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418B1 -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418B1
KR100886418B1 KR1020080112498A KR20080112498A KR100886418B1 KR 100886418 B1 KR100886418 B1 KR 100886418B1 KR 1020080112498 A KR1020080112498 A KR 1020080112498A KR 20080112498 A KR20080112498 A KR 20080112498A KR 100886418 B1 KR100886418 B1 KR 10088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cost
standard
calculation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11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요기관에서 제기한 수배전반 또는 공사를 조달기관에서 구매하여 조달하는 조달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수배전반을 설계하는 설계기관, 수배전반 수요제기를 한 수요기관 및 수요기관을 위한 시공사 또는 제조회사를 선정하여 수배전반을 조달하는 조달기관이 공통의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자재를 심볼화하고 이를 이용한 설계도면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자재수량 내역이 산출되고, 이 자재수량 내역 산출에 따른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포함한 원가 내역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가 책정을 일률적이고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설계기관 컴퓨터(1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b)을 구비하여, 상기 설계기관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201)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2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수요기관 서버(2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c)을 구비하여, 상기 수요기관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301)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3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조달기관 서버(3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d)을 구비하여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300)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로 구성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수요기관, 발주처, 조달기관, 입찰회사, 캐드설계, 수량산출, 원가산정, 심볼관리

Description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Procur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ing method of cost accounting distributing board using CAD system with material counting and its cost accounting}
본 발명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수배전반용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한 수요기관(발주처)에서 CAD도면화일을 이용하여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후 수요제기를 하면 조달기관은 수배전반용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에 의한 CAD 화일의 수량, 단가 및 원가 정보를 추출후 이 정보를 바탕으로 수배전반 시공에 대한 원가계산 후 입찰공고를 하면, 이에 응찰한 다수의 시공회사 또는 제조회사 중에서 최종 낙찰자를 선정토록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달기관(조달기관은 국가의 조달청 뿐만 아니라 회사의 조달부서등도 포함한다.)에서 하는 업무의 흐름을 살펴보면 수요기관(발주처)에서 수요제 기를 하면 이를 조달기관에서 원가계산을 한 후 그 내역을 입찰공고하고 이러한 공고를 보고 응찰한 다수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내부 심사절차를 거쳐 최종 낙찰자(입찰회사)를 정하여 낙찰공고하고 계약하는 흐름을 가진다.
특히 본원발명이 다루는 수배전반 분야의 조달관리업무에 대한 종래의 처리절차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수배전반을 설명하자면 수배전반이란 발전소, 변전소 또는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등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내부에 안전 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등을 배치하여 전로(電路)의 개폐나 기기(器機)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구분된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기본구성 및 회로구성은 특허등록 10-075550호와 같은 수배전반분야 출원에 언급되어 있어서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수배전반의 종래 조달시스템을 보면 수요기관(발주처)에서 필요한 수배전반 공사를 위해 조달기관을 통해 해당 수배전반 설계를 위한 수배전반 설계회사에 대한 수요제기를 하면 조달기관은 입찰공고를 통해 수배전반 설계용역을 위한 수배전반 설계회사를 선정하게 된다.
이후 설계회사는 수요기관에서 요청한 수배전반 설계를 하게 되고, 설계된 도면을 수요기관에 제출하면 수요기관은 담당자의 설계도면에 따른 주관적 판단에 따라 수량 산출과 수배전반 제조회사의 견적 등에 의해 수량 및 원가를 산출하여 조달기관에 수요제기를 하게 된다.
이후 조달기관에서는 제출된 설계도면 및 원가산정 내역서를 바탕으로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조달기관의 기준에 따라 다시 수량산출관 원가를 계산 후 수배전반 시공 또는 제조 회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하게 된다.
이후 입찰공고에 따라 다수의 수배전반 제조 또는 시공회사가 조달기관에 수배전반 시공 또는 제조에 응찰하면 적합한 응찰자를 선택하여 낙찰자를 선정하고 계약하게 된다.
이후 시공사 또는 제조사는 조달기관에서 정한 공사비 및 설계도면에 따라 수요기관이 제기한 공사 또는 제품을 시공 또는 납품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배전반 관련 조달업무는 수배전반에 대한 수량과 원가산정에 대한 전문성 결여로 인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수요기관은 수배전반에 대한 예산 책정시 담당자의 수배전반 수량산출에 대한 전문성 결여로 적정 예산 책정이 난이하여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즉, 수배전반에 대한 전문인력이 부족한 수요기관에서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수량 산출과 수배전반 제조회사의 견적 등에 의해 수량을 산출함으로써 동일한 규격의 제품에 대해서도 수량이 다르게 산출되고, 불필요한 잡자재 등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달기관도 설계도면을 기초로 수배전반 구매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가격산출로 원가계산 금액이 약 5∼15%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담당자가 수량산출에 대한 공통적 기준없이 개별적으로 도면을 검토하여 수량을 산출함으로써 담당자의 도면검토 능력, 전문성, 성실성에 따라 수량 산출의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편차를 줄이기 위해 설계도면을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협의를 거쳐 수량을 산출하지만 이 역시 수기로 하는 관계로 업무량이 증가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에 사용되는 설계도면은 일반적으로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CAD시스템은 도면작업시 편집의 편리함과 설계도면을 파일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있지만 수요기관, 조달기관 및 제조회사 또는 설계회사 등에서 원하는 자재수량 산출과 원가산정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계도면만 작성하면 수요기관 담당자와 조달기관 담당자간의 일률적인 수량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아직 이와 같은 시스템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요기관에서 제기한 수배전반 또는 공사를 조달기관에서 구매하여 조달하는 조달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수배전반을 설계하는 설계기관, 수배전반 수요제기를 한 수요기관 및 수요기관을 위한 시공사 또는 제조회사를 선정하여 수배전반을 조달하는 조달기관이 공통의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자재를 심볼화하고 이를 이용한 설계도면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자재수량 내역이 산출되고, 이 자재수량 내역 산출에 따른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포함한 원가 내역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가 책정을 일률적이고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요기관에서 제기한 수배전반 또는 공사를 조달기관에서 구매하여 조달하는 조달관리방법에 있어서, 수배전반을 설계하는 설계기관, 수배전반 수요제기를 한 수요기관 및 수요기관을 위한 시공사 또는 제조회사를 선정하여 수배전반을 조달하는 조달기관이 공통의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자재를 심볼화하고 이를 이용한 설계도면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자재수량 내역이 산출되고, 이 자재수량 내역 산출에 따른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포함한 원가 내역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함으로써 원가 책정을 일률적이고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 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설계기관 컴퓨터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설계기관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수요기관 서버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수요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조달기관 서버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 (A) 설계기관 컴퓨터에서 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단계와;
(B) 수요기관 서버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A)단계의 설계기관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단계와;
