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450B1 -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450B1
KR100886450B1 KR1020060120869A KR20060120869A KR100886450B1 KR 100886450 B1 KR100886450 B1 KR 100886450B1 KR 1020060120869 A KR1020060120869 A KR 1020060120869A KR 20060120869 A KR20060120869 A KR 20060120869A KR 100886450 B1 KR100886450 B1 KR 10088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filiate
server
shopping mall
marketing
affiliate mark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071A (ko
Inventor
주진용
Original Assignee
주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용 filed Critical 주진용
Priority to KR102006012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450B1/ko
Priority to PCT/KR2007/006156 priority patent/WO2008066352A1/en
Publication of KR2008005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 자신이 가입된 제휴 마케팅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제휴 마케팅 서버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더라도 이를 제휴 마케팅 사가 제공한 중개장치를 통해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원의 물품 구매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번거로움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휴 마케팅 사가 운영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 마케팅 계약을 체결하여 판매금액 중 일정비율을 상기 제휴 마케팅 사에 제공하는 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 및 제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는 고객단말기를 포함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는, 고객이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URL확인모듈을 구비한 중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상기 고객의 구매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정보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수신된 URL과 관련한 제휴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를 제휴 쇼핑몰 서버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휴사DB에서 검색하는 제휴확인모듈과, 상기 구매정보 확인모듈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AFFILIATE MARKETING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도 1은 종래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버와, 고객단말기 및 제휴 쇼핑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구매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회원 자신이 가입된 제휴 마케팅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제휴 마케팅 서버와 제휴된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더라도 이를 제휴 마케팅 사가 제공한 중개장치를 통해 인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원의 물품 구매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번거로움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네티즌을 자사 회원으로 하기 위해 이용 수수료의 할인, 상품 및 시상금 제공 등의 인센티브 이벤트를 수시로 진행함으로써 업체간 치열한 마케팅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자상거래 업체가 이벤트를 운영하고, 무료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동종 업체간의 과열된 경쟁으로 인해 동일한 수준의 마케팅 효과만을 나타내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상거래 업체에 의한 직접적인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휴 마케팅이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제휴 마케팅에 의하면, 제휴 사이트를 방문한 고객이 그 제휴 사이트에 링크된 광고를 클릭할 경우, 고객 단말기의 웹 브라우저는 그 광고에 링크된 URL정보, 예컨대 상기 제휴 사이트를 통해 상기 전자상거래 업체의 사이트로 이동함을 나타내는 URL정보에 따라 해당 전자상거래 업체 서버를 접속한다.
상기 전자상거래 업체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URL정보를 토대로 어느 제휴사의 사이트 서버를 통해 고객이 접속하였는지를 판별하여 해당 제휴사에 일정비율의 광고비를 지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통신 에러 등을 이유로 URL정보가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업체와 제휴사간에 광고 실적에 대한 오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제휴 마케팅의 발전에 기반하여, 전자상거래 업체도 더 많은 회원을 모집하기 위해, 자신의 사이트를 통해 물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트래픽 및 매출의 증대를 위해, 특정 쇼핑몰 사와 제휴하여 제휴 쇼핑몰 서버의 회원이 제휴 마케팅 서버에 게재된 쇼핑몰 광고 또는 아이콘 등을 눌러서 제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면, 해당 제휴 쇼핑몰 사는 제휴 마케팅 사에 물품 판매금액에 대한 일정비율의 보상금액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제휴 마케팅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휴 마케팅 사는 자사 마케팅 서버를 경유해서 제휴 쇼핑몰 서버에서 물건을 구매한 회원들에게도 제휴 쇼핑몰 사로부터 받은 보상금액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금액 또는 서비스를 재분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제휴 쇼핑몰 사가 제휴 마케팅 사에 보상금액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제휴 마케팅 사 회원이 자신이 가입한 제휴 마케팅 