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980B1 -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980B1
KR100887980B1 KR1020080095607A KR20080095607A KR100887980B1 KR 100887980 B1 KR100887980 B1 KR 100887980B1 KR 1020080095607 A KR1020080095607 A KR 1020080095607A KR 20080095607 A KR20080095607 A KR 20080095607A KR 100887980 B1 KR100887980 B1 KR 10088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disposed
data
set value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두환
Original Assignee
주)두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두성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09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980B1/ko
Priority to PCT/KR2009/005246 priority patent/WO201003598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by calculating functions or polynomial approximations to evaluate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 G10H7/1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by calculating functions or polynomial approximations to evaluate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using coefficients or parameters stored in a memory, e.g. Fourier coeffici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0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ovement interpretation, i.e. capturing and recognizing a gesture or a specific kind of movement, e.g. to control a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315Sound category-dependent sound synthesis processes [Gensound] for musical use; Sound category-specific synthesis-controlling parameters or control means therefor
    • G10H2250/365Gensound applause, e.g. handclapping; Cheering; Boo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응원도구의 제어방법은 바디 내에 배치된 제어부가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된 저장부에서 저장된 음원을 확인하는 단계(S20); 상기 바디에 배치된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및 상기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음원을 재생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기 때문에, 역학센서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액션의 종류를 판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원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Rooters too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음향 및 빛을 발생시키는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원도구는 북, 탬버린 등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악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응원도구는 하나의 소리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여러 가지 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악기를 모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에 따라 음향 및 빛을 발생시키는 응원도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바디 내에 배치된 제어부가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된 저장부에서 저장된 음원을 확인하는 단계(S20); 상기 바디에 배치된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및 상기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음원을 재생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S40 단계 전에, 상기 바디에 배치된 표시부에 상기 응원도구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40 단계 후에, 상기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될 때 상기 S60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40 단계 후에, 상기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음원에 따라 상기 바디(10)에 배치된 광원발생부재를 점등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절대값을 취하여 상기 설정값 A와 비교된 후에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이 상기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S60 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적어도 제 1, 2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역학센서 가 바디에 배치된 응원도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센서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가 설정값 B 및 설정값 C 사이에 형성되는 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S100);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B 및 C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가 선회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선회운동으로 판단된 후 상기 선회운동에 대응되는 음량 또는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C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C 보다 큰 경우, 충격량이 전달되는 리듬 액션으로 판단하는 단계(S140); 및 상기 리듬액션에 대응되는 음량 또는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센서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는 절대값을 취하여 상기 설정값 B 또는 C와 비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발생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음원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음원을 재생시켜 상기 스피커에 전달시키는 음원재생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음원재생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하는 볼륨조절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액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바디의 액션을 감지하여 상기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응원도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상기 저장부에 음원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는 역학센서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액션의 종류를 판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원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는 상기 판단된 액션에 따라 광원 또는 음량을 조절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원도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원도구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100)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배치된 스피커(20)와, 상기 바디(10)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30, 이하 ‘기판’이라 한다)과,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부인 배터리(40)와,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광 원발생부(50)와, 음원이 저장되는 저장부(60)와, 상기 음원을 재생시켜 상기 스피커(20)에 전달시키는 음원재생부(70)와, 상기 스피커(20) 및 상기 음원재생부(7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20)의 음량을 제어하는 볼륨조절부(80)와,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상기 응원도구(100)의 작동에 관련된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90)와,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상기 응원도구(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0)와, 상기 제어부(90)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된 음원을 선택하는 음원선택부(120)와,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30)와, 상기 기판(30)과 연결되어 바디(10)의 액션을 감지하는 센서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일측에 상기 스피커(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발생부(50)는 본 실시예에서 LED 등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조명이고, 상기 제어부(90)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여기서 상기 광원발생부(50)는 상기 바디(10)의 외주면에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기판(30)은 상기 전원부(4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저장부(60)/음원재생부(70)/볼륨조절부(80)/제어부(90)/표시부(110)/음원선택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부(40)는 본 실시예에서 교체 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이다.