(C) 조달기관 서버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B)단계의 수요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단계와;
(D)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C)단계의 조달기관 서버로부터 입찰공고된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수요기관에서 제기한 수배전반 또는 공사를 조달기관에서 구매하여 조달하는 조달관리 시스템 또는 방법에 있어서, 수배전반을 설계하는 설계기관, 수배전반 수요제기를 한 수요기관 및 수요기관을 위한 시공사 또는 제조회사를 선정하여 수배전반을 조달하는 조달기관이 공통의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고 이를 이용한 설계도면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자재수량 내역이 산출되고, 이 자재수량 내역 산출에 따른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포함한 원가 내역이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요기관은 담당자의 판단이나 제조회사의 견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배전반 설계 및 예산책정시 정확한 수량과 원가를 산정할 수 있어 예산낭비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과다예산 책정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수배전반 설계도면에서 장비 및 부속자재의 수량이 자동으로 산출됨으로써 조달기관의 구매담당자별 동일한 원가계산 가격을 산출하고 담당자별 검토결과에 따른 원가계산 편차 약 5∼15%를 해소하여 수배전반 원가계산의 신뢰도 향상 및 예산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수요기관은 설계회사로부터 수배전반 CAD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수배전반 설계도면을 납품받아 조달 요청시 제출하므로 별도의 수량산출이 필요 없고 조달청 구매담당자는 수요기관에서 제출한 배전반 설계도면에 의해 별도의 수량산출 없이 조달기관 적용단가 가격으로 변환하여 원가 계산하므로 수량산출 업무시간 단축으로 인한 업무 효율성 향상 효과와 수배전반 가격산출의 일관성으로 조달행정의 투명성,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설계기관 컴퓨터(1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b)을 구비하여, 상기 설계기관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201)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2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수요기관 서버(2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c)을 구비하여, 상기 수요기관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301)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3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조달기관 서버(3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d)을 구비하여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300)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요기관 서버(200)의 품셈DB서버(201) 및 시중단가DB서버(202)와 조달기관 서버(300)의 품셈DB서버(301) 및 적용단가DB서버(302) 중 각 품셈DB서버는 각 자재별 노무비에 대한 동일한 DB를 담고 있는 서버이고,
수요기관 서버(200)의 시중단가DB서버(2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다수개의 '물가지'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시중 단가로 이루어진 DB를 저장한 서버이고,
조달기관 서버(300)의 적용단가DB서버(3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조달기관의 기준에 따른 DB를 저장한 서버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수요기관 서버(200)에서 수요제기된 CAD화일로부터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조달기관 서버(300)의 품셈DB서버(301) 및 적용단가DB서버(302) 기준에 따른 정보로 수정시 동일한 자료를 공유하므로 신뢰성이 높은 원가계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찰과 응찰 및 낙찰에 대한 구체적인 조달기관과 수요기관 응찰기관과의 구체적인 내부 처리과정을 한정하지 않는데, 이러한 내부처리과정의 여러 실시형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4990호, 10-0439565호, 10-0764481호 및 10-063458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 중 각각의 컴퓨터 또는 서버는 통상적인 컴퓨터와 화면 그리고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이외에 컴퓨터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CPU에 1차적으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주기억장치인 램, 프로그램이 담겨 있는 외부 보조기억장치인 롬, 컴퓨터본체 내부에 장치되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등의 DB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 컴퓨터 본체와 외부기기와의 입출력을 담담하는 입출력장치, 비디오카드, 오디오카드, 기타 외부기기등의 기본적인 구성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상의 공지 구성이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설계기관 컴퓨터(100), 수요기관 서버(200), 조달기관 서버(300) 및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 간에는 전용선 또는 범용 인터넷망을 통해 서로간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 구성을 이루는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설계기관 컴퓨터(100), 수요기관 서버(200), 조달기관 서 버(300) 및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는 내부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프로그램에 의해 스스로가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위 또는 하위 컴퓨터들과 네크워크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한 본원발명에 따른 설계기관 컴퓨터(100), 수요기관 서버(200), 조달기관 서버(300) 및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에 공통으로 구비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 10b, 10c, 10d)에 대하여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각 컴퓨터에 구비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계기관 컴퓨터(100), 수요기관 서버(200), 조달기관 서버(300) 및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에 공통으로 구비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 10b, 10c, 10d)은 컴퓨터 본체안에 구성된 설계하고자 하는 자재의 심볼을 CAD시스템의 '그림도시모듈'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도시후 블록화하거나 자재에 대해 기 심볼화된 심볼을 이용하여 CAD화일을 편집하는 편집수단(1)과; 편집수단에 의해 도시된 자재심볼에 대하여 자재목록DB(22)을 참조하여 자재심볼DB(21)에 저장하는 심볼저장수단(2)과; 완성된 CAD화일으로부터 각 자재심볼별 수량을 산출하여 수량산출DB(31)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수량산출수단과(3); 수량산출DB(31)를 이용하여 원가DB(41)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원가계산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CAD시스템이 구비됨으로 인해 설계회사는 수요기관에서 요청한 설계시 자재를 심볼화하여 수량 산출 및 원가산출 정보가 들어있는 CAD화일로 작성하되, 타CAD 프로그램과 호환이 가능한 DWG(또는 dxf) 파일포맷으로 작성후 저장하여 수요기관, 조달기관, 또는 제조회사ㆍ시공회사에 제출하면 수요기관, 조달기관, 또는 제조회사ㆍ시공회사는 제출된 CAD화일을 읽어서 자동으로 자재수량 및 원가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편집수단(1)의 그림도시모듈은 도면을 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DRAW모듈; 그려진 요소를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EDIT모듈; 도면의 레이어ㆍ블록ㆍ스타일 작업을 수행하는 TOOL모듈; 화면 조절 작업을 수행하는 VIEW모듈; 그려진 도면의 저장ㆍ열기 작업을 수행하는 FILE모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범용의 CAD시스템의 메뉴 및 기능과 호환성을 가지게 구성하였다.
또한 편집수단(1)에서 그림도시모듈을 이용하여 자재심볼을 그릴 경우 기 심볼화되어 등록된 심볼은 자재목록DB(22)에서 불러와 도시하면 되고, 기 화면에 도시된 자재심볼은 이를 복사하여 도시하면 된다.
또는 수배전반DB(23)에서 기 등록된 수배전반 설계도면을 불러와 도시할 수 있다.
상기 심볼저장수단(2)의 '자재심볼DB'는 분류된 블록화된 개별 자재심볼을 저장하는 '심볼'필드와; 이'심볼'자재에 대해 다단계 분류한 '품명'필드와; 이 품명'필드 생성시 자재목록DB(22) 참조에 의해 불려와 저장되는 '표준 심볼'필드, '표준규격'필드, '표준단위'필드, '표준단가'필드,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와, 도시된 실제 자재심볼에 대한 필드값인'심볼 규격'필드,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필드',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필드,'단가'필드,'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와 이러한 필드 값들에 해당하는 레코드값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별 자재심볼에 대해 다단계 분류한 '품명'필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순서의 필드값으로 분류후 저장된 개별 품명 코드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대분류는 자재를 조달기관 분류기준으로 분류한 품명이고, 중분류는 대분류된 자재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조달기관 분류기준으로 나눈 품명이고, 소분류는 중분류된 자재 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조달기관 분류기준으로 나눈 품명이다.
또한 심볼저장수단의 '자재목록DB'는 조달기관의 수많은 자재에 대해 분류된 표준품명,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에 따른 자재별 레코드가 수록된 DB이다.
