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094B1 -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 Google Patents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094B1
KR100884094B1 KR1020080045331A KR20080045331A KR100884094B1 KR 100884094 B1 KR100884094 B1 KR 100884094B1 KR 1020080045331 A KR1020080045331 A KR 1020080045331A KR 20080045331 A KR20080045331 A KR 20080045331A KR 100884094 B1 KR100884094 B1 KR 10088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alloy
magnesium
kitchen
alloy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태
Original Assignee
김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태 filed Critical 김광태
Priority to KR102008004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0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0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045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household utens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A cooker is provided to increase durability by preventing a magnesium alloy layer from corroding and burning at a high tempera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oker including a magnesium alloy layer contacting with an aluminum alloy layer comprises a step of manufacturing a clad board by connecting the magnesium alloy layer and the aluminum alloy layer, a step of molding the clad board by drawing with a molding press, a step of processing a surface of the magnesium alloy layer with PEO and a step of coating the surface of the PEO processed magnesium alloy.

Description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조리용기{COOKER COMPRISING MAGNESIUME}Cooking container containing magnesium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마그네슘합금 층과 접합된 알루미늄합금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생체친화적인 마그네슘합금의 고온에서의 발화문제와 부식을 해결하기 위한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진 주방용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non-fired cooking vessel, which is a magnesium alloy inside, including a magnesium alloy layer and an aluminum alloy layer bonded to a kitchen cooking vessel for receiving food therein and hea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cooking vessel composed of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to solve the problem of ignition and corrosion at high temperature of magnesium alloy.

마그네슘은 자연상태에서는 단일원소로 존재하지 않고 규산이나 황산이나 탄산들과 함께 결합한 염의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마그네슘은 반드시 섭취해야 할 무기물질로 인체 내에서 칼슘, 인과 함께 뼈의 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아미노산의 활성화와 ATP의 합성, 단백질의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신경전달 작용에서 칼슘과 서로 상반되는 작용은 물론 보완작용을 하기도 하며 근육을 이완시키는 기능을 한다.Magnesium does not exist as a single element in nature but in the form of a salt combined with silicic acid, sulfuric acid or carbonic acid. Magnesium is an inorganic substance that must be ingeste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ne metabolism along with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human body, and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activation of amino acids, the synthesis of ATP, and the synthesis of proteins. In addition, contrary to calcium and neurotransmitter action, as well as complementary functions to relax the muscles.

따라서, 최근의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에 발맞추어 이러한 환경친화적이고 생체친화적인 마그네슘을 주방용 조리용기용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산업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line with the recent trend toward health, it is required in the industry to use such environmentally-friendly and bio-friendly magnesium as a material for kitchen cooking vessels.

그러나, 마그네슘의 고유적인 금속의 특성상 고온에서의 발화 문제와 부식으로 인해 주방에서 사용하는 가열 용기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마그네슘합금의 경우에도 이러한 고온에서의 발화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However, due to the inherent properties of the metals of magnesium, ignition problems and corrosion at high temperatures could not be used in heating vessels used in kitchens. In the case of magnesium alloy, the problem of ignition at high temperature was not solv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6325호에서는 마그네슘합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전기밥솥용 내솥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전기밥솥용 내솥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주방용 조리용기는 가스렌지 등을 이용한 집적 열원과 접촉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열원에 의한 직접적인 가열에 의하여 마그네슘 조리용기가 마그네슘의 발화점에 도달하여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을 주방용 직화식 조리용기로 사용시에는 마그네슘의 발화가 문제된다. 반면에 상기 공개특허는 고온에서의 마그네슘의 발화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따라서 마그네슘의 발화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과는 그 발명사상이 전혀 다른 경우이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6325 discloses an inner pot for a light electric rice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sium alloy layer, but this i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inner pot for electric rice cooker. Kitchen cooking vessels are used in contact with an integrated heat source using a gas stov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magnesium cooking vessel reaches the flash point of magnesium by direct heating by a heat source, so that fire may occur. Therefore, when magnesium is used as a direct cooking dish for cooking, ignition of magnesium is a problem. On the other hand, this publication does not mention any ignition of magnesium at high temperatur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agnesium from firing.

이에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고온 발화 방지 및 부식 방지 마그네슘합금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를 개발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s have developed a high-temperature ignition-proof and anti-corrosion magnesium alloy dish-fired non-ignition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마그네슘합금을 고온에서 발화하지 않게 하는 직화식 가열용 조리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가볍고 환경 친화적인 마그네슘을 가열 조리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irect heating cooking vessel that does not ignite the magnesium alloy at a high temperature, so that ligh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agnesium can be used as a heating cooking vessel.

아울러 마그네슘의 부식으로 인해 사용할 수가 없었던 용기를 환경 친화적인 특수 표면 개질 처리로 방법을 개선하여 부식을 해결함과 그 처리로 인해 원적외선이 많이 나와 음식물을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한 가열 조리용기를 발화 위험성이 없고 부식성이 없는 환경 친화적이고 혁신적인 제품을 이종 접합 판재와 이종 접합 주조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ainer that could not be used due to the corrosion of magnesium improved the metho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special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to solve the corrosion and the treatment caused a lot of far-infrared rays to cook food deliciously. The heating cooker using magnesium alloy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nd us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nnovative products that have no risk of ignition and are not corrosive by using different joining plates and different joining casting methods.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마그네슘합금 층과 접합된 알루미늄합금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non-fired cooking vessel, which is a magnesium alloy inside, including an aluminum alloy layer bonded to a magnesium alloy layer in a kitchen cooking vessel for heating food therein.

상기 마그네슘합금 층의 두께는 0.4 mm ~ 6.5 mm이고 상기 알루미늄합금 층의 두께는 0.4 mm ~ 6.5 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sium alloy layer has a thickness of 0.4 mm to 6.5 mm and the aluminum alloy layer has a thickness of 0.4 mm to 6.5 mm.

또한, 상기 마그네슘합금 층을 PEO(Plasma Electrolytic Oxidation)처리로 표면개질처리 후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고, 상기 코팅은 세라믹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sium alloy layer is a non-fired cooking vessel for the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coated after th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by PLAO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treatment, the coat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ramic coating or Teflon coating.

본 발명은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을 접합하여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클래드 판재를 성형 프레스에 금형 안장하고, 드로잉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ignition cooking vessel for a kitchen compris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a clad plate by bonding a magnesium alloy and an aluminum alloy, and saddle-clad the clad plate on a molding press and drawing.

더 자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을 이중주조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including the step of molding the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in a double casting.

더 자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슘 판재를 프레스 드로잉 성형하여 후가공하는 단계;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ost-processing by pressing drawing the magnesium plate;

상기 가공된 성형판을 주조 금형에 삽입하여 알루미늄 주조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kitchen non-fired cooking vessel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serting the processed molding plate into a casting mold and molding by aluminum casting.

더 자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알루미늄합금과의 접합에 의해 고온에서도 마그네슘합금의 발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부식방지 처리에 의하여 부식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By joining with the aluminum alloy, the magnesium alloy does not ignite even at a high temperatur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orrosion does not occur by the anti-corrosion treatment.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마그네슘합금 층과 접합된 알루미늄합금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chen non-fired cooking vessel, which is a magnesium alloy inside, including an aluminum alloy layer bonded to a magnesium alloy layer in a kitchen cooking vessel for heating food therein.

마그네슘은 주기율표 제2족에 속하는 알칼리토금속으로서 원소기호 Mg, 원자번호 12, 원자량 24.3050, 녹는점 650 ℃, 끓는점 1,100 ℃, 비중 1.741이다. 마그네슘은 자연상태에서는 단일원소로 존재하지 않고 규산이나 황산이나 탄산들과 함께 결합한 염의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특히 지각을 구성하는 8대 원소(산소>규소>알루미늄>철>칼슘>나트륨>칼륨>마그네슘) 중 하나이다.Magnesium is an alkaline earth metal belonging to Group 2 of the periodic table. The element symbol Mg, atomic number 12, atomic weight 24.3050, melting point 650 ° C, boiling point 1,100 ° C and specific gravity 1.741. Magnesium does not exist as a single element in nature but in the form of a salt combined with silicic acid, sulfuric acid or carbonic acid. In particular, it is one of the eight major elements (oxygen> silicon> aluminum> iron> calcium> sodium> potassium> magnesium).

마그네슘은 대기 중에서 450 ℃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급격히 산화되어 발화하는 특성이 있고, 마그네슘은 상용 금속들 중 가장 화학적 활성이 큰 금속으로 일반적으로 표면처리되지 않을 경우 대기 중이나 용액 중에서 매우 빠르게 부식되는 특징을 나타낸다.Magnesium has the characteristic of rapidly oxidizing and igniting when the temperature rises above 450 ℃ in the air, and magnesium is the most chemically active metal among commercial metals. Indicates.

