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829B1 -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829B1
KR100888829B1 KR1020070015706A KR20070015706A KR100888829B1 KR 100888829 B1 KR100888829 B1 KR 100888829B1 KR 1020070015706 A KR1020070015706 A KR 1020070015706A KR 20070015706 A KR20070015706 A KR 20070015706A KR 100888829 B1 KR100888829 B1 KR 10088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parallel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839A (ko
Inventor
전용곤
Original Assignee
현대파워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파워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파워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70015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82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DC)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라 하더라도 부하가 어느 한쪽에 편중되지 않고 부하용량을 균일하게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부하전류 검출부와; 부하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압의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레벨 설정부와;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 연결하는 병렬 연결 단자의 전압을 접속하기 위한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와; 레벨 설정부와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간의 차 전압을 증폭하는 연산증폭부와; 연산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부하용량이 균등해지도록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제어부를 구비한다.
파워 서플라이, 병렬 연결, 부하 용량 균등제어

Description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CONTROL DEVICE OF POWER SUPPLY}
도 1은 종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의 일 예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파워 서플라이
130:부하전류 검출부
140:레벨 설정부
150:병렬 연결단자 접속부
160:연산증폭부
170:출력전압 제어부
본 발명은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 게는 직류(DC)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라 하더라도 부하가 어느 한쪽에 편중되지 않고 부하용량을 균일하게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는, 하나의 직류 공급 전압을 하나 이상의 직류출력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직류출력전압은 공급전압보다 크거나 또는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스위칭 파워 서플라이는 파워전자장치들, 특히 이동전화,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은 배터리 파워공급장치들에 주로 사용된다. 이 파워전자장치들은, 상대적으로 큰 파워를 소모하는 정상 동작 모드(normal operation mode)와 상대적으로 적은 파워를 소모하는 대
기 모드(stand-by mode)를 갖는다. 이 파워전자장치들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그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사용자가 그 장치들을 사용하게 되면 다시 정상 동작 모드로 들어간다.
대부분의 전자장치에 있어서,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전력량은 정상동작모드에서의 소비전력량에 비하여 매우 적은데, 최근에는 대기 모드에서의 소비전력량을 더욱더 감소시키기 위해 대기 모드의 입력전력(input power)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다.
한편, 통신용 설비중 중계기나 교환기 또는 기타 산업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직류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는 경우, 파워 서플라이의 부하를 필요에 의하여 확장하여야할 경우 대용량의 파워 서플라이로 교체한다든지 혹은 그렇지 않을 경우 병렬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종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여기서 참조부호 11 ~ 13은 파워 서플라이를 나타내고, D1 ~ D3는 다이오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0은 부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여러 개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각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단에 다이오드(D1 ~ D3)로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압이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의 부하 분담률 오차가 25% 정도로 균일하지 않다.