따라서 '자재심볼DB'에 저장된 '자재심볼'은 하나의 '자재'에 하나의 '심볼'만 존재하게 된다.
상기 수량산출수단의 수량산출DB는 완성된 CAD화일에 도시된 자재심볼을 소분류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로 저장된다. 이러한 필드 중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필드는 전술한 '자재심볼DB'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비고'필드는 '자재심볼DB'의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와 같은 참고사항을 적는 필드이다.
이때 수량산출DB의 '품명' 필드에는 자재목록DB 저장시 공률필드의 노무비 관련 정보에 따른 노무비 레코드가 생성되고, 노무비 레코드에는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값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노무비 관련 정보가 수량산출DB의 품명필드에 포함됨으로 인해 수량산출시 노무비까지 산출되어 원가계산시 원가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중 재료비와 노무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에는 주 자재만 도시되고 주 자재를 설치하기 위한 부속자재가 미도시 되었다 할지라도 실제 수량산출시는 이러한 부속자재 정보까지 자동으로 산출되어 선택적으로 또는 주자재 다음 또는 주자재와 함께 자동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원가계산수단의 원가DB는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비목', '%', '금액' 필드로 구성되고, '비목'에 해당하는 레코드는 '순공사원가', '재료비', '노무비', '직접노무비', '간접노무비', '경비', '산출경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 건강보험료', '연금보혐료', '퇴직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총원가', '부가가치세', '합계' 레코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량산출단계에서 파악된 재료비와 노무비에 경비까지 포함하여 원가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가DB'에 의한 원가계산은 예전에는 일일이 도면을 파악하여 수작업으로 계산하던 것으로, 동일인이라 할지라도 계산시마다 오차가 있을 수 있고, 동일인이 아닐 경우는 더더욱 오차가 클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되었다.
또한 생성된 '수량산출DB' 또는 '원가DB'를 모니터 화면이나 프린터에 출력하게 구성함으로 설계에 따른 자재의 수량과 이에 따른 원가 분석이 가능하고, 정보의 자료교환을 위해 생성된 수량산출DB 또는 원가DB를 스프레드시트(예: 엑셀)화일 또는 범용DB화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한 장치구성을 도 3와 같이 다른 실시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A) 설계기관 컴퓨터(100)에서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단계와;
(B) 수요기관 서버(200)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b)을 구비하여, 상기 (A)단계의 설계기관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201)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2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단계와;
(C) 조달기관 서버(300)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c)을 구비하여, 상기 (B)단계의 수요기관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301)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3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단계와;
(D)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d)을 구비하여 상기 (C)단계의 조달기관 서버(300)로부터 입찰공고된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300)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수요기관 서버(200)의 품셈DB서버(201) 및 시중단가DB서버(202)와 조달기관 서버(300)의 품셈DB서버(301) 및 적용단가DB서버(302) 중 각 품셈DB서버는 각 자재별 노무비에 대한 동일한 DB를 담고 있는 서버이고,
수요기관 서버(200)의 시중단가DB서버(2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다수개의 '물가지'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시중 단가로 이루어진 DB를 저장한 서버이고,
조달기관 서버(300)의 적용단가DB서버(3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조달기관의 기준에 따른 DB를 저장한 서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로, 상기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방법은 설계하고자 하는 자재의 심볼을 CAD시스템의 '그림도시모듈'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도시후 블록화하거나 자재에 대해 기 심볼화된 심볼을 이용하여 CAD화일을 편집하는 편집단계(S100)와; 상기 편집단계에 의해 도시된 자재심볼에 대하여 자재목록DB(22)을 참조하여 자재심볼DB(21)에 저장하는 심볼저장단계(S200)와; 완성된 CAD화일으로부터 각 자재심볼별 수량을 산출하여 수량산출DB(31)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수량산출단계(S300)와; 수량산출DB를 이용하여 원가DB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원가계산단계(S400)를 포함하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심볼저장단계의 자재심볼DB'는 분류된 블록화된 개별 자재심볼을 저장하는 '심볼'필드와, 이'심볼'자재에 대해 3단계 분류한 '품명'필드와, 이 '품명'필드가 참조된 자재목록DB(22)의 기본 필드인 '표준 심볼'필드, '표준규격'필드, '표준단위'필드, '표준단가'필드,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 수)'필드와, 도시된 자재심볼에 대한 필드값인'심볼 규격'필드,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필드',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필드,'단가'필드,'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와 이러한 필드 값들에 해당하는 레코드값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분류는 대분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재를 조달기관 분류기준으로 20종으로 분류한 품명이고, 중분류는 대분류된 자재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조달기관 분류기준으로 30종으로 나눈 품명이고, 소분류는 중분류된 자재 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조달기관 분류기준으로 100종으로 나눈 품명이다.
상기 심볼저장단계의 자재목록D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달기관의 수많은 자재에 대해 분류된 표준품명,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에 따른 자재별 레코드가 수록된 DB이다.
상기 편집단계에서 기등록된 자재심볼은 자재심볼DB에서 불러오거나, 기 화면에 도시된 자재심볼을 복사하여 도시한다.
상기 수량산출 단계의 수량산출D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CAD화일에 도시된 자재심볼을 소분류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로 저장된다. 이러한 필드 중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필드는 전술한 '자재심볼DB'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비고'필드는 '자 재심볼DB'의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와 같은 참고사항을 적는 필드이다.
상기 수량산출DB의 '품명' 필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재목록DB 저장시 공률필드의 노무비 관련 정보에 따른 노무비 레코드가 생성되고, 노무비 레코드에는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값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노무비 관련 정보가 수량산출DB의 품명필드에 포함됨으로 인해 수량산출시 노무비까지 산출되어 원가계산시 원가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중 재료비와 노무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게 된다.
자재목록DB 저장시 공률필드의 노무비 관련 정보에 따른 노무비 레코드가 생성되고, 노무비 레코드에는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값이 생성된다.
상기 원가계산단계의 원가D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비목', '%', '금액' 필드로 구성되고, '비목'에 해당하는 레코드는 '순공사원가', '재료비', '노무비', '직접노무비', '간접노무비', '경비', '산출경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건강보험료', '연금보혐료', '퇴직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총원가', '부가가치세', '합계' 레코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량산출단계에서 파악된 재료비와 노무비에 경비까지 포함하여 원가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가DB'에 의한 원가계산은 예전에는 일일이 도면을 파악하여 수작업으로 계산하던 것으로, 동일인이라 할지라도 계산시마다 오차가 있을 수 있고, 동일인이 아닐 경우는 더더욱 오차가 클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되었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자재심볼DB 및 자재목록DB를 사용하여 자재별로 심볼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DRAW모듈을 이용하여 심볼을 그린 후 TOOL모듈 안의 메뉴인 '블록을 도면으로 저장' 메뉴를 선택후 자재목록DB'목록의 분류에 따른 소분류 코드를 지정하여 심볼을 '자재목록DB'의 코드에 대응하는 '자재심볼DB'에 등록한다.