마그네슘은 반드시 섭취해야 할 무기물질로 인체 내에서 칼슘, 인과 함께 뼈의 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아미노산의 활성화와 ATP의 합성, 단백질의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신경전달 작용에서 칼슘과 서로 상반되는 작용은 물론 보완작용을 하기도 하며 근육을 이완시키는 기능을 한다.Magnesium is an inorganic substance that must be ingeste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ne metabolism along with calcium and phosphorus in the human body, and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activation of amino acids, the synthesis of ATP, and the synthesis of proteins. In addition, contrary to calcium and neurotransmitter action, as well as complementary functions to relax the muscles.

일반적으로 합금은 사용하는 형태에 따라서 주조용 합금과 전신재(展伸材) 합금으로 나누는데, 마그네슘합금으로는 주조용으로서 이전부터 항공기용 부품에 사용되었던 엘렉트론 ·다우메탈 등과 그 후 다이캐스트용으로 발달한 합금이 있 다. 전신재로서는 발전용 원자로의 연료피복재로서 압출관(押出管)에 핀(fin)을 절삭가공해서 사용하는 마그녹스(Magnox) 또는 마그네슘-지르코늄 합금과, 제2차 세계대전 후 빠르게 발달한 로켓 및 항공기용인 내열 마그네슘합금이 있다. 마그녹스는 이산화탄소(탄산가스)에 대한 내산화성(耐酸化性)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의 베릴륨을 알루미늄과 모합금(母合金)으로 가하고 있다. 최근 내열합금은 지르코늄 ·희토류원소(希土類元素) ·토륨을 합금원소로 한다. 이 밖에 리튬을 가한 합금도 있다.  In general, alloys are divided into cast alloys and whole body alloys according to the type used. Magnesium alloys are used for casting, and are used for die casting and electrophoresis, which have been used in aircraft parts before. There is a developed alloy. The predecessor is a Magnox or magnesium-zirconium alloy that cuts and uses fins in an extrusion pipe as a fuel coating material of a nuclear power plant for reactors, and for rockets and aircrafts developed rapidly after World War II. There is a heat-resistant magnesium alloy. Magnox adds a small amount of beryllium to aluminum and the master alloy to improve oxidation resistance against carbon dioxide (carbon dioxide). Recently, heat-resistant alloys include zirconium, rare earth elements, and thorium as alloy elements. There is also an alloy with lithium.

마그네슘합금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망간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실시예에 사용된 마그네슘합금 AZ31B는 Mg, Al, Mn, Zn, Zr을 구성성분으로 한다.Magnesium alloys mainly contain aluminum or manganese. In particular, the magnesium alloy AZ31B use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Mg, Al, Mn, Zn, and Zr as components.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슘합금 층과 알루미늄합금 층을 클래드 금속으로 접합한 경우뿐만 아니라, 이중주조에 의한 경우 및 마그네슘합금 판재 가공 후 알루미늄합금 주조한 경우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magnesium alloy layer and the aluminum alloy layer are joined by the clad metal, but also the case of double casting and the case where the aluminum alloy is cast after processing the magnesium alloy sheet.

일반적으로 클래드 강판(Clad Plate)이란 두가지 이상의 금속재료의 표면을 금속학적으로 접합하여 일체화시킨 적층형의 복합 강판을 지칭하며 건축, 가전, 자동차, 중공업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클래드 강판의 구조는 클래드 금속/모재 또는 클래드 금속/중간접합재/모재로 구성되는데, 클래드 금속(Cladder, 공개특허 제10-2007-0099794로 또는 Clad Metal)은 통상 모재 두께의 5 % 내지 20 % 정도를 차지하여 클래드 강판에 기능성 부여 및 사용 환경으로부터 모재를 보호하는 기능(내부식, 내열, 내마모 등)을 수행하고, 모재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general, a clad plate refers to a laminated composite steel sheet in which two or more surfaces of metal materials are joined by metallization and integrated, and is widely applied to construction, home appliances, automobiles, heavy industries, and the like. The structure of the clad steel sheet is composed of clad metal / base material or clad metal / intermediate bonding material / base material, and clad metal (Cladder,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99794 or Clad Metal) is usually 5%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t occupies and performs a function (corrosion, heat resistance, abrasion, etc.) to impart functionality to the clad steel sheet and protect the base metal from the use environment, and the base metal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load acting on the structure.

클래드 금속으로 사용되는 소재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대부분 고온 혹은 산성에 따른 부식 분위기 등 가혹한 환경 하에서도 성능이 열화되지 않는 고기능성 재료들이며 그 가격도 고가이다. 따라서, 모재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고, 표면을 이루는 클래드 금속은 특정한 성질이 요구되는 상기와 같은 소재들을 사용함으로써 고가의 소재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과 같은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제한된 지하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 are many types of materials used as clad metals, but most of them are high-performance materials that do not deteriorate in harsh environments such as high temperature or acidic corrosive atmospheres, and are expensive. Therefore, the base material uses a relatively inexpensive and excellent workability, and the clad metal forming the surface can save expensive materials by using such materials requiring specific properties, such as cost reduction. In addition to human righ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waste of limited underground resources.

통상 모재로는 가격이 저렴한 철(Fe) 또는 철합금이 주로 사용되고, 클래드 금속으로 많이 쓰이는 재료로는 고탄소강, 스테인리스, 니켈, 코발트, 구리, 동, 알루미늄, 내열합금, 티타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클래드 강판의 제조방법으로는 열간압접압연법, 폭발접합법, 확산접합법, 육성용접법 등이 알려져 있는데, 상기의 방법들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In general, inexpensive iron (Fe) or iron alloy is mainly used as a base material, and a material commonly used as a clad metal includes high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nickel, cobalt, copper, copper, aluminum, heat resistant alloys, titanium, and the like.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clad steel sheet, hot rolling, explosion bonding, diffusion bonding, fusing welding, and the like are known, and the above metho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한, 최근의 주방용 조리용기는 2중 구조 내지 많게는 10중 구조인 경우도 상용화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마그네슘합금 층과 접합된 알루미늄합금 층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2중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recent kitchen cooking vessels have been commercialized even in the case of a double structure to a large number of 10 structur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double structure if it includes an aluminum alloy layer bonded to the magnesium alloy layer.

마그네슘을 주방용 직화식 조리용기로 사용시에는 마그네슘의 발화가 문제된다. 주방용 조리용기는 가스렌지 등을 이용한 집적 열원과 접촉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열원에 의한 직접적인 가열에 의하여 마그네슘 조리용기가 마그네슘의 발화점에 도달하여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발화가 발생하면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가스렌지 등의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직화식 조리용기에는 마그 네슘이 사용될 수 없다.When magnesium is used as a direct cooking dish for cooking, ignition of magnesium is a problem. Kitchen cooking vessels are used in contact with an integrated heat source using a gas stov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magnesium cooking vessel reaches the flash point of magnesium by direct heating by a heat source, so that fire may occur. Magnesium cannot be used in direct cooking vessel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heat sources such as stoves, as ignition is likely to lead to fire.

본 발명의 발화 방지 방법은 합금 조성물이 아닌 또 하나의 접착 물질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가열 용기 분야에서 마그네슘합금을 내부 용기로 사용하고 외부를 접착한 물질을 사용하여 가열시 용기의 외주면이 열원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한다. 이로 인하여 마그네슘합금이 발화되지 않고, 온도가 상승하면서 결국 용융점에 이르러 용융하게 된다. The anti-ig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using another adhesive material instead of an alloy composition. In the heating container fiel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is heated when the magnesium alloy is used as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bonded material is heated. Make direct contact with As a result, the magnesium alloy does not ignite, and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magnesium alloy eventually melts at the melting point.

알루미늄(aluminium/aluminum)은 전이 후 금속에 속하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Al이고 원자 번호는 13이다. 가볍고 튼튼하며 산화에 강해 산업 전반에 널리 쓰인다. 특히 항공우주 분야와 교통, 건축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산화물인 보크사이트에서 전기 분해로 얻어지며, 재료로 쓰이는 주요한 합금으로는 두랄루민 등을 꼽을 수 있다.Aluminum (aluminium / aluminum) is a chemical element belonging to the metal after transition, and the symbol is Al and the atomic number is 13. Lightweight, durable and resistant to oxidation, i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It is especially used in aerospace,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It is obtained by electrolysis in the oxide bauxite, and the major alloy used as a material is duralumin.

마그네슘은 원자번호가 12이고 알루미늄은 원자번호가 13으로, 마그네슘합금에는 알루미늄이 많이 쓰이고, 알루미늄합금에는 마그네슘이 많이 쓰이는 등 매우 친화적이며, 마그네슘의 융점은 650 ℃이고 , 알루미늄의 융점은 660 ℃로 융점 또한 가장 비슷하다. 따라서 알루미늄합금을 클래드 금속으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그 접합성이 강하게 된다. Magnesium has an atomic number of 12 and aluminum has an atomic number of 13, and magnesium is used a lot in aluminum alloys, and magnesium is used a lot in aluminum alloys.Magnesium has a melting point of 650 ℃ and aluminum has a melting point of 660 ℃. Melting point is also the most similar. Therefore, when the aluminum alloy is introduced into the clad metal, the bonding property is strong.

