돌기(22)가 배터리팩(30)의 락커홈(32)에 삽입됨으로써, 배터리팩(30)이 본체에 체결된다.
락킹해제시는 상기한 락킹시의 역작용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는 배터리락커(22)의 하단부 및 락커홈(3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32-A)이 평평한 평면부로 형성되어 락커돌기(22)가 배터리팩(30)의 락커홈(32)에 삽입시 배터리락커(22)의 하단부와 걸림턱(32-A)이 면접촉을 하게된다. 따라서 배터리락커(22)의 하단부 및 걸림턱(32-A)의 원활한 면접촉을 위해서는 접촉면 전체를 돌출부 없이 평탄하게 형성해야 하는데, 이런 문제로 인하 여 다량 생산시 배터리 초음파 융착 및 단말기 조립 후의 치수관리가 힘들고 전원 및 외관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에 있어서, 락커돌기 삽입시 락커돌기의 하단부와 락커홈의 걸림턱이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걸림턱을 갖는 배터리락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커홈하단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측부에 배터리팩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좌·우걸림턱을 형성하여 락커돌기의 하단부와 락커홈의 걸림턱과의 선접촉 구간을 길게하여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터리락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커돌기의 하단 중앙부에는 락커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들림방지홈을 요입·형성하고, 락커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락커돌기 삽입시 들림방지홈에 내삽되는 들림방지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좌·우걸림턱이 락커돌기를 밀어내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들림방지걸림턱이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좌·우걸림턱이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배터리락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배터리팩을 착탈하는 배터리락커와, 상기 배터리락커에 돌출·형성되는 락커돌기와, 상기 락커돌기가 삽착되도록 배터리팩의 일측에 요입·형성되는 락커홈을 포함하는 배터리락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락커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들림방지홈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락커홈의 하단 좌·우측부에는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좌·우측부와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되는 좌·우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들림방지홈에 내삽되는 걸림턱으로서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유격되어 있으나 상기 좌·우걸림턱이 상기 락커돌기를 밀어내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좌·우걸림턱이 상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들림방지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락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락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걸림턱은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좌·우측부와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의 외부를 향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들림방지걸림턱은 상기 들림방지홈과 면접촉되도록 평평한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락커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정면도를,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의 측면도를,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락커홈의 측면도를,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락커홈의 정면도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락커와 락커홈의 삽착도를 나타낸다.
도2a, 도2b, 도3a, 도3b,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배터리락커(200), 락커돌기(210), 들림방지홈(212), 락커홈(400), 좌·우걸림턱(410-L, 410-R), 들림방지턱(420) 등을 갖는다.
도4를 참조하면, 배터리락커(200)는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부에 설치된다. 배터리락커(200)는 스프링(500)에 의해 탄지된다.
도2b, 도4를 참조하면, 배터리락커(200)에는 락커돌기(210)가 돌출·형성된다. 락커돌기(210)는 단말기 본체(100)의 타측부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스프링(500)에 의해 배터리팩(300)을 체결한다.
도2a, 도2b, 도4를 참조하면, 락커돌기(210)의 하단 중앙부에는 락커돌기(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들림방지홈(212)이 요입·형성된다.
도3a, 도4를 참조하면, 배터리팩(300)의 일측부에는 락커홈(400)이 요입·형성된다. 락커홈(400)은 락커돌기(210)가 삽착되도록 형성된다.
도3a, 도3b, 도4를 참조하면, 락커홈(400)의 하단 좌·우측부에는 좌·우걸림턱(410-L, 410-R)이 형성된다. 좌·우걸림턱(410-L, 410-R)은 락커돌기(210) 삽입시 락커돌기(210)의 하단 좌·우측부와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좌·우걸림턱(410-L, 410-R)은 배터리팩(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터리팩(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선형태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3a, 도3b, 도4를 참조하면, 락커홈(400)의 하단 중앙부에는 락커돌기(210) 삽입시 들림방지홈(212)에 내삽되는 들림방지걸림턱(420)이 형성된다. 특히, 도4를 참조하면, 들림방지걸림턱(420)은 락커돌기(210) 삽입시 들림방지홈(212)의 상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유격되도록 형성되어, 락커돌기(210) 삽입시 들림방지홈(212)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으나, 배터리팩(300)에 락커홈(400)을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 좌·우걸림턱(410-L, 410-R)이 스프링(500)에 의한 탄성력을 극복하고 락커돌기(210)를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락커돌기(210)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들림방지홈(212)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좌·우걸림턱(410-L, 410-R)이 락커돌기(21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들림방지걸림턱(420)은 들림방지홈(212)과 면접촉 가능하도록 평평한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체결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배터리락커(200)에 외력을 가하여 후퇴시킨 후 배터리팩(300)을 본체(100)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배터리락커(20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500)이 저장된 탄성에너지를 방출하며 배터리락커(200)를 배터리팩(300) 쪽으로 이동시켜 배터리락커(200)의 락커돌기(210)가 배터리팩(300)의 락커홈(400)에 삽착된다. 이때, 락커돌기(210)의 하단 좌·우측부는 락커홈(400)의 좌·우걸림턱(410-L, 410-R)과 선접촉되며, 락커돌기(210)의 들림방지홈(212)에는 들림방지홈(212)의 상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유격되어 락커홈(400)의 들림방지걸림턱(420)이 내삽된다.
한편, 배터리팩(300)에 락커홈(400)을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한 경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스프링(500)에 의한 탄성체결력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 배터리팩(300)에 락커홈(400)을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면, 좌·우걸림턱(410-L, 410-R)이 배터리팩(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으므로 좌·우걸림턱(410-L, 410-R)이 스프링(500)에 의한 탄성력을 극복하고 락커돌기(210)를 좌측으로 밀어내면서 소정의 높이 만큼 들어올려 진다. 좌·우걸림턱(410-L, 410-R)이 소정의 높이 만큼 들어올려 지면 들림방지걸림턱(420)이 들림방지홈(212)의 상부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좌·우걸림턱(410-L, 410-R)이 락커돌기(21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되어 배터리락커(200)와 배터리팩(300)의 체결이 유지된다.
본 발명은 락커돌기 삽입시 락커돌기의 하단부와 락커홈의 걸림턱이 선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양산시 배터리 초음파 융착 및 단말기 조립 후의 치수관리가 간편해지며, 이에 따라 전원 및 외관 불량률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커홈하단 중앙부를 제외한 좌·우측부에 배터리팩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좌·우걸림턱을 형성하여 락커돌기의 하단부와 락커홈의 걸림턱과의 선접촉 구간을 길게하여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락커돌기의 하단 중앙부에는 들림방지홈을 요입·형성하고, 락커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들림방지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좌·우걸림턱이 락커돌기를 밀어내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들림방지걸림턱이 들림방지홈의 상 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좌·우걸림턱이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Claims (2)