서버를 통해 서 물품을 구매하지 않고, 직접 제휴 쇼핑몰 서버를 접속해서 물품을 구매할 경우에는 제휴 마케팅 사는 제휴 쇼핑몰 사로부터 어떠한 보상도 받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휴 마케팅 사에 가입한 각각의 개별회원에게 중개장치를 제공하여,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이 자신이 가입되어 있는 제휴 마케팅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한 온라인 쇼핑몰 사의 제휴 쇼핑몰 서버의 URL을 치거나 검색창을 통해서 제휴 쇼핑몰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더라도 설치된 중개장치에서 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서, 회원의 물품 구매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번거로움을 감소시키는 한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휴 마케팅 사가 운영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 마케팅 계약을 체결하여 판매금액 중 일정비율을 상기 제휴 마케팅 사에 제공하는 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 및 제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는 고객단말기를 포함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는, 고객이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URL확인모듈을 구비한 중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상기 고객의 구매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정보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수신된 URL과 관련한 제휴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를 제휴 쇼핑몰 서버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휴사DB에서 검색하는 제휴확인모듈과, 상기 구매정보 확인모듈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상기 제휴확인모듈의 검색결과 상기 URL이 제휴 쇼핑몰 서버로 확인되면, 상기 구매정보에서 판매금액을 확인하여 해당하는 서비스를 상기 고객에 제공하여 상기 회원DB에 기록/갱신하는 서비스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휴 마케팅 사가 운영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 마케팅 계약을 체결하여 판매금액 중 일정비율을 상기 제휴 마케팅 사에 제공하 는 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상기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비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비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 및 제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고 고객이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중개장치를 갖는 고객단말기가 포함된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는 상기 고객단말기가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URL확인단계;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수신한 URL을 통해 상기 웹사이트가 제휴 쇼핑몰 서버인지 확인하는 제휴여부 확인단계;
상기 웹사이트가 제휴 쇼핑몰 서버로 확인되고 상기 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구매정보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정보 확인단계; 및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판매금액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의 가입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가입회원 확인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의 가입회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가 상기 고객단말기에 가입안내 정보를 전송/출력시키는 가입요청단계; 및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에 가입하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해당하는 서비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휴여부 확인단계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가 비제휴 쇼핑몰 서버로 확인되면, 상기 중개장치는 고객의 입력내용을 통해 검색되는 물품을 확인하고, 물품확인결과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물품검색 확인단계;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제휴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하는 물품 중에서 상기 물품과 동일/유사한 물품정보를 검색하는 유사물품 검색단계; 및
상기 중개장치는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사물품 검색결과를 상기 고객단말기 상에 출력하는 유사물품정보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휴 마케팅 사는 프로그램, 파일 및 인터넷전화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 업체와 제휴하여 상기 제휴 쇼핑몰 사로부터 지급된 보상금액을 재원으로 하여 고객에게 상기 프로그램, 파일 및 인터넷전화를 저가 또는 무료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를 효율적으로 배포하기 위해 제휴 마케팅 서버 자체에서 상기 중개장치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개인 추천인 제도를 활용하여 추천인에게 추천받은 회원이 구매한 물품에 대한 보상금액 중 일정 부분을 프로모션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버와, 고객단말기 및 제휴 쇼핑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이하 서비스 시스템으로 함)은 인터넷으로의 접속이 가능한 일반 PC인 고객단말기(100)와, 상기 고객단말기(100)와 인터넷을 매개로 통신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20)와, 일반적인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제휴 쇼핑몰 서버(30) 및 제휴 사이트 서버(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객단말기(100)에는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가 제공하는 중개장치(110)가 설치된다.
