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970B1 -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970B1
KR100881970B1 KR1020070068839A KR20070068839A KR100881970B1 KR 100881970 B1 KR100881970 B1 KR 100881970B1 KR 1020070068839 A KR1020070068839 A KR 1020070068839A KR 20070068839 A KR20070068839 A KR 20070068839A KR 100881970 B1 KR100881970 B1 KR 100881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esent
head
rotat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5644A (en
Inventor
엄장환
Original Assignee
어드밴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밴스테크(주) filed Critical 어드밴스테크(주)
Priority to KR102007006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970B1/en
Publication of KR2009000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기술적 구성요소가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있으면서도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capable of efficiently performing the function while the technical components thereof are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잡아주고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는 받침판을 기본적인 형상으로 갖추고, 상기 받침판을 그 내부에 완전히 감싸고 있으면서 유연한 탄성체 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시켜 완성된 몸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 결합된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 나머지 부분이 d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머리쪽으로 잡아당겨주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와 동시에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받쳐주고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plate having a basic shape that can hold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and can be stably placed on the floor, and includes the body portion formed by forming a synthetic resin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while completely enclosing the support plate therein. It includes a rotating part for pulling the user's body toward the head while rotating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user's head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It includes a stand.

본 발명은 상기의 회전부에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올려놓고 약간의 힘을 주게 되면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길게 잡아당겨주게 되므로, 긴장을 완화시키고 피로감을 덜어주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the user's head on the rotating part and give a slight force to pull down the user's body while rotating downward, thereby reducing the tension and reduce fatigue.

척추, 교정, 견인, 신축, 경추, 요추, 물리치료 Spine, correction, traction, stretching, cervical spine, lumbar spine, physical therapy

Description

척추의 회전 견인교정기구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본 발명은 척추의 회전 견인교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누워서 사용자의 뒷목 부위를 본 기구의 받침대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기의 받침대가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부위를 긴장완화시키고 교정할 수 있는 척추의 회전 견인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io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of the spine, and more particularly, the support is rotated downward about the hinge coupling part while the user lays down and places the user's back neck on the support of the device. It relates to a rotatio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of the spine that can relax and correct the spinal column of the user.

일반적으로 척추는 마치 도너츠 형태와 같은 24개의 척추뼈를 차곡차곡 쌓아올리거나 차곡차곡 연결하여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척추뼈는 첫번째에서 7번째의 척추뼈를 경추(cervical)라고 부르고, 8번째에서 19번째까지의 12개를 흉추(dorsal 또는 thoracic)라고 하는데 여기에 12개의 갈비뼈가 붙어 있으며, 20번째에서 24번째의 5개의 척추뼈를 요추(lumbar)라고 부르고 있으며, 상기 요추의 마지막 척추뼈가 천골(sacrum)의 위에 얹혀져 있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In general, the vertebrae form a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or connecting 24 vertebral bones like donuts one by one. These vertebrae are called the cervical vertebrae of the first to seventh, and the twelve of the eighth to nineteenth are called the dorsal or thoracic, with twelve ribs attached, and the twenty to twenty-fourth. The fifth vertebra is called the lumbar spine, and the last vertebra of the lumbar spine is placed on the sacrum.

한편, 상기의 척추뼈들은 서로 상하로 차곡차곡 쌓아져 있는 형태를 이루고,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위쪽의 척추뼈와 아래쪽의 척추뼈는 그들 사이에 디스크(disc)가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디스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vertebrae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form a stack, and each of them is separated independently, the upper vertebrae and the lower vertebrae because there is a disc (disc) between them, It is connected through the disk.

상기의 디스크는 척추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으며, 그 기능은 첫째, 상하의 척추뼈들이 제자리에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붙잡아주고, 둘째, 척수로부터 갈라져 척추관절공을 통하여 내려온 척추신경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압축당하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셋째, 상기의 상하의 척추뼈들을 서로 분리시켜 상기 척추관절공의 범위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서 상기 척추신경이 내부의 압력으로부터 압축당하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넷째, 상기의 척추뼈들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자체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상기 척추신경을 보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시간이 경과되어, 나이를 많이 먹게 되면, 상기의 디스크가 쇠퇴하거나 낡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척추신경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허리통증으로 고생하게 되는 것이다. The disc form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spine, the function of which is to firstly hold the upper and lower vertebrae away from each other in place, and secondly, the external pressure of the vertebral nerv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pinal cord and descends through the spinal joint hole, Third, by protecting the vertebral nerve from being compressed from the internal pressure by securing a sufficient range of the vertebral joint hole by separating the upper and lower vertebrae from each other, and fourth, the vertebrae It is known to protect the spinal nerve by absorbing vibrations transmitted from itself. Therefore, in general, as time passes, the older the age, the disk is decayed or worn out, thereby failing to properly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spinal nerve, and suffer from back pain.

