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329B1 -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329B1
KR100886329B1 KR1020070055734A KR20070055734A KR100886329B1 KR 100886329 B1 KR100886329 B1 KR 100886329B1 KR 1020070055734 A KR1020070055734 A KR 1020070055734A KR 20070055734 A KR20070055734 A KR 20070055734A KR 100886329 B1 KR100886329 B1 KR 10088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group
expert
request
intermed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자
Original Assignee
유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민수 filed Critical 유민수
Priority to KR102007005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요청에 대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를 중개해줌으로써 여러 중개 경로를 거친 응답 및 채택된 응답 제공 전문가에 대한 일대일 온라인 컨설팅을 제공하며, 중개에 참여한 계층별 중개자 및 응답 제공 전문가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순위를 매김으로써 사용자가 컨설팅 전문가를 선택하는데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화된 중개 과정을 거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응답 및 전문가를 찾는데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일대일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를 선택하는데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여러 추천 경로를 거친 응답에 대한 신뢰도 산출을 통해 사용자가 응답을 채택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중개자 및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개, 계층화, 정보 제공, 컨설팅, 인력자원, 전문가, 요청, 응답

Description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Response providing method by hierarchic imtermedi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을 제공하고 사용자와 전문가를 일대일 연결하여 온라인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의 전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사용자의 요청 내용이 입력되고 요청 내용의 유형이 설정되는 단계(S1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2에서 요청 내용의 유형에 따라 계층별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고, 수신된 응답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응답이 채택되는 단계(S4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4에서 등록된 공급자에 의해 제공된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S416)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도 5에서 제공된 응답의 신뢰도가 산출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
도 7은 도 2에서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를 전문가 또는 전문가 후보로 등록하고, 기존의 전문가 또는 전문가 후보를 관리하는 단계(S6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도 2에서 응답 중개에 관여한 공급자를 중개자 또는 중개자 후보로 등록하고, 기존의 중개자 또는 중개자 후보를 관리하는 단계(S7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요청에 대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를 중개해줌으로써 여러 중개 경로를 거친 응답 및 채택된 응답 제공 전문가에 대한 일대일 온라인 컨설팅을 제공하며, 중개에 참여한 계층별 중개자 및 응답 제공 전문가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순위를 매김으로써 사용자가 컨설팅 전문가를 선택하는데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질문을 올리면 불특정 다수가 그에 대한 답변을 올리는 방식의 서비스가 많이 보편화되어 있다. 또한,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 등록된 사람들이 질문에 답변함으로 써 답변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식의 서비스도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서비스들의 경우 서비스 사용자가 많을수록 다양한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유용한 답변을 골라 참고하게 된다. 하지만 서비스가 활성화될수록 더욱 많은 답변이 생겨나므로 다양한 답변 중에서 신뢰할 만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를 관리하고, 답변에 대한 신뢰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순한 질문 답변이 아닌 보다 전문적이고 오랜 시간 의견 교환을 통한 답변이 필요한 질문의 경우에는 일대일 컨설팅이 요구된다. 이처럼 컨설팅 차원에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질문자에게 가장 적합한 전문가를 선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답변 선택 또는 전문가 선정을 위해 답변 제공자에 대한 추천 또는 개인 의견을 올릴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일방적인 추천 또는 개인 의견의 경우 사용자 개개인의 의도적으로 추천이나 개인 의견을 왜곡되게 작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답변자나 전문가에 대한 평가를 서비스 사용자의 평가에만 의존할 경우 평가의 신뢰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분야 전문가 및 중개자를 계층화하고 참여 정도에 따라 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화된 응답 및 일대일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를 선택하는데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하며, 실적과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중개자 및 전문가의 참여도를 높이고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응답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층적 중개에 의한 온라인 컨설팅 방법은, (a) 중개 서버가 요청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b)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된 경우에는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의 세부적인 분야가 설정된 경우에는 세부 전문가 그룹으로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을 설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신뢰 그룹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뢰 그룹을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는 단계; (c) 중개 서버가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등록된 공급자 단말기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d) 중개 서버가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추천인을 입력받으면 추천인을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이를 해당 영역에 등록하는 단계; 및 (e) 요청 내용을 전송하지 않은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이 남아있는 동안 (c) -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을 제공하고 사용자와 전문가를 일대일 연결하여 온라인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10), 중개 서버(20), 세부 전문가 그룹(30), 분야별 중개자 그룹(40), 총괄 중개자 그룹(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세부 전문가 그룹(30), 분야별 중개자 그룹(40) 및 총괄 중개자 그룹(50)에 등록된 전문가 또는 중개자를 통칭해서 사용자에 대응되는 의미로서 이하 '공급자'라고 부르기로 한다.
