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167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167B1
KR100808167B1 KR1020020087053A KR20020087053A KR100808167B1 KR 100808167 B1 KR100808167 B1 KR 100808167B1 KR 1020020087053 A KR1020020087053 A KR 1020020087053A KR 20020087053 A KR20020087053 A KR 20020087053A KR 100808167 B1 KR100808167 B1 KR 10080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protrusion
separation
main body
t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0285A (ko
Inventor
오경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16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부가 본체의 배터리팩 착탈면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 일측부에 경사진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는 분리돌기와; 상기 분리돌기가 상기 제1테이퍼부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팩 착탈면에 형성되는 안내수단과; 상기 배터리팩의 내면에 형성되어 배터리팩 락킹 시 상기 분리돌기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팩의 락킹 해제시 상기 분리돌기가 스트로크(stroke)됨에 따라 상기 제1테이퍼부가 미끌어지며 배터리팩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1테이퍼부에 대응하는 경사진 제2테이퍼부가 형성되는 배터리팩분리홈과; 상기 분리돌기를 스트로크(stroke)시켜 배터리팩을 들어올리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작동돌기만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팩 락킹 해제시 배터리팩의 일측부를 배터리팩착탈면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휴대폰, 분리돌기, 테이퍼부, 스프링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 battery pack in mobile terminal}
도1은 종래의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탈착장치 및 배터리팩분리장치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터리팩분리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AA′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배터리팩
110: 배터리팩분리홈 112: 제2테이퍼부
200: 본체
210: 분리돌기 212: 제1테이퍼부
222: 작동돌기 224: 안내구멍
226: 내부돌기 228: 인장스프링
본 발명은 배터리팩의 락킹 해제시 본체의 배터리팩착탈면에 밀착된 배터리팩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복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팩은 단말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은 종래의 배터리팩탈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에 도시된 종래 배터리팩탈착장치는 배터리팩(10) 하단부의 돌기를 단말기 본체(20)의 후면 하단부의 홈에 끼워 넣은 후, 회전시켜 배터리팩(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쐐기홈(12)을 단말기 본체(20)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된 쐐기부재(22)에 결합시켜 배터리팩(10)이 단말기 본체(20)에 락킹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배터리팩(10)의 분리는 쐐기부재(22)를 단말기 본체(20)의 표면과 평행하게 밀어 락킹 해제시킨 다음 배터리팩(10)을 손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의 상·하단부를 포함한 양측단부가 단말기 본체(20)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배터리팩분리장치는, 배터리팩을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20)의 양측부에 손가락으로 배터리팩(10)의 양측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홈(24)을 형성하였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10′)의 양측단부가 단말기 본체(20′)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배터리팩의 상측단부를 곡면처리한 경우 등에는 배터리팩이 얇아 용이하게 파지되지 않거나 미끌어짐으로써 배터리팩을 들어올리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배터리팩분리장치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의 측면에 돌출되는 측면손잡이(14′)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파지홈(24)은 휴대폰의 후면부에 갑작스런 요입부를 형성하고, 측면손잡이(14′)는 배터리팩(10′)의 양 측면부에 갑작스런 돌출부를 형성함에 따라 수려한 외관이 중요시되는 휴대폰의 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의 일측에 돌출·인입 가능한 작동돌기와, 배터리삽착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분리돌기 및 배터리팩분리홈을 형성함으로써, 휴대폰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작동돌기만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팩 락킹 해제시 배터리팩의 일측부를 배터리팩착탈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는, 상단부가 본체의 배터리팩 착탈면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 일측부에 경사진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는 분리돌기와; 상기 분리돌기가 상기 제1테이퍼부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팩 착탈면에 형성되는 안내수단과; 상기 배터리팩의 내면에 형성되어 배터리팩 락킹 시 상기 분리돌기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팩의 락킹 해제시 상기 분리돌기가 스트로크(stroke)됨에 따라 상기 제1테이퍼부가 미끌어지며 배터리팩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1테이퍼부에 대응하는 경사진 제2테이퍼부가 형성되는 배터리팩분리홈과; 상기 분리돌기를 스트로크(stroke)시켜 배터리팩을 들어올리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분리돌기의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내장되도록 상기 배터리팩 착탈면에 형성되는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리돌기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본체의 측부를 통하여 돌출 가능한 작동돌기와; 상기 작동돌기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측부에 형성되는 안내구멍과; 상기 작동돌기 하부에 돌출되어 본체 내에 위치하는 내부돌기와; 일측이 상기 내부돌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배터리팩 장착시 상기 분리돌기가 상기 배터리팩분리홈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은 본체 측부에 형성되는 볼륨키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도4는 도3의 AA′의 단면도를, 도5는 도4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3,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분리돌기(210), 통공(220), 배터리팩분리홈(110), 작동수단(도면부호 미부여) 등을 갖는다.
