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985B1 -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985B1
KR100883985B1 KR1020070102395A KR20070102395A KR100883985B1 KR 100883985 B1 KR100883985 B1 KR 100883985B1 KR 1020070102395 A KR1020070102395 A KR 1020070102395A KR 20070102395 A KR20070102395 A KR 20070102395A KR 100883985 B1 KR100883985 B1 KR 10088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
hanging
mo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20070102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물의 거치 또는 교환 및 해체 작업시 리모트컨트롤하여 광고물 거치대를 승강시켜 광고물을 거치 또는 교환 및 해체함으로써 작업의 간편화, 작업비용의 절감 및 고소 작업에 따른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무선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상기 바디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거치부와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행잉부; 상기 신호발생부의 유무선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행잉부를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의 구동수단은, 상기 행잉부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장치부; 웜기어가 치합되는 모터축을 갖는 슬립방지용 DC모터; 상기 DC모터의 구동시 상기 릴장치부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벨트; 및 상기 신호발생부의 유무선 조작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에 따라 상기 DC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행잉부와 상기 바디부의 구동수단에는 각각 풀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가 풀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수막, 광고물, 거치대, DC모터, 승강

Description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ELECTRIC HANGER FOR AN ADVERTISEMENT}
본 발명은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옥내 또는 옥외에 설치하여 광고물을 거치하는 것으로, 리모트컨트롤하여 광고물 거치대를 승강시켜 광고물의 거치 또는 교환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작업비용이 절감되며, 고소 작업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나 옥외에 광고물 특히, 배너(banner)의 설치시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었다. 또한, 전신주 사이나 다리 등에 배너를 거치하였는데 이는 광고물(배너) 설치시 고소 작업이 많아 작업자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작업시 사다리 등의 부대 장비가 필요하여 이동시마다 사다리 등의 부대 장비를 구비해야 하며, 고소 작업의 경우에 안전성 등의 이유로 작업자의 인건비가 상승되고, 작업과정이 번거로워 작업시간이 늘어나며, 광고물(배너)의 해체 및 교환 과정에서 상기의 문제점들이 되풀이되었다. 또한, AC 모터를 사용할 경우 220V의 고전압이 사용되어 안전성 등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옥내 또는 옥외에 광고물(배너)의 설치, 교환 및 해체시 리모트컨트롤하여 광고물 거치대를 승강시켜 광고물을 설치, 교환 및 해체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시켜 작업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고소 작업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정돈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는, 유무선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 상기 바디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와 상기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거치부와 상기 와이어연결부 및 거치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행잉부; 상기 신호발생부의 유무선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행잉부를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는 바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의 구동수단은, 상기 행잉부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장치부; 웜기어가 치합되는 모터축을 갖는 슬립방지용 DC모터; 상기 DC모터의 구동시 상기 릴장치부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벨트; 및 상기 신호발생부의 유무선 조작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에 따라 상기 DC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행잉부와 상기 바디부의 구동수단에는 각각 풀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가 풀리에 결합됨으로써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물(배너)의 설치, 해체 및 교환작업시 작업시간 단축, 작업비용의 절감 및 고소 작업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릴장치부 및 웜기어의 벨트결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릴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DC모터의 