이로 인해 파워 서플라이 각각의 전류가 편중된다든지 하여 과부하의 조건이 계속 유지되어 파워 서플라이를 손상시키거나 이 전원을 사용하는 기기에 손상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류(DC)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부하가 어느 한쪽에 편중되지 않고 부하용량을 균일하게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부하전류 검출부와;
상기 부하전류 검출부에서 검출한 전압의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레벨 설정부와;
상기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를 병렬 연결하는 병렬 연결 단자의 전압을 접속하기 위한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와;
상기 레벨 설정부와 상기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간의 차 전압을 증폭하는 연산증폭부와;
상기 연산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부하용량이 균등해지도록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110, 120)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120)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부하전류 검출부(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편의상 파워 서플라이(110, 120)를 2개만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더 많은 파워 서플라이가 병렬 연결되며, 각 파워 서플라이는 병렬 연결 단자(PARALLEL PIN)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부하전류 검출부(130)는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트랜스(T1)와, 트랜스(T1)의 2차 측으로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D2)와, 상기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콘덴서(C3)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하전류 검출부(130)에서 검출한 전압의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레벨 설정부(140)를 구비한다. 여기서 레벨 설정부(140)는 분압 저항(R2)(R3)을 이용하여 레벨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110, 120)의 병렬 연결 단자 중 가장 높은 전압이 걸리는 병렬 연결 단자의 전압을 접속하기 위한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3)와, 전압 레벨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저항(R4)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가장 높은 전압이 걸리는 병렬 연결 단자를 최종 파워 서플라이(120)의 병렬 연결 단자라고 가정하였으며, 따라서 도2에서는 파워 서플라이(120)의 병렬 연결 단자(PARALLEL PIN)가 상기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에 접속되는 것으로 가정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벨 설정부(140)와 상기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간의 차 전압을 증폭하는 연산증폭부(160)를 더 포함한다. 연산증폭부(160)는 일반적인 연상증폭기(OP-AMP)(16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산증폭부(16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부하용량이 균등해지도록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제어부(1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출력전압 제어부(170)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하전류 검출부(130)의 트랜스(T1)는 파워 서플라이(120)의 입력단에 직렬 연결되어있으며, 파워 서플라이(120)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게 된다. 이렇게 검출되는 출력전류에 따른 전압은 정류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콘덴서(C3)에 의해 평활 된다.
레벨 설정부(140)는 부하전류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분압 저항(R2)(R3)으로 분압하여 적절한 레벨을 설정하게 되고, 그 설정한 전압을 연산증폭부(160)내의 연산증폭기(161)의 반전단자(-단자)에 인가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에 나와있는 병렬 연결단자를 각 파워 서플라이끼리 병렬로 연결한 후, 병렬 연결단자의 전압을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의 저항(R4)을 통해 설정한 후 상기 연산증폭기(161)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한다. 이때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중 부하전류가 제일 큰 쪽의 파워 서플라이가 제일 높은 전압이 유기되어 이 제일 높은 전압이 전체 파워 서플라이의 병렬 연결단자에 연결되고, 이 전압이 해당 파워 서플라이에 내장되어있는 연산증폭기(OP 앰프)의 반전단자(-단자)에 연결된다.
아울러 연산증폭기(161)의 입력단은 병렬 연결 단자의 전압이 높고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에서 나오는 전압이 낮은 값이 되도록 분압저항(R2)(R3)이 정해지고, 이에 따라서 병렬 연결 단자에서 나오는 전압은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에서 나오는 전압과 비교해서 부하가 많이 걸린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압이 되는 것이므로, 이 연산증폭기의 증폭도 만큼의 직류전압의 출력이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전압 제어부(170)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 출력 전압에 대응하게 트랜지스터(TR1)는 구동하고, 콜텍터단을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압 라인에 병렬로 연결하여 놓으면 피드백(FEED BACK)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출력전압을 낮게 조절하므로 부하는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져 파워 서플라이 서로 간의 전압을 조절하여 부하를 균등히 나누어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입력 전압선 한쪽을 도 2와 같이 트랜스(T1)로 연결한 후, 부하전류에 따라 변화하는 입력 변동전류를 절연상태로 전압 파형으로 바꾸어 정류하여 직류전압으로 만든 후, 연산증폭기의 반전단자(-단자)에 연결하고, 병렬 연결 단자에서의 출력전압(외부의 다른 파워 서플라이의 병렬 연결 단자 중 가장 높은 전압이 걸림)을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단자)에 연결한다. 이후 연산증폭기의 출력 변화폭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변하는 출력 전압으로 트랜지스터(TR1)를 드라이브하여 직류 제어 전압을 가변하여 상호 연결되어있는 병렬 연결 단자를 통하여 감지한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가 클 경우는 전압이 떨어지고 부하가 적게 걸리고 낮은 전압의 파워는 부하가 늘어나 결국 병렬 연결된 모든 파워 서플라이가 부하를 균등하게 나누어 가질 수 있으므로, 병렬연결된 파워 서플라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DC)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부하가 어느 한쪽에 편중되지 않고 부하용량을 균일하게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110, 120)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120)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부하전류 검출부(130)와;