  1.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배터리팩을 착탈하는 배터리락커와, 상기 배터리락커에 돌출·형성되는 락커돌기와, 상기 락커돌기가 삽착되도록 배터리팩의 일측에 요입·형성되는 락커홈을 포함하는 배터리락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락커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들림방지홈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락커홈의 하단 좌·우측부에는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좌·우측부와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되는 좌·우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락커홈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들림방지홈에 내삽되는 걸림턱으로서,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유격되어 있으나 상기 좌·우걸림턱이 상기 락커돌기를 밀어내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들림방지홈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좌·우걸림턱이 상기 락커돌기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들림방지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락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걸림턱은 상기 락커돌기 삽입시 상기 락커돌기의 하단 좌·우측부와 선접촉되도록 배터리팩의 외부를 향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들림방지걸림턱은 상기 들림방지홈과 면접촉되도록 평평한 평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락커장치.
KR1020020067869A 2002-11-04 2002-11-04 배터리락커장치 KR10088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869A KR100888961B1 (ko) 2002-11-04 2002-11-04 배터리락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869A KR100888961B1 (ko) 2002-11-04 2002-11-04 배터리락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723A KR20040039723A (ko) 2004-05-12
KR100888961B1 true KR100888961B1 (ko) 2009-03-17

Family

ID=3733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869A KR100888961B1 (ko) 2002-11-04 2002-11-04 배터리락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9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066A (ja) * 1997-02-28 1998-09-11 Saitama Nippon Denki Kk バッテリ着脱機構
KR20010057729A (ko) * 1999-12-23 2001-07-05 송문섭 휴대폰의 밧데리팩 록킹장치
KR200285666Y1 (ko) * 2002-05-03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20030002921A (ko) * 2001-07-02 2003-01-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3066A (ja) * 1997-02-28 1998-09-11 Saitama Nippon Denki Kk バッテリ着脱機構
KR20010057729A (ko) * 1999-12-23 2001-07-05 송문섭 휴대폰의 밧데리팩 록킹장치
KR20030002921A (ko) * 2001-07-02 2003-01-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KR200285666Y1 (ko) * 2002-05-03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723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080B2 (en) Power tool with battery pack ejector
JP2001155700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H04115774U (ja)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KR100888961B1 (ko) 배터리락커장치
US5974303A (en) Locking mechanism for battery housings
JP2990075B2 (ja) 電池パック押上げ機構およびその押上げ方法
JP2001229895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電動工具
JP2002025522A (ja) バッテリパック着脱装置
KR1006519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8566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100496961B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JP3687307B2 (ja) レール係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並びにレール係合部材を用いた取付構造
JP3562487B2 (ja) コネクタ
KR100808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KR1003887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배터리의 체결 구조
JPH0889320A (ja) ネックレス等の止め金具
KR100790111B1 (ko) 휴대형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JP2002025521A (ja) バッテリパック着脱装置
KR1004548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100487619B1 (ko) 안테나를 이용한 배터리팩고정장치
JP2665189B2 (ja)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保持着脱装置
CN217208844U (zh) 一种自锁装置及智能设备
KR100896276B1 (ko) 측면배터리락커장치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1891946B1 (ko) 크레인용 원터치 결합형 트로리바 연결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