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942B1 -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 Google Patents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942B1
KR101221942B1 KR1020120089807A KR20120089807A KR101221942B1 KR 101221942 B1 KR101221942 B1 KR 101221942B1 KR 1020120089807 A KR1020120089807 A KR 1020120089807A KR 20120089807 A KR20120089807 A KR 20120089807A KR 101221942 B1 KR101221942 B1 KR 10122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t
point
hanbok
length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주
Original Assignee
안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주 filed Critical 안현주
Priority to KR102012008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41H3/08Patterns on the cloth, e.g. pr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복조끼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맵시를 살릴 수 있는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한복조끼는, 착용자의 앞쪽을 감싸는 앞길과, 착용자의 뒤쪽을 감싸는 뒷길을 포함하되, 상기 앞길이 상기 뒷길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한복조끼의 전체 너비, 즉 상기 앞길의 너비는 [(가슴둘레 / 2) + 7㎝]로 하고, 상기 앞길의 길이는 [저고리 길이 + 3.5㎝]로 하며, 상기 뒷길의 길이는 [저고리 길이 + 4.5㎝]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한복조끼의 고대너비는 [(가슴둘레 / 5㎝) + 1㎝]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앞길의 어깨솔기는 가로 18㎝, 세로 5.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하고, 상기 뒷길의 어깨솔기는, 가로 18㎝, 세로 6㎝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한다.
따라서 한복조끼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한복조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한복조끼를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체형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Description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DRAFTING METHOD FOR HANBOK VEST}
본 발명은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한복조끼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맵시를 살릴 수 있는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끼는 서양복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에 착용된 것으로, 저고리 위에 입고 앞 중심에 단추로 여미게 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남자들은 저고리 위에 소매가 없는 배자를 입었는데, 이것이 조끼 형태와 같은 것이라 볼 수 있다. 조끼는 저고리 길이보다 1.5㎝정도 길고, 좌우 앞길에 주머니가 있으며, 좌측 앞길의 가슴부분에 작은 주머니가 있어, 남성들의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통한복에서는 볼 수 없는 주머니가 있고 고름 아닌 단추로 여미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끼는 서양복에서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남자 전통한복인 바지, 저고리와 잘 어울려져 조화를 이루고 있다. 계절에 따라 겨울과 봄, 그리고 가을에는 겹으로 지어 입었으며, 여름에는 홑으로 지어 입었다. 특히, 한 여름에는 모시조끼를 착용하여 시원함을 연출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남자조끼는, 고대에서 조끼어깨의 너비를 정하여 조끼어깨의 너비에서 가슴둘레와 어깨너비의 치수 변화에 상관없이 앞길과 뒷길 모두 동일하게 1.5~2㎝ 처짐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 앞쪽 진동깊이(겨드랑점에서 앞쪽 어깨 끝점까지의 길이)와 뒷쪽 진동깊이(겨드랑점에서 뒤쪽 어깨 끝점까지의 길이)가 동일하게 된다.
사람의 체형은 문화식체형분류를 기준으로 표준체, 상부반신체, 상부후신체의 4가지로 분류된다. 또한, 플럼라인(piumb line)을 기준으로 정체형, 반신체형, 굴신체형, 반굴신체형으로 분류된다. 이때, 반신의 체형을 제외한 대부분의 체형은 앞쪽 진동깊이보다 뒤쪽 진동깊이가 더 큰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어깨 두께가 두껍고 등면에 돌출이 있는 어깨를 가지고 있다.
남성용 한복조끼를 제도함에 있어, 앞쪽 어깨처짐각도와 뒤쪽 어깨처짐각도를 가슴둘레와 어깨너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어깨의 두께와 등면의 돌출부위로 인하여 뒷길 쪽 진동둘레에 당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어깨선이 뒤로 넘어가게 된다.
상술한 현상으로 인하여 목의 앞쪽 너비가 당겨지는 문제와 조끼의 목둘레선이 당겨져 올라가게 되어, 조끼의 목둘레선이 저고리의 깃머리와 비례감에서 부정적인 요소를 발생시키고, 동정과의 비례적인 측면에서도 동정이 조끼 깃목둘레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조끼를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없었다.