    상기 부하전류 검출부(130)에서 검출한 전압의 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레벨 설정부(140)와;
    상기 복수 개의 파워 서플라이(110, 120)를 병렬 연결하는 병렬 연결 단자의 전압을 접속하기 위한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와;
    상기 레벨 설정부(140)와 상기 병렬 연결단자 접속부(150)간의 차 전압을 증폭하는 연산증폭부(160)와;
    상기 연산증폭부(16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따라 부하용량이 균등해지도록 파워 서플라이(110, 12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전류 검출부(130)는,
    상기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출력전류에 따른 입력전류의 변화를 전압으로 검출하기 위한 트랜스(T1)와, 트랜스(T1)의 2차 측으로 유기된 전압을 정류하 기 위한 다이오드(D2)와, 상기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콘덴서(C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설정부(140)는 분압저항(R2)(R3)을 이용하여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 제어부(170)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KR1020070015706A 2007-02-15 2007-02-15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KR10088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706A KR100888829B1 (ko) 2007-02-15 2007-02-15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706A KR100888829B1 (ko) 2007-02-15 2007-02-15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57U Division KR200421640Y1 (ko) 2006-04-27 2006-04-27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39A KR20070105839A (ko) 2007-10-31
KR100888829B1 true KR100888829B1 (ko) 2009-03-17

Family

ID=3881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706A KR100888829B1 (ko) 2007-02-15 2007-02-15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43514B (zh) * 2023-08-16 2023-11-07 长春市鑫鸿图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模块的供电电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487A (ja) * 1993-02-23 1994-09-02 Fujitsu Denso Ltd 電源バランス制御方式
JPH114579A (ja) * 1997-06-12 1999-01-06 Hitachi Ltd 電源装置
JPH1169814A (ja) * 1997-08-14 1999-03-09 Toshiba Corp 電源装置およびその並列運転制御回路
JP2006014535A (ja) * 2004-06-28 2006-01-12 Tdk Corp 並列駆動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5487A (ja) * 1993-02-23 1994-09-02 Fujitsu Denso Ltd 電源バランス制御方式
JPH114579A (ja) * 1997-06-12 1999-01-06 Hitachi Ltd 電源装置
JPH1169814A (ja) * 1997-08-14 1999-03-09 Toshiba Corp 電源装置およびその並列運転制御回路
JP2006014535A (ja) * 2004-06-28 2006-01-12 Tdk Corp 並列駆動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39A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5917B2 (en) Multirange load detection circuitry
US11387732B2 (en) Efficient use of energy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729545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dual current feedback
US9979275B2 (en) Undervoltage protection circuit, undervoltage protection method and switching power supply
US77958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working frequency of voltage regulator down circuit (VRD) by detecting current
US9401640B2 (en) Voltage droop control in a voltage-regulated switched mode power supply
US20170104413A1 (en) Power supply unit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9293925B2 (en) Charging and power supplying circuit, method and application device
US20150214849A1 (en) Power converter output voltage clamp and supply terminal
US20070052395A1 (en) Peak charging current modulation for burst mode conversion
KR101171431B1 (ko) 온도보상제어기능을 갖는 전력시스템
TWI571029B (zh) 補償電路及使用其的儲能裝置
TWI682259B (zh) 基於功率變換器中的負載條件的電壓補償系統和方法
KR101680792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5189584A (zh) 电源电路、电路控制方法、电源装置和电子设备
KR100888829B1 (ko)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KR200421640Y1 (ko) 병렬 연결된 파워 서플라이의 제어장치
JP2002051542A (ja) 電源装置
EP2804303B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20150100235A (ko) 소프트 스타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변환 장치
US10958168B2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SIMO) 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
US8619440B2 (en) Over current protection method used in a switched-mode power supply and related controller
KR102049398B1 (ko) 선형 직류전원 공급장치
KR20110022136A (ko) 입력전압 검출회로
JP6781947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