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485B1 -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485B1
KR100886485B1 KR1020067018189A KR20067018189A KR100886485B1 KR 100886485 B1 KR100886485 B1 KR 100886485B1 KR 1020067018189 A KR1020067018189 A KR 1020067018189A KR 20067018189 A KR20067018189 A KR 20067018189A KR 100886485 B1 KR100886485 B1 KR 100886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ata
data set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021A (ko
Inventor
주시 자티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1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485B1/ko
Publication of KR2007001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split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데이터 집합의 하나 이상의 부분이 무선 통신 장치(202)를 경유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210)를 통해 전송되고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고정 통신 네트워크(208)를 통하여 전송되도록 무선 통신 네트워크(210) 및 고정 통신 네트워크(208) 모두를 통해서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목적지 장치(204)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지 장치(204)는 수신된 데이터 부분을 함께 결합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집합을 재구성할 수 있다.
고정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무선통신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A METHOD, A DEVICE,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을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를 통한 광대역 데이터 접속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과 같은 최근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단말과 같은 네트워크 구성요소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해질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에 의해 전송 용량의 일반적인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존의 자원을 최대 한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새로운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요구는 달성 가능한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및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을 이미 제공받았거나 앞으로 제공받게될 것이다.
동일한 논리가 단독으로 또는 말하자면 최소한 주로 고정된 연결로 활용하는 광대역 접속 솔루션에 적용되며, 즉 구내정보통신망은 무선이 될 수 있지만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지국/라우터로부터 시작하는 다른 네트워크 구성요소는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되게 부착된다. 예를 들어 xDSL(Digital Subscriber Line)인 광대역 솔루션은 많은 산업 국가에서 천천히 입지를 얻고 있다. 이들은 사용자에게 256kbps에서 2Mbps 또는 그 이상의 비트 파이프를 제공하고, 256...512kbps 가변부가 운영자에 의해 구현되는 가격 전략 때문에 가장 인기가 있다. 또한 xDSL,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선도품은 여전히 널리 사용중이며 시장에 나와 있다. 광대역 및 ISDN 연결은 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다운로드 및 P2P(Point-to-Point) 네트워크를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소유자에 의해 개시되는 무선 데이터 전송에 또한 응용 가능한 이러한 사용은 다소 폭발적인 트래픽을 야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기존의, 비록 상당히 고속의 새로운 데이터 접속 수단일지라도 실시간 재생에서 번거로운 드롭아웃을 야기하는 트래픽 양을 처리하지 못하거나 전송 딜레이를 참을 수 없는 수준으로 증가시킨다.
텔레비전(116)에 연결된 DVB 셋톱박스(114)를 구비한 업링크 데이터 전송 도구로서 통상적인 GMS 단말기, 통상적인 외장 모뎀 또는 내장 모뎀을 이용하여 2Mbit/s를 초과하는 다운링크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스트림(122)을 제어하는 수단("쌍방향 채널")을 포함하는 공보 WO98/56181호에 개시된 솔루션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한다. 상기 GMS 단말기는 예를 들어 자신을 SMS(Short Message System) 메시지에 내장함으로써 제어 신호(118)를 기지국(104), BSC(Base Station Controller)/MSC(Mobile Switching Centre)(102) 및 네트워크(106)를 경유하여 상호작용 센터(108)로 전달되는 업링크 방향으로 전송한다. 상호작용 센터(108)는 이후 전송된 광대역 서비스 전달에 원하는 대로 영향을 주기 위해서 분배 센터(110)에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GSM 단말기는 따라서 사용중인 DVB 셋톱박스(114) 또는 네트워크(112)가 고정된 형태의 리턴 채널을 지원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단순한 제어를 가입자에게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연결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존의 데이터 전달 배치에도 불구하고, 사용 가능한 기본 데이터 전송 용량이 적절한 속도 또는 지연으로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장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더 앞서서, ISDN 사용자는 한 세션을 위한 이중 용량을 얻기 위해 두 개의 64kbps 파이프를 저장하는 선택을 해야만 했다. 다른 ISDN 파이프를 끊는 것은 단일 파이프로 세션을 중단하거나 재초기화하는 것을 필요로 했으나, 이는 수동으로 행해졌다. 무선 프로토콜을 통한 인터넷 접속은 몇몇 사용자가 자신의 유일한 인터넷 접속 방식으로 정액제 GPRS 연결을 사용하더라도 이동 중에 사용하는데 주로 제한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파이프 데이터 접속 개념을 도입하여 적어도 가끔 원하는 추가 데이터 전송 용량에 대한 종래기술의 솔루션에서 발견된 단점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멀티-파이프 데이터 접속으로 사용자는 일반적인 수준의 데이터 트래픽에 자동으로 보다 투명하게 적응하도록 기존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다.