어깨는 의복, 특히 상의의 무게가 걸리는 부위이므로 이 부분의 맞음새가 옷의 착용감을 결정한다. 또한, 등은 견갑과 척추의 형태가 상반신의 일부분 또는 전체적인 곡면을 만들기 때문에 가슴부위, 목부위, 진동 부위와 관계하므로 의복구성면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의복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어깨선은 의복의 전체적인 적합성과 심미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원형설계 시 형태 적합성이 가장 요구되는 부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의복의 맞음새 및 패턴제작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어깨 및 등면형상을 반영한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복조끼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맵시를 살릴 수 있는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복조끼는, 착용자의 앞쪽을 감싸는 앞길과, 착용자의 뒤쪽을 감싸는 뒷길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앞길이 상기 뒷길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름질한다.
상기 앞길의 너비는 (가슴둘레 / 2) + 7㎝로 하고, 상기 뒷길의 너비는 (가슴둘레 / 2) + 7㎝로 한다. 상기 앞길의 길이는 [저고리 길이 + 3.5㎝]로 하며, 상기 뒷길의 길이는 [저고리 길이 + 4.5㎝]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기 한복조끼의 고대너비는 [(가슴둘레 / 5㎝) + 1㎝]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기 앞길의 어깨솔기는, 가로 18㎝, 세로 5.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한다. 또한, 상기 뒷길의 어깨솔기는, 가로 18㎝, 세로 6㎝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한복조끼를 제작할 때 착용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는 한복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한복조끼를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체형에 따른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한복조끼의 뒷길의 길이를 앞길의 길이보다 길도록 제도하여 마름질하고, 앞길의 어깨솔기와 뒷길의 어깨솔기의 기울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뒷길 쪽 진동둘레가 당기는 현상, 어깨선이 뒤로 넘어가는 현상, 목 앞쪽이 당기는 현상, 동정이 조끼 깃목둘레에 근접하게 되는 현상, 조끼의 목둘레선과 저고리의 깃머리 사이의 비례감에서 부정적인 요소를 해소할 수 있어 남성용 한복조끼를 더욱 맵시 있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의 좌측 앞길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의 좌측 뒷길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100)는, 남성용 한복조끼(100)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앞쪽을 감싸는 앞길(110,120)과, 착용자의 뒤쪽을 감싸는 뒷길(130,140)을 포함한다. 앞길(110,120)은, 착용자의 앞쪽 좌측에 위치된 좌측 앞길(110)과, 우측에 위치된 우측 앞길(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뒷길(130,140)은, 착용자의 뒤쪽 좌측에 위치된 좌측 뒷길(130)과, 우측에 위치된 우측 뒷길(140)로 이루어진다. 이때, 뒷길(130,140)은 하나의 원단을 마름질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에 대한 설명이 용이하도록 뒷길(130,140)을 좌측 뒷길(130)과 우측 뒷길(140)로 구분하였다.
남성용 한복조끼(100)의 좌측 뒷길(130)과 우측 뒷길(140)의 상단에는 고대(132,142)가 형성된다. 좌측 앞길(110)의 상부 양측에는 앞 목둘레(112)와 진동(114)이 형성되고, 우측 앞길(120)의 상부 양측에는 앞 목둘레(122)와 진동(124)이 형성된다. 상기 앞 목둘레(112,122)는 고대(132,142)와 연결된다. 또한, 좌측 앞길(110)과 우측 앞길(120)에는 큰 주머니(116,126)가 형성되고, 좌측 앞길(110)의 가슴 부분에는 작은 주머니(118)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의 좌측 앞길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남성용 한복조끼(100)의 좌측 앞길(110)과 우측 앞길(도 1의 120)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마름질된다. 이하에서는 좌측 앞길(110)을 기준으로 남성용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제도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좌측 앞길(110)을 제도함에 있어 기준선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수평선을 X, 기준 수직선을 Y, 기준 수평선 X와 기준 수직선 Y가 교차하는 지점을 지점 O, 지점 O에서 [(가슴둘레 / 4) + 3.5㎝] 이격된 지점을 지점 E라 하겠다. 또한, 기준 수평선 X에서 하향으로 [저고리 진동 + 1㎝] 이격된 수평선을 X1이라 하고, 기준 수평선 X에서 하향으로 [저고리 길이 + 2.5㎝] 이격된 수평선을 X2라 하며, 기준 수평선 X에서 하향으로 [저고리 길이 + 4㎝] 이격된 수평선을 X3이라 하겠다. 또한, 기준 수직선 Y에서 [(가슴둘레 / 6)] 이격된 수직선을 Y1이라 하고, 기준 수직선 Y에서 [(가슴둘레 / 4) + 3.5㎝] 이격된 수직선을 Y2라 하겠다.