중개 서버(20)는 사용자(10)가 요청 내용을 입력하고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를 고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10)는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 내용을 입력하고, 중개 서버(20)는 서비스에 등록된 공급자에게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이때, 요청 내용은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질문일 수도 있고 또는 사람을 찾는 요청일 수도 있다.
중개 서버(20)는 입력된 요청 내용 및 질문의 유형에 따라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즉, 요청 내용의 세부 분야가 설정된 경우,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된 경우, 그리고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을 차별화하여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그리고, 공급자들로부터 응답 또는 추천인을 제공받으며, 사용자(10)에 의해 응답이 채택되면 필요시 채택된 응답을 제공한 전문가와 사용자를 일대일로 연결해줌으로써 온라인 컨설팅을 실행한다.
또한, 중개 서버(20)는 공급자의 참여도 및 성공 여부를 각 공급자의 평가에 반영하며, 사용자의 온라인 컨설팅 만족도 역시 각 공급자의 평가에 반영한다.
세부 전문가 그룹(30)은 응답 제공 및 온라인 컨설팅 등을 통해 검증된 해당 분야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서, 응답의 세부 분야가 설정된 경우에는 중개 서버(20)가 요청 내용을 세부 전문가 그룹(30)으로 전송한다.
분야별 중개자 그룹(40)은 개괄적인 분야별로 전문가 중개에 성공함으로써 중개 능력이 검증된 중개자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서,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된 경우에는 중개 서버(20)가 요청 내용을 분야별 중개자 그룹(40)으로 전송한다.
총괄 중개자 그룹(50)은 여러 서로 다른 분야에 대한 전문가 중개에 성공함으로써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총괄적인 중개 능력이 검증된 중개자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서,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개 서버(20)가 요청 내용을 총괄 중개자 그룹(50)으로 전송한다.
이상의 세부 전문가 그룹(30), 분야별 중개자 그룹(40), 총괄 중개자 그룹(50)에 속한 공급자들은 요청 내용을 전송받으면 직접 응답을 작성하여 중개 서버(20)로 제공하거나 다른 공급자를 추천인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면, 중개 서버(20)는 응답을 제공받아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는 영역에 등록하고, 추천인을 제공받은 경우에는 추천인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층적 중개에 의한 온라인 컨설 팅 방법의 전체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서버가 요청 내용과 요청 내용의 분야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 내용을 입력한다(S100).
이때, 사용자가 요청 내용을 먼저 전송하기를 원하는 신뢰 그룹이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S200), 등록된 신뢰 그룹을 요청 내용 전송 대상으로 설정하고 요청 내용을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채택받는다(S300).
그 다음으로, 계층별로 구분된 공급자를 요청 내용 전송 대상으로 설정한 후, 요청 내용을 전송하고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채택받는다(S400). 이때, 요청 내용의 유형에 따라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며,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된 경우에는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고, 요청 내용의 세부적인 분야가 설정된 경우에는 세부 전문가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계층별로 요청 내용 전송 후 응답이 채택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나중에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중개 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채택된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에 대하여 일대일 온라인 컨설팅을 등록한다(S500).