슬립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무선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00);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행잉부(200); 상기 신호발생부(100)의 유무선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행잉부(200)를 승강시키는 구동수단(DM)이 구비되는 바디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행잉부(200)는, 상기 바디부(300)와 와이어(310)로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210); 상기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거치부(220); 및 상기 와이어연결부(210) 및 거치부(2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는 옥내 또는 옥외의 천장이나 벽면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써, 리모트컨트롤하여 상기 행잉부(200)를 승강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DM)이 내설된 상기 바디부(300)를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시킨 후, 원격 제어(유/무선방식)하여 상기 행잉부(200)를 승강시키고, 상기 행잉부(200)에 광고물(배너)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디부(300)의 구동수단(DM)은, 상기 행잉부(200)와 결합되는 와이어(310); 상기 와이어(310)가 권취되는 릴장치부(320); 웜기어(331)가 치합되는 모터축을 갖는 슬립방지용 DC모터(330); 상기 모터(330)의 구동시 상기 릴장치부(320)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벨트(340); 및 상기 신호발생부(100)의 유무선 조작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351)에 따라 상기 DC모터(33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원격 제어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상기 신호감지부(351)에서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350)에서 처리하여 AC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350)의 다이오드를 거쳐 상기 AC전원은 DC전원으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DC전원은 변압기를 통하여 상기 DC모터(330)의 정격전압에 맞게 강압된다. 이때, 상기 DC모터(330)는 사용되는 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12V~20V DC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DC전원을 사용함으로써 AC전원 사용시 발생되는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장치부(320)와 DC모터(330)는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시 연동되도록 벨트(340)로 연결되거나 체인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C모터(3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자가 제1전원공급선(1)을 통해 DC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의 (+)단자(3) 및 (-)단자(4)중 어느 하나의 단자에 연결 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전원공급선(2)을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20)의 (+)단자(3) 및 (-)단자(4)중 다른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DC모터(330)에서,일 단자가 상기 제1전원공급선(1)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부(20)로부터 상기 제1전원공급선(1) 및 상기 제2전원공급선(2)의 연결이 끊기고, 상기 DC모터(330)에 구비된 회전자의 관성에 의한 회전이 종료된 후, 턴-온되는 스위치(5)를 구비하여 DC모터(330)의 슬립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행잉부(200)와 바디부(300)의 구동수단(DM)에는 각각 풀리(240-1, 240-2, 360-1, 360-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310)가 풀리(240-1, 240-2, 360-1, 360-2)에 결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300)의 내부 양측과 상기 행잉부(2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풀리(240-1, 240-2, 360-1, 360-2)가 구비되며, 이에 와이어(310)가 연결되는데, 상기 행잉부(200)의 하중과 상기 풀리(240-1, 240-2, 360-1, 360-2)에 결합된 와이어(310)에 의해 상기 행잉부(200)의 수평조절이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310)가 풀리(240-1, 240-2, 360-1, 360-2)에 결합되어 상기 행잉부(200)의 승강시 상기 와이어(310)의 풀림과 감김 및 상기 행잉부(200)의 승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10)는 각각의 풀리(240-1, 240-2, 360-1, 360-2)에 결합되어 하기할 릴장치부(320)의 엉킴방지수단(322)을 통하여 릴(321)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릴장치부(320)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310)가 권취되는 릴(321); 및 양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릴(321)에 와이어(310)가 균등하게 권취되도록 하여 엉킴을 방지하는 엉킴방지수단(322);이 더 구 비되며, 상기 릴장치부(320)의 엉킴방지수단(322)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사선을 갖고 일측이 상기 벨트(340)에 결합되어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시 