상기 중개장치(110)는 셋톱박스와 같은 일반 기계일 수도 있으나,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로부터 온라인으로 공급되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셋톱박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독립된 기기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자신의 고객단말기(100)를 이용해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에 접속하여 상기 중개장치(110)의 설치를 승인하면, 온라인을 통해 제휴 마케팅 서버(20)로부터 고객단말기(100)로 프로그램이 전송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중개장치(110)는 URL확인모듈(111)과 입력내용 확인모듈(112)을 포함한다. 상기 URL확인모듈(111)은 고객단말기(100)에 설치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와 같은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웹브라우저)이 실행되면 이와 연동하여 실행하고, 고객이 URL입력창에 주소를 입력하거나 특정 사이트 내 등록된 배너창 또는 검색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여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기 사이트의 주소를 확인하여 그 정보를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URL확인모듈(111)은 제휴 마케팅 서버(20)와 통신하면서 해당 고객단말기(100)를 이용해 고객이 접속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내용 확인모듈(112)은 고객이 특정 사이트 내에서 키보드를 조작해 입력한 단어를 확인하고, 그 단어를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하는 것으 로, 상기 URL확인모듈(111)과 더불어 제휴 마케팅 서버(20)와 통신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110)를 통해 고객단말기(100)와 제휴 마케팅 서버(20)가 서로 통신하면서 진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이하 서비스 방법으로 함)과,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 ; 브라우저 실행단계
고객은 자신의 PC인 고객단말기(100)를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접속은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인 웹브라우저를 통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해 고객은 상기 웹브라우저를 실행해야 한다.
S15 ; 중개장치 실행단게
상기 고객단말기(100)에 설치된 중개장치(110)는 웹브라우저의 실행을 확인하고 이와 함께 실행된다. 물론, 상기 중개장치(110)는 웹브라우저의 실행여부와는 상관없이 고객단말기(100)가 부팅되면 이와 함께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S20 ; 회원확인단계
상기 중개장치(110)가 실행되면 중개장치(110)는 제휴 마케팅 서버(20)와 통 신하면서 당해 고객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고객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110)는 고객단말기(100)로의 다운과 설치 및 실행을 위해 해당 고객이 제휴 마케팅 사이트에 가입하여 회원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110)를 사용하는 고객은 제휴 마케팅 사이트에 가입한 회원일 것이다.
물론, 해당 고객이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이 아닐 경우에도 중개장치(110)를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이 아닌 고객이 중개장치(110)를 실행하더라도 상기 중개장치(110)는 구동하면서 비회원인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하면 접속여부 및 접속위치(URL)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를 제휴 마케팅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비회원인 고객이 중개장치(1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하고 해당 쇼핑몰 서버(30)에서 물품을 구매하면 하기 포인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한 포인트를 적립해줄 대상이 필요하므로, 비회원 고객에 대한 발생 포인트는 상기 비회원인 고객을 추천한 회원 고객에게 적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상기 중개장치(110)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고객이 제휴 마케팅 사에 가입한 회원이어야 할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중개장치(110)를 사용하는 고객은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고객이 제휴 마케팅 사이트에 가입하면 해당 고객의 고유한 코드가 생성되 고, 이후 중개장치(110)가 실행되면 상기 코드를 포함한 데이터가 고객단말기(100)의 중개장치(110)로부터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되어,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는 현재 중개장치(110)를 실행시키고 있는 고객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고객이 중개장치(110)를 별도로 실행하고 상기 중개장치(110)에 ID/PASSWORD를 입력함으로서 로그온하면, 제휴 마케팅 서버(20)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중개장치(110)의 실행 여부를 확인하고, 아울러 상기 중개장치(110)와 연관된 상기 고객이 어떤 회원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회원모듈(22)은 중개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회원DB(27)에서 검색하여 당해 중개장치(110)를 사용하는 회원이 누구인지를 확인한다.
S30 ; 웹사이트 접속단계
회원이 확인된 고객이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객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은 웹브라우저의 URL창에 주소를 직접 기재하여 접근하는 방법과, 포털과 같은 일반적인 검색사이트를 통한 검색결과를 클릭하여 접근하는 방법과, 배너창과 같은 광고 및 홍보창 등을 클릭하여 접근하는 방법 등 다양하다.
하지만, 어떠한 접근 방법을 활용하더라도 최종 결과는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다.
S40 ; URL 확인단계
상기 URL확인모듈(111)은 현재 고객이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확인하고, 이를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한다.
S50 ; 제휴여부확인단계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제휴확인모듈(21)은 상기 중개장치(110)로부터 전송된 URL을 수신하고, 제휴사DB(26)에서 동일한 URL을 검색한다.