여기서, 지점 O와 지점 E 사이의 거리인 [(가슴둘레 / 4) + 3.5㎝]는 남성용 한복조끼(도 1의 100)의 반폭 너비이다. 따라서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전체 너비, 즉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앞길(110,120)의 너비는 [(가슴둘레 / 2) + 7㎝]이다.
상술한 기준선을 이용한 좌측 앞길(110)의 제도방법을 살펴보면,
수평선 X1과 기준 수직선 Y가 교차하는 지점을 P1이라 한다. 지점 P1에서 좌측으로 2㎝, 상향으로 2㎝ 이격된 지점을 P2라 한다. 지점 O에서 지점 E방향으로 [(가슴둘레 / 10) + 1㎝] 이격된 지점을 P3이라 하고, 지점 P3에서 하향으로 0.5㎝ 이격된 지점을 P4라 한다. 이때, 지점 O와 지점 P3 사이의 거리인 [(가슴둘레 / 10) + 1㎝]가 고대의 반폭 너비이다. 즉, 고대의 전체 너비는, [(가슴둘레 / 5) + 2㎝]가 된다.
상술한 지점 P2와 지점 P4를 연결하면 좌측 앞길(110)의 앞 목둘레(112)가 완성된다. 상기 앞 목둘레(112)는 지점 a′와 지점 b′를 통과하여 지점 P2와 지점 P4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점 a′와 지점 b′에 대해 살펴보면, 지점 P2와 지점 P4를 연결하는 직선 S1을 3등분하고, 각 등분점 a와 b에서 직선 S1과 직각인 직선 S2와 S3을 앞 목둘레(112) 측으로 연장한 후, 등분점 a에서 직선 S2를 따라 1㎝ 이격된 지점을 a′라 하고, 등분점 b에서 선분 S3을 따라 1.2㎝ 이격된 지점을 b′라 한다.
지점 P3에서 지점 E방향으로 18㎝ 이격되고, 하향으로 6㎝ 이격된 지점을 P5라 한다. 지점 P4와 지점 P5를 연결하는 직선 S4를 제도한 후, 지점 P4에서 직선 S4를 따라 조끼어깨너비만큼 이격된 지점 P6까지 연결하면 좌측 앞길(110)의 어깨솔기(119)가 완성된다. 즉, 좌측 앞길(110)의 어깨솔기(119)는 가로 18㎝, 세로 5.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형성된다. 이때, 조끼어깨너비는 착용자의 신장에 따라 증감한다.
지점 P7은 수평선 X1과 수직선 Y2가 교차하는 지점이다. 지점 P7에서 좌측으로 2㎝ 이격된 지점을 P8이라 한다. 지점 P6과 지점 P8을 연결하면 좌측 앞길(110)의 진동(114)이 완성된다. 상기 진동(114)은 수직선 Y1과 접하며 지점 P6과 지점 P8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선 X2와 수직선 Y2가 교차하는 지점 P9에서 우측으로 1.5㎝, 상향으로 1.5㎝ 이격된 지점을 P10이라 한다. 이때, 지점 P7과 P10을 연결하는 직선 S5를 제도하면 좌측 앞길(110)과 좌측 뒷길(도 4의 130)을 연결하는 남성용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옆선(도 1의 150)이 완성된다.
한편, 수직 기준선 Y에서 좌측으로 1.5㎝ 이격된 직선 S6을 제도하면 남성용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앞 여밈단(160)이 된다. 앞 여밈단(160)은 좌측 앞길(110)과 우측 앞길(120)을 여미기 위한 것으로, 좌측 앞길(110)의 앞 여밈단(160)에는 단추가 설치되고, 우측 앞길(120)의 앞 여밈단(미도시)에는 단춧구멍이 형성된다.