'자재심볼DB'에 대응하여 존재하는 '자재심볼DB'는 자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품명'을 '자재목록DB'에 도시된 대, 중, 소분류로 구분하며 대분류는 20종, 중분류는 대분류 별로 30종, 소분류는 중분류별 100종으로 최대 60,000개의 자재를 분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최종 저장필드는 소분류이며, 이러한 소분류는 대분류 및 중분류 단계를 거친 후에만 등록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소분류된 상위 단계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대분류된 '03 정지기기'는 다시 중분류의 '03-03 기중차단기'로 분류되고, 다시 소분류의 '03-03-001 ACB 3P 600AF D/O 표준형'으로 분류되어 해당 자재심볼에 대한 품명을 부여받게 된다.
이때 특정한 심볼을 도시후 블록화하여 심볼을 '자재심볼DB'에 등록하는 방법 대신에 '자재목록DB'의'표준심볼'을 불러와 화면상에 도시후 이를 '자재심볼DB'에 등록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심볼을 '자재심볼DB'에 등록하는 방법은 CAD도면 작성자가 임의의 도면을 도시후 블록화하여'자재심볼DB'에 '자재목록DB'의 분류에 따라 '품명'필드를 정한후 나머지 필드를 등록 또는 수정하거나 '자재목록DB' 상의'표준심볼'을 불러와 도시후 '자재심볼DB'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재심볼DB'에 등록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먼저, '자재심볼DB'에 심볼을 등록시 참조하여 불러오는 '자재목록DB'는 조달기관의 수많은 자재에 대해 분류된 표준품명,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에 따른 자재별 레코드가 수록된 DB로 이'자재목록DB'는 수시로 변할 수 있으므로 최근 업데이트 정보의 것을 저장후 사용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심볼을 저장하기 위해 도시된 심볼 또는 '자재목록DB'에서 블러온 표준심볼을 이용하여 임의의 자재 심볼에 '품명'필드를 등록하게 되면, 여기에'자재목록DB'의 기본 필드인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가 '자재심볼DB'의 필드에 들어와 저장되게 된다.
이때 '자재목록DB'의 표준필드값 정보가 CAD작성자가 등록한 심볼과 필드값 이 동일하면 조달기관의 '자재목록DB'에 나타난 단가로 자재심볼DB'에 등록된 해당 자재에 대한 단가로 산정된다.
하지만 실제 CAD설계되는 심볼등이 조달기관의 '자재목록DB'와 동일하게만 설계되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 설계에 따른 보정이 이루어져만 정확한 단가 산정이 이루져 원가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그러한 경우에 따른 등록방법 및 단가 산정을 살펴본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임의의 심볼을 블록화하여 '자재심볼DB'에 '심볼'로 등록하고, 이에 대한 '품명'을 등록하면'자재목록DB'의 기본 필드인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가 '자재심볼DB'의 필드에 들어와 저장되게 된다. 이후 실제 설계된 자재의 규격이 다르면, 이에 따라 '자재심볼DB'의 필드를 구성하는 '심볼 규격',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에 따라 '단가'가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볼 규격'필드는 실제로 설계된 규격을 기입하는 필드이고,
상기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필드는 표준규격과 실제 설계규격과의 차이를 비교한 숫자 비율로 예를 들어 철판일 경우 '면적', 조립품일 경우 ' 조립에 사용된 부품수량', 액체 또는 분말일 경우 '용량', 파이프나 철사일 경우 '직경 이나 길이'와 같이 객관화된 규격 수치에 따른 비교에 의한 수치이다. 즉, '표준심볼'보다 1.5배 크면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는 1.5이고, '표준심볼'보다 반이면 0.5이다. 이러한 정보는 수치 비교에 의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생성된다.
상기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는 예로 들어 철판이나, 벽돌 등과 같은 면적 도는 부피 자재일 경우 표준 자재보다 작은 형상을 가지게 가공된 심볼일 경우 실제 면적 또는 부피가 표준 자재보다 1/4에 불과하지만 이러한 자재를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자재는 표준자재의 1/2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보정계수를 1.1 , 1.2, 1.3, 2, 3, 4.....과 같이 더 가산하여 주는 보정계수이다. 이러한 보정계수는 해당 자재의 가공에 따른 통계수치에 의해 보정계수를 정하여 준다. 예를 들어 어떤 규격의 철판인 경우 보정계수를 1.2로 어떤 자재에 대해서는 1.3으로 와 같이 해당 자재의 가공에 따른 통계수치를 감안하여 정하여 주면 된다. 쉽게 설명하자면 이러한 보정계수는 단가 산정시 100원의 단가가 들었지만 가공시 사용되는 자재의 실제 비용을 감안하여 1.2의 보정계수를 통해 120원으로 단가 산정에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가산정은 '자재목록DB'와 '자재심볼DB'의 규격이 동일하면 '자재목록DB'의 '표준단가'가 자재심볼DB'의'단가'필드의 단가로 계산되고,
'자재목록DB'와 '자재심볼DB'의 규격이 다르면, 자재목록DB'의 '표준단가' ×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를 계산한 것이 자재심볼DB'의'단가'필드의 단가로 계산된다.
즉, 자재목록DB'의 '표준단가'가 1000원이고,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가 1.2이고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가 1.5라면 자재심볼DB'의'단가'필드에 계산되어 저장되는 단가는 1800원이다.
여기서 상기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가 모두 해당되면 2가지를 '표준단가'에 곱하고, 둘중 하나만 해당되면 하나만 '표준단가'에 곱하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각각의'필드' 값은 나중에 수량산출시나 원가계산 화면 출력시 필요한 '필드'만 선택적으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필드화면 출력사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출력되지 않은 필드를 선택하면 수량산출이나 단가 산정등에 사용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서 수배전반 설계도를 불러와 자재별로 심볼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와 같은 방법이 아닌 또 다른 방법으로 수배전반DB(23)를 통해 설계도면을 작성하여 자재심볼DB 및 자재목록DB를 사용하여 자재별로 심볼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도시 방법은 메뉴에서 수배전반DB을 누른 후 등록하고자 하는 수배전반을 선택하고 마우스로 도면의 등록할 위치에 클릭하면 수배전반별로 설계도면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후 불러온 도면의 각 심볼에 대한 수정사항이 있으면 도 3a의 자재심볼DB 및 자재목록DB 방법에 따라 수정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에서 자동으로 자재수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에서 자동으로 자재수량을 산출함과 동시에 부속자재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에서 단가 및 금액을 포함하여 산출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수량산출방법은 CAD상에 도시된, 즉 서로 다른 좌표를 가지는 위치에 도시된 '자재심볼DB'에 등록된 개별 심볼의 품명과 규격 필드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심볼과 다른 심볼을 분류 후 동일한 심볼중 복수개의 심볼은 하나의 심볼을 대표로 표시하면서 수량을 복수로 산출하고, 단수개의 심볼은 단수개의 수량으로 수량산출을 한다.
또 다른 형태의 수량산출방법으로는 개별'자재심볼DB'의 정보를 기초로 도면상의 동일하지 않은 좌표에 그려진 기본'자재심볼DB'정보를 포함하여 그려진 다각형 또는 폐곡선이 있을 경우 폐곡선이 그려진 면적을 계산하여 '자재심볼DB'에 정의된 심볼의 수량 1개에 대한 규격 면적으로 나누어 전체의 수량을 계산하면 된다.