오늘날, 증가된 양으로 사람들은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및 이동식 WCDMA/EDGE/HSDPA 가능 핸드셋을 통해서 고정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적어도 소유하거나 갖는다. 이러한 마지막으로 언급된 이동 솔루션은 또한 960kbps(WCDMA), 384kbps(EDGE) 또는 심지어 10Mbit/s(HSDPA)까지 범위가 걸치는 데이터 파이프를 제공하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요구가 지나친 데이터 전송 동작에서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가능한 응용가능성에 어떤 일이 생길지는 중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착상에 따르면 고정 및 무선 연결은 데이터 집합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구성요소를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단일한 최종사용자 장치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고정 연결에서의 트래픽 수준을 감시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연결'이라는 용어는 고정된 유선 연결 및 고정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로 라우팅되는 연결을 언급하는데 사용되지만, 예를 들어 접속 네트워크는 최종 사용자 장치의 WLAN 네트워크 어댑터와 네트워크 측의 WLAN 라우터 사이에 무선 LAN(WLAN) 연결과 같은 무선 부분을 여전히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연결이 용량에 사용된다면, 즉 사용자가 큰 파일을 다운로드하려고 한다면, 또는 다른 선호하는 조건이 적용된다면, 상기 모듈은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서 다른 데이터 파일에 권한을 주고 고정 연결을 이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배열에 새로운 파이프의 전송 용량을 배치한다. 다운로드는 이후 두 개의 파이프를 통해서 동시에 실질적으로 더 빠른 속도로 완료된다.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멀티-파이프 드라이버는 상기 고정 연결이 용량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무선 파이프가 포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서, 무선 단말기 배터리, 전송 용량, 비용 등을 절감하는, 무선 채널이 사용되지 않는 대부분의 시간은 그러나 고정 연결이 상기 시스템의 전체 성능을 제한하고 있을 때 사용자를 위하여 필요시 충분히 투명하게 실제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과 전송 자원의 유연한 이용 가능성을 가져다 준다. 본 발명은 또한 전송에 있어서 지연을 보다 줄여준다. 보다 빠른 고정 연결을 추구하는 것은 운영자가 예를 들어 xDSL 사용을 위해 통상적으로 월 수수료를 지불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비용을 요구한다. 더욱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보다 빠른 DSL의 전송 용량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자동으로 추가 데이터 전송 용량을 획득하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형적인 소비자 사용의 폭발적인 특성에 잘 맞는 보다 많은 동적 능력 할당을 허용한다. 추가적인 장점은 본 발명이 시장에서 이미 성공했거나 곧 성공할 추가적인 PC 소프트웨어 및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다. 고정된 인터넷 연결을 소유한 소비자와 본 발명에 적합한 데이터-가능 단말을 소유할 소비자 사이에는 모종의 상호관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를 이미 가지고 있으며, 단지 필요한 것은 추가된 가치를 제공할 몇몇 소프트웨어이다. 대안적으로/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칩, DSP's(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맞춤 하드웨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데이터 소스로부터, 고정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 소스로 연결 가능한 목적지 장치로 데이터 집합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목적지 장치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작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소스로 제2 연결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모두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 집합의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 집합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명령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세싱 수단 및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수단,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 집합의 전송을 관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집합은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부분 중 하나는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며 나머지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는 명령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싱 수단 및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수단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 집합의 전송을 관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집합은 두 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부분 중 하나는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고 나머지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 소스로의 연결을 개설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소스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70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DVB 시스템을 목표로 하는 인용된 종래 기술의 솔루션을 도시하고,
도 2는 무선 채널이 필요시 고정 채널에 추가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의 상술한 개념을 도시하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원리의 추가적인 개요를 설명하고,
도 4는 데이터 집합과 그 분배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은 관련 종래기술의 설명과 연계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시나리오는 도 2에 도시된다. 표준 이더넷 어댑터를 구비한 PC(204)와 같은 고정 네트워크 연결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서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208)로 연결된다. PC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또는 명시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또는 중개 장치/네트워크(들)를 통해 네트워크(208)로 마찬가지로 연결된 서버(212)와 같은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 집합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구성요소를 다운로드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PC(204)에 내장된 특정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블록은 이동 단말기(202)의 사용 가능한 데이터 전송 자원을 인식하고 가속된 속도로 데이터 구성요소를 획득하기 위해서 기지국(206)을 경유하여 이동 네트워크(210)로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202)를 이용하여 RAN(Radio Access Network), 핵심망 및 가능한 다른 결합된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이동 네트워크(210)를 통해서 데이터 소스(212)에 평행 데이터 전송 연결을 개시한다. 이동 단말기(202)는 무선 또는 유선 수단에 의해서 PC(20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점선을 참조한다.