직선 S6과 수직 기준선 Y가 교차하는 지점 P11이라 하고, 지점 P11에서 우측으로 [{(가슴둘레 / 4) + 3.5㎝} / 2]만큼 이격된 지점을 P12라 하면, 좌측 앞길(110)의 하단은 지점 P11과 P12를 연결하는 직선 S7 및 지점 P10과 P12를 연결하는 곡선 C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앞길(110,120)의 길이는 좌측 앞길(110)의 길이와 동일하다. 즉, 좌측 앞길(110)의 길이는, 지점 P4와 지점 P11 사이의 Y축 방향 이격거리인 [저고리 길이 + 3.5㎝]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한복조끼의 좌측 뒷길의 제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남성용 한복조끼(100)의 좌측 뒷길(130)과 우측 뒷길(도 2의 140)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마름질된다. 이하에서는 좌측 뒷길(130)을 기준으로 남성용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제도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좌측 뒷길(130)을 제도함에 있어서도 기준선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수평선을 X′, 기준 수직선을 Y′, 기준 수평선 X′와 기준 수직선 Y′가 교차하는 지점을 지점 O′, 지점 O′에서 [(가슴둘레 / 4) + 3.5㎝] 이격된 지점을 지점 E′라 하겠다. 또한, 기준 수평선 X′에서 하향으로 [(가슴둘레 / 4) + 3.5㎝] 이격된 수평선을 X1′이라 하고, 기준 수평선 X′에서 하향으로 [저고리 길이 + 2.5㎝] 이격된 수평선을 X2′이라 하겠다. 또한, 기준 수직선 Y′에서 [(가슴둘레 / 6)] 이격된 수직선을 Y1′이라 하고, 기준 수직선 Y′에서 [(가슴둘레 / 4) + 3.5㎝] 이격된 수직선을 Y2′라 하겠다.
상술한 기준선을 이용한 좌측 뒷길(130)의 제도방법을 살펴보면,
지점 O′에서 지점 E′방향으로 [(가슴둘레 / 10) + 1㎝] 이격된 지점을 P20이라 하고, 지점 O′에서 지점 E′방향으로 [(가슴둘레 / 4) + 3.5㎝] 이격된 지점을 P21이라 하며, 지점 P20에서 상향으로 2㎝ 이격된 지점을 P22이라 한다. 이때, 좌측 뒷길(130)의 고대(132)는, 지점 O′와 지점 P21을 연결하는 직선 132a와, 지점 P21과 지점 P22를 연결하는 곡선 132b로 이루어진다. 즉, 고대(132)의 너비는 지점 O′와 지점 P20사이의 거리인 [(가슴둘레 / 10) + 1㎝]가 되고, 이는 고대 전체(132,134) 너비의 반이다. 따라서 고대(132,142)의 전체 너비는, [(가슴둘레 / 5) + 2㎝]가 된다.
상기 지점 P22에서 좌측으로 18㎝, 하향으로 6㎝ 이격된 지점을 P23라 한다. 지점 P22와 지점 P23을 연결하는 직선 S11을 제도한 후, 지점 P22에서 직선 S11을 따라 조끼어깨너비만큼 이격된 지점 P24까지 연결하면 좌측 뒷길(110)의 어깨솔기(134)가 완성된다. 즉, 좌측 뒷길(110)의 어깨솔기(134)는 가로 18㎝, 세로 6㎝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형성된다. 이때, 조끼어깨너비는 착용자의 신장에 따라 증감한다.
지점 P25는 수평선 X1′과 수직선 Y2′가 교차하는 지점이다. 지점 P25에서 우측으로 2㎝ 이격된 지점을 P26이라 한다. 지점 P24와 지점 P26을 연결하면 좌측 뒷길(130)의 진동(136)이 완성된다. 상기 진동(136)은 수직선 Y1′과 접하며 지점 P24과 지점 P26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선 X2′와 수직선 Y2′가 교차하는 지점 P27에서 좌측으로 1.5㎝, 상향으로 1.5㎝ 이격된 지점을 P28이라 한다. 이때, 지점 P25과 P28을 연결하는 직선 S12를 제도하면 좌측 앞길(도 3의 110)과 좌측 뒷길(130)을 연결하는 남성용 한복조끼(도 1의 100)의 옆선(도 1의 150)이 완성된다.