그리고,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로 등록하고, 그 외의 채택되지 못한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로 등록하며, 기존의 전문가를 관리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600). 이 과정(S600)은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응답 중개에 관여한 공급자를 중개자 또는 중개자 후보로 등록한다(S700). 이 과정(S700)은 이후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채택된 응답에 대한 온라인 컨설팅 진행 이후, 사용자로부터 온라인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받아 해당 전문가와 전문가 추천에 관여한 중개자에 대한 평가 점수에 반영하며, 평가 점수에 의해 해당 분야 전문가 순위와 중개자 순위를 산출한다(S800). 이는 추후에 사용자가 응답을 채택하고 컨설팅 대상 전문가를 선택하는데 참고 자료로 이용된다.
그 밖의 요청 내용 및 타 사용자의 응답 요청에 대하여 위 과정을 되풀이한다(S900).
도 3은 도 2에서 사용자의 요청 내용이 입력되고 요청 내용의 유형이 설정되는 단계(S1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개 서버가 대분류, 키워드, 질문 등으로 항목이 구성된 요청 입력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101),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요청 내용의 각 항목을 입력하여 중개 서버로 보낸다(S102).
이때, 키워드 항목이 입력된 경우에는(S103),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입력된 키워드를 찾는다(S104).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키워드와 그에 따른 세부적인 분야가 미리 구비되어 함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일컫는다.
그리고, 검색결과 해당 키워드가 존재하면(S105) 그에 해당되는 세부적인 분 야를 요청 내용의 세부적인 분야로 설정한다(S106). 이 경우,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요청 내용의 세부적인 분야가 설정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추후에 세부 전문가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키워드 항목이 입력되지 않았거나 키워드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분류 항목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요청 내용의 유형을 설정한다. 대분류 항목이 입력된 경우에는(S107), 입력된 대분류를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로 설정한다(S108). 이 경우에는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가 설정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추후에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위 판단결과 대분류 항목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로 설정하며,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추후에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도 2에서 요청 내용의 유형에 따라 계층별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고, 수신된 응답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응답이 채택되는 단계(S4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내용의 세부적인 분야가 설정된 경우(CASE 1)에는(S411) 세부 전문가 그룹에 등록된 공급자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S412). 또한,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된 경우(CASE 2)에는(S421) 분야별 중개자 그룹에 등록된 공급자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하며(S422),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CASE 3)에는(S431) 총괄 중개자 그룹에 등록된 공급자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S432). 이때, 분야별 중개자 그룹이 내부적으로 상하위 계층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라면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되어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할 때 분야별 중개자 그룹의 최상위 그룹으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할 때, 각 그룹의 후보로 등록된 공급자들에게도 요청 내용을 전송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요청 내용이 보다 폭 넓게 전파되게 하며 각 공급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면, 요청 내용을 전송받은 공급자들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중개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응답을 제공해줄 수 있는 다른 공급자를 추천인으로 제공한다(S413)(S423)(S433).
중개 서버는 공급자로부터 추천인을 제공받으면(S414)(S424)(S434) 해당 추천인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하며(S415)(S425)(S435), 추천인을 제공받을 때마다 이 과정은 되풀이된다. 이때, 중개 서버가 추천인을 제공받을 수 있는 제한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제한 시간이 지난 후에 제공된 추천인은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때, 동일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추천인 입력에 대해서는 기설정된 횟수 이내의 입력에 대해서만 추천인을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킨다. 즉, 한 중개자가 전파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함으로써 다수에게 무작위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동일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추천인 입력에 대해서는 동일 공 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지 않은 새로운 추천인에 대해서만 추천인을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킨다. 즉, 동일한 중개자에 의해 이미 전파된 공급자에게 다시 전달되는 경우를 방지한다.
