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886B1 - 하천 정수용 제방 - Google Patents

하천 정수용 제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886B1
KR100883886B1 KR1020070036766A KR20070036766A KR100883886B1 KR 100883886 B1 KR100883886 B1 KR 100883886B1 KR 1020070036766 A KR1020070036766 A KR 1020070036766A KR 20070036766 A KR20070036766 A KR 20070036766A KR 100883886 B1 KR100883886 B1 KR 10088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water purification
section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192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070036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88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보 또는 제방에 축조되어 하천의 흐름을 유도하면서, 흐르는 물을 자연적으로 정수하면서 청정한 물을 제공하고, 또한 물의 흐르는 강도를 줄여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고, 하천을 흐르는 혼탁한 물을 정화하여서 친환경적으로 농업용수 또는 식수를 제공하도록 하천에 축조되어 정수를 하는 제방에 관한 발명으로서, 하천의 폭이나 제방에서 소정의 크기로 바닥면을 고정하되; 바닥면에서하천의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양측벽면을 돌출시켜 형성하여서 정수구간으로 형성하고, 상기 양측벽면에는 소정 크기의 물유입구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정수대를 구성하고, 상기 물유입구가 형성되는 양측벽면의 내측공간으로 물이 흐르면서 걸러지는 걸름포와 새모래 및 중간모래가 각각 충진되는 블록을 서로 맞추어서 쌓아서 충진하여 주되, 상기 블록은 고중량의 모래 등이 블록형으로 앵글과 통과구가 천공되는 철판으로 일체되며; 상기 블럭은 중장비로 이동이 되도록 걸이를 구성하여서, 청소용 분해 및 조립공정 등이 용이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정수대의 저측으로 동일한 크기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평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입수구가 형성되는 물유도관과; 상기 물유도관과 연통되며, 하측에서 정수된 물을 제공하는 물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의 보 또는 제방에서, 특히 물의 흐름에 따라 혼탁하여진 물이 자연적으로 걸러지면서 양질의 물이 제공되도록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정수대에 사용되는 정수용 블록을 용이하게 청소를 하도록 걸이와 견고한 앵글로 구성됨을 제공함이며, 또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물의 환경적인 정화로 양질의 물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하천, 보(제방), 정수대, 유입구, 정수블럭,

Description

하천 정수용 제방{Reinforced purifying dike of stream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보가 축조된 제방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블록의 사용되는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록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방 11 : 물유입구 12 : 물배출구
13,13' : 벽면 14 : 고정면 15,16,17 : 블럭
20 : 새모래 21 : 새자갈 22 : 중자갈
24 : 덮개 26 : 하상 28 : 앵글
29 : 보강찰판 31 : 통과구 33 : 지지봉
35 : 정수구간 48 : 철망자루
본 발명은 하천을 가로질러서 축조되는 보 또는 제방에서, 하천에서 흐르는 오염되는 하천의 물을 정수하여서 양질의 물로 여과하여서 하천으로 흐르도록 유도하여서, 농업 및 식수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상에 축조되는 하천 정수용 제방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을 흐르는 물은 주위의 오염이나 장기 정체로 인하여 흐르는 물이 부패하거나 오염으로 인하여 하천의 바닥 등에서 형성되는 흐리 및 뻘 등으로 오염되어서 환경적으로 정상적으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많은 경우가 많아서 하천의 바닥면에 암거 배수관을 매설로 급수를 하도록 사용하거나, 보 등을 축조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하천은 양측 제방의 사이로 흐르게 되나, 주거지 또는 공단 또는 농업지대를 흐르면서 유입되는 오염이나 슬러지 등을 걸러주면서 맑은 물을 흘러내려주고 있다.