물론, 상기 제휴사DB(26)에서 당해 URL을 검색하면, 해당 웹사이트는 제휴 마케팅 서버(20)와 제휴한 사이트이고, 검색되지 않는다면 해당 웹사이트는 제휴한 사이트가 아닐 것이다.
S60 ; 물품구매단계
제휴여부 확인결과에 상관없이 고객은 당해 (비)제휴 쇼핑몰 서버(30, 50)에서 인터넷 쇼핑을 진행한다. 쇼핑몰에서의 전자상거래 과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비)제휴 쇼핑몰 서버(30, 50)에서의 전자상거래 과정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S70 ; 구매정보확인단계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서 전자상거래 과정을 수행하여 물품을 구매 할 경우,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는 그 구매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구매정보란, 구매물품, 구매비용 및 결재수단과 같은 데이터이다.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30)는 해당 전자상거래 과정을 수행한 고객이 제휴 마케팅 사이트의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회원으로 확인되면 구매정보 확인모듈(31)은 해당 회원의 구매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구매정보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한다.
S80 ; 회원DB 갱신단계
제휴 쇼핑몰 서버(30)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한 제휴 마케팅 서버(20)는 서비스 관리모듈(23)을 통해 회원DB(27)에 기록된 당해 고객의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버(20)는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보다 많은 혜택과 편익을 제공하고, 이러한 혜택과 편익은 고객들이 전자상거래 이용을 활발히 하도록 하는 이유가 되어서, 고객은 물론 전자상거래의 주체 모두가 이윤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휴 마케팅 서버(20)가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책임지고 제공하므로,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와 제휴한 제휴 쇼핑몰 서버(30)는 보다 많은 고객의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혜택과 편익은 다양한 형태로서 표현/실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를 포인트 제공으로 실시한다.
상기 포인트는 제휴 마케팅 서버(20)를 운영하는 제휴 마케팅 사가 쇼핑몰 서버에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현금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일정량 이상이 누적되 면 선물을 제공받을 수 있는 상품권처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여행, 오락 등 각종 엔터테이먼트 등의 여가를 즐기거나, 인터넷 전화, 백신프로그램과 같은 유익한 프로그램, 온라인 영화 또는 음악(MP3) 등을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는 교환권처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휴 쇼핑몰 서버(20)를 운영하는 제휴 쇼핑몰 사 이외에 온라인 환경에서 제공되는 많은 유료 서비스 프로그램들인 미디어 플레이어, PtoP 프로그램, 백신, 압축파일, MP3 음악파일, 인터넷전화 등을 제공하는 제휴 사이트 서버(40)의 제휴사와 거래할 수 있다.
참고로, 제휴 마케팅 사는 상기 제휴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료를 결제하여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회원인 고객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은, 회원인 고객이 자신의 포인트를 제휴 쇼핑몰 서버(30) 또는 제휴 사이트 서버(40)에서 이용함으로서 차감되는 양과, 상기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서 구매한 구매비용에 따라 제공되는 포인트의 양을 정산하여 상기 회원DB(27)를 갱신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회원인 고객은 제휴 마케팅 서버(20)를 통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상기 중개장치(110)가 회원인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한 사실을 자발적으로 인식하여 이를 제휴 마케팅 서버(20)에 통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휴 마케팅 서버(20)는 제휴 마케팅 사 회원이 자신이 가입한 제휴 마 케팅 서버(20)를 통해서 물품을 구매하지 않고 직접 제휴 쇼핑몰 서버(30) 접속해서 물품을 구매하더라도 제휴 쇼핑몰 사로부터 보상을 청구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한다. 즉, 제휴 마케팅 사는 가상의 배너창을 이용해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로 접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개장치(110)를 설치한 고객단말기(100)를 통해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하고 어느 물품에 대한 최종 구매결정을 하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30)가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한 쇼핑몰로서 상기 물품 구매로 인해 포인트가 발생/적립됨을 공지하고, 아울러 그동안 적립된 포인트와 포인트 사용내역을 별도의 창을 통해 출력함으로서, 고객은 포인트의 적립사실을 인지하고 계속해서 누적되는 포인트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제휴 쇼핑몰을 통해 물품의 구매의지를 촉진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중개장치(110)는 제휴 마케팅 서버(20)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제휴 쇼핑몰 서버(30) 및 제휴 사이트 서버(40)에서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한다.