즉, 임의의'자재심볼'규격이 가로 10m 세로 10m일 경우 이러한 속성을 포함한 전체 다각형 또는 폐곡선의 면적을 규정된 규격으로 나누어 수량을 계산하고, 나누어지지 않을 경우 설정된 소숫점 자리(예: 소수점 한자리 또는 두자리와 같은 형태)까지 표시한 수량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수량산출이 끝다면 '단가' 곱하기 '수량'을 하면 금액이 자동 계산되어 '수량산출DB'에 저장된다.
이후 '수량산출DB'의 필드 중 필요한 필드를 정하여 화면에 출력하면 된다.
또한 화면에 출력되는 형태는 대표적인 자재심볼에 해당하는 심볼만을 집계하여 자재심볼이 필드에 따라 기록된 레코드별 '품명', '규격', '단위', '수량'을 출력하거나, 이후 부속 자재만을 집계하여 품명', '규격', '단위', '수량'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대표 자재심볼 및 부속자재심볼 모두를 함께 집계하여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를 출력한다. 이러한 필드 중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필드는 전술한 '자재심볼DB'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비고'필드는 '자재심볼DB'의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와 같은 참고사항을 적는 필드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원가DB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전술한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비목', '%', '금액' 필드로 구성되고, '비목'에 해당하는 레코드는 '순공사원가', '재료비', '노무비', '직접노무비', '간접노무비', '경비', '산출경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건강보험료', '연금보혐료', '퇴직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총원가', '부가가치세', '합계 레코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량산출단계에서 파악된 재료비와 노무비에 경비까지 포함하여 원가계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순공사원가'레코드는 '재료비'와 '직접노무비'및 '간접노무비'를 합친'노무비'와, '산출경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건강보험료', '연금보혐료', '퇴직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타경비'를 합친 경비'의 합계이다.
또한 상기에서 '간접노무비'는 '직접노무비'금액에 '간접노무비' 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산재보험료'는 '노무비" 금액에 '산재보험료'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고용보험료'는 노무비" 금액에 '고용보험료'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건강보험료'는 '직접노무비'금액에 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연금보혐료'는 '직접노무비'금액에 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퇴직공제부금비''직접노무비'금액에 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산업안전보건관리비'는 기초금액에 '재료비'와 '직접노무비'금액을 더한후 산업안전보건관리비'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기타경비'는 '재료비'와 '노무비'금액을 더한후 '기타경비'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일반관리비'는 '순공사원가'금액에 '일반관리비'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이윤'은 '노무비'와 '경비'와 '일반관리비'금액에 에 '이윤'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총원가'는 '순공사원가'와 '일반관리비'와 '이윤'을 더한 값이고,
또한 상기에서 '부가가치세'는 '총원가'금액에 '부가가치세'레코드에 기재된'%'필드의 값을 곱한 값이고,
또한 상기 '합계'는 '총원가'와 '부가가치세'금액을 더한 값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편집수단을 구성하는 그림도시모듈 즉, DRAW모듈; 그려진 요소를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EDIT모듈; 도면의 레이어ㆍ블록ㆍ스타일 작업을 수행하는 TOOL모듈; 화면 조절 작업을 수행하는 VIEW모듈; 그려진 도면의 저장ㆍ열기 작업을 수행하는 FILE모듈에 대한 설명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DRAW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그리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DRAW모듈은 점ㆍ선ㆍ폴리선ㆍ사각형ㆍ원ㆍ호ㆍ타원ㆍ다각형ㆍ도넛ㆍ내접원ㆍ방사선ㆍ지시선ㆍ채우기ㆍ문자ㆍ치수 등을 포함하여 그리는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점 메뉴는 점을 그릴 때 사용하고, 선 메뉴는 선을 그릴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마우스로 클릭하는 방법과 길이ㆍ각도를 입력하는 방법과 좌표값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폴리선 메뉴는 폴리선을 그릴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마우스로 클릭하는 방법과 길이ㆍ각도를 입력하는 방법과 좌표값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사각형 메뉴는 사각형을 그릴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마우스로 클릭하는 방법과 가로ㆍ세로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원 메뉴는 원을 그릴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마우스로 클릭하는 방법과 반지름을 입력하는 방법이 있으며 중심점과 반지름ㆍ2점ㆍ3점으로 지정할 수 있고, 호 메뉴는 중심점ㆍ반지름ㆍ시작각ㆍ끝각으로 그리는 방법과 3점으로 그리는 방법이 있으며, 타원 메뉴는 타원을 그릴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중심점ㆍ한축의 끝점ㆍ다른축의 거리로 그리고, 다각형 메뉴는 3각형∼99각형을 그릴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중심점ㆍ반지름으로 그리고, 도넛 메뉴는 도넛을 중심점ㆍ외경ㆍ내경으로 그리고, 내접원 메뉴는 선택한 두 선을 접하는 내접원을 반지름 기준으로 그리고, 방사선 메뉴는 선택한 점ㆍ방사선 수ㆍ길이로 방사선을 그리고, 지시선은 화살표를 갖는 지시선을 그리고, 채우기는 선으로 닫혀진 공간을 채우기 모드에서 선택한 방법으로 채우고, 문자 메뉴는 지정한 문자스타일로 문자를 등록하고, 퀵치수 메뉴는 선 또는 폴리선의 길이를 선택하면 평행으로 치수를 그리고, 수평치수 메뉴는 선택한 요소의 길이를 수평으로 그리고, 수직치수 메뉴는 선택한 요소의 길이를 수직으로 그리고, 평행치수 메뉴는 