또한, 가열시에는 알루미늄이 직접적인 열원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마그네슘의 발화점에 도달하여도 발화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는 고온 용해 시작시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이 동시에 용융되면서 빠르게 혼합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는 마그네슘합금의 발화 방지의 효과를 가져 오게 되는 것이 다.In addition, during heating, aluminum prevents direct contact with a heat source so that no fire occurs even when the magnesium flash point is reached. This is because magnesium and aluminum are melted at the same time at the beginning of high temperature melting, so that the mixing takes place simultaneously. Ultimately, the magnesium alloy has an effect of preventing ignition.

마그네슘은 발화 금속이다. 마그네슘은 고유물성인 발화성을 갖는데, 마그네슘이 외부열로 인해 온도가 지속해서 상승하면 마그네슘이 고체에서 액체로 바뀌면서 발화점 온도에 도달하여 발화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그네슘이 용해가 일어나지 않으면 발화를 하지 않는다. 반면에 알루미늄은 마그네슘과 융점의 온도가 매우 비슷하고 친화성도 매우 좋으며 용해되어도 발화하지 않는 비발화 금속이다.Magnesium is a ignition metal. Magnesium has intrinsic ignition properties. When magnesium continues to rise in temperature due to external heat, magnesium is converted from solid to liquid to reach the ignition point temperature to ignite. Therefore, magnesium does not ignite unless dissolution occurs. Aluminum, on the other hand, is a non-ignition metal that has a very similar temperature between magnesium and melting point, good affinity, and does not ignite when dissolved.

마그네슘이 외부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하면서 용해가 시작되면, 이때 마그네슘은 인접한 알루미늄의 용해 물질을 흡수 혼합하게 된다. 마그네슘은 외부열로 인해 용융되면서 발화점 온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인접한 용융된 알루미늄을 흡수하여 혼합된다. 혼합으로 인하여 마그네슘의 발화점으로의 상승을 방해하고, 동시에 비발화 금속인 알루미늄을 흡수 혼합하므로 이로 인하여 마그네슘의 발화성이 감소하여 마그네슘의 발화를 방지하는 것이다.When the magnesium starts to dissolve as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external heat, the magnesium absorbs and mixes the dissolved material of the adjacent aluminum. Magnesium melts due to external heat and rises to the ignition point temperature, where it absorbs adjacent molten aluminum and mixes it. The mixing prevents the rise of magnesium to the ignition point,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and mixes aluminum, which is a non-ignition metal, thereby reducing the ignition of magnesium and preventing the ignition of magnesium.

이렇게 간접적인 방식으로 알루미늄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화를 방지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마그네슘의 알루미늄 함유비율을 높인 조성물에 비하여 마그네슘의 순수 함량을 높여 조리용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Preventing ignition by using the aluminum composition in such an indirect manner can direct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oking vessel by increasing the pure content of magnesium as compared to the composition of the high aluminum content of magnesium.

더 자세하게는 상기 마그네슘합금의 두께는 0.4 mm ~ 6.5 mm이고, 상기 알루미늄합금의 두께는 0.4 mm ~ 6.5 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magnesium alloy is 0.4 mm to 6.5 mm, the thickness of the aluminum alloy is 0.4 mm to 6.5 mm for a kitchen non-fired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의 두께가 0.4 mm 이하이면 물리적 충격에 취약 하게 되고, 6.5 mm 이상이 되면 조리용기의 가열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열전도성이 떨어지게 된다.If the thickness of the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is 0.4 mm or less, it is vulnerable to physical impact. When the thickness of the alloy is 6.5 mm or more, it takes a long time to heat the cooking vessel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마그네슘합금을 PEO(Plasma Electrolytic Oxidation)처리로 표면개질처리 후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fired cooking vessel for a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sium alloy is coated after th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by PEO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treatment.

마그네슘은 상용 금속들 중 가장 화학적 활성이 큰 금속으로 표준전극전위는 2.363VNHE 이고, 일반적으로 표면 처리되지 않을 경우 대기 중이나 용액 중에서 매우 빠르게 부식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마그네슘 제품을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표면을 화학적, 전기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부식 저항성을 높이는 표면처리법이 요구된다. Magnesium is the most chemically active metal among commercial metals, and its standard electrode potential is 2.363V NHE . In general, magnesium is very rapidly corroded in air or in solution when it is not surface treated. Therefore, in order to commercialize magnesium products, a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enhancing corrosion resistance by chemically, electrochemically or physically treating the surface of the product is required.

마그네슘의 부식반응은 다음과 같은 산화,환원반응에 의해서 일어난다.Corrosion reaction of magnesium is caused by the following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Mg = Mg2 + + 2e (1)Mg = Mg 2 + + 2e (1)

2H+ + 2e = H2 (2)2H + + 2e = H 2 (2)

2H2O + 2e = H2 + 2OH- (3) 2H 2 O + 2e = H 2 + 2OH - (3)

Mg + 2H+ = Mg2 + + H2 (4)Mg + 2H + = Mg 2 + + H 2 (4)

Mg2 + + 2OH- = Mg(OH)2 (5) Mg 2 + + 2OH - = Mg (OH) 2 (5)

Mg + 2H2O = Mg(OH)2 + H2 (6)Mg + 2H 2 O = Mg (OH) 2 + H 2 (6)

반응식 (1)은 마그네슘 표면에서 형성되는 국부전지의 아노드에서 일어나는 산화반응을 나타낸다. 그리고 반응식 (2)와 (3)은 국부전지의 캐소드에서 일어나는 환원반응들을 나타낸 식이다. 반응 (2)는 수소 이온이 다량 존재하는 산성용액에서 주로 일어나는 환원반응이며, 반응(3)은 수소이온의 존재량이 매우 낮은 중성 혹은 알칼리 용액에서 나타나는 환원반응을 나타낸다. 따라서 산성용액에서는 산화반응(1)과 환원반응 (2)이 결합된 국부전지가 형성되어 반응식 (4)와 같은 부식반응이 일어나 마그네슘은 이온으로 용해되고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중성용액이나 알칼리 용액에서는 마그네슘의 산화반응 (1) 에 의해서 형성된 Mg2 +가 물의 환원반응 (3)에 의해서 형성된 OH-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식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Mg(OH)2 가 마그네슘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Mg(OH)2 피막이 표면에 형성되는 알칼리 용액에서는 부동태를 나타내는 반면, 부동태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산성용액에서는 마그네슘의 부식이 일어나게 된다.Scheme (1) shows the oxidation reaction that takes place on the anode of a local cell formed on the magnesium surface. And (2) and (3) represent the reduction reactions occurring at the cathode of the local battery. Reaction (2) is a reduction reaction mainly occurring in an acidic soluti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hydrogen ions is present, and reaction (3) represents a reduction reaction occurring in a neutral or alkaline solution having a very low amount of hydrogen ions. Therefore, in the acidic solution, a local battery in which the oxidation reaction (1) and the reduction reaction (2) are combined to form a corrosion reaction as shown in Reaction (4) causes magnesium to be dissolved as ions and hydrogen gas is generated. In a neutral solution or an alkaline solution Mg 2 + formed by the oxidation reaction of magnesium (1) OH formed by the water reduction reaction (3) as shown in the reaction with the chemical formula (6), Mg (OH) 2 Is formed on the magnesium surface. Therefore, the alkali solution in which the Mg (OH) 2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shows passivation, whereas the acid solution in which the passivation film is not formed causes corrosion of magnesium.

마그네슘 제품의 표면처리법은 크게 화학적 방법, 전기화학적 방법 그리고 물리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화학적 방법으로는 마그네슘 제품을 화학약품에 침지시키고 이때 표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하여 내식성이 있는 표면 피막을 형성시켜주는 화성처리 (chemical conversion) 법이 있다. 전기화학적 방법으로는 용액 중에서 전기를 가하여 표면에 내식성이 있는 산화피막을 형성시켜주는 양극산화법(anodizing)과 표면에 내식성이 있는 금속피막을 입혀 주는 도금법이 있다. 물리적 표면처리 방법으로는 표면에 보호성 고분자 층을 입혀 주는 도 장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화학적, 전기화학적 방법에 해당하는 화성처리법, 양극산화법 및 도금법이 가장 발전된 마그네슘의 표면처리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처리방법이나 원리적 측면에 있어서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분야로서 현재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Surface treatment of magnesium products can be divided into chemical, electrochemical and physical methods. Chemical methods include chemical conversion, in which magnesium products are immersed in chemicals and a corrosion resistant surface film is formed by chemical reactions occurring on the surface. Electrochemical methods include anodizing to form a corrosion resistant oxide film on the surface by applying electricity in a solution, and a plating method to coat a corrosion resistant metal film on the surface. Physical surface treatment is a method of coating a protective polymer layer on the surface. Among these methods,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methods, such as chemical treatment, anodization, and plating, are known as the most advanced surface treatments of magnesium, and currently require high skill and knowledge in terms of treatment and principle. Many studies are active.