상기 저장부(60)는 상기 스피커(20)를 통해 재생되는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판(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래시 메모리인 CF, SD, 메모리스틱 등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기판(30)에 메모리가 고정되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60)에는 북, 징 등의 타악기 소리와 개, 고양 등의 동물 소리 뿐만 아니라 사람의 목소리 등이 저장되고, MP3 등의 파일형태로 압축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130)를 통해 입력된 음원은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스피커(2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60)가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에 슬릿(12)이 형성된다.
상기 음원재생부(70)는 상기 저장된 음원을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20)에서 재생할 수 있는 소리로 디코딩하고, 상기 볼륨조절부(80)는 상기 스피커(20)로 전달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스피커(20)의 음량을 조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20)에서 재생되는 음량은 상기 볼륨조절부(80) 및 상기 제어부(90)에 의해 각각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륨조절부(80) 및 상기 음원선택부(120)는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으로서, 상기 기판(30) 및 상기 제어부(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음원선택부(120)의 버튼은 상기 제어부(90)와 연결되고, 상기 음원선택부(120)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90)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된 음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원은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에 가해는 액션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역학센서인 관성센서가 사용되고, 특히 관성센서 중에서 가속도 센서가 사용된다.
역학센서는 크게 압력센서, 관성센서(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및 유량센서 등으로 구분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역학센서 중 관성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관성센서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등 여러 가지 관성을 측정하는 센서를 통칭하는 말로서, 그 동작원리는 가속도 또는 각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질량체의 관성력을 질량체에 연결된 탄성 구조물의 변형으로 표시한 후, 적절한 감지 및 신호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변형을 전기적인 신호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하 가속도 센서의 원리 및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속도 센서는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소자로서, 종래에는 기계식 센서가 이용되었으나 현재에는 반도체식을 이용한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그림은 가속도 센서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proof mass, 스프링 및 댐퍼로 구성되고, 가속도에 따라 proof mass의 위치변화로부터 도시된 식을 통해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식 가속도 센서는 작은 가속도 범위만을 구할 수 있고, 휴대 전자기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형태이다.
이를 위해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반도체식 가속도 센서가 (b)에 도시되어 있다. (b)에 도시된 가속도 센서는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를 출력하는 것 으로서, 1축, 2축 및 3축 등으로 축의 개수에 의해 구분되고, 검지 가능한 범위가 3축 방향인 것을 3축 가속도 센서라 하고, 중력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가속도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기판(30)에 복수개의 가속도 센서(202)(204)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속도 센서(202)(204) 조합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에 가하는 액션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번호 202를 제 1 가속도센서(이하 ‘제 1 센서’라 한다)라 하고, 도면번호 204를 제 2 가속도센서(이하 ‘제 2 센서’라 한다)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90)에 의해 응원도구(100)가 작동가능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저장부(60)에 저장된 음원을 확인하는 단계(S20)와, 바디(10)에 배치된 표시부(110)에 응원도구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0)와,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이고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된 경우 상기 음원을 재생시키는 단계(S60)와, 상기 음원에 따라 상기 바디(10)에 배치된 LED를 점등시키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S10 단계는 상기 응원도구(100)가 온(ON)되어 켜진 후에, 상기 제어 부(90)가 정상적으로 작동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전원이 적절하기 유지되는 지, 상기 센서(202)(204)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등을 확인한다.
상기 S20 단계는 상기 제어부(90)가 저장부(60)에 저장된 음원을 확인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음원선택부(120)를 조작하여 음원을 선택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된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시킨다. 여기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음원을 선택할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선택된 복수개의 음원을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재생시킨다.
상기 S30 단계는 상기 응원도구(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로서, 정상작동 중 또는 에러메시지를 표시함과 아울러, 정상 작동 시 선택된 음원의 종류, 음량 등을 표시한다.
상기 S40 단계는 사용자가 응원도구(100)를 흔들고 있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응원을 위해 응원도구(100)로 액션을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센서(202)(204)는 사용자가 조작한 액션에 의해 가속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설정값 A는 절대값을 취하여 설정값과 비교함으로서 응원도구(100)에 가해지는 방향성을 제거한 후 상기 설정값과 비교한다.
