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818B1 -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 Google Patents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818B1
KR100888818B1 KR1020080120396A KR20080120396A KR100888818B1 KR 100888818 B1 KR100888818 B1 KR 100888818B1 KR 1020080120396 A KR1020080120396 A KR 1020080120396A KR 20080120396 A KR20080120396 A KR 20080120396A KR 100888818 B1 KR100888818 B1 KR 10088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dimension
design dimension
vibration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복
Original Assignee
박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복 filed Critical 박태복
Priority to KR102008012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1/00Measuring aid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슴이 큰 현대 여성들의 몸에 잘 맞도록 함과 동시에, 겨드랑이 부분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뒷품의 설계 치수(L1)는 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상동/4) + 4㎝로, 앞품의 설계 치수(L2)는 유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유상동/4) + 4㎝로, 고대의 설계 치수(L3)는 목둘레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목둘레/2)+0.5]/2㎝로, 진동의 설계 치수(L4)는 신체의 진동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신체 진동치수/2) + 6㎝로, 곁동의 설계 치수(L5)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5㎝로, 뒷기장의 설계 치수(L6) 및 앞기장의 설계 치수(L7)는 목뼈에서 지면까지의 길이인 총장을 기준으로 하여 총장 - 20㎝로, 허리선의 설계 치수(L8)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12㎝로, 화장의 설계 치수(L9)는 신체의 화장 치수를 기준으로 신체 화장 치수 + 1㎝로 하여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복, 두루마기, 유상동, 상동, 고대, 진동

Description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DESIGN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TOP COAT FOR WOMAN}
본 발명은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복 옷감을 재단하기 위해 치수를 결정할 때, 가슴이 큰 현대 여성들의 몸에 잘 맞도록 하고, 겨드랑이 부분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주는 여성용 두루마기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복은 유구한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이어져 내려온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의상으로서,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에 착용되던 의복을 지칭한다.
이러한 한복은 주로 명절이나 상례, 제례, 결혼식 등 특별한 행사가 있는 경우에 많이 착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개선한 이른바 개량한복이 보급되어 평상복으로 착용되기도 한다.
여성용 한복으로는 저고리, 치마,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등이 있고, 남성용 한복으로는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등이 있다.
이러한 한복은, 그 아름다움과 전통미가 서양 의복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직선과 곡선이 잘 조화를 이루고 있어, 특히 선이 아름다운 의복이라 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여성한복의 경우에는, 몸에 밀착된 저고리와 넓게 펼쳐진 치마가 안정감있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우아하고 단정한 옷 맵시가 잘 나타나게 된다.
또한 한복은 몸매의 결점을 덮어주기 때문에, 작은 사람을 좀 더 크게 보이게 할 수 있고, 마른 사람을 넉넉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키가 작은 사람은 치마길이를 조금 길게 하고 치마폭을 기준 이상으로 넓게 하지 않으며 소매통 치수를 표준보다 약간 작게 하고, 키가 큰 사람은 치마폭을 되도록 넓게 하고 속옷도 넓게 하여 착용하는 것이 보기에 좋다.
또한, 뚱뚱한 사람은 치마폭을 다소 넉넉하게 하고 저고리 길이를 표준보다 약간 길게 하며 소매통을 약간 좁게 하고, 마른 사람은 치마폭을 아주 넉넉하게 하고 저고리를 여유있게 하여 착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목이 짧은 사람은 뒷고대 치수를 넉넉하게 하고 깃 나비를 좁은 듯하게 착용하고, 목이 긴 사람은 깃 나비를 넉넉하게 하고 깃 길이을 짧은 듯하게 착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한복은 입는 사람의 신체의 특성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신체의 단점을 최대한 막아주고 장점을 표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한복 중에서 여성이 착용하는 두루마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일반적인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를 도시한 것이다.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는 저고리와 치마를 착용한 뒤 마지막으로 입는 겉옷을 말한다.
한복은 각 부분마다 고유의 명칭을 갖고 있는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의 두루마기의 구조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도 이러한 한복 고유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부분을 덮는 좌우 앞길(110)과, 뒷부분을 덮는 좌우 뒷길(도시 생략) 및 이들 앞길 및 뒷길에 연결되는 좌우 소매(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앞길(110)과 소매(150)가 연결되는 부분, 즉, 저고리의 어깨선부터 겨드랑이까지의 폭을 진동(140)(도 2에서의 L4 참조)이라 부른다. 한편, 신체의 진동 치수라 함은 인체의 어깨부터 겨드랑이까지의 둘레를 말한다.