또한, 이미 응답을 제공한 전문가에 대해서 추천인 입력이 제공된 경우에는 추천된 전문가를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고, 추천되기까지의 추천 경로만 이미 응답이 등록된 해당 영역에 함께 등록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이미 응답을 제공한 전문가가 같은 응답을 중복 제공하지 않고도 여러 번 추천되었음을 기록할 수 있으며, 나중에 평가 점수 및 응답의 신뢰도를 산출하는데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응답을 제공받은 경우에는 제공된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여러 응답 중에서 하나의 응답을 채택하는데 참고 자료로 제시해준다(S416)(S426)(S436). 신뢰도는 추천 경로의 개수, 응답에 제공되기까지 거친 공급자의 수, 신뢰 그룹 여부 등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신뢰도를 산출하는 보다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이후 도 5와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중개 서버는 이상의 과정을 거쳐 여러 공급자를 통해 제공된 응답을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필요시 제공된 응답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온라인 컨설팅 등록을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응답을 채택하는데 일정 시간 이상이 소요되면 제공된 응답 중에 만족할만한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중개 서버는 요청 내용을 다음 계층에 등록된 공급자에게 전송한다(S417)(S427).
즉, 세부 전문가 그룹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하여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채택되지 않는다면 동일 요청 내용을 분야별 중개자 그룹 내의 최하위 그룹으로 전송하며(S418),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여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채택되지 않는다면 동일 요청 내용을 분야별 중개자 그룹 내에서도 앞서 요청 내용을 전송했던 분야별 중개자 그룹의 상위 그룹으로 전송한다(S429).
또한, 분야별 중개자 그룹의 최상위 그룹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하고 일정 시간 내에 응답이 채택되지 않으면 분야별 중개자 그룹 내에서는 보다 넓은 범위를 포괄할 수 있는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동일 요청 내용을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전송한다(S428).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한 경우에는 더 이상 요청 내용을 전송할 대상이 없으므로 세부 전문가 그룹이나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한 경우처럼 일정 시간 내에 응답 채택 여부를 체크하여 다른 그룹으로 요청 내용을 전송하는 과정은 거치지 않는다.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채택되면(S437), 중개 서버는 채택된 응답 공급자에 대한 온라인 컨설팅을 등록할 수 있는 다음 단계(S500)로 진행한다.
도 5는 도 4에서 등록된 공급자에 의해 제공된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S416)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또한, (S426)과 (S436)의 경우에도 도 5에 제시된 (S416)와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분야에 대하여 폭넓은 지지를 얻는다면 여러 공로를 통해 추천을 받을 것이 예상되므로 하나의 응답에 대하여 추천 경로의 개수가 많을수록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가점한다(S416-1).
또한, 해당 분야에 대해 폭넓은 지지를 얻는다면 많은 단계를 거쳐 추천을 받기보다는 적은 단계를 거쳐 추천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요청 내용 전송으로부터 응답으로 등록되기까지 경유한 공급자가 많을수록 신뢰도를 감점한다(S416-2).
또한, 응답의 추천 경로 중에 신뢰 그룹을 통한 추천 경로에 대해서는 다른 추천 경로보다 좀 더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신뢰도를 가점한다(S416-3).
이상의 과정을 거쳐 산출된 신뢰도를 응답과 함께 해당 영역에 등록하여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응답을 채택하는데 참고 자료로 제공한다(S416-4).
도 6은 도 5에서 제공된 응답의 신뢰도가 산출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요청 내용을 보내면 중개 서버에서는 각 공급자에게 요청 내용을 전송하며, 모두 3개의 경로를 통해 추천이 이루어졌다고 가정한다.
3개의 경로 중에서 2개는 불특정 다수를 통한 것이며, 1개는 신뢰 그룹의 추천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각각의 추천 경로는 4단계, 2단계, 3단계를 통해 연 결되었다.
신뢰 그룹을 통한 추천에 대한 추가 점수를 3점, 추천시 기본 점수를 10점으로 가정한다.
첫 번째 추천 경로의 경우, 불특정 다수를 통해 4단계로 연결되었으므로 6점(10점-4점)이 부여된다.
두 번째 추천 경로의 경우, 불특정 다수를 통해 2단계로 연결되었으므로 8점(10점-2점)이 부여된다.