마그네슘의 화학적, 전기화학적 표면처리법들에 있어서 표면처리 방법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공정으로 표면처리 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행하는 전처리 공정이 있다. 전처리 공정의 목적은 표면처리 하기 이전의 기계가공이나 주조, 소성가공 등의 공정에서 발생된 기름이나 고온 산화 스케일 등의 제거 및 대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표면 산화피막들을 제거함에 있다. 이러한 전처리 공정은 표면처리를 하기에 용이한 표면 상태를 만들어 주는 공정으로서 표면처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공정이다.Regardless of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in the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methods of magnesium, there is a pretreatment step that is commonly performed before entering the surface treatment step. The purpose of the pretreatment process is to remove oil or high temperature oxidation scales generated during machining, casting, plastic processing, etc. before surface treatment, and to remove surface oxide films naturally formed in the air. This pretreatment process is a process that makes the surface state easy to surface treatment is indispensable to maximize the surface treatment effec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처리 공정은 고체 잔존물을 제거해 주는 기계적 전처리와 유기물 혹은 산화물형태의 잔존물을 제거해주는 화학적 전처리가 있다. 기계적 전처리 방법에는 바렐 연마 또는 쇼트 블라스트 등이 있으며, 화학적 전처리에는 기름류를 제거해주는 탈지, 산화피막을 제거해 주는 산세, 표면활성화를 위한 표면조정 등이 있다Commonly used pretreatment processes include mechanical pretreatment to remove solid residues and chemical pretreatment to remove residues in the form of organics or oxides. Mechanical pretreatment methods include barrel grinding or shot blasting. Chemical pretreatment includes degreasing to remove oils, pickling to remove oxides, and surface adjustment for surface activation.

전처리 공정 중 하나인 스파크 양극산화처리기 기술의 경우, 기술의 명칭은 미국에서는 ASD(Anodic Spark Deposition), 일본에서는 아노맥기, 독일에서는 ANOF(Anodishe Oxidation an Funkenanladung), 러시아에서는 MAO(Micro-arc Oxidation) 또는 PEO(Plasma Electrolytic Oxidation)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최초의 상용화 기술은 러시아이므로 주로 MAO 혹은 PEO로 통용된다.In the case of spark anodization, one of the pretreatment processes, the technology is named ASD (Anodic Spark Deposition) in the US, Anomac in Japan, ANodishe Oxidation an Funkenanladung in Germany, and Micro-arc Oxidation (MAO) in Russia. It is also used as PEO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but the first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is Russia, so it is commonly used as MAO or PEO.

1932년 PEO에 대한 최초의 기술이 Gunterschulze에 의해 발표되었으며, 실질적인 응용은 마그네슘합금의 내식성 코팅으로 이 기술은 1963년 미국의 MIL Specification에 채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용화가 많이 된 밸브금속군에 포함된 알루미늄합금에 대한 우선 이 기술의 응용은 1974년 Hardcovsky, 1976년 Markov의 특허 등에 의해 최초로 알려져 있으며 그 후 러시아, 유럽, 미국 등에서 점진적으로 기술이 개량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허의 원천국은 러시아 및 미국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발명자를 고려하면 러시아인들이 주도적이다. The first technology for PEO was published by Gunterschulze in 1932,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s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of magnesium alloy, which is known to have been adopted in the US MIL Specification in 1963. First,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aluminum alloys in commercially available valve metal groups was first known by the patents of Hardcovsky in 1974 and Markov in 1976, and then gradually improved in Russi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Is coming. The source of the patents is mainly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Russians dominate if the inventors are considered.

본 기술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은 밸브금속을 양극으로 하고, Na을 주재로 한 알루민산염(aluminate), 규산염(silicate), 텅스텐산염(tungstate), 몰리브덴산염(molybdate), 크롬산염(chromate) 및 인산염(phosphate) 등의 약알칼리용액에서 고전압, 고전류의 펄스 또는 교류를 부하하여 금속의 표면에 절연필름(insulating film)이 형성되고, 이것의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 arc 발생)이 반복되면서 독특한 비정질 양극산화피막이 결정화된 피막으로 형성된다. 이 공정은 사용되는 용액과 더불어 전하의 부하 프로그램은 각각의 특허기술로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DC에서 가능하며, 러시아에서는 주로 펄스를 사용하고, 미국은 주로 교류를 사용하여 치밀하고 밀착성이 견고한 세라믹질 피막을 얻을 수 있는 스파크 양극산화기술이라 할 수 있다.Metals applicable to this technology include aluminates, silicates, tungstates, molybdates, chromates, and the like, which are valve metals as anodes. A weak alkali solution such as phosphate is loaded with a high voltage or high current pulse or alternating current to form an insul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he metal, and its breakdown occurs repeatedly, resulting in a unique amorphous. An anodized film is formed of the crystallized film. In addition to the solution used, the charge loading program varies with each patented technology, generally available in DC, mainly in pulses in Russia, and in the United States mainly by alternating current. It can be said to be a spark anodization technology to obtain a film.

형성된 코팅층은 소재로부터 얇은 과도층(transitive layer), 기능층(functional layer), 기술층(technological layer)으로 구성된다. 과도 층(Transitive layer)은 소재와의 화학 결합으로 강력한 밀착성을 부여하고, 기능층(functional layer)는 알루미나(alumina)로 구성되어 경도가 높으며 치밀한 층을 형성하고, 기술층(technological layer)은 알루미나(alumina)로 구성되며 기공도가 높으며, 부스러지기 쉬운 성질로 표면 조도가 높다(문성모, 정용수, 기계와 재료 , 2004·7, p55 ~ p64).The coating layer formed is composed of a thin transitive layer, a functional layer, and a technical layer from the material. Transitive layer provides strong adhesion through chemical bonding with the material, functional layer is composed of alumina to form a high hardness and dense layer, and technical layer is alumina. It is composed of alumina and has high porosity and brittleness and high surface roughness (Moon Sung Mo, Jung Yong Soo, Machinery and Materials, 2004 · 7, p55 ~ p64).

초경질 양극산화피막기술은 경질 양극산화피막 (Hard Anodizing), 전해 경질크롬도금 (Electroplated Hard Chrome) 등 기존의 화학 또는 전기화학적 방법 그리고 플라즈마 세라믹 용사 (Plasma Alumina Spraying) 등에 의한 피막기술 보다 내마모성, 내부식성, 내전압성 등의 피막성능이 월등히 우수하며, 마그네슘 산화피막의 경도는 Hv 500∼700 정도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의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는 환경 친화적이고, 안전하고, 간단한 전처리로 조작이 간편한 공정 즉, 일반 양극산화법이나 화성처리법에서 복잡하고 까다로운 전처리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히 탈지처리만 하여도 피막 형성에 큰 영향이 없는 공정이라는 것이다.Ultra-hard anodization technology is more wear-resistant and more resistant than conventional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such as hard anodizing, electroplated hard chrome, and plasma ceramic spraying. The coating performance such as corrosiveness and withstand voltage is excellent, and the hardness of magnesium oxide film can be obtained about Hv 500 ~ 700. One of the biggest advantages of this technology is tha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safe, and easy to operate with simple pretreatment, that is, it is easy to form a film by simply degreasing without complex and difficult pretreatment process in general anodization or chemical conversion. It's a process without impact.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초경질 피막의 가장 큰 취약성은 공정 단가와 피막 물성으로 볼 수 있다. 우선 공정단가는 주로 고전압/고전류를 활용하고, 일부 기술은 펄스 및 PR파 혹은 교류를 활용함으로써, 초기 설비비(전원공급장치)가 매우 높으며, 운영비 또한 비싸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막의 물성은 소지(주조용과 가공용)에 따라서 조금 다른지만, 공정에서 어쩔 수 없이 형성되는 기공(crater)은 매우 부스러지기 쉬워, 먼지에 민감한 반도체 부품 장비에 적용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이고, 호닝 등 표면 연마공정을 거쳐야 이런 부품에 응용이 될 수 있으므로, 후가공에 따른 단가 상승 요인을 일으킨다.Despite these advantages, the most vulnerable of this ultrahard coating is the process cost and the film properties. First of all, the process cost mainly uses high voltage / high current, and some technologies use pulse, PR wave, or alternating current, so the initial equipment cost (power supply) is very high and the operating cost is expensive. Nex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ial (for casting and processing), but the craters formed inevitably in the process are very brittle, and are very limited to be applied to dust-sensitive semiconductor component equipment. Back surface polishing process can be applied to these parts, causing the cost increase due to post-processing.