상기 소매(150)와 연결되는 앞길(110)의 부분은 상기 진동(140) 보다 약간 아래로 길게 만드는데, 진동과 이 부분을 포함한 길이를 곁동(도 2의 L5 참조)이라 부른다.
상기 소매(150)의 끝부분에서 손이 나오는 입구를 수구라 부른다.
두루마기에서 목 부분을 따라 형성한 부분을 깃(120)이라 하는데, 이 깃 위에 덧대는 흰색 부분을 동정(130)이라 부른다. 상기 깃(120) 중에서 목을 감싸는 직선 부분을 특히 고대라 한다(도 4 참조).
즉, 고대는 직선으로 형성된 깃의 일부분을 의미하는데, 재단시에는 한쪽 뒷판에 고대의 절반부분에 해당하는 길이(도 2에서 L3)로 재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실제 고대의 절반에 해당하는 치수를 "고대 설계 치수"라 부르기로 한다. 한복을 재단할 때에는 뒷판을 반으로 나누어 제작하게 되므로, 상기 고대 설계 치수가 실제로 한복 옷감에 본을 뜰 때 사용되는 치수가 된다.
또한, 소매(150)의 아래를 형성하는 부분을 배래(160)라 부른다. 두루마기를 착용하였을 때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섶(190)이라 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으로 들어가는 부분(옷을 입었을 때 오른쪽 부분)을 안섶(191)이라 하고, 밖으로 나오는 부분을 겉섶(옷을 입었을 때 왼쪽 부분)(192)이라 부른다.
상기 섶(140) 위에 구비된 끈은 옷고름(180)으로서, 이는 두루마기를 착용한 후 매듭을 매기 위한 것이다. 위 옷고름(180) 중 짧은 고름은 저고리의 안자락(옷을 착용하였을 때 오른쪽 부분)에, 긴 고름은 저고리의 겉자락(옷을 착용하였을 때 왼쪽 부분)에 형성된다.
두루마기에서 화장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두루마기의 목 중앙부에서 소매 끝단 까지의 거리(도 2에서 L9)를 말한다.
두루마기의 뒷판(등판이라고도 함)에서 목부분부터 맨 아래부분까지의 거리를 뒷기장이라 하고(도 2의 L6 참조), 두루마기 앞판에서 목부분부터 맨 아래부분까지의 거리를 앞기장(도 3의 L7참조)이라 한다.
한복은 보통 한복 옷감을 2매 또는 3매를 겹쳐서 제작하는데, 뒷판(도 2 참조)과 앞판(도 3 참조)을 따로 재단한 뒤 바느질을 해서 만든다.
즉, 도 2에 도시된 왼쪽 부분과 이와 대칭으로 형성되는 오른쪽 부분(도시 생략)이 두루마기의 뒷판이 되고, 도 3a가 두루마기 앞판의 오른쪽 부분, 도 3b가 두루마기 앞판의 왼쪽 부분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앞판에서의 소매부분은 뒷판의 소매부분과 동일한 치수로 설계된다. 도면 작도의 편의상, 도 3a에서 앞판의 소매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렇게 한복을 재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복 착용자 신체의 치수를 재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한복 업계에서는 통상 채촌(採寸)이라 부른다. 상기 용어는 일본식 용어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신체의 치수를 재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신체의 치수를 잰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한복 옷감에 본을 뜨게 된다. 즉, 신체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옷감에 한복을 만들기 위한 치수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 치수를 신체의 실제 치수와 구별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설계 치수"라 부르기로 한다.