도 3에서, 상술한 시나리오는 상기 임무를 완수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하여 확장된다. 본 발명은 데스크탑 또는 랩탑 모델이 될 수 있 는 개인용 컴퓨터(PC), WCDMA, WCDMA/HSDPA 또는 EDGE 기술 등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다중-파이프 드라이버(MPD)(304) 및/또는 맞춤 하드웨어가 설치된 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상기 PC는 고정(예를 들어, ISDN 또는 xDSL) 연결에 의해 인터넷에 연결되고 적절한 임의의 인터페이스(케이블, IrDA, 브루투스 등)에 의해서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데이터 전송을 다루는(컴퓨터의 관점에서 봄) MPD(304)는 xDSL 드라이버(306) 및 어플리케이션 층(302) 사이에 논리적으로 위치한다. 이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층(302), xDSL 드라이버(306) 및 이동 연결성 드라이버(308)와 인터페이스한다.
MPD(304)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변경될 수 있는 몇몇 사용자-정의 세팅을 포함한다. MPD(304)는 컴퓨터가 켜질 때마다 활성화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더욱이, MPD(304)는 고정 파이프의 사용을 감시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가 완전히 예약된 것으로 보이는 경우, 또는 다른 조건이 수행된 분석에 따라 적용되는 경우, MPD(304)는 접속 장치로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 소스로부터 추가적인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무선 파이프를 개방할 것이다. 상기 고정 파이프는 주요 데이터 인터페이스로서 일반적으로 선택되어야 하며,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전송된 데이터 전송 비용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이송 속도를 최대화한다. 대부분 시간 동안(웹 브라우징, 이메일, 채팅 등) 상기 고정 파이프는 아마도 사용자에 의해 동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데 충분하고도 남을 것이다. 무선 파이프를 개방할 때까지 수행되는 분석은 미리 프로그램되거나 MPD(304) 메모리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 용자가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분석은 단순한 임계 형태의 판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파이프가 자신의 최대 용량으로 사용되고 및/또는 몇몇 다른 한계 또는 다수의 한계가 초과되거나 충족되지 않은 것을 검출할 때, MPD(304)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파이프를 개방하고 예를 들어 추가적인 비트율이 더 이상 작업처리량을 증가시키지 않을 때까지 확장한다. 이는 전송에서의 병목현상이 "라스트 마일" 연결에 있지 않으며 상기 연결이 문제의 파일을 이동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송이 완료될 때(임계 용량에 더 이상 고정 파이프가 없을 때), 상기 무선 파이프는 지체 없이 해제될 수 있다.
MPD(304)는 이동 단말기로의 인터페이스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에러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도록 세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PD(304)로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추가적인 무선 데이터 전송 용량을 이용하는 잠재적인 이득에 대하여 통보 받을 수 있다.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은 사용자의 몫이며, 추가적인 용량이 원칙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작은 스크린 상의 아이콘에 의해 통보될 수 있다. 인터넷으로의 연결은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분히 기능할 것이다. 그러나, 단말기가 존재하고 고정 연결이 사용 가능하다면(운영자 또는 몇몇 다른 이유에 의한 유지보수에 의해), MPD(304)는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서만 필요한 크기의 파이프를 개방할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네트워크 다운" 상태에서 적절한 통신망 접속을 보장하도록 기능하고 서비스 이용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선 파이프의 할당 및 비할당이 충분히 또는 얼마간 투명하게 사용자로부터 의 입력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특징에 하나의 중요점이 존재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팝업 메뉴 등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추가적인 전송 자원의 사용을 수동으로 획득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고정 연결을 이용하여 자신의 일반적인 경험에 더하여 보다 나은 다운로드 성능만을 경험할 것이다. WCDMA의 경우, WCDMA가 다중 동시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성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위임된 비트 파이프의 크기는 전송 상태에 따라 다르다. 전송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작은 충분한 파이프가 선택되거나, 대안적으로 고정 및 무선 용량의 합이 데이터가 인터넷으로부터 도달하는 속도보다 여전히 작은 경우 네트워크로부터 주어진 가장 큰 파이프가 선택된다.