또, 알루미늄의 착색공정과 같은 기공 저부에 전해방법에 의한 착색 공정은 개발되어 지지 않고 있다. 근본적으로 이 초경질 피막은 장벽층이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두꺼워지다가 절연 파괴(dielectric breakdown)가 일어나기 때문에 기공의 크기가 매우 크고, 표면에서 적어도 1/3까지 포러스한 층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알루미늄과 같은 미려한 금속 착색공정 개발에는 제한적이다. 결국 염료 침적 공정을 통해 착색을 하거나, 유기물 코팅(UV코팅), Sol-gel 공정, 정전도장 등을 통해 착색 공정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Moreover, the coloring process by the electrolytic method in the pore bottom like the coloring process of aluminum is not developed. Fundamentally, this ultrahard coating has a very large pore size and a porous layer of at least one third of the surface because the barrier layer thickens with increasing voltage and then breaks dow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beautiful metal coloring processes such as aluminum is limited. As a result, the dyeing process may be colored, or the organic coating (UV coating), the sol-gel process, the electrostatic coating, etc., the coloring process may be inevitable.

PEO 방법으로 경량금속 표면을 처리하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1) 부식을 방지하고, 2)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으로 만들어진 클래드 판재를 MgO와 Al2O3로 표면을 개질한다. 3) 원적외선이 산화 마그네슘합금 판재의 경우 상온 40 ℃에서 약 93 %가 나오므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풍부한 원적외선 로 인해 음식물이 내부로부터 골고루 익게 되어 맛있는 음식을 제공한다. 4) 표면 층의 개질이 마그네슘합금 판재의 경우 HV 600 정도로 강해지고, 5) 또한 표면의 밀도가 매우 치밀하여 사용상 염수등의 수분이 PEO 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한다. 6) 표면의 조도가 미세한 거칠기로 인해 테프론 코팅,세라믹 코팅등의 표면도장 처리시 밀착력이 매우 좋아져 코팅의 밀착성 불량을 방지하고 코팅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시켜준다. 7) 조리용기의 고온가열시 표면층이 세라믹층으로 개질되어 있어서 용기가 열의 고온현상이 저감되고 용기의 뒤틀림 현상도 저감시켜 준다. 8) 용기가 용융점으로 온도가 상승할 때 PEO 처리된 세라믹층이 금속의 용융을 일정시간 밀봉하여 가두는 역할을 하여 안전성 및 마그네슘의 발화를 지연 저감시킨다. 9) 세라믹층으로 개질되어 환경 친화적이고, 10) 도장된 세라믹이나 테프론 코팅층이 벗겨져도 2차 보호막의 기능을 갖는다. 11) 금속의 용융점을 높여주고, 12) 마그네슘의 발화점을 높여주고 발화를 저감시킨다. 13) 금속의 강도를 높여주고, 14) 표면층의 흠집을 막아준다. 15) PEO 처리 용액이 알카리성 의 친환경적인 용액이다. 16) PEO 처리를 마그네슘과 알루미늄 복합판의 경우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17) 산화 알루미늄의 원적외선 방사량이 40 ℃에서 92% 가량 나온다. 그러므로 조리시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많이 받을 수 있어 건강에 도움이 된다. Treatment of light metal surfaces with PEO has the following beneficial effects: 1) It prevents corrosion and 2) The surface of clad plate made of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is modified with MgO and Al 2 O 3 . 3) In case of Magnesium Oxide alloy plate, far 93% comes out at room temperature of 40 ℃, so food is cooked evenly from inside due to abundant far infrared rays. 4) Modification of the surface layer is stronger than HV 600 in case of magnesium alloy sheet. 5) In addition, the density of the surface is very dense so that moisture such as brine does not pass through the PEO layer. 6) Due to the fine roughness of the surface, the adhesion is very good during the surface coating treatment such as Teflon coating and ceramic coating, which prevents poor adhesion of the coating and maintains the coating life for a long time. 7)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heated at high temperature, the surface layer is modified with ceramic layer, so the container reduces the high temperature phenomenon of heat and also reduces the warping of the container. 8) When the temperature rises to the melting point, the PEO-treated ceramic layer seals and locks the melting of the meta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ducing the safety and delaying the ignition of magnesium. 9) Modified with ceramic layer, environmentally friendly. 10) Even if the painted ceramic or Teflon coating layer is peeled off, it has the function of secondary protective film. 11) to increase the melting point of metal, 12) to increase the flash point of magnesium and to reduce the ignition. 13)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metal, 14) prevents scratches on the surface layer. 15) PEO treatment solution is an alkalin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olution. 16) PEO treat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for magnesium and aluminum composite plates. 17) Far-infrared radiation of aluminum oxide is about 92% at 40 ℃. Therefore, you can receive a lot of far-infrared rays that are beneficial to the body when cooking, which is good for health.

또한, 상기 코팅은 테프론 코팅 또는 세라믹 코팅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에 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ating is directed to a non-fired cooking vessel for the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the Teflon coating or ceramic coating.

일반적으로 용기의 부식 방지를 위한 표면처리 방법에는 화성처리, 양극산화 처리 등이 있고, 아연도금, 니켈도금 그리고 수지분체도장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최초에 PEO(플라즈마 산화처리)로 표면을 개질처리하고 그 위에 세라믹코팅, 테프론코팅 등으로 마감처리 한다.Generally, surface treatment methods for preventing corrosion of containers includ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anodization treatment, zinc plating, nickel plating, and resin powder coating.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is first modified by PEO (plasma oxidation treatment) and finished on the ceramic coating, Teflon coating, and the like.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을 접합하여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클래드 판재를 성형 프레스에 금형 안장하고, 드로잉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ing vessel for cooking by heating food therein, the method comprising: manufacturing a clad plate by bonding a magnesium alloy and an aluminum allo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comprising the steps of saddle-molding the clad plate on a molding press and drawing molding.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의 클래드 판재의 제조방법으로는 열간압접압연법, 폭발접합법, 확산접합법, 육성용접법 등이 알려져 있는데, 상기의 방법들이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제조한 클래드 판재를 일반적인 성형 프레스에 금형 안장하고 드로잉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를 제조한다.As a method for producing a clad plate of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hot rolling, explosion bonding, diffusion bonding, fusing welding, and the like are known, and the above metho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Including a mold saddle and drawing-molding the clad plate material thus prepared in a general molding press, to prepare a kitchen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더 자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제조한 클래드 판재를 일반적인 성형 프레스에 금형 안장하고 드로잉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를 제조한다. PEO처리 후에 그 위에 세라믹코팅, 테프론코팅 등으로 마감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를 제조한다.Manufacturing a non-ignition cooking vessel for the kitchen, including the step of saddle and drawing molding the prepared clad plate material in a general molding press, the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After PEO treatment, the ceramic coating, Teflon coating, and the like are finished to prepare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kitchen.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을 이중주조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ignition cooking vessel for a kitchen comprising the step of molding a magnesium alloy and an aluminum alloy in a double casting in a kitchen cooking vessel manufacturing method for heating food therein.

주조는 원하는 모형(模型)으로 만들어진 주형의 공동(空洞)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성형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가장 일반적인 주형은 모래와 진흙으로 만들며, 세라믹스, 시멘트가 섞인 모래, 기타 다른 물질들도 주형 제작에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용융금속이 주입될 공동을 형성하는 모형(보통 나무·금속·수지 등으로 만들어짐)의 외부을 둘러싼다. 주형을 형성하는 재료가 모형의 모양으로 만들어지면 주형에서 모형을 빼낸다. 주형은 보통 상형(上型)과 하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두 부분은 모형이 제거된 뒤에 형틀에 넣어져서 핀과 부시(얇은 원통)에 의해 정확히 연결된다. 그 다음에 용융금속은 탕구를 통해 주형 안으로 주입되면서 러너(runner)를 통해 공동의 각 부분에 보내진다. 주형은 용융금속의 압력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할 뿐 아니라 주형의 공동으로부터 공기와 다른 기체가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로 통기성(通氣性)이 좋아야 한다. 만일 통기성이 좋지 않으면 주물에 구멍이 생기게 된다.Casting refers to the operation of molding by injecting molten metal into a cavity of a mold made of a desired model. The most common molds are made of sand and mud, and ceramics, cemented sand and other materials are also used to make the molds. These materials surround the exterior of a model (usually made of wood, metal, resin, etc.) that forms a cavity into which molten metal will be injected. When the material that forms the mold is shaped into a model, the model is removed from the mold. Molds are usuall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molds, which are inserted into the mold after the model is removed and are precisely connected by pins and bushes (thin cylinders). The molten metal is then injected into the mold through a spout and sent to each part of the cavity through a runner. The mold must be strong enough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the molten metal as well as breathable enough to allow air and other gases to escape from the cavity of the mold. If it is poorly ventilated, there will be holes in the casting.