결국, 한복이 몸에 잘 맞느냐의 여부는, 실제 신체 치수에 의거하여 설계치수를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두루마기 설계에서는, 여성 가슴의 중앙부분의 치수, 즉 유두를 지나는 가장 큰 가슴둘레(이를 "유상동"이라 부른다)를 기준으로 하여 두루마기의 설계 치수를 결정하였다. 이어서, 등길이(뒷목에서 허리선 까지의 거리), 및 화장(두루마기의 목 중앙부에서 소매 끝단 까지의 거리)를 재고, 이들 치수를 바탕으로 다른 부분의 설계 치수를 결정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뒷품(뒷길에서 가로부분의 폭, 도 2의 L1)의 치수와 앞품(앞길에서 가로부분의 폭, 도 3의 L2)의 치수를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옛날 여성들은 상기한 종래 설계방법에 의해 제작된 두루마기를 착용하여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즉, 과거의 여성들은 가슴이 비교적 작아 유상동(유두를 지나는 가장 큰 가슴둘레)이 그리 크지 않았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설계 치수를 결정하여도 몸에 잘 맞았던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젊은 여성들은 과거의 여성들에 비해 체형이 많이 변화하였고, 특히 가슴 부분이 크게 발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설계방식에 의하여 가슴이 큰 여성의 한복 두루마기를 만들게 되면, 몸에 잘 맞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두루마기는 저고리 및 치마를 착용한 뒤 마지막에 입는 겉옷이기 때문에,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몸에 꼭 맞게 만든 저고리 위에 착용하게 되므로 팔의 움직임이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가슴이 큰 여성이 저고리를 착용한 뒤 그 위에 두루마기를 입게 되면 불편함이 가중된다.
본래 한복 정장은 치마와 저고리를 입은 후 두루마기 까지 착용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위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하여 여성들이 두루마기의 착용을 꺼리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두루마기 설계방법에 의하면, 가슴이 큰 여성의 경우에 진동 및 고대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다른 신체에 비해 가슴부분이 특히 발달된 현대 여성의 경우, 유상동을 기준으로 하는 종래의 두루마기 설계방법에 의하면, 두루마기가 몸에 잘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두루마기 구조는, 겨드랑이 부분이 불편하여 팔의 움직임이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품 설계 치수의 결정과 뒷품 설계 치수의 결정방법을 서로 다르게 하여, 가슴이 큰 현대 여성들이 두루마기를 착용할 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한복 두루마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및 고대의 설계 치수를 종래와 다르게 산정함으로써, 현대 여성들의 몸에 잘 맞는 한복 두루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겨드랑이 부분을 편안하게 하여 팔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한복 두루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 치수 산정을 공식화하여 두루마기를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용 한복 저고리의 설계방법은, 뒷품의 설계 치수(L1)는 겨드랑이를 지나는 윗 가슴둘레인 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상동/4) + 4㎝로, 앞품의 설계 치수(L2)는 유두를 지나는 중앙의 가슴둘레인 유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유상동/4) + 4㎝로, 고대의 설계 치수(L3)는 목둘레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목둘레/2)+0.5]/2㎝로, 진동의 설계 치수(L4)는 신체의 진동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신체 진동치수/2) + 6㎝로, 곁동의 설계 치수(L5)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5㎝로, 뒷기장의 설계 치수(L6) 및 앞기장의 설계 치수(L7)는 목뼈에서 지면까지의 길이인 총장을 기준으로 하여 총장 - 20㎝로, 허리선의 설계 치수(L8)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12㎝로, 화장의 설계 치수(L9)는 신체의 화장 치수를 기준으로 신체 화장 치수 + 1㎝로 하여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의 아래부분인 겨드랑이 부분에 주름부(3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에 의하면, 앞품과 뒷품의 설계 치수 산정 방법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가슴이 큰 현대 여성들의 몸에 잘 맞는 한복 두루마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부분에서 보면 종래의 두루마기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겨드랑이 부분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되어 착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및 고대의 설계 치수를 종래와 다르게 산정함으로써, 착용감이 편안한 한복 두루마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슴이 큰 현대 여성들이 착용하더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한복 착용을 기피하는 젊은 여성들에게 한복의 보급을 확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복의 설계 치수를 간단하게 산정할 수 있으므로, 한복의 제조과정을 쉽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왼쪽 뒷판(등판)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앞판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3a는 소매가 생략된 오른쪽 앞판, 3b는 왼쪽 앞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깃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복을 만들기 위해서는, 신체의 치수를 재고 이를 바탕으로 한복 옷감을 재단할 치수를 결정하게 된다. 즉, 실제 신체의 치수와 한복을 재단할 때의 치수가 달라지게 되는데, 후자의 치수를 본 명세서에서는 "설계 치수"라 부르기로 한다.