도3, 도4를 참조하면, 분리돌기(210)는 상측단에 경사진 제1테이퍼부(212)가 형성 된다. 분리돌기(210)는 제1테이퍼부(212)가 본체 외부에 노출되고, 하측단이 본체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도3, 도4를 참조하면, 본체(200)의 배터리팩 착탈면에는 통공(220)이 형성된다. 통공(220)은 제1테이퍼부(212)가 본체(200)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제1테이퍼부(212)를 경사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분리돌기(210)가 스트로크(stroke)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3, 도4를 참조하면, 배터리팩분리홈(110)은 배터리팩(100)의 내면에 형성된다. 배터리팩분리홈(110)은 배터리팩(100) 락킹시 분리돌기(210)의 상단부가 삽착되는 홈으로서, 배터리팩(100)의 락킹 해제시 분리돌기(210)가 통공(220)에서 스트로크(stroke)됨에 따라 제1테이퍼부(212)가 미끌어지며 배터리팩(100)의 일측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1테이퍼부(212)에 대응하는 경사진 제2테이퍼부(112)를 갖는다.
도3, 도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배터리팩(100)의 분리돌기(210)를 작동시켜 배터리팩(100)의 일측부를 들어올리기 위한 작동수단(도면부호 미부여)을 갖는데, 작동수단(도면부호 미부여)은 작동돌기(222), 안내구멍(224), 내부돌기(226), 인장스프링(228) 등으로 구성된다.
도4, 도5를 참조하면, 작동돌기(222)는 분리돌기(2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본체(200)의 측부를 통하여 돌출·인입됨에 따라 분리돌기(210)를 스트로크(stroke)시켜 배터리팩(100)의 일측부를 들어올리도록 형성된다.
도4, 도5를 참조하면, 안내구멍(224)은 작동돌기(200)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측부에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안내구멍(224)은 본체(200) 측부에 형성되는 볼륨키(230) 하부에 설치된다.