실시예 1:
256kbit/s ADSL 연결을 통해 다운로드된 1Mbyte 파일의 실시예이다. 제2 파이프 없이, 다운로드는 32초 동안 수행된다. 다른 파이프가 사용 가능하다면, 예를 들어 WCDMA를 통해 384kbit/s 파이프가 전송을 13초 내에 완료할 것이다. 무선 파이프는 13초 동안만 개방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의 유연성 특성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주머니에 단말기를 가진 자신의 컴퓨터 옆에 앉아 있다. 사용자가 이를 행하면서, MPD(304)는 브루투스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할 것이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면, MPD(304)는 경우에 따라 WCDMA 파이프에 권한을 위임하 여 몇몇 대형 이메일 첨부 다운로드 및 공유 네트워크 폴더로의 접속을 도울 것이다. 이 시간 동안, WCDMA가 다중 동시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전히 응답하고 호를 보내며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컴퓨터에 고정 네트워크가 없는 경우, 각 사용자는 이후 자신의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로의/로부터의 모든 수신 트래픽을 전송하게 할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해 비용이 청구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유하는 몇몇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성능:
다양한 고정 및 무선 파이프에 대한 전송 용량의 퍼센트로 나타낸 증가의 예가 다음 표에 나타나 있다.
고정 라인 용량, kbps 무선 파이프, kbps 성능 증가, %
64 128 200
128 256 100
256 960 375
512 384 75
1024 384 37
성능 이득은 대부분의 통상적인 ISDN 및 256/512kbit/s DSL 라인에서 보다 두드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사용자는 본 발명을 위한 주요 목표 그룹을 형성한다. 그러나, HSDPA는 가장 빠른 DSL 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이득을 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두드러진 점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1) 고정 파이프가 혼잡을 야기하는 상황에서 고정 파이프를 보완하기 위해 무선 파이프를 사용.
2) 바람직한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투명도.
3) 변화하는 로드에 동적으로 반응하도록 MPD(304) 또는 유사한 소프트웨어 구조를 사용.
도 3의 시나리오로 되돌아가면, 두 개 이상의 데이터 파이프를 이용하여 단일한 소스로부터 단일한 목적지로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데이터 전송은 고정 주요 파이프 단독으로 처음 개시되고, 잠시 후에 MPD(304)는 추가적인 전송 용량을 위한 무선 파이프를 활성화한다. 바람직한 데이터 집합이 서로 다른 전송률과 특성을 가진 두 개의 파이프를 통해 전송될 것이므로, MPD(304)는 상기 집합에서 적절한 위치에 접속하여 추가적인 데이터 전송을 시작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송될 파일의 크기가 대략 20Mbits이고 주요 파이프의 속도가 100kbit/s 이하이며, 제2 파이프의 속도가 25kbit/s 이하라고 가정한다. 명료함을 위해 도 4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참조번호 406으로 표기된 500kbits의 첫 번째 부분이 단일한 주요 파이프를 이용하여 처음부터 이미 전송되었다면, 두 번째 무선 파이프로 완전한 구성요소의 부분(404)을 다운로드 시작하기 위한, 예를 들어 파일인 데이터 구성요소(402) 내의 적절한 위치는 무엇인가? X는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기 위한 잔여 시간을 초 단위로 나타낼 것이다.
500kbit + 100kbit/s*X + 25kbit/s*X = 20000kbit =>
125kbit/s*X = 19500kbit =>
X = 156s
따라서 두 파이프에 제공된 156초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의 잔여 시간은 최대 범위로 활용 가능하다.