S51 ; 가입회원 확인단계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은 상기 고객이 해당 제휴 쇼핑몰 서버(30)의 가입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인 고객이 현재 가입되지 않은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하더라도, 제휴 마케팅 서버(20)가 이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한 상기 조치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회원DB(27)는 고객이 가입하여 가입회원으로 있는 제휴 쇼핑몰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은 회원DB(27)를 검색하여 상기 고객이 특정 제휴 쇼핑몰 서버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입회원에 관한 정보는 제휴 쇼핑몰 서버(30)가 제공할 수도 있고, 고객이 직접 제휴 마케팅 서버(20)에 접속하여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고객이 해당 쇼핑몰 서버의 가입회원인지 아닌지를 다양한 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110)는 쇼핑몰 서버에 접속한 고객이 로그인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로그인을 하지 않고 물품을 검색하거나 구매 및 결제 절차를 진행하면 비회원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S52 ; 가입요청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의 확인결과 해당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의 가입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은 해당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개장치(110)에 전송하고, 상기 중개장치(110)의 안내창 출력모듈(113)은 고객이 현재 접속한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가입회원으로 가입할 것을 안내 및 요청한다.
상기 안내는 화면 내 빈공간, 툴바영역에 기록하여 출력하거나, 별도의 팝업창을 출력하여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의 확인결과 해당 고객이 가입회원으로 확인되면, 일반적인 상거래 과정에 따라 진행하여, 상기 물품구매단계(S60)를 진행한다.
S53 ; 가입진행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가입요청단계(S52)에서 진행한 안내를 보고 해당 제휴 쇼핑몰 서버(30)로의 가입을 진행한다.
가입절차는 제휴 쇼핑몰 서버(30) 단에서 이루어질 것이며, 그 과정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반면, 상기 고객이 상기 가입요청단계(S52)에서 진행한 안내를 무시하고 비가입회원으로서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30)에서 전자상거래를 진행하면, 별도의 제재 없이 상기 물품구매단계(S60)를 진행한다.
여기서,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인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가입하지 않고 비가입회원인 자격으로 물품을 구매하여도, 해당 고객은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이므로 상기 서비스(포인트)는 제공된다.
S54 ; 회원DB 갱신단계
상기 가입진행단계(S53)를 통해 상기 고객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의 가입회원이 되면, 그 정보가 상기 중개장치(110)를 통해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회원모듈(22)은 상기 회원DB(27)에 그 정보를 저장하여 회원DB(27)를 갱신한다.
한편, 이렇게 신규로 가입할 경우, 필요에 따라 신규 가입회원에게 서비스(포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관리모듈(23)은 새로 가입한 고객에게 서비스(포인트)를 제공하고, 그 내용을 회원DB(27)에 저장한다.
물론,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회원이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신규로 가입하면,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 쇼핑몰 사 간의 계약을 통해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고객의 회원가입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물품구매단계(S60)는 간섭없이 그대로 진행된다.