종래에는 두루마기의 설계 치수를 결정함에 있어, 여성의 유두를 지나는 중앙부분의 가슴둘레(이를 "유상동" 이라 한다)를 기준으로 하여 치수를 결정하였다. 과거에는 여성들의 가슴이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에 이 유상동을 기준으로 두루마기를 재단하여도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 여성의 체형은 과거의 여성 체형과 많은 차이가 있으며, 특히 가슴 부분이 크게 발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한복 제조방법은 가슴의 중앙부분의 치수인 유상동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앞품은 몸에 맞는다 하더라도 뒷품이 맞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특징 중의 하나는, 앞품의 설계 치수(L1)는 종래와 같이 유상동을 기준으로 설계하고, 뒷품의 설계 치수(L2)는 겨드랑이를 통과하는 윗부분 가슴둘레(이를 "상동"이하 한다)를 기준으로 설계한다는 데 있다.
즉, 뒷품의 설계 치수(L1)는 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상동/4) + 4㎝로 하고(도 2 참조), 앞품의 설계 치수(L2)는 유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유상동/4) + 4㎝로 설계 치수를 결정한다(도 3 참조).
이렇게 뒷품과 앞품의 설계 치수를 다르게 결정하게 되면, 가슴이 큰 여성이 두루마기를 착용할 경우에도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두루마기를 착용하였을 때 뒷판의 왼쪽을 도시한 것이며, 뒷판의 오른쪽은 상기 왼쪽부분과 대칭으로 재단한다.
도 2에 도시된 고대의 설계 치수(L3)는, 인체의 목둘레의 길이를 측정하여 [(목둘레/2)+0.5]/2]의 공식에 의해 산출한다.
진동의 설계 치수(L4)는, 신체의 진동 치수(어깨에서 옆구리까지의 둘레)을 측정한 뒤 이를 기준으로 하여 (신체 진동치수/2) + 6㎝로 한다.
또한, 곁동의 설계 치수(L5)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 + 5㎝로 한다.
또한, 뒷기장의 설계 치수(L6)는, 목뼈에서 지면까지의 길이인 총장을 기준으로 총장 - 20㎝로 설계한다.
또한, 앞기장의 설계 치수(L7)는 상기 뒷기장의 설계 치수와 동일하게 산정한다.
또한, 허리선의 설계 치수(L8)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12㎝로 한다.
또한, 화장의 설계 치수(L9)는, 신체의 화장(뒷목 중앙에서부터 손목까지의 길이)를 기준으로 신체 화장치수 + 1㎝로 설계한다.
한편, 소매의 아랫부분은 배래라 부르는데(도 1의 160 참조),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배래 부분의 설계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화장(L9)에서 뒷품의 설계 치수(L1) 까지의 지점인 D에서, 아래방향으로 곁동의 설계 치수(L5) 만큼 내려온 지점 N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D점에서 아래방향으로 진동 설계 치수(L4) 만큼 내려온 지점 H를 결정하고, H로부터 상기 수직길이 HN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만큼 수평으로 연장하여 K를 결정한다.
그리고, 소매입구 부분의 (EI, 이는 진동의 설계 치수 L4와 동일하다)를 5등분하여, 그 3/5 부분 지점인 I'를 결정한 뒤, 상기 K와 I'를 사선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사선 KI'를 3등분하고, 각 등분점인 L 및 M에서 위 사선 KI'에 직각되게 아래로 선을 연장한 후, L에서 연장한 선은 2등분, M에서 연장한 선은 3등분을 한다.
그리고, 상기 K점과, L에서 아래로 연장된 직선의 1/3 지점, M에서 아래로 연장된 직선의 1/3지점을 곡선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면, 배래가 완성된다.
이하, 겨드랑이 부분에 주름부(300)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뒷품 설계 치수(L1)를 5등분하고, 그 4/5에 해당하는 지점 G 및, 상기 G이에서 아래로 연장하여 허리선 설계 치수(L8)와 만나는 지점 G', 뒷기장 설계 치수(L6)와 만나는 지점 C를 결정한다.
또한, A점에서 아래로 뒷기장 설계 치수(L6) 만큼 내린 지점을 B라 하고, 상기 BC를 3등분한다.
상기 C점으로부터, 상기 BC선을 3등분하여 그 중의 하나를 2등분한 길이 즉, BC를 6등분한 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C1을 선정하여 C1과 G'를 연결한다.
이어서, L1 길이를 갖는 D점에서 선을 아래로 내려 L8 길이에 해당하는 지점 O를 결정한다.