두 번째 파이프로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기 위한 적절한 위치는 이후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500kbit + 156s*100kbit/s = 16100kbit
두 번째 파이프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시작하기 위한 본 접근법에 따른 최적 위치는 따라서 총 20Mbits의 16101번째 비트가 될 것이다.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 모두의 메모리 및 데이터 전송 용량에 의해서,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 블록(예를 들어, 패킷)을 도착과 즉시 바로 컴퓨터로 넘겨줄 수 있으며(408) 또는 전체 부분이 추출되어 이후 컴퓨터로 전송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 전체가 데이터 집합을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 집합 내로부터 출발하여 어떻게 개시될 수 있을까? 물론 상기 집합이 데이터 소스에서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접속 가능한 다중 데이터 구성요소(예를 들어, 파일)로 이루어져 있다면, 가장 단순한 솔루션은 추가적인 파이프로 적절한 시작점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구성요소의 자연스런 경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명백하게, 대부분의 경우, 보다 조잡한 해법을 가진 이러한 종류의 접근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공식을 이용하여 결정된 보다 정밀하게 정의된 시작점과 비교하여 가장 최선의 솔루션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상기 집합 내의 소정의 시작점의 직접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하나의 옵션은 데이터 전송 재수행/복구 특징(data transfer resume/recovery feature)(전통적인 Z모뎀 프로토콜에서와 마찬가지)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는 다운로드를 시작하는 임의의 오프셋이나 많은 당대의 통신 시스템 및 그 프로토콜 내에 존재하는 상응하는 절차를 한정하는 것을 지원한다(도 4의 파선 참조).
도 5는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방법이 시작하는 단계 502에서, 예를 들어 MPD인 필요 코드가 실행 장치의 메모리로 로딩되고, 사용자는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을 직접적으로 또는 자동화된 기능성을 통해서 명령한다. 더욱이, 상기 MPD는 본 발명에 따라서 시작 단계 동안 및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이후에도 무선 파이프를 형성할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장치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방법은 브루투스/IR(InfraRed) 연결 개설 공정뿐 아니라 적당한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실행된 장치에 연결되었는지에 대한 단순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문의를 포함한다. 단계 504에서, 데이터 전송은 예를 들어 고정된 주요 연결을 이용하여 데이터 소스로의 데이터 전송 연결(또는 그 링크)을 개설함으로써 개시된다. 연결의 상호 계층은 유리하게는 여전히 사용자가 정의 가능하며, 또한 무선 링크는 고정 링크에 우선될 수 있다.
단계 506에서, 상기 MPD는 데이터 전송 개시를 인식하고, 예를 들어 전송될 데이터의 양, 주요 링크 최대 속도, 주요 링크 현재 속도, 주요 링크 추정 미래 속도, 이차 링크 최대 가능 속도, 이차 링크 근사 평균/현재 속도, 및 비용대비 전송 시간 비교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자에 근거하여 개설된 연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MPD에 저장된 연결 파라미터(단위 시간에 대한 비용, 단위 데이터에 대한 비용 등)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는 시간/비용 비교는 단지 데이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차 링크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전송될 수 있을지라도 때때로 하나의 연결에 머무르는 것을 선택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시간이 일정한 퍼센티지 또는 일정한 명시적인 기간보다 더 줄어드는 경우 비용을 야기하는 이차 링크를 사용하지 않도록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파이프를 통한 이차 링크가 단계 508에서 점검된 것처럼 활성화된다면, 이는 단계 516에서 수행된다. 실제로 MPD는 상기 데이터 소스로의 연결을 생성하도록 사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명령을 내리고 앞서 설명된 것처럼 임의의 기결정된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는 데이터를 불러온다.