또한, 종래에 설치되는 하천에서의 정화장치는 대부분 하천의 바닥면에 고정으로 구축하여서 사용하므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흐르는 물에 오염된 찌거기 또는 부유물이 걸러지면서 침적되므로 걸러지는 효과면에서는 점점 더 낮아져서 청소하는데,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하천의 흐름이 급격해지면서 급류가 발생하게 되며, 제방의 하부 토사 또는 구조물이 점차 침식되게 되고, 홍수 등으로 인해 물의 양이 많아져 흐름이 빨라지게 되면, 하천의 흐르는 물에 의하여 부유하면서 떠내려 오는 부유물이나 침점물로 인하여, 식수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에서 하상을 흐르는 저면에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면서 구축되는 하천 정수용 제방을 제공함과 동시에, 특히 수시로 간단한 장치로 분리하여서 청소를 하여서 청정하게 하며, 또한 간단히 조립으로서 연속 반복적으로 장기간 정수를 하도록 제공함이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소정 크기로 바닥면을 고정면으로 고정하되; 상기 고정면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양측벽면을 돌출시켜 형성하면서, 상기 양측 벽면에는 소정의 크기의 물유입구와 물배출구를 각각 다수개로 형성되는 정수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구간에는 정수용 블록을 서로 겹겹이 서로 쌓아서 적층시켜 주되; 상기 블록에는 중자갈, 새자갈, 미새모래, 등을 순차적으로 담아서 흐르는 하천물이 정수가 되도록 하고, 상기 블록은 앵글과 지지봉으로 서로 일체로 구성하여서, 필요에 따라 기중기 등으로 운반하도록 한다.
고로, 본 발명은 하천의 상측부위에 형성되는 벽면의 물유입구로 둘어오는 하천물은 상기 블록에 담아지는 중자갈, 새자갈, 미새모래를 통과하면서 분순물 등이 정수용 보를 지나는 동안 필터링으로 정화되면서 하측부위의 벽면의 물배출구를 통과허여 하천의 하류로 통과하게 구성된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블록은 앵글과 지지봉으로 견고하게 같이 고정되므로, 필요에 따라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오염된 모래 또는 자갈을 포장하는 블록을, 중장비 등으로 각각 블록을 이동으로 분리를 하므로 청소한 다음, 다시 조립하여서 계속 장기간 사용하게 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블록을 쌓아주는 정수구간의 하측 바닥면에는 집수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집수구간에는 급수관을 연결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정수용 보의 길이는 하천의 폭과 같으므로, 청소작업 할 경우, 하천 물의 흐르는 이동을 고려하여서 상기 정수용 보의 길이를 다수개로 분리하는 분리벽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보가 축조된 제방의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블록의 사용되는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블록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고로, 본 발명은 하천의 바닥을 흐르는 물이 하천을 가로지르면서 구축되는 보 또는 제방을 지나면서 일제히 정수되면서 흐르고, 또한 상기 물이 정수되면서 걸러지는 불순물이나 부유물은 정수용 보에 적재되는 블록의 내측공간에 쌓여진 모 래 또는 잔자갈을 간단히 세척을 하도록 구성되는 정수용 보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천의 일측에서 하상을 가로질러서 고정면(14)이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면서 상,하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상,하측 벽면(13)(13')을 고정하고; 상기 상,하측벽면(13)(13')에는 소정의 간격에 따라 하천의 물이 통과하는 물유입구(11)와 물배출구(12)를 형성하여 주면서, 상기 상,하측벽면(13)(13')의 사이에는 정수구간(35)으로 구성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정수구간(35)에는 하천 물의 정수용 블록(15)(16)(17)을 겹겹히 서로 벽돌을 쌓는 방식으로 촘촘히 적재를 하여 주되; 상기 정수용 블록(15)(16)(17)에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중자갈(22), 새자갈(21) 및 새모래(20)를 충만시켜서, 상측벽면(13)의 물유입구(11)로 들어오는 물이, 상기 정수용 블록(15)(16)(17)을 지나면서 정수가 되어서 깨끗한 물이 하측벽면(13')의 물배출구(12)로 흘러나가게 되므로, 오염된 하천 물은 깨끗한 정수 물로 정화되게 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정수용 블록(15)(16)(17)은 장기간 사용으로 오염이 심하게 되면, 정수능력이 저하되므로 상기 사용되는 정수용 블록(15)(16)(17)은 주기적으로 세척을 하여주어야 되는데, 상기 사용되는 정수용 블록(15)(16)(17)의 중량은 모래 및 자갈의 충진으로 인하여 고중량이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기중기와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고, 또한 이에 따라 견고한 블록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정수용 블록(15)(16)(17)의 세척 및 적재를 위하여서는 양측 벽면(13)(13')의 상측 모서리에는 덮개(24)로 덮어서 사용하며, 세척과 같은 작업 등으로 필요한 경우에 간단히 덮개(24)를 열어 주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구간(35)의 하측부에 집수구간(40)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집수구간(40)에는 배수관(42)을 연결하여서 매설하면, 상기 정수용 블록(15)(16)(17)에서 차집된 정수물을 배수관(42)을 통하여서 필요한 용수를 저렴하면서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의 기중기(중장비)(46)의 고리(48)에의 구조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규격의 앵글(28)로 6면체로 고정하되, 각면에는 통과구(31)가 천공되는 보강철판(29)을 일체로 고정하여 준다. 또한, 상기 기중기(중장비)(46)의 고리(48)에 걸어주면서, 앵글(28)과 보강철판(29)의 견고성을 위하여 지지봉(33)을 일체로 고정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블록(15)(16)(17)의 6면체 중에서 상면체는 보조구멍(37)을 구성하여서, 상기 기중기(중장비)의 고리에 지지봉(33)을 걸어서 본 발명요부인 정수구간(35)에 블록(15)(16)(17)을 서로 적층으로 적재하고, 이동하도록 한다.