연동되는 좌우회동축(323); 및 상기 릴(321)에 권취되는 와이어(31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5)를 갖고 상기 좌우회동축(323)의 나사선에 내면이 대응결합되어 상기 좌우회동축(323)의 회전시 상기 나사선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몸체(3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행잉부(200) 및 바디부(300)의 풀리(240-1, 240-2, 360-1, 360-2)를 거쳐 들어오는 와이어(310)는 상기 엉킴방지수단(322)의 가이드부(325)를 거쳐 상기 릴장치부(320)의 릴(321)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25)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310)가 부드럽게 통과되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릴(321), 좌우회동축(323) 및 웜기어(331)의 결합축이 벨트(340)(체인)로 연결되어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시 연동되는데,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좌우회동축(323)이 정/역회전하면 상기 좌우회동축(323)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치합된 상기 이송몸체(324)가 상기 좌우회동축(323) 외주면의 나사선을 따라 양방향(좌우)으로 이송되며, 상기 이송몸체(324)의 가이드부(325)를 통하여 릴(321)에 권취되는 와이어(310)가 상기 릴(321)에 균등하게 권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몸체(324)의 좌우이동은 상기 이송몸체(324)가 상기 좌우회동축(323)의 나사선(일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진행되다가, 상기 일방향의 단부에 도달함과 동시에 단부와 접촉되면서 작용반작용의 힘이 작용하여 상기 이송몸체(324)는 상기 좌우회동축(323)의 나사선(타방향)을 따라 타방향으로 진행되어 이송되는데, 타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상기 일방향의 진행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이송몸체(324)는 계속적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에는, 리미트스위치(352)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되는데, 상기 리미트스위치(3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300)의 양측 내부 하단부에 작동스위치가 외부로 돌출형성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행잉부(200)는 승강시 하강한 거리를 상기 제어부(350)에서 감지하여 상승시 하강한 거리만큼 상승하도록 되어있으나, 오작동의 경우에 이에 대한 이차적인 안전장치로써 상기 리미트스위치(352)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행잉부(200)가 상승시 멈추지 않고 계속적으로 상승한다면 상기 와이어(310)가 끊어지거나 또는 상기 구동수단(DM)의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행잉부(200)가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상승하다가도 상기 바디부(300)의 하단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리미트스위치(352)의 작동스위치에 접촉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352)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50)에서 신호를 감지하여 DC모터(330)의 구동을 멈추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행잉부(200)의 상승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AC전원이 인가되는 AC전원부(미도시), 상기 제어부(350), DC모터(330), 신호감지부(351) 및 리미트스위치(352)는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상기의 설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발생부(100)를 조작하여 발생된 신호를 상기 신호 감지부(351)에서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50)는 AC전원을 인가받아 DC전원으로 변환 및 강압시켜 상기 DC모터(330)를 구동 및 정지시키며,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릴장치부(320)에 와이어(310)가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며 권취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행잉부(200)가 승강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352)가 이차 안전장치로써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300)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 1 내지 도 5 참조)
1) 상기 신호발생부(100)를 조작한다.
2) 상기 신호발생부(100)의 신호를 상기 신호감지부(351)에서 수신받아 제어부(350)로 전달한다.(이때, AC전원이 상기 제어부(350)로 인가된다.)
3) 상기 제어부(350)에서 상기 DC모터(330)를 구동(정회전)시킨다.
4) 상기 릴장치부(320)의 릴(321)에 권취된 와이어(310)가 풀리면서 상기 행잉부(200)가 하강한다.
5) 상기 행잉부(200)가 적당한 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신호발생부(100)의 조작을 멈추고, 광고물(배너)을 상기 행잉부(200)에 거치한다.
6) 5)의 과정이 끝나면 상기 신호발생부(100)를 조작하여 상기 행잉부(200)를 상승시킨다.(이때, 상기 DC모터(330)는 역회전하며, 상기 와이어(310)가 릴(321)에 권취된다.)
7) 6)의 과정에서 상기 행잉부(200)가 하강한 거리를 상기 제어부(350)에서 감지하고 있어, 상기 행잉부(200)의 상승시 하강한 거리만큼 상승시킨다.
8) 광고물을 거치하여 사용하다가 상기 광고물의 교체 또는 해체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한다.