데이터는 단계 510에서 활성 파이프를 통해 전송되고,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주기적인 방식으로(또는 수신된 데이터 유닛마다) 추가적인 분석이 수행된다(단계 512 참조). 이러한 분석은 단계 514에서 검사되고 그리고 상황에 따라(conditionally) 단계 518에서 실행된 필요를 더 결정하여 사용 가능한 새로운 파이프를 활성화하고(또는 예를 들어 몇몇 파이프가 최근 속도를 심하게 얻거나 잃어서 자신 또는 다른 파이프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 기존의 다수의 파이프를 폐쇄하고), 예를 들어 새로운 긴급한 파일 전송 요청 때문에 필요한 새로운 연결을 위해 기존의 파이프 중 몇몇을 재할당하고, 예를 들어 미래에 훨씬 더 정확한 파이프 할당을 위해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 통계(평균 속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든 데이터가 수신되면(또는 연결이 다른 이유로 종료되면), 상기 방법은 단계 520에서 종료한다. 많은 파이프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 블록은 마지막부터 함께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서로 다른 파이프가 적절한 위치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직접 떨어트리는 전송된 데이터 집합을 위한 뼈대를 전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된 데이터 부분은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전송을 마친 후, 이러한 뼈대는 유리하게도 단일한 파이프를 통해서만 다운로드된 데이터에 자동으로 상응하게 되고 바람직한 위치에 저장되거나 전송될 수 있다. 다운로드된 데이터의 제1 부분이 일반적으로 전송되는 주요 연결에 대해서, 상기 MPD는 파이프의 나머지가 다운로드를 시작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데이터 전송 자원의 불필요한 할당 및 활용을 피하게 한 후에 바로 상기 데이터 전송을 자연스럽게 끝낼 수 있다.
도 5에 대한 대안적인/보충적인 솔루션으로서, 파이프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MPD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또는 사용자/사용자 어플리케이션(사용 가능한 경우)으로부터 전송될 데이터의 크기를 추출하고, 상기 전송 및 상술한 다른 분석을 위한 데이터 파이프의 최선의 분할을 추정할 수 있으며, 그 이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이프가 할당되고 실제 유료 데이터 전송이 시작할 준비가 된다.
참조번호 522로 표기된 점선은 선택적으로 간주되는 방법 단계들을 함께 그룹으로 묶는데 사용되었다.
도 6은 다중-파이프 접속 호스트로 기능할 수 있는 컴퓨터와 같은 장치를 위한 기본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로세싱 유닛(602)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다운로드된 데이터(612)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세팅, 통계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604)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다중-파이프 드라이버 등)의 형태로, 지시(614)에 따른 행동 실행을 제어한다. 데이터 전송 수단(608)은 예를 들어 무선/적외선 트랜시버와 같은 무선 수단(614)과 또한 무선 네트워크(WLAN 등) 어댑터를 모두 포함하거나, 종래의 네트워크 어댑터(이더넷 카드 등)와 같은 고정 수단(616)을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 또는 다른 데이터 입력 수단(610)과 디스플레이(604)는 상기 장치를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CD-ROM 및 메모리 카드와 같은 이동 매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블록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는 프로세싱 수단(702), 메모리 수단(704), 무선(714)이거나 다중-파이프 접속 호스트 및 무선 네트워크 모두로 무선 통신 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는 무선(714) 및 고정(716)(예를 들어, 케이블 커넥터) 모두일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수단(708)을 포함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충분한 UI를 위한 키패드(710)에 더하여 디스플레이(7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송에 이용되는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 스택은 기존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전송 용량은 특히 복잡하거나 특별하지 않으며,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모듈로 인식될 수 있으며, 또는 전송될 데이터를 요구하는 장치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연결된 결합물로 인식될 수 있다.
청구항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 개시된 본 발 명에 다른 변형이 만들어 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어, 사용된 장치와 방법 단계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착상으로 수렴하는데 여전히 다를 수 있다. 하나의 관점으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 파이프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단말기는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 휴대폰, PDA, 통신가능 포켓용 게임 콘솔/오락장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이러한 대부분의 장치에 적용되며, 충분한 데이터 전송 용량으로 목적지 장치 및 데이터 소스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32)

  1. 데이터 소스로부터, 고정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 소스로 연결 가능한 목적지 장치로 적어도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데이터 집합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연결을 통한 데이터 집합 전송 동안, 상기 목적지 장치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작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 소스로 제2 연결을 개설하는 단계;
    상기 제1 연결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집합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연결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집합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부분을 함께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 집합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들, 즉, 최대 연결 속도, 현재 연결 속도, 연결의 추정 미래 속도, 전송될 데이터 양, 추정 전송 시간, 및 추정 전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연결을 재할당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상기 개설된 연결들을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대 전송 비용 비교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은 상기 파라미터들의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해서 해제 또는 재할당되거나, 혹은 해제 및 재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을 통해 전송될 상기 부분의 시작을 결정하는 상기 데이터 집합의 지점이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의 연결 속도 및 상기 데이터 집합의 크기에 근거하여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지점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실질적으로 데이터 전송 재수행 기능(data transfer resume functionality)을 이용하여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상기 목적지 장치 사이의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 기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자원은 데이터 전송 연결 동안 동적으로 할당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을 개설하기 전에, 그에 대한 승인이 상기 목적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을 개설하거나 해제하는 것은 상기 목적지 장치의 사용자에게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집합 전송 방법.