세 번째 추천 경로의 경우, 신뢰 그룹을 통해 3단계로 연결되었으므로 10점(10점-3점+3점)이 부여된다.
즉, 이를 모두 합치면 총 24점이 부여된다. 다른 응답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수를 신뢰도를 계산하여 복수 개의 응답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이처럼 제시된 신뢰도는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적절한 응답을 채택하는데 참고 자료로 제시될 뿐 응답 채택에 강제적인 효력을 갖지는 않는다. 또한, 위에 구체적인 수치를 들어 언급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서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를 전문가 또는 전문가 후보로 등록하고, 기존의 전문가 또는 전문가 후보를 관리하는 단계(S6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로 등록하 고(S601), 그 외의 사용자로부터 채택되지는 못했지만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로 등록한다(S602). 이후,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요청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기존에 선택받았던 전문가 이외에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들에게도 요청 내용을 전송한다.
또한,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 중에서 응답을 제공하였으나 채택되지 못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공급자를 전문가 후보에서 제외한다(S603).
또한, 해당 분야 전문가 중에서 요청 내용을 전송하였으나 응답이 채택되거나 제공되지 않은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에서 제외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로 강등시킨다(S604).
이때, 전문가 후보의 퇴출 조건은 전문가에서 전문가 후보로 강등되는 조건보다는 엄격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전문가 그룹 사이에서 공통 전문가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공통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을 새로 정의한다. 즉, 세부 전문가 그룹은 특정 키워드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세부 전문가 그룹의 상위 그룹이 차례대로 정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치동 지역 전문가와 도곡동 지역 전문가 중에 공통 전문가가 있다면 강남구 지역 전문가를 새로 정의할 수 있다. 역시, 대치동 지역 전문가에 대한 중개자와 도곡동 지역 전문가에 대한 중개자 모두로 구성된 강남구 지역 전문가에 대한 중개자를 새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A라는 세부 전문가 그룹과 B라는 세부 전문가 그룹이 있을 때, 둘 사이의 전문가가 일정 비율 이상 동일하다면 두 전문가 그룹 사이에 내용적인 관련 이 있다고 판단하여 A, B 상위에 AB라는 전문가 그룹을 새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N1을 A 그룹과 B 그룹의 공통 전문가수라 하고, M1을 A 그룹 전문가수와 B 그룹 전문가수 중에서 작은 쪽의 수라고 하면, 기설정된 비율 K1에 대하여 (N1 / M1) > K1을 만족하면 A 그룹과 B 그룹 사이에는 내용적인 관련이 있다고 판단하여 AB라는 그룹을 새로 정의하게 된다.
또한, AB 그룹의 전문가는 A 그룹과 B 그룹의 공통 전문가가 이에 해당된다. 그리고, AB 그룹의 중개자는 A 그룹과 B 그룹의 모든 중개자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새로 정의된 AB 그룹에 대해서도 다른 C 그룹과 위와 관련 내용적인 관련이 있다면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상위 그룹과 그에 따른 전문가와 중개자를 새로 정의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서 응답 중개에 관여한 공급자를 중개자 또는 중개자 후보로 등록하고, 기존의 중개자 또는 중개자 후보를 관리하는 단계(S700)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추천하는데 관여한 공급자들은 중개자 그룹 후보에 등록된다(S701).
그리고, 중개자 그룹 후보 중에서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직접 추천한 공급자는 분야별 중개자 그룹에 등록된다(S702). 이후,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서 중개 서버로부터 요청 내용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중개자 그룹 후보 중에서 응답 채택에 관여하지 못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경우에는 중개자 그룹 후보에서 제외한다(S703).