특히 상기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센서(202)(2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S50 단계는 상기 응원도구(100)가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90)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감지한 경우에만 응원도구(100)를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서 바닥에 놓아두거나 굴러다닐 때 등 의도되지 않은 경우에 응원도구(10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S50 단계는 소정 시간 내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감지할 때 상기 설정값 A 이상의 데이터가 감지되는 것 또는 소정 시간 내에서 상기 설정값 A 이상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S60 단계는 상기 S40 단계 및 상기 S50 단계에서 모두 적합하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선택된 음원을 재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S70 단계는 선택된 음원에 따라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광원발생부(50)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 작동시킴으로서 시각적으로 응원도구(100)를 활용한다. 즉, 선택된 음원이 음악인 경우, 음악의 박자에 따라 상기 광원발생부(50)의 LED를 점등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음량조절 및 광원조절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응원도구(100)가 정상작동 중 일때,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응원도구(100)의 액션을 판단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가 B 및 C 사이에 형성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B 및 C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응원도구(100)가 선회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10)와, 상기 선회운동으로 판단된 후 상기 선회운동에 대응되는 음량 또는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C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C 보다 큰 경우 충격량이 전달되는 리듬 액션으로 판단하는 단계(S140)와, 상기 리듬액션에 대응되는 음량 또는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100 단계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응원도구(100)가 선회운동되고 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가 설정값인 B 내지 C 사이에 배치되는 지를 판단한다.
즉, 바디(10)가 선회운동될 경우, 바디(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 제 1, 2 센서(202)(204) 중에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에 배치된 센서가 더 큰 가속도값을 감지하고 내측에 배치된 센서는 상기 바깥쪽 센서보다 작은 가속도 값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 값의 차에서 절대값을 취하여 상기 B 및 C와 비교함으로서, 선회운동을 판단할 수 있다. (S110)
상기 B 및 C는 상기 바디(10)의 선회 운동 시 발생되는 실험치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10)의 운동이 선회운동으로 판단된 경우, 선회운동에 대응되는 음량을 조절하거나 광원을 조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데이터 값의 차가 상기 B 내지 C 사이에 형성되되, 그 값이 B에 근접할 경우에는 작은 음량이 발생되도록 조절하고 그 값이 C에 가까울 경우에는 큰 음량이 발생되도록 조절한다.
즉, 설정값 B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가속도의 차이가 작은 것을 의미하고, 이는 사용자가 균일한 액션으로 상기 응원도구(100)를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점등되는 광원발생부(50)의 점등 간격을 늘리거나 음원의 재생 음향을 줄이는 등으로 제어한다.
더불어 상기 설정값 C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 1, 2 센서(202)(204)에서 감지된 가속도의 차이가 큰 것을 의미하고, 상기 B 값에 가까운 경우에 비해 광원발생부(50)의 점등간격을 좁히거나 음원의 재생음향을 크게하는 등으로 제어한다.
상기 S130 단계는 사용자가 응원도구(100)를 통해 리듬액션 등을 수행하는 지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2 센서(202)(204) 어느 한 쪽에 충격이 가해지도록 상기 응원도구(100)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설정값 C보다 상기 데이터 값의 차가 더 크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손바닥에 상기 응원도구(100)를 부딪혀 337 박수와 같은 박수 응원을 하는 경우, 두 개의 가속도 값 차이가 상기 C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리듬액션을 판단한다.(S14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역학 센서 중 가속도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압력센서 등을 사용하여 구현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 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원도구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원도구의 구성도
도 4는 일반적인 가속도센서의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음량조절 및 광원조절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 바디 20 : 스피커
30 : 인쇄회로기판 40 : 전원부
50 : 광원발생부 60 : 저장부
70 : 음원재생부 80 : 볼륨조절부
90 : 제어부 100 : 응원도구
110 : 표시부 120 : 음원선택부
130 : 마이크

Claims (10)

  1. 바디 내에 배치된 제어부가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된 저장부에서 저장된 음원을 확인하는 단계(S20);
    상기 바디에 배치된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
    상기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및
    상기 데이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고 상기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음원을 재생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 전에,
    상기 바디에 배치된 표시부에 상기 응원도구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 후에,
    상기 감지된 데이터가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음원에 따라 상기 바디(10)에 배치된 광원발생부재를 점등시키는 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학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절대값을 취하여 상기 설정값 A와 비교된 후에 상기 데이터의 절대값이 상기 설정값 A 이상인 경우 상기 S60 단계를 진행시키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6. 적어도 제 1, 2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역학센서가 바디에 배치된 응원도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센서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가 설정값 B 및 설정값 C 사이에 형성되는 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S100);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B 및 C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디가 선회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10); 및
    상기 선회운동으로 판단된 후 상기 선회운동에 대응되는 음량 또는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C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데이터 값의 차이가 상기 설정값 C 보다 큰 경우, 상기 제 1, 2 센서 중 어느 한 쪽에 충격이 가해지도록 상기 바디를 부딪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충격에 대응되는 음량 또는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센서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 값의 차이는 절대값을 취하여 상기 설정값 B 또는 C와 비교되는 응원도구의 제어방법.