상기 O점으로부터 G'C1의 길이만큼 사선방향으로 길이를 내리고, C1으로부터 BC의 1/3등분만큼 연장된 선과 만나는 지점 C2를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O점으로부터 G'O의 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된 지점 P를 선정하고, 이 점으로부터 OC2와 동일한 길이만큼 사선방향으로 길이를 내린 다음, C2로부터 C1C2의 길이만큼 연장된 선과 만나는 지점 C3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C3로부터 C2C3를 3등분하는 길이만큼 직선으로 연장된 C4를 선정하고, 이 C4와 상기 P점을 연결한다. 그러면, 300으로 표시된 주름부가 완성된다.
도 2는 뒷판의 왼쪽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며, 뒷판의 오른쪽은 상기 왼쪽 부분과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3에는 한복 두루마기의 앞판이 도시되어 있는데, 3a는 소매가 생략된 오른쪽 앞판, 3b는 왼쪽 앞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왼쪽 뒷판과 도 3b의 왼쪽 앞판을 연결할 때, OP부분에서 안으로 주름을 잡아 O점이 서로 겹치도록 바느질을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 부(300)가 형성된다.
두루마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상기 주름부(300)를 형성함으로써, 저고리를 입은 후 두루마기를 착용하였을 때, 팔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가슴이 크거나 살이 찐 여성이 두루마기를 착용하더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앞판 주름부의 설계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뒷판 주름부의 설계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a에서 191은 안섶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에서 192는 겉섶을 도시한 것으로, 옷을 착용할 때 오른쪽 앞판의 안섶(191)위에 왼쪽 앞판의 겉섶(192)이 겹쳐지게 된다.
도 3에서 안섶(191) 및 겉섶(192)의 크기 및 너비는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결정된다.
도 4는 깃을 표시한 것인데, L3로 표시된 부분이 고대의 설계 치수에 해당하는 길이이며, 이 L3 부분이 도 2의 AI 부분에 포개지게 된다.
도 2는 뒷판의 한쪽만을 도시한 것이므로, 고대의 설계 치수(L3)는 도 4에 도시된 고대 길이의 절반의 길이를 갖는다.
상동(겨드랑이를 통과하는 윗부분 가슴둘레)이 88㎝, 유상동이 90㎝, 목둘레가 35㎝, 신체 진동치수(어깨에서 겨드랑이 까지의 둘레)가 38㎝, 총장(목뼈에서 지면까지의 길이) 150㎝, 화장(목뼈에서 손목까지의 길이) 75㎝인 여성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설계 치수를 계산해 보면,
뒷품의 설계 치수(L1) : 88/4 + 4㎝ = 26㎝
앞품의 설계 치수(L2) : 90/4 + 4㎝ = 26.5㎝
고대의 설계 치수(L3): [(35/2)+0.5]/2㎝ = 9㎝
진동의 설계 치수(L4) : 38/2 + 6㎝ = 25㎝
곁동의 설계 치수(L5) : 25㎝ + 5㎝ = 30㎝
뒷기장의 설계 치수(L6) : 150 - 20㎝ = 130㎝
앞기장의 설계 치수(L7) : 150 - 20㎝ = 130㎝
허리선의 설계 치수(L8) : 25 + 12㎝ = 37㎝
화장의 설계 치수(L9) : 75 + 1㎝ = 76㎝ 가 된다.