  12.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을 통한 데이터 집합 전송 동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작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데이터 소스로 또 다른 연결을 개설하는 수단;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집합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신하고 아울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집합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집합의 적어도 일 부분과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 집합의 적어도 일 부분을 함께 결합하여 상기 데이터 집합을 재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어떤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연결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용 가능한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다음의 파라미터들, 즉, 최대 연결 속도, 현재 연결 속도, 데이터 전송 연결의 추정 미래 속도, 전송될 데이터의 양, 추정 전송 시간, 및 추정 전송 비용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연결을 재할당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상기 개설된 연결들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 근거하여 전송 시간 대 전송 비용 비교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상기 분석 결과에 의해 연결을 해제 또는 재할당하거나, 혹은 해제 및 재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될 상기 부분의 시작을 결정하는 상기 데이터 집합의 지점을 개설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의 연결 속도 및 상기 데이터 집합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지점을 개설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19. 제 17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재수행 기능을 실질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결정된 지점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0. 제 12항 내지 제 15항, 제 17항, 및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의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 기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1. 제 12항 내지 제 15항, 제 17항, 및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로의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 기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2. 제 12항 내지 제 15항, 제 17항, 및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연결 동안 데이터 전송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3. 제 12항 내지 제 15항, 제 17항, 및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연결을 개설하기 전에 상기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4. 제 12항 내지 제 15항, 제 17항, 및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연결을 할당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는 이동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연결의 용량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다음의 기술들, 즉,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또는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집합은 컴퓨터 파일 또는 다수의 파일의 결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 가능한 장치.
  29. 청구항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67018189A 2006-09-06 2004-03-03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88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189A KR100886485B1 (ko) 2006-09-06 2004-03-03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8189A KR100886485B1 (ko) 2006-09-06 2004-03-03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021A KR20070018021A (ko) 2007-02-13
KR100886485B1 true KR100886485B1 (ko) 2009-03-05

Family

ID=4134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189A KR100886485B1 (ko) 2006-09-06 2004-03-03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364B1 (ko) * 2012-06-26 2014-11-13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데이터 수집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435A1 (en) * 1999-05-04 2000-11-09 Icomera Ab A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via several communication rou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435A1 (en) * 1999-05-04 2000-11-09 Icomera Ab A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via several communication rou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021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0738B2 (ja) 無線デバイスとサーバとの間でハンドシェイ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019386B (zh) 无线分组数据通信系统中的许可控制和监管
JP4299613B2 (ja) ワイヤレス可変帯域幅エアリンク装置と通信する移動通信用加入者装置及び方法
US711668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bandwidth adjustment
US7277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usage of data link resources
CN101263695B (zh) 用于服务质量处理的系统、方法和设备
KR100959523B1 (ko)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품질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US20070038764A1 (en) Network equipment for supplying multimode mobile terminals with data necessary for automatically selecting radio access network interfaces during service sessions
US67716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ry data transfer
JP2002510447A (ja) 符号分割多元接続(cdma)無線リンク上でワイヤレスプロトコルを伝送するための動的帯域幅割当て
KR20080024521A (ko) 서비스 세션 중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자동선택 기능을 갖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기
WO2006078562A2 (en) System, node, and method optimizing data connections for packet services
US20050128963A1 (en) Autonomous quality of service detection (AQD) in mobile equipment
JP2006054841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WO2015051703A1 (zh) 有序管理多路apn并发联网数据传输通道的方法
US7796531B2 (en) Method, a device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US83006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leasing quality of service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643946A (zh) 控制业务流的方法
KR100886485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1087232B (zh) 一种基于以太网上点对点协议的接入方法、系统和设备
JP2004096380A (ja) 経路制御装置及び経路制御システム
JP2003309668A (ja) ストリーミングデータ配信方式
KR100964105B1 (ko) 대용량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2351A (ko) 접속망의 자원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품질 제어방법
KR20110079079A (ko) Wap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