고로, 상기 블록에 담아지는 중자갈, 새자갈, 미새모래를 통과하면서 분순물 등이 정수용 정수구간(35)을 지나는 동안 필터링으로 정화되면서 하측벽면(13)의 물배출구(12)를 지나면서 차집되어 하천에 따라 흐르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정수용 블록(15)(16)(17)에 충진되는 새모래(20) 및 자갈(21)(22) 등은 중량이 무거우므로, 이를 정수구간(35)에서 분리하여서 세척하고 다시 정수구간(35)으로 블록을 서로 벽돌과 같이 겹겹히 쌓아주도록 견고성을 보강하기 위하여서는 소정의 크기로 중규격의 앵글을 6면체로 제작하여 주고, 상기 6면체에는 각각의 보강철판(29)을 일체로 조립이나 용접하되, 물 통과구(31)를 미새하면서 촘촘하게 천공하여 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정수구간(35)의 길이는 하천의 폭에 맞추어서 구축되는 제방(55) 사이에 형성되는 바, 상기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인 정수구간(35)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청소구간에 흐르는 하천의 물을 칸막이 등으로 차단하는데, 상기 정수구간(35)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차단하는 분리벽(50)을 구축하여서, 각 분리로 구축되는 정수구간의 간격 마다 순차적으로 세척작업을 수행하도록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앵글(28)과 지지봉(33)으로 일체되면서 통과구(31)가 촘촘히 천공되는 보강철판(29)으로 구성되는 6면체의 블록(15)(16)(17)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이면서 격자형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철망 자루(48)를 사용하면서, 상기 설명되는 새모래 및 새자갈을 담아서 상기 정수구간(35)에,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정수되는 순서에 따라 적층으로 제공하여서 정수의 효과를 보강하여 주어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의 보 또는 제방에서, 특히 물의 흐름에 따라 오염 등으로 혼탁하여진 물이 자연적으로 걸러지면서 양질의 물이 제공되도록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정수구간에 사용되는 정수용 블록을 용이하게 청소를 하도록 걸이와 견고한 앵글로 구성됨을 제공함으로서, 또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물의 환경적인 정화로 양질의 물을 제공하기 위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양측에 제방(55)이 형성되는 하천에 있어서,
    상기 양측 양측 제방(55)의 사이 하천에는 소정의 크기의 물유입구(11)와 물배출구(12)가 각각 다수개로 형성되는 정수구간(35)을 형성하고,
    상기 정수구간(35)에는 정수용 블록(15)(16)(17)을 서로 쌓아서 적층시켜 주되, 상기 정수용 블록에는 중자갈, 새자갈, 미새모래를 담아서 흐르는 하천물이 정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정수용 블록의 각면에는 통과구(31)가 천공되는 보강철판(29)을 일체로 고정하여 주고, 상기 보강철판(29)의 견고성을 위하여 앵글(28)과 지지봉(33)으로 일체로 보강하여 주고, 블록의 상면체에는 걸이용 보조구멍(37)을 구성하여 주며,
    상기 블록을 쌓아주는 정수구간(35)의 하측 바닥면에는 집수구간(40)을 형성하고, 상기 집수구간(40)에는 급수관(42)을 연결하여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정수용 제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구간(35)은 분리벽(50)으로 차단하여서 세척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정수용 제방.