주물공장용 모형제작에는 세심한 주의와 기술이 필요하다. 모형은 온도가 낮아져서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동안의 수축을 고려하여 원하는 주물보다 커야 한다. 폴리스티렌 거품모형은 주형 안에 남아서 주입된 금속과 접촉하자마자 기화하며, 밀랍모형은 용융금속이 주입되기 전에 녹아서 주형 밖으로 흘러나온다. 금속주형은 일반적으로 금형주조로 알려진 주조법에 사용된다. 이 주형 안에는 종종 공동이 필요하므로 주형의 한쪽 부분에 심형(core)을 붙인다. 금속·수지·나무로 만들어진 심형틀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량생산이 가능한 현대식 주물공장은 고도의 기계화·자동화·로봇화가 특징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공정을 정확히 자동제어할 수 있다. 화학결합제의 발달로 인해 주형과 심형이 더 강해졌으며 더욱 정밀하게 주조할 수 있게 되었다. 진공상태에서 작업하면 정밀도와 순도가 높아지므로 우주공간에서의 무중력 주조작업을 통해 더 많은 발전이 기대된다. Modeling for foundries requires careful attention and skill. The model should be larger than the desired casting, taking into account the shrinkage during which the liquid turns into a solid due to lower temperature. The polystyrene foam model remains in the mold and vaporizes upon contact with the injected metal, and the wax model melts and flows out of the mold before molten metal is injected. Metal molds are commonly used in the casting process known as mold casting. The mold often requires a cavity, so a core is attached to one part of the mold. Core frames made of metal, resin and wood may be used. The mass-produced modern foundry features a high degree of mechanization, automation and robotization, and microprocessors can accurately control the entire process.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 binders, molds and cores are stronger and more precise can be cast. Working in vacuum improves precision and purity, and further development is expected through gravity-free casting in space.

이중주조는 1차 주조 성형한 성형품을 금형에 도입하여 다시 재차 주조하는 것을 말한다.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의 이종 금속 접합 주조에서는 서로 다른 금속, 즉 마그네슘합금을 1차로 용기의 내부용으로 주조하는 단계와, 다시 그것을 주조금형에 삽입용으로 사용하고 알루미늄합금을 그 위에 주조로 하여 판재의 클래드와 같이 이종금속 접합을 주조에서도 해결한다. 주조를 1차주조물 2차 주조물로 구성되게 하여 이종 금속이 일반접착의 물질이 아닌 고온 용해주조방법으로 용해 접착되어 클래드한 금속이 조리용기로 사용할 때 분리되지 않고 발화되지 않게 한다. 알루미늄합금으로 1차주조를 그 후에 마그네슘합금으로 2차주조하는 경우도 가능하고, 2차주조 후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이용한 3차 이상의 주조도 가능하다.Double casting refers to introducing a molded product formed by primary casting into a mold and casting again. In the dissimilar metal joint casting of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a step of casting different metals, namely magnesium alloy, for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first performed, and then used for inserting into the casting mold and casting the aluminum alloy on it. As with the cladding, dissimilar metal joints are also solved in casting. The casting is composed of the primary casting and the secondary casting so that the dissimilar metal is melted and bonded by high temperature melting casting method, not the material of general bonding, so that the clad metal does not separate and ignite when used as a cooking vessel. It is also possible to carry out the first casting with aluminum alloy and then the second casting with magnesium alloy, and after the second casting, it is also possible to cast the third or more using stainless steel or the like.

다이캐스팅은 다이 주조라고도 한다. 필요한 주조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기계가공 된 강제(鋼製)의 금형(金型)에 용융금속(熔融金屬)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주조법이다. 그 제품을 다이캐스트 주물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사형주조, 금형주조, 저압주조, 다이캐스트라고 표현한다. Die casting is also known as die casting. It is a precision casting method in which molten metal is injected into a steel mold that is precisely machined to perfectly match the required casting shape, thereby obtaining the same casting as the mold. The product is called diecast casting. In Japan, it is referred to as sand casting, mold casting, low pressure casting, and die casting.

다이캐스트의 정의는 정밀한 금형에 용탕을 주입하여 고정밀도로 주물 표면이 우수한 주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식 및 그것에 의한 제품을 말한다. 다이캐스트 또한 주조의 한 방법이다. 다이캐스트는 원래 3가지의 형태 즉, 중력다이캐스트, 저압다이캐스트, 압력다이캐스트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트라고 하면 압력다이캐스트를 말한다. The definition of diecast refers to a method of producing a large amount of castings having excellent casting surface with high precision by injecting molten metal into a precise mold and a product thereof. Diecasting is also a method of casting. Diecast originally comes in three forms: gravity diecast, low pressure diecast, and pressure diecast. In general, diecast refers to pressure diecast.

다이캐스트법의 발명은 파스칼의 원리에 의한 사출력, 형 체력의 밸런스, 금형에서 제품의 압출과 인출, 이형제, 윤활제의 개발, 형 내의 슬러그를 빼내는 방 법, 러너 게이트 설계 등의 시행착오 끝에 개발하였다. The invention of the die-casting method is developed after trial and error such as the dead power based on Pascal's principle, balance of mold strength, extrusion and withdrawal of product from mold, development of mold release agent, lubricant, removal of slug in mold, and runner gate design. It was.

다이캐스팅으로 마그네슘합금을 1차주조하고, 다시 다이캐스팅으로 알루미늄합금을 2차주조한다. 반대로 다이캐스팅으로 알루미늄합금을 1차주조하고, 다시 다이캐스팅으로 마그네슘합금을 2차주조도 가능하다.Magnesium alloy is first casted by die casting, and aluminum alloy is second casted again by die casting.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o cast aluminum alloy first by die casting and magnesium alloy second casting by die casting.

더 자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a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제조한 이중주조의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를 제조한다. PEO처리 후에 그 위에 세라믹코팅, 테프론코팅 등으로 마감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를 제조한다.Prepar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kitchen, including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of the manufactured double casting. After PEO treatment, the ceramic coating, Teflon coating, and the like are finished to prepare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kitchen.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마그네슘 판재를 프레스 드로잉 성형하여 후가공하는 단계;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oking vessel for a kitchen to accommodate and heat food therein, the method comprising: post-processing by pressing drawing a magnesium plate;

상기 가공된 성형판을 주조 금형에 삽입하여 알루미늄 주조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kitchen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tep of inserting the processed molding plate into a casting mold to form aluminum casting.

더 자세하게는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ignition cooking vessel for the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O treatment of the magnesium alloy surface.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제조예Production Example

제조예Production Example 1. 마그네슘 알루미늄  1. Magnesium Aluminum 클래드Clad 금속판재의 제조 Manufacture of metal sheet

마그네슘합금(Az31B) 판재와 알루미늄합금(Al6061) 판재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여 롤러 프레스로 두 금속을 동일하게 상하로 놓고 가압하여 접합하였다.The magnesium alloy (Az31B) plate and the aluminum alloy (Al6061) plate were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joined by pressing the two metals up and down in the same manner with a roller press.

제조예Production Example 2. 마그네슘 알루미늄  2. Magnesium Aluminum 클래드Clad 주조 금속의 제조 Manufacture of Foundry Metals

마그네슘합금(Az31B) 괴를 용융 도가니에 넣어 690 ℃에서 용해시켰다. 용융된 마그네슘합금 금속액을 다이케스팅 기계에 의해 성형 금형에서 성형 주조하였다. 주조한 용기를 내주면으로 사용하고, 외주면은 알루미늄합금(Al6061) 주조로서 2중주조 하였다. A magnesium alloy (Az31B) ingot was placed in a melting crucible and dissolved at 690 ° C. The molten magnesium alloy metal liquid was cast in a molding die by a die casting machine. The cast container was used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as double cast as aluminum alloy (Al6061) casting.

제조예Production Example 3. 마그네슘 판재와 알루미늄  3. magnesium plate and aluminum 클래드Clad 주조 금속의 제조 Manufacture of Foundry Metals

마그네슘합금(Az31B) 판재를 프레스 금형을 통하여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한 마그네슘합금 성형 용기를 내주면으로 사용하고, 외주면은 알루미늄합금(Al6061) 주조로서 2중주조 하였다. A magnesium alloy (Az31B) sheet material was molded through a press die. The molded magnesium alloy molding container was used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as double cast as aluminum alloy (Al6061) casting.

시험예Test Example

시험예Test Example 1. 고온 발화성의 측정 1. Measurement of high temperature flammability

마그네슘합금 3mm 시편을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가열 5분 경과 후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렬한 불꼿을 내며 마그네슘합금은 발화하였다.A magnesium alloy 3 mm specimen was heated using a gas torch. After 5 minutes of heating, the magnesium alloy ignites with intense burning as shown in FIG. 1.

3mm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의 클래드 금속판재 시편을 가스 토치를 이용하여 가열하였다. 가열 5분 후에도 아무런 반응이 없었고 7분이 경과 하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융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Clad metal sheet specimens of 3 mm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were heated using a gas torch. After 5 minutes of heating there was no reaction and after 7 minutes As shown in Figure 3, melting began to occur.