선택한 요소의 길이를 요소와 평행으로 그리고, 지름치수 메뉴는 선택한 원 또는 호의 지름을 그리고, 반지름치수 메뉴는 선택한 원 또는 호의 반지름을 그리고 각도치수 메뉴는 선택한 두 요소의 각도를 그린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EDIT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수정ㆍ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EDIT모듈은 삭제ㆍ복사ㆍ이동ㆍ회전ㆍ간격띄우기ㆍ배열ㆍ대칭ㆍ축척ㆍ신축ㆍ나누기ㆍ자르기ㆍ연장ㆍ모깍기ㆍ끊기ㆍ분해ㆍ 위치이동ㆍ폴리선 편집ㆍ바꾸기ㆍ길이ㆍ면적 등을 포함하여 그려진 요소를 편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UnDo메뉴는 바로 전 작업을 복구하고, ReDo메뉴는 UnDo메뉴로 취소한 바로 전 작업을 취소하고, 전부삭제 메뉴는 도면의 모든 요소를 전부 삭제하고, 삭제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만 삭제하고, 복사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복사하고, 이동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곳으로 이동하고, 회전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각도로 회전하고, 간격띄우기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과 평행하게 지정하는 방향ㆍ간격으로 복사하고, 원형배열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배열 수ㆍ각도로 원형으로 복사하고, 사각배열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가로 수ㆍ세로 수ㆍ가로 간격ㆍ세로 간격으로 복사하고, 대칭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축으로 복사하고, 축척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값으로 확대ㆍ축소하고, 신축 메뉴는 선택한 요소들을 지정하는 값으로 늘이기ㆍ줄이기를 하고, 나누기 메뉴는 선택한 요소를 지정한 수로 나누어 점으로 표시하고, 자르기 메뉴는 선택한 두 요소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선택한 부분을 자르고, 연장 메뉴는 선택한 요소를 지정하는 요소의 교차점까지 연장하고, 모깍기 메뉴는 선택한 두요소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선 또는 호로 다듬고, 분해 메뉴는 블록의 집합된 요소를 개별 요소로 분해하고, 위치이동 메뉴는 채우기 작업이 된 요소의 위치를 앞ㆍ뒤로 바꾸고, 폴리선 편집 메뉴는 폴리선의 모든 교차점을 호로 변경ㆍ폴리선의 선택 교 차점을 호로 변경ㆍ폴리선의 선택 교차점 이동ㆍ폴리선의 교차점 삽입을 하고, Entity 바꾸기 메뉴는 색상ㆍ레이어ㆍ문자를 바꾸고, 스타일 바꾸기 메뉴는 치수ㆍ문자ㆍ펜ㆍ채우기 스타일을 바꾸고, 속성 보기 메뉴는 선택한 요소의 속성을 보고, 면적구하기 메뉴는 선택한 요소의 면적을 구하고, 길이 구하기 메뉴는 선택한 요소의 길이를 구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TOOL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의 레이어ㆍ블록ㆍ스타일 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TOOL모듈은 레이어ㆍ블록ㆍ스타일ㆍ격자ㆍ스냅ㆍOSNAP 등을 포함한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면SET 메뉴는 도면의 범위ㆍ문자의 정렬ㆍSnap간격ㆍ격자 간격ㆍGrip의 색상과 크기ㆍCross와 Pick의 크기를 관리하고, 레이어 메뉴는 레이어의 추가ㆍ수정ㆍ삭제ㆍ지정을 관리하고, 색상 메뉴는 색의 지정을 관리하고, 문자높이 메뉴는 문자 높이값을 지정하고, Line Type Scale 메뉴는 Line 형태의 Scale 값을 지정하고, 펜 두께는 펜 두께값을 지정하고, 포인트 스타일 메뉴는 점의 형태와 크기를 지정하고, 치수 스타일 메뉴는 치수 스타일의 추가ㆍ수정ㆍ삭제ㆍ지정을 관리하고, 문자 스타일은 문자 스타일의 추가ㆍ수정ㆍ삭제ㆍ지정을 관리하고, 채우기 스타일은 채우기 모드ㆍ채우는 색ㆍ채우는 배경색을 지정하고, 선 스타일 메뉴는 실선ㆍ중심선ㆍ쇄선 등을 지정하고, 블록 만들기 메뉴는 선택한 요소 들을 그룹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블록으로 지정하고, 블록을 도면으로 지정하는 메뉴는 블록을 외부 도면으로 저장하고, 블록 읽기 메뉴는 설계도면 안에서 만들어진 블록을 불러오고, 블록을 도면으로 읽기 메뉴는 외부 도면을 블록으로 불러올 때 사용하고, 그림파일 읽기 메뉴는 외부에서 만들어진 그림파일을 설계도면 내부로 불러올 때 사용하고, 격자 메뉴는 도면에 격자표시를 할 때 사용하고, Snap메뉴는 마우스를 일정 간격으로 움직일 때 사용하고, 직교메뉴는 마우스를 수평ㆍ수직으로 움직일 때 사용하고, Osnap끄기 메뉴는 지정된 Osnap을 끌 때 사용하고, Osnap점 메뉴는 요소의 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끝점 메뉴는 선ㆍ폴리선의 끝 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중앙점 메뉴는 선ㆍ폴리선의 중앙 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중심점 메뉴는 원ㆍ호의 중심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근처점 메뉴는 요소의 가장 가까운 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사분점 메뉴는 원의 사분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교차점 메뉴는 선ㆍ폴리선의 교차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Osnap접점 메뉴는 원과 선이 만나는 점으로 Osnap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VIEW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과 FILE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저장ㆍ열기 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 VIEW모듈은 다시그리기ㆍ확대ㆍ축소ㆍ범위ㆍ전체ㆍPAN 등을 포함한 화면 보기 작업을 수행하고, FILE모듈은 열기ㆍ저장ㆍ인쇄 등을 포함한 작업 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ReDraw메뉴는 도면에 표시된 요소들을 다시 표시할 때 사용하고, 창메뉴는 도면에 표시된 요소들을 마우스로 지정한 사각틀 범위안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때 사용하고, 이전메뉴는 바로 앞의 화면에서 보여준 요소들을 표시할 때 사용하고, 범위메뉴는 설계도면에서 그려진 요소들을 한 화면에 전부 표시할 때 사용하고, 전체메뉴는 도면범위 전체를 한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하고, 확대메뉴는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여 표시할 때 사용하고, 축소메뉴는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표시할 때 사용하고, Pan메뉴는 도면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는 방향으로 표시할 때 사용한다.