위와 같이 설계 치수를 결정하면, 체형이 변화한 현대 여성들의 몸에 잘 맞는 두루마기를 만들 수가 있다. 특히, 겨드랑이 부분에 주름부를 형성함으로써, 저고리를 입은 뒤 두루마기를 착용하더라도 편안한 착용감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기는, 정면에서 볼 경우 종래의 전통적인 두루마기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선이 아름다운 한복 고유의 맵시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외형이 한복 두루마기와 동일하면서도, 옆구리 부분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한복의 불편한 착용감을 개선하였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한복의 재단 치수를 쉽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한복의 제조 과정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한복 옷감을 재단할 때 가슴이 큰 현대 여성들의 몸에 잘 맞도록 하고 겨드랑이 부분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하는 두루마기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복 제조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에 따라 왼쪽 뒷판(등판)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앞판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3a는 소매가 생략된 오른쪽 앞판, 3b는 왼쪽 앞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깃을 설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겨드랑이에 주름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두루마기 110 : 앞길
120 : 깃 130 : 동정
150 : 소매 160 : 배래
180 : 옷고름 190 : 섶
191 : 안섶 192 : 겉섶
L1 : 뒷품 설계 치수 L2 : 앞품 설계 치수
L3 : 고대 설계 치수 L4 : 진동 설계 치수
L5 : 곁동 설계 치수 L6 : 뒷기장 설계 치수
L7 : 앞기장 설계 치수 L8 : 허리선 설계 치수
L9 : 화장 설계 치수

Claims (2)

  1.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뒷품의 설계 치수(L1)는, 겨드랑이를 지나는 윗 가슴둘레인 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상동/4) + 4㎝로,
    앞품의 설계 치수(L2)는, 유두를 지나는 중앙의 가슴둘레인 유상동을 기준으로 하여 (유상동/4) + 4㎝로,
    고대의 설계 치수(L3)는, 목둘레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목둘레/2)+0.5]/2㎝로,
    진동의 설계 치수(L4)는, 신체의 진동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신체 진동치수/2) + 6㎝로,
    곁동의 설계 치수(L5)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5㎝로,
    뒷기장의 설계 치수(L6) 및 앞기장의 설계 치수(L7)는, 목뼈에서 지면까지의 길이인 총장을 기준으로 하여 총장 - 20㎝로,
    허리선의 설계 치수(L8)는, 상기 진동의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진동의 설계 치수(L4) + 12㎝로,
    화장의 설계 치수(L9)는, 신체의 화장 치수를 기준으로 신체 화장 치수 + 1㎝로 하여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아래부분인 겨드랑이 부분에 주름부(3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 방법.
KR1020080120396A 2008-12-01 2008-12-01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KR10088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96A KR100888818B1 (ko) 2008-12-01 2008-12-01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96A KR100888818B1 (ko) 2008-12-01 2008-12-01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818B1 true KR100888818B1 (ko) 2009-03-17

Family

ID=4069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396A KR100888818B1 (ko) 2008-12-01 2008-12-01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8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42B1 (ko) 2012-08-17 2013-01-15 안현주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KR102111993B1 (ko) * 2019-09-03 2020-05-18 박효희 목부분 간섭방지용 생활한복 깃의 제도방법
KR102458530B1 (ko) * 2022-07-25 2022-10-24 김명희 한복 깃의 제도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488B1 (ko) 1999-12-10 2002-03-06 정혜락 중년여성을 위한 상반신용 원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488B1 (ko) 1999-12-10 2002-03-06 정혜락 중년여성을 위한 상반신용 원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42B1 (ko) 2012-08-17 2013-01-15 안현주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KR102111993B1 (ko) * 2019-09-03 2020-05-18 박효희 목부분 간섭방지용 생활한복 깃의 제도방법
KR102458530B1 (ko) * 2022-07-25 2022-10-24 김명희 한복 깃의 제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494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built in support system
US8769718B2 (en) Garment
US20030226266A1 (en) Patterning system for a selected body type and methods of measuring for a selected body type
US20080229474A1 (en) Tapered shirt with incorporated support system and method
GR20150100415A (el) Συστημα παραγωγης, μετρησης, συνδυασμων και μεγεθων υφασματων, ενδυματων και τσαντων με σκοπο τη δημιουργια, αναπροσαρμογη και ολοκληρωση τους απο τον καθε ανθρωπο
US8656517B2 (en) Japanese dress
KR100888822B1 (ko) 여성용 한복 저고리의 설계방법
US20160073718A1 (en) Versatile female shapewear garment
US20190313703A1 (en) Garment including shapewear
ES2395956T3 (es) Métodos para ajustar óptimamente medidas de prendas
KR100888818B1 (ko)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CN106360812B (zh) 一种唐式女衬衫的制作方法
CN101438864A (zh) 可调整型衣裤的缝制方法及其制品
KR100482698B1 (ko) 니트의류의 뜨개방법
US20160278452A1 (en) Embroidered motifs specifically positioned and used on top sections of women&#39;s nightclothes at breast level so that women can wear them decently.
CN206542924U (zh) 一种新型唐式女衬衫
WO2015010010A1 (en) Dress including shapewear
KR200471739Y1 (ko) 기능성 올인원
JP2004277979A (ja) 曲線裁断・縫製することにより誰にでも簡単に着用できる着物。
JP2000265313A (ja) 上着用型紙の作成方法
CN109171042A (zh) 褶皱亮片连衣裙的制衣方法
JP7328672B2 (ja) リフォーム着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180076476A (ko)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JPS5837925Y2 (ja) 貼り合せ式型紙
KR200457507Y1 (ko) 여성용 상례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