수평선 X2′와 수직 기준선 Y′가 교차하는 지점 P29이라 하고, 지점 P29에서 좌측으로 [{(가슴둘레 / 4) + 3.5㎝} / 2]만큼 이격된 지점을 P30이라 하면, 좌측 뒷길(130)의 하단은 지점 P29과 P30을 연결하는 직선 S13 및 지점 P28과 P30을 연결하는 곡선 C1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복조끼(도 1의 100)의 뒷길(130,140)의 길이는 좌측 뒷길(130)의 길이와 동일하다. 즉, 좌측 뒷길(130)의 길이는, 지점 P22와 지점 P29 사이의 Y축 방향 이격거리인 [저고리 길이 + 4.5㎝]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남성용 한복조끼 110: 좌측 앞길
112: 앞 목둘레 114: 진동
116: 큰 주머니 118: 작은 주머니
119: 어깨솔기 120: 우측 앞길
122: 앞 목둘레 124: 진동
126: 큰 주머니 130: 좌측 뒷길
132: 고대 134: 어깨솔기
136: 진동 140: 우측 뒷길
142: 고대 150: 옆선
160: 앞 여밈단

Claims (2)

  1.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복조끼(100)는, 착용자의 앞쪽을 감싸는 앞길(110,120)과, 착용자의 뒤쪽을 감싸는 뒷길(130,140)을 포함하고,
    상기 앞길(110,120)의 너비는, [(가슴둘레 / 2) + 7㎝]로,
    상기 뒷길(130,140)의 너비는, [(가슴둘레 / 2) + 7㎝]로,
    상기 앞길(110,120)의 길이는, [저고리 길이 + 3.5㎝]로,
    상기 뒷길(130,140)의 길이는, [저고리 길이 + 4.5㎝]로,
    상기 한복조끼(100)의 고대너비는, [(가슴둘레 / 5㎝) + 2㎝]로,
    상기 앞길(110,120)의 어깨솔기(119)는, [가로 18㎝, 세로 5.5㎝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상기 뒷길(130,140)의 어깨솔기(134)는, [가로 18㎝, 세로 6㎝의 비율을 갖는 기울기]로,
    하여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앞길(110,120)이 상기 뒷길(130,140)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마름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KR1020120089807A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KR10122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7A KR101221942B1 (ko)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07A KR101221942B1 (ko)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942B1 true KR101221942B1 (ko) 2013-01-15

Family

ID=4784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07A KR101221942B1 (ko) 2012-08-17 2012-08-17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9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70U (ko) * 1997-08-13 1999-03-05 양인효 마고자, 조끼겸용 저고리
KR20020021208A (ko) * 2000-09-14 2002-03-20 정옥임 남자 한복저고리의 원형설계방법
KR100888822B1 (ko) 2008-12-01 2009-03-17 박태복 여성용 한복 저고리의 설계방법
KR100888818B1 (ko) 2008-12-01 2009-03-17 박태복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870U (ko) * 1997-08-13 1999-03-05 양인효 마고자, 조끼겸용 저고리
KR20020021208A (ko) * 2000-09-14 2002-03-20 정옥임 남자 한복저고리의 원형설계방법
KR100888822B1 (ko) 2008-12-01 2009-03-17 박태복 여성용 한복 저고리의 설계방법
KR100888818B1 (ko) 2008-12-01 2009-03-17 박태복 여성용 한복 두루마기의 설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8195B1 (en) Multi-fabric garment
US20150208734A1 (en) Tops and Dresses with Hidden Control Lining
US20110067164A1 (en) Babybody
SE541579C2 (en) Nursing garment
KR101221942B1 (ko) 남성용 한복조끼의 제도방법
US20180343942A1 (en) Sleeve construction for a garment
Anand Pattern engineering and functional clothing
CN203735499U (zh) 圆领无袖连衣裤
CN105011410A (zh) V领中袖带帽开襟衫
CN104856254A (zh) 翻领短袖休闲衫
CN204426758U (zh) 一种双排扣立领大衣
CN206101632U (zh) 一种马夹
CN206433781U (zh) 一种马甲
CN204969546U (zh) 一种圆领无袖连衣裙
CN204969528U (zh) 一种女套装
CN105192929A (zh) V领中袖带帽开襟衫
CN205052922U (zh) 中长礼服裙
CN205052915U (zh) 收腰裙摆上衣
CN203709298U (zh) 男款长毛绒外套
CN206776761U (zh) 一种可变成围巾的整体式针织衫
CN204048096U (zh) 具有镂空花长袖和前后幅的连衣裙
CN204426740U (zh) 一种毛织衫
CN204483098U (zh) 一种带隐藏袋的西服
CN205214305U (zh) 男士商务夹克衫
CN104146355A (zh) 一种男士隐私保护内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