또한, 분야별 중개자 그룹 중에서 응답 채택에 관여하지 못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경우에는 분야별 중개자 그룹에서 제외하고 중개자 그룹 후보로 강등시킨다(S704). 이때, 중개자 그룹 후보의 퇴출 조건은 중개자 그룹에서 중개자 그룹 후보로 강등되는 조건보다는 엄격하지 않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야별 중개자 그룹에 등록된 공급자 중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서로 다른 분야의 응답 채택에 성공하면 총괄 중개자 그룹에 등록되어 특정 분야뿐만 아니라 총괄적인 분야에 대한 중개자로서 활동할 수 있게 된다(S705).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화된 중개 과정을 거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응답 및 전문가를 찾는데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일대일 컨설팅을 위한 전문가를 선택하는데 신뢰할만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여러 추천 경로를 거친 응답에 대한 신뢰도 산출을 통해 사용자가 응답을 채택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중개자 및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중개 서버가 요청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 내용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요청 내용의 해당 분야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상기 요청 내용의 개괄적인 분야만 설정된 경우에는 분야별 중개자 그룹으로, 상기 요청 내용의 세부적인 분야가 설정된 경우에는 세부 전문가 그룹으로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중개 서버가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등록된 공급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중개 서버가 하나 이상의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추천인을 입력받으면 상기 추천인을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이를 해당 영역에 등록하는 단계;
    (e) 상기 요청 내용을 전송하지 않은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이 남아있는 동안 상기 (c) -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되,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채택되지 않으면,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이 세부 전문가 그룹인 경우에는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을 분야별 중개자 그룹 내의 최하위 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c) -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채택되지 않으면,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이 분야별 중개자 그룹인 경우에는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을 상기 분야별 중개자 그룹 내의 바로 상위 중개자 그룹으로 변경하고,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이 분야별 중개자 그룹 내의 최상위 그룹인 경우에는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을 총괄 중개자 그룹으로 변경하여 상기 (c) -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c) - (d)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중에 상기 중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해당 영역에 등록된 응답 중 하나를 사용자가 채택한 응답으로서 선택받으면, 상기 채택된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에 대하여 일대일 온라인 컨설팅을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g-1) 상기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로 등록하는 단계;
    (g-2) 그 외의 채택되지 못한 응답을 제공한 공급자를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로 등록하는 단계;
    (g-3) 상기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 중에서 응답을 제공하였으나 채택되지 못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공급자를 상기 전문가 후보에서 제외하는 단계; 및
    (g-4) 상기 해당 분야 전문가 중에서 응답 요청을 전송하였으나 응답이 채택되거나 제공되지 않은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공급자를 상기 해당 분야 전문가에서 제외하고 상기 해당 분야 전문가 후보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h-1)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추천하는데 관여한 공급자를 중개자 그룹 후보에 등록하는 단계;
    (h-2) 상기 중개자 그룹 후보 중에 상기 채택된 응답의 공급자를 직접 추천 한 공급자를 분야별 중개자 그룹에 등록하는 단계;
    (h-3) 상기 중개자 그룹 후보 중에서 응답 채택에 관여하지 못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공급자를 상기 중개자 그룹 후보에서 제외하는 단계; 및
    (h-4) 상기 중개자 중에서 응답 채택에 관여하지 못한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넘은 공급자를 상기 중개자 그룹에서 제외하고 상기 중개자 그룹 후보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h-5) 상기 분야별 중개자 그룹에 등록된 공급자 중에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서로 다른 분야의 응답 채택에 성공하면 상기 공급자를 총괄 중개자 그룹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i-1) 복수 개의 전문가 그룹 사이에 공통 전문가가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통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을 새로 정의하는 단계; 및
    (i-2) 상기 복수 개의 전문가 그룹에 각각 대응되는 중개자 그룹의 모든 구성원을 상기 새로 정의된 전문가 그룹에 대한 중개자 그룹으로 새로 정의하는 단 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j) 상기 채택된 응답에 대한 온라인 컨설팅 진행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온라인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를 입력받아 해당 전문가와 전문가 추천에 관여한 중개자에 대한 평가 점수에 반영하는 단계; 및
    (k) 상기 평가 점수에 의해 해당 분야 전문가 순위와 중개자 순위를 산출하여 해당 영역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동일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추천인 입력에 대해서 기설정된 횟수 이내의 입력에 대해서만 추천인을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는 단계;
    (d-2) 동일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추천인 입력에 대해서 상기 동일 공급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지 않은 새로운 추천인에 대해서만 상기 추천인을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d-3) 이미 응답을 제공한 전문가에 대해서 추천인 입력이 제공된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를 상기 요청 내용 전송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고, 상기 추천인 입력이 제공되기까지의 추천 경로를 상기 응답이 등록된 해당 영역에 함께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4) 상기 응답의 추천 경로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가점하는 단계;
    (d-5) 상기 응답이 상기 응답 요청 전송으로부터 응답으로 등록되기까지 경유한 공급자가 많을수록 상기 신뢰도를 감점하는 단계;
    (d-6) 상기 응답의 추천 경로 중에 상기 신뢰 그룹을 통한 추천 경로에 대해서는 상기 신뢰도를 가점하는 단계; 및
    (d-7) 상기 산출된 신뢰도를 상기 응답과 함께 해당 영역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답 제공 방법.