또한 FILE모듈의 새 파일메뉴는 새로운 도면을 작업할 때 사용하고, 열기메뉴는 기 저장된 도면을 블러올 때 사용하고, 저장메뉴는 작업한 도면을 저장할 때 사용하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메뉴는 작업한 도면을 다른이름으로 저장할 때 사용하고, 인쇄메뉴는 설계도면을 플로터 또는 프린터로 출력할 때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각 컴퓨터에 구비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서 자재심볼DB 및 자재목록DB를 사용하여 자재별로 심볼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서 수배전반 설계도를 불러와 자재별로 심볼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에서 자동으로 자재수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에서 자동으로 자재수량을 산출함과 동시에 부속자재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사용하여 작성된 설계도면에서 단가 및 금액을 포함하여 산출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원가DB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 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서 DRAW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그리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EDIT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수정ㆍ편집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TOOL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의 레이어ㆍ블록ㆍ스타일 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VIEW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과 FILE모듈을 사용하여 설계도면을 저장ㆍ열기 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집수단 (2) : 심볼저장수단
(3) : 수량산출수단 (4) : 원가계산수단
(10a, 10b, 10c, 10d) :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
(21) : 자재심볼DB (22) : 자재목록DB
(23) : 수배전반DB (31) : 수량산출DB
(41) : 원가DB (100) : 설계기관 컴퓨터
(200) : 수요기관 서버 (201) : 품셈DB서버
(202) : 시중단가DB서버 (300) : 조달기관 서버
(301) : 품셈DB서버 (302) : 적용단가DB서버
(400) :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
(A) : 설계기관의 심볼화에 의한 설계단계
(B) : 수요기관의 수량산출, 원가계산에 의한 수요제기단계
(C) : 조달기관의 수량산출, 원가계산에 의한 입찰공고단계
(D) : 시공 또는 제조사의 응찰 단계
(S100) : 편집단계 (S200) : 심볼저장단계
(S300) : 수량산출 단계 (S400) : 원가계산단계

Claims (30)

  1.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설계기관 컴퓨터(1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b)을 구비하여, 상기 설계기관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201)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2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수요기관 서버(2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c)을 구비하여, 상기 수요기관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301)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3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조달기관 서버(300)와;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d)을 구비하여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300)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요기관 서버(200)의 품셈DB서버(201) 및 시중단가DB서버(202)와 조달기관 서버(300)의 품셈DB서버(301) 및 적용단가DB서버(302) 중 각 품셈DB서버는 각 자재별 노무비에 대한 동일한 DB를 담고 있는 서버이고,
    수요기관 서버(200)의 시중단가DB서버(2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시중 단가로 이루어진 DB를 저장한 서버이고,
    조달기관 서버(300)의 적용단가DB서버(3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조달기관의 기준에 따른 DB를 저장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 10b, 10c, 10d)은,
    설계하고자 하는 자재의 심볼을 CAD시스템의 그림도시모듈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도시후 블록화하거나 자재에 대해 기 심볼화된 심볼을 이용하여 CAD화일을 편집하는 편집수단(1)과;
    편집수단에 의해 도시된 자재심볼에 대하여 자재목록DB(22)를 참조하여 자재심볼DB(21)에 저장하는 심볼저장수단(2)과;
    완성된 CAD화일으로부터 각 자재심볼별 수량을 산출하여 수량산출DB(31)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수량산출수단(3)과;
    수량산출DB(31)를 이용하여 원가DB(41)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원가계산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심볼저장수단의 자재심볼DB는,
    블록화된 개별 자재심볼을 저장하는 '심볼'필드와;
    상기 '심볼'필드 자재에 대해 다단계 분류한 '품명'필드와;
    상기 '품명'필드 생성시 자재목록DB(22) 참조에 의해 불려와 저장되는 '표준 심볼'필드, '표준규격'필드, '표준단위'필드, '표준단가'필드,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와;
    도시된 실제 자재심볼에 대한 필드값인'심볼 규격'필드,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필드,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필드,'단가'필드,'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로 구성되고, 이러한 각 필드 값들에 해당하는 레코드값으로 구성된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가'필드는 실제 설계된 '심볼' 자재의 규격이 '표준규격'필드와 동일하면 '표준단가'의 금액이 생성되고,
    실제 설계된 '심볼' 자재의 규격이 '표준규격'필드와 다르면 '표준단가'에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또는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곱한 값의 금액이 생성된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수단에서 수량산출은 CAD상에 도시된, 서로 다른 좌표를 가지는 위치에 도시된 '자재심볼DB'에 등록된 개별 심볼의 '심볼품명'과 '심볼규격' 필드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심볼과 다른 심볼인지를 분류 후, 동일한 심볼중 복수개의 심볼은 하나의 심볼을 대표로 표시하면서 수량을 복수로 산출하고, 단수개 도시된 심볼들은 단수개의 수량으로 계산하여 산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수단에서 수량산출은 CAD상에 도시된 개별'자재심볼DB'의 규격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일하지 않은 좌표에 그려진 다각형 또는 폐곡선일 경우 그 려진 면적을 계산하여 '자재심볼DB'에 정의된 '심볼규격'의 수량 1개에 대한 규격 면적으로 나누어 전체의 수량을 계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분류한 '품명'필드는 자재를 분류한 대분류와; 대분류된 자재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나눈 중분류, 중분류된 자재 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나눈 소분류로 분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심볼저장수단의 '자재목록DB'는 조달기관의 수많은 자재에 대해 분류된 '표준품명',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에 따른 자재별 레코드가 수록된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편집수단(1)에서 기 심볼화되어 등록된 심볼은 자재목록DB(22)에서 불러와 도시하거나, 기 화면에 도시된 자재심볼은 이를 복사하여 도시하거나, 수배전반DB(23)에서 기 등록된 수배전반 설계도면을 불러와 도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 수단의 수량산출DB는 완성된 CAD화일에 도시된 자재심볼을 소분류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로 저장하되,
    상기 필드 중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필드는 '자재심볼DB'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비고'필드는 '자재심볼DB'의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와 같은 참고사항을 적는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DB의 품명 필드에는 자재목록DB 저장시 공률필드의 노무비 관 련 정보에 따른 노무비 레코드가 생성되고, 노무비 레코드에는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값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가계산수단의 원가DB는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비목', '%', '금액' 필드로 구성되고, '비목'에 해당하는 레코드는 '순공사원가', '재료비', '노무비', '직접노무비', '간접노무비', '경비', '산출경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건강보험료', '연금보혐료', '퇴직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총원가', '부가가치세', '합계' 레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CAD화일은 확장자가 범용의 dwg 또는 dxf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생성된 수량산출DB 또는 원가DB를 모니터 화면이나 프린터에 출력하는 것이고,
    저장은 생성된 수량산출DB 또는 원가DB를 스프레드시트 화일 또는 범용DB화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
  16. (A) 설계기관 컴퓨터(100)에서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을 구비하여 수배전반 자재를 심볼화하면서 등록하여 설계하는 단계와;
    (B) 수요기관 서버(200)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b)을 구비하여, 상기 (A)단계의 설계기관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201)의 품셈 및 시중단가DB서버(2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시중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이 CAD화일을 조달기관 서버에 전송하여 수요 제기하는 단계와;
    (C) 조달기관 서버(300)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c)을 구비하여, 상기 (B)단계의 수요기관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CAD화일로부터 자동으로 수배전반 자재의 수량, 재료비 및 노무비를 추출 후, 품셈DB서버(301)의 품셈 및 적용단가DB서버(302)의 단가와 비교하여 최종 적용단가로 원가계산한 다음, 수배전반 시공 또는 납품을 입찰공고하는 단계와;
    (D) 시공 또는 제조사 컴퓨터(400)가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을 처리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d)을 구비하여 상기 (C)단계의 조달기관 서버(300)로부터 입찰공고된 적용단가를 참조후 조달기관 서버(300)에 수배전반 관련 시공 또는 납품입찰에 응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요기관 서버(200)의 품셈DB서버(201) 및 시중단가DB서버(202)와 조달기관 서버(300)의 품셈DB서버(301) 및 적용단가DB서버(302) 중 각 품셈DB서버는 각 자재별 노무비에 대한 동일한 DB를 담고 있는 서버이고,
    수요기관 서버(200)의 시중단가DB서버(2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시중 단가로 이루어진 DB를 저장한 서버이고,
    조달기관 서버(300)의 적용단가DB서버(302)는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각 자재별 단가에 대한 조달기관의 기준에 따른 DB를 저장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10a, 10b, 10c, 10d)에서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하는 방법은,