  9.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된 스피커;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시키는 전원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발생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고 음원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음원을 재생시켜 상기 스피커에 전달시키는 음원재생부;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음원재생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의 음량을 제어하는 볼륨조절부;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액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음원으로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바디의 액션을 감지하여 상기 음원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응원도구.
  10. 삭제
KR1020080095607A 2008-09-29 2008-09-29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088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607A KR100887980B1 (ko) 2008-09-29 2008-09-29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PCT/KR2009/005246 WO2010035981A2 (ko) 2008-09-29 2009-09-15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607A KR100887980B1 (ko) 2008-09-29 2008-09-29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980B1 true KR100887980B1 (ko) 2009-03-10

Family

ID=4069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607A KR100887980B1 (ko) 2008-09-29 2008-09-29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7980B1 (ko)
WO (1) WO2010035981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80Y1 (ko) 2001-03-29 2001-10-10 김용곤 데스크 램프 기능을 갖는 응원봉
KR200258737Y1 (ko) * 2001-09-25 2001-12-29 배영호 발광막대
KR200299498Y1 (ko) 2002-09-07 2002-12-31 강권혁 응원용 막대 풍선
KR20050114559A (ko) * 2004-06-01 2005-12-06 빅앤씨 주식회사 다용도 응원도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421A (ja) * 1998-06-30 2000-01-18 Isamu Nakano うちわ
JP3965140B2 (ja) * 2003-08-12 2007-08-29 シャープ産業株式会社 応援用打ち鳴らし具
US20060154754A1 (en) * 2005-01-12 2006-07-13 Johnny Castro Cheer bat
JP4190523B2 (ja) * 2005-07-22 2008-12-03 シャープ産業株式会社 応援用打ち鳴らし具
JP2008119385A (ja) * 2006-11-15 2008-05-29 Hi Giken:Kk 応援グッ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80Y1 (ko) 2001-03-29 2001-10-10 김용곤 데스크 램프 기능을 갖는 응원봉
KR200258737Y1 (ko) * 2001-09-25 2001-12-29 배영호 발광막대
KR200299498Y1 (ko) 2002-09-07 2002-12-31 강권혁 응원용 막대 풍선
KR20050114559A (ko) * 2004-06-01 2005-12-06 빅앤씨 주식회사 다용도 응원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5981A3 (ko) 2010-06-24
WO2010035981A2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6465B2 (ja) 演奏装置、プログラム及び演奏方法
CN102347020B (zh) 乐音产生控制设备
JP5573899B2 (ja) 演奏装置
CN103325364A (zh) 发声控制装置及发声控制装置的控制方法
JP2005103241A (ja) 入力装置、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6825718B2 (ja) 音出力装置
JP2005338306A (ja) 電子ドラム
JP2013210451A (ja) 電子鍵盤楽器の楽音制御装置
US8525006B2 (en)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recorded therein
KR100887980B1 (ko) 응원도구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JP3614124B2 (ja) 楽音制御装置及び信号処理装置並びに電子打楽器
JP3972619B2 (ja) 音発生装置
JP2018054685A (ja) 電子打楽器
JP5181495B2 (ja) 演奏制御装置
JP2006251376A (ja) 楽音制御装置
JP6111526B2 (ja) 楽音発生装置
KR101380159B1 (ko) 악기연주 시스템
JP5402253B2 (ja) 動作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44889A (ja) 演奏装置
JP5082730B2 (ja) 音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方向センシング発音楽器
JP6610120B2 (ja) 音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子楽器
JP2004294837A (ja) 電子ピアノ
JP6934504B2 (ja) 操作玩具
JP6710432B2 (ja) 楽音制御装置、電子楽器、楽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74567B2 (ja) 楽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