도4, 도5를 참조하면, 내부돌기(226)는 작동돌기(222) 하부에 돌출되어 본체(200)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4, 도5를 참조하면, 인장스프링(228)은 일측이 내부돌기(226)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200)에 연결되어 하중 부작용시 작동돌기(222)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배터리팩(100) 삽착시 분리돌기(210)가 배터리팩분리홈(110)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하중 부작용시 인장스프링(228)이 작동돌기(222)를 본체(200) 외부로 돌출시켜 분기돌기(210)가 배터리팩분리홈(110)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배터리팩(100)을 삽착할 수 있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배터리팩(100) 락킹 해제시, 작동돌기(222)를 인입시키면 작동돌기(222)가 인장스프링(228)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분리돌기(210)를 스트로크(stroke)시키게 되고, 따라서, 제1터이퍼부(212)가 제2테이퍼부(112)를 밀어올리며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배터리팩(100)의 우측부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팩(100)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배터리착면으로부터 배터리팩(100)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동수단(도면부호 미부여)은 내부돌기(226), 인장스프링(228)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는 내부돌기, 인장스프링 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내구멍(224)은 본체(200) 측부에 형성되는 볼륨키(23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구멍(224)은 기타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내수단은 분리돌기의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본체에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의 배터리팩착탈면에 형성되는 통공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수단은 본체의 배터리팩착탈면에 형성되는 홈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는 본체의 일측에 돌출·인입 가능한 작동돌기와, 배터리삽착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분리돌기 및 배터리팩분리홈을 형성함으로써, 휴대폰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작동돌기만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팩 락킹 해제시 배터리팩의 일측부를 배터리팩착탈면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하여 배터리팩 락킹시 분기돌기가 배터리팩분리홈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배터리팩을 삽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는 작동돌기를 볼륨키가 설치되는 부위에 볼륨키와 함께 설치함으로써, 휴대폰의 외관을 크게 해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상단부가 본체의 배터리팩 착탈면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 일측부에 경사진 제1테이퍼부가 형성되는 분리돌기;
    상기 분리돌기가 상기 제1테이퍼부의 경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배터리팩 착탈면에 형성되는 안내수단;
    상기 배터리팩의 내면에 형성되어 배터리팩 락킹 시 상기 분리돌기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팩의 락킹 해제시 상기 분리돌기가 스트로크(stroke)됨에 따라 상기 제1테이퍼부가 미끌어지며 배터리팩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1테이퍼부에 대응하는 경사진 제2테이퍼부가 형성되는 배터리팩분리홈; 및
    상기 분리돌기를 스트로크(stroke)시켜 배터리팩을 들어올리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분리돌기의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내장되도록 상기 배터리팩 착탈면에 형성되는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분리돌기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본체의 측부를 통하여 돌출 가능한 작동돌기;
    상기 작동돌기가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본체 측부에 형성되는 안내구멍;
    상기 작동돌기 하부에 돌출되어 본체 내에 위치하는 내부돌기; 및
    일측이 상기 내부돌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돌기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배터리팩 장착시 상기 분리돌기가 상기 배터리팩분리홈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본체 측부에 형성되는 볼륨키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KR1020020087053A 2002-12-30 2002-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KR10080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053A KR100808167B1 (ko) 2002-12-30 2002-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053A KR100808167B1 (ko) 2002-12-30 2002-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285A KR20040060285A (ko) 2004-07-06
KR100808167B1 true KR100808167B1 (ko) 2008-02-29

Family

ID=3735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053A KR100808167B1 (ko) 2002-12-30 2002-12-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619B1 (ko) * 2002-12-12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이용한 배터리팩고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4004A (ja) * 2006-06-26 2008-01-10 Fujitsu Ltd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4004A (ja) * 2006-06-26 2008-01-10 Fujitsu Ltd 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電子機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2004-0044568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285A (ko)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89059A (ja) 光コネクタのためのフェルール着脱工具
KR100808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팩 분리 장치
US5974303A (en) Locking mechanism for battery housings
KR20070042013A (ko) 이동단말기의 자석식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20028566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200299004Y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탈착장치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EP1125340B1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retractable antenna
KR200600259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록킹장치
CN218054591U (zh) 一种会计用便携式印章储存装置
KR200291135Y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폰 배터리 착탈장치
KR100896276B1 (ko) 측면배터리락커장치
KR10051130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20040039721A (ko) 내장형 배터리락커장치
KR100888961B1 (ko) 배터리락커장치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504823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200226341Y1 (ko)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결합구조
KR200500879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293958Y1 (ko)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04983Y1 (ko) 배터리팩탈착장치
KR100441216B1 (ko) 휴대형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잠금장치
KR2003005668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젝트 장치
KR100487619B1 (ko) 안테나를 이용한 배터리팩고정장치
KR20070033561A (ko) 셀형 배터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