S90 ; 방문이력관리단계
상기 가입진행단계(S53) 또는 회원DB 갱신단계(S54)가 정상적으로 진행된 후 구매정보확인단계(S70) 및 회원DB 갱신단계(S80)를 거치면, 고객이 접속한 제휴 쇼 핑몰 서버(30)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 등의 로그를 방문이력DB(25)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고객이 접속한 비제휴 쇼핑몰 서버(50)와 이곳에서 구매한 물품에 대한 정보 등을 상기 방문이력DB(25)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제휴 마케팅 사가 고객의 성향과 사업기획 등에 참고하기 위해 수행하는 수집으로, 이러한 정보들은 고객이 자주 찾아 접속하는 비제휴 쇼핑몰 사와 제휴 마케팅 사가 상호 제휴를 성사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개장치(110)는 중개장치(110)를 설치한 고객단말기(100)의 인터넷 접속 패턴과 구매 패턴 등을 분석하여 이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방문이력DB(2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재장치(110)는 고객이 접속하는 사이트를 제휴 쇼핑몰 사이트와 비제휴 쇼핑몰 사이트의 구분없이 확인하여 이를 상기 방문이력DB(25)로 전송 및 저장하고, 이들 중 빈번히 접속하는 쇼핑몰 서버를 확인한다. 여기서 '빈번히' 란, 일정기간 내에 가장 많이 접속한 횟수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순위들 중 일정순위 내에 있는 쇼핑몰 서버로의 접속 횟수를 말하거나, 일정한 기준 횟수 이상의 접속 횟수 또는 일정기간 내에 접속한 쇼핑몰 서버 별 횟수를 평균하여 그 평균 이상의 횟수로 접속한 쇼핑몰 사이트의 접속횟수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접속 횟수의 수량을 셈하는 다양한 방식 중의 몇 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구매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61 ; 물품검색 확인단계
(비)제휴 쇼핑몰 서버(30, 50)에 접속한 고객은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기 물품을 검색한다. 이러한 물품 검색을 위해 고객은 물품명을 검색창에 기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장치(110)는 입력내용 확인모듈(112)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내용 확인모듈(112)은 커널영역(키보드 영역)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휴 마케팅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비)제휴 쇼핑몰 서버(30, 50)에서 고객이 검색하는 물품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62 ; 유사물품 검색단계
상기 제휴여부 확인단계(S50)를 통해 고객이 접속한 쇼핑몰 서버가 비제휴 쇼핑몰 서버(50)로 확인되면,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20)의 물품확인모듈(24)은 전송된 물품명을 확인하여 동일 또는 유사물품에 관한 정보가 있는지를 물품DB(28)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DB(28)가 보유한 정보는 물품 이미지, 물품의 판매액 및 상기 물품을 판매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20)에 관한 것이다.
물론, 상기 물품DB(28)는 제휴 마케팅 서버(20)에 한정하여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물품DB(28)가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구비되고, 중개장치(110)로부터 고객이 입력한 물품명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한 상기 물품확인모듈(24)은 그 정보를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전송하여 제휴 쇼핑몰 서버(30)가 자신이 구비한 물품DB(28)로부터 이를 검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품DB(28)가 제휴 마케팅 서버(20)에 존재할 경우, 상기 물품DB(28)는 제휴 쇼핑몰 서버(30)와 통신하면서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63 ; 유사물품정보 출력단계
상기 물품확인모듈(24)이, 고객이 비제휴 쇼핑몰 서버(50)에서 검색한 물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휴 쇼핑몰 서버(30)의 물품을 검색하면, 그 정보를 상기 중개장치(110)로 전송하고, 상기 안내창 출력모듈(113)은 상기 정보를 고객단말기(100)에 출력하여 해당 고객으로 하여금 제휴 쇼핑몰 서버(30)를 통해 해당 물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고객단말기(100)에 출력되는 창은 해당 제휴 쇼핑몰 서버(30)와 링크되어서, 고객이 용이하게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객은 출력된 창의 정보를 참고하여 제휴 쇼핑몰 서버(30)로 이동할 수도 있고(웹사이트 접속단계 ; S30), 이를 무시하고 비제휴 쇼핑몰 서버(50)에서 해당 물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S64)
S65 ; 물품구입단계
고객의 선택에 따라 비제휴 쇼핑몰 서버(50)에서 물품을 구매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개장치(110)를 효율적으로 배포하기 위해 제휴 마케팅 서버(20) 자체에서 중개장치(110)에 관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개인 추천인 제도를 활용하여 추천인에게 추천받은 회원이 구매한 물품에 대한 보상금액 중 일정 부분을 프로모션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극적 마케팅이 활성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이 일정수가 되면 회원들의 구매 의사를 제휴 쇼핑몰 서버에서 취합하여 공동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품비용에 대해 할인할 수도 있다.