도 2는 발화한 마그네슘합금을 나타낸다. 가운데 부분은 발화하여 커다란 구멍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은 융용이 일어나서 마치 고드름과 같이 흘러내린 흔적을 볼 수 있었다. 2 shows a fired magnesium alloy. The middle part was ignited and a large hole was foun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was melted to see the traces flowing down like icicles.

도 5에서는 발화된 마그네슘합금과 발화되지 아니한 마그네슘합금, 알루미늄합금 클래드 금속판재를 나타내었다. 발화된 경우와 비발화 된 경우의 그 차이점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5 shows a ignited magnesium alloy, a non-ignited magnesium alloy and an aluminum alloy clad metal shee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gnited and non-ignited cases was clear.

시험예Test Example 2. 코팅된 금속판재의 원적외선 방출량 측정 2. Measurement of Far-Infrared Emission of Coated Metal Sheet

PEO 처리한 3mm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에 대하여 원적외선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40 ℃에서 원적외선 방출량을 측정하였다.Far-infrared emission was measured at 40 ° C. using a far-infrared measuring apparatus for 3 mm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treated with PEO.

알루미늄합금(Al6061)의 방사율은 91.8 %에 이르고, 마그네슘합금(Az31B)의 방사율은 92.5 %를 나타내었다. 이는 100 %에 가까운 값으로 매우 높은 방사율에 해당된다.The emissivity of the aluminum alloy (Al6061) reached 91.8%, and the emissivity of the magnesium alloy (Az31B) was 92.5%. This is close to 100% and corresponds to a very high emissivity.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마그네슘합금  1. Magnesium Alloy 클래드Clad 판재의  Plate 후라이팬frying pan 제조 Produce

(1) 마그네슘합금판 (Az31B) 1.5 mm 규격을 준비하여 가로 세로 정사각의 300 mm 규격으로 재단하였다.(1) Magnesium alloy plate (Az31B) 1.5 mm standard was prepared and cut to 300 mm square.

(2) 알루미늄합금판 2,5 mm 규격을 준비하여 가로 세로 정사각의 300 mm 규격으로 3000장을 재단하였다.(2) An aluminum alloy sheet 2,5 mm standard was prepared and 3000 sheets were cut to 300 mm square.

(3) 상기 (1)과 (2)의 합금판들을 청결제와 세척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3) The alloy plates of (1) and (2) were washed with a cleaning agent and washing water and then dried.

(4) (3)의 합금판들을 콘베어식 고온로에 각 각 1장씩 순서로 넣고 10분 정도로 이송 통과시켰다.(4) The alloy plates of (3) were placed in a conveyor type high temperature furnace one by one in order and passed through for about 10 minutes.

(5) (4)의 합금판들을 상하롤러식 가압 프레스를 이용하여 각 각 1장씩 상하로 맞춰서 넣고 2.5 mm 두께로 되도록 통과시켜 클래드판재를 제조하였다.(5) The alloy plates of (4) were put up and down one by one using the up and down roller pressure press, and the clad plate was manufactured by passing them to be 2.5 mm thick.

(6) 제조된 클래드판재를 프레스 금형을 통하여 다시 300 mm의 원형판재로 재단하였다.(6) The prepared clad plate member was cut into a circular plate member of 300 mm again through a press die.

(7) 재단된 원형 판재를 24cm 고온 금형에 넣고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이 되도록하여 드로잉 벌징하였다.(7) The cut circular plate was placed in a 24cm high-temperature mold and the drawing was bulged by using magnesium alloy inside.

(8) (7)의 성형된 용기를 후가공 공정인 용기의 측면 변 끝부분을 커팅하여 가공하고, 드로잉으로 생긴 흠집 등은 샌드페이퍼로 연마 가공하였다.(8) The molded container of (7) was processed by cutting the side edge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which is a post-processing step, and the scratches and the like produced by drawing were polished by sandpaper.

(9) (8)의 용기 손잡이 부착 부분을 드릴로 구멍을 삼각지점식으로 3개 뚫었다.(9) Three holes were drilled by triangular point with the container handle attachment part of (8).

(10) (9)의 용기를 세척수에 세척하였다.(10) The vessel of (9) was washed with washing water.

(11) (10)의 용기를 알칼리 용액이든 탱크욕조에 침수시켜 PEO 처리하였다.(11) The vessel of (10) was subjected to PEO treatment by immersing the alkaline solution in a tank bath.

(12) PEO 처리된 용기를 욕조에서 건져낸 후에 세척수에 3회 세척하여 건조시켰다.(12) The PEO-treated container was taken out of the bath, washed three times in washing water, and dried.

(13) 건조된 용기를 손때가 묻지 않도록 깨끗한 장갑을 끼고 청결지로 포장한 후 세라믹 코팅실로 이동시켰다.(13) The dried container was put in clean paper with clean gloves to prevent stains and then moved to a ceramic coating chamber.

(14) 코팅실에서 포장지를 벗겨낸 후 세라믹 코팅을 내주연 3회, 외주연 3회를 실시하여 건조하였다.(14) After removing the wrapping paper from the coating chamber, the ceramic coating was dried by performing three inner and three outer circumferences.

(15) 코팅된 용기를 조립라인쪽으로 이동시켜 리베트 3개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손잡이를 부착시켜 후라이팬을 완성하였다.(15) The coated container was moved to the assembly line, and three rivets were pressed by a press to attach a handle to complete the frying pan.

실시예Example 2. 마그네슘합금  2. Magnesium Alloy 다이케스팅Die casting 주조의  Casting 후라이팬frying pan 제조 Produce

(1) 마그네슘합금괴 AZ31B를 준비하였다. (1) Magnesium alloy ingot AZ31B was prepared.

(2) 마그네슘합금괴를 마그네슘전용 용해로에 넣고 690 ℃로 용해시켰다.(2) A magnesium alloy ingot was placed in a magnesium melting furnace and dissolved at 690 ° C.

(3) 다이케스팅 기계에 24 cm 후라이팬 금형을 장착시켰다(3) The die casting machine was equipped with a 24 cm fry pan mold.

(4) 용융된 마그네슘합금을 로버트 래들을 이용하여 탕구에 넣고 다이케스팅 기계의 피스톤을 작동하여 마그네슘 금형에 용융된 마그네슘합금을 밀어넣어 후라이팬을 성형 시켰다(4) The molten magnesium alloy was put into the mouthpiece by using the Robert Ladle, the piston of the die casting machine was operated to push the molten magnesium alloy into the magnesium mold to form a frying pan.

(5) 성형된 용기를 후가공부로 이동시켜 후가공 처리를 하였다.(5) The molded container was moved to a post-processing section for post-processing.

(6) 알루미늄합금괴를 준비하였다.(6) An aluminum alloy ingot was prepared.

(7) 알루미늄합금괴를 용해로에 넣고 660 ℃로 용해시켰다.(7) An aluminum alloy ingot was placed in a melting furnace and dissolved at 660 ° C.

(8) (5)의 마그네슘 주조용기를 이중주조를 위해 알루미늄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켰다.(8) The magnesium casting vessel of (5) was inserted into an aluminum mold for double casting and fixed.

(9) 용융된 알루미늄합금을 로버트 래들을 이용하여 탕구에 넣고, 다이케스팅 기계의 피스톤을 작동하여 용융된 알루미늄합금을 금형에 밀어넣어 이중주조를 하였다.(9) The molten aluminum alloy was put into a hot water hole using Robert Ladle, the piston of the die casting machine was operated, and the molten aluminum alloy was pushed into the mold for double casting.

(10) 이중주조된 후라이팬을 후가공부로 보내 후가공 처리하였다.(10) The double-casting frying pan was sent to the post-processing section for post-processing.

(11) (10)의 이중주조된 후라이팬을 청결제 및 세척수로 처리한 후 건조시켰다.(11) The double-casting frying pan of (10) was dried with a cleaning agent and washing water.

(12) (11)의 용기를 알칼리 용액이든 탱크욕조에 침수시켜 PEO 처리하였다.(12) The vessel of (11) was immersed in a tank bath, even alkaline solution, and treated with PEO.

(13) PEO 처리된 용기를 욕조에서 건져낸 후에 세척수에 3회 세척하여 건조시켰다.(13) The PEO-treated container was taken out of the bath and then washed three times in washing water and dried.

(14) 건조된 용기를 손때가 묻지 않도록 깨끗한 장갑을 끼고 청결지로 포장한 후 세라믹 코팅실로 이동시켰다.(14) The dried container was put into clean paper with clean gloves to prevent stains and then moved to a ceramic coating chamber.

(15) 코팅실에서 포장지를 벗겨낸 후 세라믹 코팅을 내주연 3회, 외주연 3회를 실시하여 건조하였다.(15) After peeling off the wrapping paper in the coating chamber, the ceramic coating was dried by performing three inner circumferences and three outer circumferences.