KR1020070036766A 2007-04-16 2007-04-16 하천 정수용 제방 KR100883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66A KR100883886B1 (ko) 2007-04-16 2007-04-16 하천 정수용 제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66A KR100883886B1 (ko) 2007-04-16 2007-04-16 하천 정수용 제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192A KR20080093192A (ko) 2008-10-21
KR100883886B1 true KR100883886B1 (ko) 2009-02-17

Family

ID=4015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766A KR100883886B1 (ko) 2007-04-16 2007-04-16 하천 정수용 제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8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094B1 (ko) 2011-11-09 2012-09-28 현대건설주식회사 생태유지 기능을 구비하는 래버린스 보
KR101186361B1 (ko) 2008-07-21 2012-10-02 민승기 하천에서 배수되는 제방용 조립블럭
KR101249959B1 (ko) * 2012-09-20 2013-04-15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수질정화블록을 이용한 저수지 침강지용 부댐
KR102117123B1 (ko) * 2020-02-21 2020-06-09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하천의 수질 정화기능을 갖는 수중보 및 그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641A (zh) * 2018-04-03 2018-12-21 翟鼎文 多用途活动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5794A (ja) * 1991-01-21 1992-08-24 Hokukon:Kk 河川等における汚水浄化装置
JPH0929277A (ja) * 1995-07-17 1997-02-04 B Bai B:Kk 河川等の水質浄化装置
JPH11158837A (ja) 1997-11-28 1999-06-15 Ohmoto Gumi Co Ltd 海水浄化ケーソン
KR20050082985A (ko) * 2004-02-19 2005-08-24 채종술 소하천 수질 정화시설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5794A (ja) * 1991-01-21 1992-08-24 Hokukon:Kk 河川等における汚水浄化装置
JPH0929277A (ja) * 1995-07-17 1997-02-04 B Bai B:Kk 河川等の水質浄化装置
JPH11158837A (ja) 1997-11-28 1999-06-15 Ohmoto Gumi Co Ltd 海水浄化ケーソン
KR20050082985A (ko) * 2004-02-19 2005-08-24 채종술 소하천 수질 정화시설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361B1 (ko) 2008-07-21 2012-10-02 민승기 하천에서 배수되는 제방용 조립블럭
KR101187094B1 (ko) 2011-11-09 2012-09-28 현대건설주식회사 생태유지 기능을 구비하는 래버린스 보
KR101249959B1 (ko) * 2012-09-20 2013-04-15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수질정화블록을 이용한 저수지 침강지용 부댐
KR102117123B1 (ko) * 2020-02-21 2020-06-09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하천의 수질 정화기능을 갖는 수중보 및 그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192A (ko)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166B1 (ko)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생태도랑
US3854291A (en) Self-cleaning filter for hydrological regeneration
KR100883886B1 (ko) 하천 정수용 제방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1226206B1 (ko) 6방향 여과기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20090111425A (ko) 수질정화 및 수위조절가능한 어도보 시스템
KR101165241B1 (ko) 조립식 인공습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자연정화 시스템
KR101083647B1 (ko)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CN103469885B (zh) 不收固体污染物的污水收集井
KR101268665B1 (ko) 연속함몰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여과시설
RU2200803C1 (ru) Система отвода и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тока
KR100988274B1 (ko) 담수 가능한 자연 여과식 하천수 정화시설
KR10126449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361458B1 (ko) 하천의 수질정화 시공방법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KR100680156B1 (ko) 갈수기 하천바닥 오염물 처리시설
KR101753901B1 (ko) 다지여과망을 이용한 여과부 및 이에 사용되는 천공배수파이프와 이를 이용한 여과시설
KR20100059612A (ko) 하천에서 정수 보강용 교량
KR20130014462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70097598A (ko) 다지여과망 및 이를 이용한 여과부
KR101183073B1 (ko) 비점오염 처리 수로
RU2200802C1 (ru) Система отвода и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тока
JP3683108B2 (ja) 浄化型水路
KR100298244B1 (ko) 침전 및 준설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766518B1 (ko) 비점원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그 활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