또한, 제휴 마케팅 사는 (비)제휴 쇼핑몰 내 입점 업체에 대한 업체신용등급을 게시하여 제휴마케팅 회원들의 선택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로 기술하고 있지만,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 및 배경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휴 마케팅 사에 가입한 각각의 개별회원에게 중개장치를 제공하여, 제휴 마케팅 사의 회원이 자신이 가입되어 있는 제휴 마케팅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한 온라인 쇼핑몰 사의 제휴 쇼핑몰 서버의 URL을 치거나 검색창을 통해서 제휴 쇼핑몰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하더라도 설치된 중개장치에서 이를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회원의 물품 구매과정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휴 보상금액을 접속 및 마케팅을 위한 상기 중개장치를 배포한 제휴 마케팅 사에 적절히 지급하고, 이를 다시 회원에게 적절히 재분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상금액 배분의 효율성을 높여 적극적 마케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중개장치를 특정 유료 서비스 프로그램 제공 업체들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마케팅 할 수 있다.

Claims (7)

  1. 제휴 마케팅 사가 운영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 마케팅 계약을 체결하여 판매금액 중 일정비율을 상기 제휴 마케팅 사에 제공하는 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 및 제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는 고객단말기를 포함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객단말기는, 고객이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인터넷 접속프로그램(웹브라우저)의 URL 입력창에서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URL확인모듈을 구비한 중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상기 고객의 구매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정보 확인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수신된 URL과 관련한 제휴 쇼핑몰 서버의 데이터를 제휴 쇼핑몰 서버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휴사DB에서 검색하는 제휴확인모듈과, 상기 구매정보 확인모듈로부터 전송된 구매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상기 제휴확인모듈의 검색결과 상기 URL이 제휴 쇼핑몰 서버로 확인되면, 상기 구매정보에서 판매금액을 확인하여 해당하는 서비스 를 상기 고객에 제공하여 상기 회원DB에 기록/갱신하는 서비스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3. 제휴 마케팅 사가 운영하는 제휴 마케팅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제휴 마케팅 계약을 체결하여 판매금액 중 일정비율을 상기 제휴 마케팅 사에 제공하는 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사와 상기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비제휴 쇼핑몰 사가 운영하는 비제휴 쇼핑몰 서버와,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 및 제휴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고 고객이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인터넷 접속프로그램(웹브라우저)의 URL 입력창에서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URL확인모듈을 구비한 중개장치를 갖는 고객단말기가 포함된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는 상기 고객단말기가 접속한 웹사이트의 URL을 확인하여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URL확인단계;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수신한 URL을 통해 상기 웹사이트가 제휴 쇼핑몰 서버인지 확인하는 제휴여부 확인단계;
    상기 웹사이트가 제휴 쇼핑몰 서버로 확인되고 상기 고객이 물품을 구매하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구매정보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구매정보 확인단계; 및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된 판매금액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의 가입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가입회원 확인단계;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의 가입회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가 상기 고객단말기에 가입안내 정보를 전송/출력시키는 가입요청단계; 및
    상기 고객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에 가입하면 상기 제휴 쇼핑몰 서버는 해당하는 서비스를 상기 고객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여부 확인단계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가 비제휴 쇼핑몰 서버로 확인되면, 상기 중개장치는 고객의 입력내용을 통해 검색되는 물품을 확인하고, 물품확인결과를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 전송하는 물품검색 확인단계;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는 제휴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하는 물품 중에서 상기 물품과 동일/유사한 물품정보를 검색하는 유사물품 검색단계; 및
    상기 중개장치는 상기 제휴 마케팅 서버로부터 전송된 유사물품 검색결과를 상기 고객단말기 상에 출력하는 유사물품정보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 마케팅 사는 프로그램, 파일 및 인터넷전화를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 업체와 제휴하여 상기 제휴 쇼핑몰 사로부터 지급된 보상금액을 재원으로 하여 고객에게 상기 프로그램, 파일 및 인터넷전화를 저가 또는 무료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장치를 효율적으로 배포하기 위해 제휴 마케팅 서버 자체에서 상기 중개장치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개인 추천인 제도를 활용하여 추천인에게 추천받은 회원이 구매한 물품에 대한 보상금액 중 일정 부분을 프로모션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마케팅 서비스 방법.