9) 7)의 과정에서 상기 신호발생부(100)가 오작동하여 상기 행잉부(200)가 계속적으로 상승시, 상기 행잉부(200)의 상단이 상기 바디부(300)의 리미트스위치(352)의 작동스위치와 접촉되면서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이 멈추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의한 와이어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릴장치부 및 웜기어의 벨트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릴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의 DC모터의 슬립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전원공급선 2 : 제2전원공급선
3 : (+)단자 4 : (-)단자
5 : 스위치 20 : 전원공급부
100 : 신호발생부
200 : 행잉부
210 : 와이어연결부 220 : 거치부
230 : 결합수단
240-1, 240-2 : 풀리
300 : 바디부
310 : 와이어 320 : 릴장치부
321 : 릴 322 : 엉킴방지수단
323 : 좌우회동축 324 : 이송몸체
325 : 가이드부 330 : DC모터
331 : 웜기어 340 : 벨트
350 : 제어부 351 : 신호감지부
352 : 리미트스위치
360-1, 360-2 : 풀리
DM : 구동수단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무선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100); 상기 바디부(300)와 와이어(310)로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부(210)와 상기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거치부(220)와 상기 와이어연결부(210) 및 거치부(22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230)으로 구성되어 광고 현수막을 걸기 위한 행잉부(200); 상기 신호발생부(100)의 유무선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행잉부(200)를 승강시키는 구동수단(DM)이 구비되는 바디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300)의 구동수단(DM)은, 상기 행잉부(200)와 결합되는 와이어(310); 상기 와이어(310)가 권취되는 릴장치부(320); 웜기어(331)가 치합되는 모터축을 갖는 슬립방지용 DC모터(330); 상기 DC모터(330)의 구동시 상기 릴장치부(320)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벨트(340); 및 상기 신호발생부(100)의 유무선 조작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351)에 따라 상기 DC모터(33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행잉부(200)와 상기 바디부(300)의 구동수단(DM)에는 각각 풀리(240-1, 240-2, 360-1, 360-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310)가 풀리(240-1, 240-2, 360-1, 360-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02395A 2007-10-11 2007-10-11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KR10088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95A KR100883985B1 (ko) 2007-10-11 2007-10-11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395A KR100883985B1 (ko) 2007-10-11 2007-10-11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985B1 true KR100883985B1 (ko) 2009-02-17

Family

ID=4068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395A KR100883985B1 (ko) 2007-10-11 2007-10-11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9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17B1 (ko) 2011-06-01 2011-10-05 김재옥 승강 조절 가능한 행거 타입의 주유가격 안내 표시판
KR20240031684A (ko) 2022-09-01 2024-03-08 (주)밸류포인트 교체형 안전 배너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287Y1 (ko) * 1999-08-30 2000-03-15 주식회사풍정정공 호스릴용 호스정렬장치
KR20040062930A (ko) * 2004-06-21 2004-07-09 지에스티 주식회사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90938Y1 (ko) 2005-05-02 2005-07-27 임태향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287Y1 (ko) * 1999-08-30 2000-03-15 주식회사풍정정공 호스릴용 호스정렬장치
KR20040062930A (ko) * 2004-06-21 2004-07-09 지에스티 주식회사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90938Y1 (ko) 2005-05-02 2005-07-27 임태향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617B1 (ko) 2011-06-01 2011-10-05 김재옥 승강 조절 가능한 행거 타입의 주유가격 안내 표시판
KR20240031684A (ko) 2022-09-01 2024-03-08 (주)밸류포인트 교체형 안전 배너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237B1 (ko)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1639417B1 (ko) 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
US11473762B2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CN102901063B (zh) 灯具升降器和升降灯
WO2007120009A1 (en) Lifting apparatus having lifting reel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GB2468736A (en) Rope-layering mechanism for ceiling hoist
KR100883985B1 (ko) 전동식 광고물 거치대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CN111285279A (zh) 自动化线缆卷扬装置
CN103672333B (zh) 摄像头的位置调整装置和视频监控装置
CN202423956U (zh) 输电线路维修用吊装装置
CN202884833U (zh) 灯具升降器和升降灯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CN106544840B (zh) 动力总成及电动晾衣机
CN212924214U (zh) 一种卷扬机
KR200464796Y1 (ko) 무대구동장치
KR102330912B1 (ko)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CN108071256B (zh) 充电车库及用于充电车库的收放线装置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CN209872181U (zh) 一种电力配件吊运装置
JP2021042658A (ja) 遮蔽装置
CN217498538U (zh) 轴带轮排线结构及升降装置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