    설계하고자 하는 자재의 심볼을 CAD시스템의 그림도시모듈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도시후 블록화하거나 자재에 대해 기 심볼화된 심볼을 이용하여 CAD화일을 편집하는 편집단계(S100)와;
    편집단계에 의해 도시된 자재심볼에 대하여 자재목록DB(22)를 참조하여 자재심볼DB(21)에 저장하는 심볼저장단계(S200)와;
    완성된 CAD화일으로부터 각 자재심볼별 수량을 산출하여 수량산출DB(31)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수량산출단계(S300)와;
    수량산출DB를 이용하여 원가DB를 생성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는 원가계산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심볼저장단계의 자재심볼DB는
    블록화된 개별 자재심볼을 저장하는 '심볼'필드와;
    상기 '심볼'필드 자재에 대해 다단계 분류한 '품명'필드와;
    상기 '품명'필드 생성시 자재목록DB(22) 참조에 의해 불려와 저장되는 '표준 심볼'필드, '표준규격'필드, '표준단위'필드, '표준단가'필드,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와;
    도시된 실제 자재심볼에 대한 필드값인 '심볼 규격'필드,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필드,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필드, '단가'필드, '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필드;로 구성되고, 이러한 각 필드 값들에 해당하는 레코드값으로 구성된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단가'필드는 실제 설계된 '심볼' 자재의 규격이 '표준규격'필드와 동일하면 '표준단가'의 금액이 생성되고,
    실제 설계된 '심볼' 자재의 규격이 '표준규격'필드와 다르면 '표준단가'에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또는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곱한 값의 금액이 생성된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단계에서 수량산출은 CAD상에 도시된, 서로 다른 좌표를 가지는 위치에 도시된 '자재심볼DB'에 등록된 개별 심볼의 '심볼품명'과 '심볼규격' 필드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심볼과 다른 심볼인지를 분류 후, 동일한 심볼중 복수개의 심볼은 하나의 심볼을 대표로 표시하면서 수량을 복수로 산출하고, 단수개 도시된 심볼들은 단수개의 수량으로 계산하여 산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단계에서 수량산출은 CAD상에 도시된 개별 '자재심볼DB'의 규격정보를 기초로 하여, 동일하지 않은 좌표에 그려진 다각형 또는 폐곡선일 경우 그려진 면적을 계산하여 '자재심볼DB'에 정의된 '심볼규격'의 수량 1개에 대한 규격 면적으로 나누어 전체의 수량을 계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분류한 '품명'필드는 자재를 분류한 대분류와; 대분류된 자재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나눈 중분류, 중분류된 자재 중 각 하나의 종을 다시 나눈 소분류로 분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심볼저장단계의 '자재목록DB'는 조달기관의 수많은 자재에 대해 분류된 '표준품명', '표준 심볼', '표준규격', '표준단위', '표준단가', '표준공률(해당자재에 해당하는 노무비 및 인원수)' 등의 필드에 따른 자재별 레코드가 수록된 D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편집단계에서 기 심볼화되어 등록된 심볼은 자재목록DB(22)에서 불러와 도시하거나, 기 화면에 도시된 자재심볼은 이를 복사하여 도시하거나, 수배전반DB(23)에서 기 등록된 수배전반 설계도면을 불러와 도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6.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 단계의 수량산출DB는 완성된 CAD화일에 도시된 자재심볼을 소분류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로 저장하되,
    상기 필드 중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필드는 '자재심볼DB'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비고'필드는 '자재심볼DB'의 표준심볼 대비 심볼의 규격비', '표준심볼대비 심볼의 보정계수'와 같은 참고사항을 적는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수량산출DB의 품명 필드에는 자재목록DB 저장시 공률필드의 노무비 관련 정보에 따른 노무비 레코드가 생성되고, 노무비 레코드에는 규격, 단위, 수량, 단가, 금액, 비고 필드값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8.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원가계산단계의 원가DB는 수량산출DB를 참조하여 '비목', '%', '금액' 필드로 구성되고, '비목'에 해당하는 레코드는 '순공사원가', '재료비', '노무비', '직접노무비', '간접노무비', '경비', '산출경비',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 '건강보험료', '연금보혐료', '퇴직공제부금비',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기타경비', '일반관리비', '이윤', '총원가', '부가가치세', '합계' 레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2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CAD화일은 확장자가 범용의 dwg 또는 dxf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3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생성된 수량산출DB 또는 원가DB를 모니터 화면이나 프린터에 출력하는 것이고,
    저장은 생성된 수량산출DB 또는 원가DB를 스프레드시트 화일 또는 범용DB화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방법.
KR1020080112498A 2008-11-13 2008-11-13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KR10088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98A KR100886418B1 (ko) 2008-11-13 2008-11-13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498A KR100886418B1 (ko) 2008-11-13 2008-11-13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418B1 true KR100886418B1 (ko) 2009-03-04

Family

ID=4069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498A KR100886418B1 (ko) 2008-11-13 2008-11-13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4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792B1 (ko) * 2017-11-25 2019-03-13 (주)레브웨어 각 공법별로 상이한 입력 인자 조합과 인자 간의 상호 연관관계의 표준화와 모듈화를 통한 제조원가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0016A (ko)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이노싱크컨설팅 제조원가 계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5837B1 (ko) * 2021-06-02 2022-06-30 이지환 인공신경망 기반의 케이블 포설 비용 산출 방법
KR102522943B1 (ko) 2022-12-26 2023-04-19 대한민국(조달청장) Wbs 데이터가 포함된 cbs 기반의 설계 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계산 및 입찰이 처리되는 시설공사 조달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18A (ko) * 2000-04-27 2001-02-05 김승양 2차원 캐드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물량산출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18A (ko) * 2000-04-27 2001-02-05 김승양 2차원 캐드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물량산출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792B1 (ko) * 2017-11-25 2019-03-13 (주)레브웨어 각 공법별로 상이한 입력 인자 조합과 인자 간의 상호 연관관계의 표준화와 모듈화를 통한 제조원가 설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10016A (ko) 2019-03-15 2020-09-23 주식회사 이노싱크컨설팅 제조원가 계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15837B1 (ko) * 2021-06-02 2022-06-30 이지환 인공신경망 기반의 케이블 포설 비용 산출 방법
KR102522943B1 (ko) 2022-12-26 2023-04-19 대한민국(조달청장) Wbs 데이터가 포함된 cbs 기반의 설계 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원가계산 및 입찰이 처리되는 시설공사 조달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8547A (en) Construction tracking and payment method and system
US65773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representing a supply chain
US20090144097A1 (en) Real est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501092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 chain network sensitivity analysis and presentation
US20040220861A1 (en) Making purchase decisions
JP5905146B2 (ja) プロジェクト進捗状況管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40025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Product Configuration
US11669910B2 (en) Multi-platform data processing system
KR101167848B1 (ko)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정확한 건설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건설 공사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CN113626914A (zh) 基于数字孪生的工程项目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403247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sualizing media rights management
KR100886418B1 (ko)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 시스템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가계산 조달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170142671A (ko) 클라우드 기반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036631A (zh) 采购量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200539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insurance financial planning
US11080415B2 (en) Document proportional allocation system
JP6512730B2 (ja) 経営計画策定支援システム
US10043216B2 (en) 3-D graphical visualization of diversification of portfolio holdings
TW579472B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lan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upply chain
WO2001069421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key process indicators
Linné et al.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Valuation Modeling for Real Estate.
KR100900315B1 (ko)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시스템, cad화일을 이용한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방법, 수량산출 및 원가계산 cad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arakozova et al.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ve activities and cost management
JP2002049748A (ja) オフィスビル・マンションの賃料評価システム
US11823275B2 (en) Database system and object manipulation representing automated structuring of coverage, expected losses and premiu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