KR1020060120869A 2006-12-01 2006-12-01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88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69A KR100886450B1 (ko) 2006-12-01 2006-12-01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CT/KR2007/006156 WO2008066352A1 (en) 2006-12-01 2007-11-30 Affiliate marketing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869A KR100886450B1 (ko) 2006-12-01 2006-12-01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71A KR20080050071A (ko) 2008-06-05
KR100886450B1 true KR100886450B1 (ko) 2009-03-04

Family

ID=3946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869A KR100886450B1 (ko) 2006-12-01 2006-12-01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6450B1 (ko)
WO (1) WO20080663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02B1 (ko) 2012-03-28 2014-03-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서버 장치 및 특전 향수 기회 통지 방법
KR101902116B1 (ko) * 2017-05-29 2018-09-27 정다이 사업자간 정보 공유를 통한 공동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45B1 (ko) * 2011-01-11 2013-02-13 김종현 App 서비스와 광고매체에 대한 프로모션을 실시간으로 연동시키는 방법
KR102155366B1 (ko) * 2020-06-22 2020-09-11 노브가든 주식회사 링크정보기반의 제휴마케팅을 이용한 소비자유치시스템
KR102374514B1 (ko) * 2021-04-16 2022-03-16 쿠팡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106A (ko) * 2000-03-04 2001-09-15 민택기 전자상거래 협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95A (ko) * 2000-07-21 2002-01-30 김용민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JP2002142206A (ja) * 2000-11-01 2002-05-17 Pioneer Electronic Corp 有料放送提供システムの課金方法ならびにその放送提供サーバおよび電子商取引サーバシステム、ならびに同方法がプログラムさ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20020073069A (ko) * 2001-03-14 2002-09-19 신상규 제휴프로그램에 있어서 커미션 분배와 상품판매 촉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106A (ko) * 2000-03-04 2001-09-15 민택기 전자상거래 협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02B1 (ko) 2012-03-28 2014-03-1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서버 장치 및 특전 향수 기회 통지 방법
KR101902116B1 (ko) * 2017-05-29 2018-09-27 정다이 사업자간 정보 공유를 통한 공동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71A (ko) 2008-06-05
WO2008066352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00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67615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ask cues
KR100792697B1 (ko)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방법 및 광고 수수료 결정 시스템
CA2412936C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anaging promotions for purchase transactions over a network
US7734502B1 (en) Ad server system with click fraud protection
US20110066484A1 (en) On-line advertisement output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US20060036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keting community-oriented advertising opportunities
US2008016237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lternative payment platform
TWI493490B (zh) 推薦虛擬獎賞之給予及頒發虛擬獎賞的方法,以及記錄相關指令的電腦可讀取儲存媒體
KR10222810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를 이용한 제품 감정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797502A (zh) 无cookie的电子商务平台
KR100886450B1 (ko) 제휴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210009051A (ko)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제품을 사전에 검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8235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상품 프로모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52963A (ko) 판매콘텐츠를 이용한 인터넷 판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12229A (ko) 광고주와 사용자간의 거래에 대해 추가 적립률의 적립금을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95184B1 (ko) 온라인 광고의 출력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338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0755745B1 (ko) 전자상거래를 위한 사이트간 교차판매 장치 및 방법
JP2002251586A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の動作方法
CN102004749A (zh) 查询码信息检索的系统、方法和设备
KR20010000680A (ko) 인터넷상에서 익스플로러 바를 이용한 통합 마일리지 관리방법
KR102002584B1 (ko) 가맹점을 선택한 사용자에게 추가 적립금을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59597B1 (ko) 광고 수수료를 결정하는 방법 및 광고 수수료 결정 시스템
KR20130026602A (ko) 광고주와 사용자간의 거래에 대해 추가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