(16) 코팅된 용기를 조립라인쪽으로 이동시켜 리베트 3개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손잡이를 부착시켜 후라이팬을 완성하였다.(16) The coated container was moved to the assembly line, and three rivets were pressed by a press to attach a handle to complete the frying pan.

도 1 마그네슘합금의 발화 모습으로 A는 가열 후 5분이 경과 한 경우, B는 가열 후 5분 10초가 경과 한 경우, C는 가열 후 5분 15초가 경과 한 경우의 발화 모습Fig. 1 Ignition state of magnesium alloy, when A is 5 minutes after heating, B is 5 minutes and 10 seconds after heating, C is a fire state when 5 minutes and 15 seconds after heating

도 2 발화가 완료된 마그네슘합금Fig. 2 Magnesium alloy complete ignition

도 3 마그네슘합금 및 알루미늄합금 클래드의 용융한 모습으로 A는 가열 후 7분이 경과 한 경우, B는 가열 후 7분 30초가 경과 한 경우, C는 가열 후 8분이 경과 한 경우의 용융 모습Figure 3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clad in a molten state A when 7 minutes after heating, B is 7 minutes and 30 seconds after heating, C is a melting state when 8 minutes after heating

도 4 용융이 완료된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 클래드4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cladding is complete

도 5 발화된 마그네슘합금과 용융된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 클래드의 비교5 Comparison of the ignited magnesium alloy and the molten magnesium alloy and aluminum alloy clad

도 6 PEO처리한 알루미늄합금과 마그네슘합금의 측정된 방사율6 Measured emissivity of aluminum alloy and magnesium alloy treated with PEO

Claims (9)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에 있어서,In the kitchen cooking vessel that accommodates and heats the food therein, 마그네슘합금 층과 접합된 알루미늄합금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슘합금을 PEO(Plasma Electrolytic Oxidation)처리로 표면개질처리 후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It comprises a magnesium alloy layer and the aluminum alloy bonded to the layer, and the magnesium alloy is a direct-fired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interior of the magnesium allo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ting after the surface modification treatment by PEO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treat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슘합금의 두께는 0.4 mm ~ 6.5 mm이고 상기 알루미늄합금의 두께는 0.4 mm ~ 6.5 mm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magnesium alloy is 0.4 mm to 6.5 mm and the thickness of the aluminum alloy is 0.4 mm to 6.5 mm kitchen non-fired cook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In the kitchen cooking vessel manufacturing method for receiving and heating food therein,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을 접합하여 클래드 판재를 제조하는 단계;Manufacturing a cladding plate by bonding a magnesium alloy and an aluminum alloy; 상기 클래드 판재를 성형 프레스에 금형 안장하고, 드로잉 성형하는 단계;Saddle the clad plate with a molding press and drawing molding; 상기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 및PEO treating the magnesium alloy surface; And 상기 PEO 처리된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코팅처리 하는 단계;Coating the surface of the PEO-treated magnesium alloy; 를 포함하는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kitchen is a magnesium alloy containing a. 삭제delete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In the kitchen cooking vessel manufacturing method for receiving and heating food therein, 마그네슘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을 이중주조로 성형하는 단계;Molding the magnesium alloy and the aluminum alloy by double casting; 상기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 및PEO treating the magnesium alloy surface; And 상기 PEO 처리된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코팅처리 하는 단계;Coating the surface of the PEO-treated magnesium alloy; 를 포함하는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kitchen is a magnesium alloy containing a. 삭제delete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는 주방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In the kitchen cooking vessel manufacturing method for receiving and heating food therein, 마그네슘합금 판재를 프레스 드로잉 성형하여 후가공하는 단계; Post drawing by molding the magnesium alloy sheet; 상기 가공된 성형판을 주조 금형에 삽입하여 알루미늄합금 주조로 성형하는 단계;Inserting the processed molding plate into a casting mold to mold aluminum alloy casting; 상기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PEO 처리하는 단계; 및PEO treating the magnesium alloy surface; And 상기 PEO 처리된 마그네슘합금 표면을 코팅처리 하는 단계;Coating the surface of the PEO-treated magnesium alloy; 를 포함하는 내부가 마그네슘합금인 주방용 직화식 비발화 조리용기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non-ignition cooking container for the kitchen is a magnesium alloy containing a. 삭제delete
KR1020080045331A 2008-05-16 2008-05-16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KR1008840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31A KR100884094B1 (en) 2008-05-16 2008-05-16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331A KR100884094B1 (en) 2008-05-16 2008-05-16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094B1 true KR100884094B1 (en) 2009-02-19

Family

ID=4068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331A KR100884094B1 (en) 2008-05-16 2008-05-16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094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87B1 (en) * 2009-04-07 2009-07-23 (주)코리아마그네슘 Kitchen bowl composed of magnesium allo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303409B1 (en) * 2011-11-07 2013-09-05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Cooking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15564B1 (en) * 2012-06-20 2013-10-08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Cooking vessel
KR101316916B1 (en) 2011-12-27 2013-10-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Magnesium-alloyed plat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utensil using the same
KR101335294B1 (en) * 2012-06-20 2013-12-02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Roasting plate
KR101342614B1 (en) 2004-08-23 2013-12-17 하스 푸드 이큅먼트 게엠바하 Device for producing cushion-shaped preferably filled hollow bodies
CN108851952A (en) * 2018-09-13 2018-11-23 应旭昶 A kind of electric food warmer and its process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56B1 (en) * 2006-01-09 2007-06-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Black titanium oxide coating layer
KR20080016325A (en) * 2006-08-18 2008-02-21 웅진쿠첸 주식회사 Inner pot of light weight for electric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56B1 (en) * 2006-01-09 2007-06-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Black titanium oxide coating layer
KR20080016325A (en) * 2006-08-18 2008-02-21 웅진쿠첸 주식회사 Inner pot of light weight for electric rice cook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614B1 (en) 2004-08-23 2013-12-17 하스 푸드 이큅먼트 게엠바하 Device for producing cushion-shaped preferably filled hollow bodies
KR100908887B1 (en) * 2009-04-07 2009-07-23 (주)코리아마그네슘 Kitchen bowl composed of magnesium allo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303409B1 (en) * 2011-11-07 2013-09-05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Cooking vess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16916B1 (en) 2011-12-27 2013-10-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Magnesium-alloyed plat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utensil using the same
KR101315564B1 (en) * 2012-06-20 2013-10-08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Cooking vessel
KR101335294B1 (en) * 2012-06-20 2013-12-02 주식회사 위스코하이텍 Roasting plate
CN108851952A (en) * 2018-09-13 2018-11-23 应旭昶 A kind of electric food warmer and its processing method
CN108851952B (en) * 2018-09-13 2024-03-26 应旭昶 Electric heating pot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094B1 (en) Cooker comprising magnesiume
Famiyeh et al.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coatings on aluminum alloys: microstructur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ussein et al. Production of anti-corrosion coatings on light alloys (Al, Mg, Ti) by plasma-electrolytic oxidation (PEO)
CN104562128B (en) A kind of method for preparing thermal protection ceramic layer on metal or metallic composite surface
CN102912342B (en) Method for preparing high-strength and high-conductivity copper-based alloy coating by means of laser-induction hybrid cladding
CN101260558A (en) Method for preparing corrosion-resisting wear-proof ceramic coat on TA15 titanium alloy surface
CN102330095B (en) Preparation method of Al2O3 coating on surface of steel-matrix material
CN107553815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metal-resin composite
CN105852651B (en) A kind of production technology of the uncoated non-corrosive inner container of electric cooker of cast iron
CN109609992A (en) A kind of aluminum alloy mobile phone shell anode oxidative treatment method
CN102181861A (en)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 alloy
CN106400082A (en) Preparation technology of aluminum alloy with surface provided with high-hardness anode oxide film
CN101698957A (en) Micro-arc oxidation treatment method of heat-resistant cast rare earth magnesium alloy
JP2937484B2 (en) Methods and products for plasma enhanced electrochemical surface ceramicization
US3680626A (en) Corrosion-resistant surface coating for use in the casting of aluminum and aluminum alloys
CN102383115B (en)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ly gradient composite coating in osmosis plating
KR101451507B1 (en) The manufacture of non-stick frying pan and non-stick frying pan prepared by
BR112018072363B1 (en) COATING OF METALLIC AREAS OF COOKING PLATES, COOKING PLATE AND PROCESS FOR COATING METALLIC AREAS
CN104999054A (en) Method for combining different types of aluminum materials and combined part of different types of aluminum materials
CN105458265B (en) A kind of hot isostatic pressing use control pattern cor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application of recyclable reuse
CN101892468A (en) Preparation method of chemically plating Ni-W-P ternary alloy on surface of Mg-Li alloy
CN101280451A (en) Micro-arc oxidation process of magnesium alloy weld joint
CN111748714A (en) Anodic oxidation die-casting aluminum alloy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Zhao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die casting mold steel by a composite technique of hot-dipping and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CN100567583C (en) The method of directly electrodepositing zinc-nickel alloy on magnesium alloy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