KR1020070055734A 2007-06-07 2007-06-07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KR10088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734A KR100886329B1 (ko) 2007-06-07 2007-06-07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734A KR100886329B1 (ko) 2007-06-07 2007-06-07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329B1 true KR100886329B1 (ko) 2009-03-11

Family

ID=4069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734A KR100886329B1 (ko) 2007-06-07 2007-06-07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3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03B1 (ko) 2012-04-03 2014-03-03 주식회사 로그인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85918A (ko) * 2017-01-20 2018-07-30 송광수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75029B1 (ko) * 2019-01-16 2020-02-10 최석용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984A (ko) * 2000-06-15 2001-12-24 조남주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거래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36137A (ko) * 2003-10-15 2005-04-20 박혁모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전문가 상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984A (ko) * 2000-06-15 2001-12-24 조남주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거래 관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36137A (ko) * 2003-10-15 2005-04-20 박혁모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전문가 상담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203B1 (ko) 2012-04-03 2014-03-03 주식회사 로그인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85918A (ko) * 2017-01-20 2018-07-30 송광수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95800B1 (ko) * 2017-01-20 2018-09-07 송광수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75029B1 (ko) * 2019-01-16 2020-02-10 최석용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5192B1 (en) Social search engine
CN102890696B (zh) 基于社交网络的上下文排序
US78271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dorsing local search results
US9237123B2 (en) Providing an answer to a question from a social network site using a separate messaging site
US8515888B2 (en) Affiliate linking where answerer requests permission to insert an interactive link in an answer
AU2009241626B2 (en) Social network powered query refinement and recommendations
JP4806034B2 (ja) キーワード別にユーザの専門家指数を算定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システム
Katona et al. Network effects and personal influences: The diffusion of an online social network
US8775354B2 (en) Evaluating an item based on user reputation information
US80011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membership of a communication flow expression
KR100880467B1 (ko) 지능성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Glance et al. Knowledge pump: Supporting the flow and use of knowledge
US7996400B2 (en) Identification and use of web searcher expertise
US91591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agating inquiries and answers thereto through on-line human network
US20100268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usability and accessibility of web 2.0 features and functionalities of websites
Ricci Recommender systems in tourism
US20080120376A1 (en) Method for using collaborative point-of-view management within an electronic forum
Shen et al. Knowledge sharing in the online social network of yahoo! answers and its implications
KR20030003396A (ko) 사용자의 분야별 선호 프로파일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서비스 방법
KR100776322B1 (ko) 통신망에서 일대일 질문 및 답변을 중개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KR100886329B1 (ko) 계층적 중개에 의한 응답 제공 방법
KR20090009386A (ko) 질문-답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와 그 서비스 제공방법
Kukla et al. Soclake: social latent knowledge explorator
Yu Emergence and evolution of agent-based referral networks
JP2018063610A (ja) 文章検索システム、q&a検索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ステム及び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