그러나, 실제로 오늘날 현대인의 생활환경을 고려해 보면, 이와 같이 자연적인 나이를 들게 됨으로 인하여 발생되어지는 척추질환에 못지 않게, 잘못된 자세 또는 갑작스런 외부 충격으로 인한 척추질환이 급증하고 있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 이것은 오늘날 급증하고 있는 디스크 환자 내지 척추질환 환자들을 살펴볼 때 간접적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질환들은 상기 척추뼈들이 서로 제자리를 벗어나거나 서로 어긋맞겨 짓눌리게 됨으로써, 상기의 척추신경을 자극하게 됨으로써 주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wever, considering the living conditions of today's modern people, it can not be ignored that the spinal diseases caused by wrong posture or sudden external shock are increasing as much as the spinal diseases caused by this natural ageing. This can be confirmed indirectly when looking at the rapidly increasing disc patients or spinal disease patients. These vertebral diseases are known to occur mainly by stimulating the vertebral nerve by causing the vertebrae to be crushed out of place or deviated from each other.

이러한 척추질환들은 대체적으로 척추관련 전문병원 등에 입원하여 물리적인 수술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수술 등에 의한 치료효과는 수술에 부적합한 질환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또한 수술 이후에 회복시까지 상당한 기간을 고통 속에 감내하여야 하고, 더구나 고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Such spinal diseases are generally hospitalized in spine-related hospitals and try to solve them through physical surgery. However, the therapeutic effect by surgery, etc. still has a disadvantage that the disease is unsuitable for surgery, and also has to endure a considerable period of pain until recovery after surgery, and also pay a high cost.

한편, 이러한 척추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08517호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상기의 등록실용신안 고안에서 제안된 상기 견인베개의 분해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reat such spinal disease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408517 "traction pillow for disc patients" has been proposed. Figure 1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wing pillow proposed in the registration utility model design.

그런데, 상기의 실용신안등록 제20-408517호는 그 기술적 구성요소가 너무 많아서 복잡하고,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구성요소들을 준비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야 하므로, 디스크 환자를 수술요법에 의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제조 및 조립작업이 극히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조공정이 복잡할 경우 그 제조단가를 고가로 책정할 수밖에 없고, 공급자는 고비용의 제품을 판매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일반국민들은 값비싼 제품을 구매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것은 수많은 척추환자들이 수술요법에 의하지 않고 치료받을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극복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However,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408517 is complicated because there are too many technical components, and in order to manufacture them, a number of components must be prepared and assembled in sequence, so that the disk patient can be treated without surgery.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y work is extremely complicated. This means that if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the manufacturing cost is bound to be high, and the supplier is forced to sell expensive products, which causes the general public to purchase expensive products. This also means that many spinal patients cannot overcome the fatal disadvantage of losing their chances of being treated without surger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그 기술적 구성요소가 대폭적으로 감소되어 있으면서도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척추의 회전 견인교정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io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of the spine which can perform the function efficiently while the technical components ar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duc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작동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긴장완화시키고 긴장완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길게 늘여주는 척추의 회전 견인교정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io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of the spine that can be naturally operated while the user is lying down, to relax the user's body and lengthen the user's body in a relaxed stat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잡아주고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는 기본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완전히 감싸고 있으며 유연한 탄성체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등에 맞닿아 사용되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에 대하여 약 30 도 내지 80 도의 각도를 가지고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쪽에서 내리누르는 힘을 받았을 경우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받쳐주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힘을 주었을 경우 그 힘을 상기 회전부에 전달해주는 머리받침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late is formed in the basic shape that can hold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and can be placed stably on the floor; A body part completely surrounding the support plate and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and used to be in contact with a user's back; A rotating part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ing plate and formed upward with an angle of about 30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late, and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coupling when the upper pressing force is applied; A head restrained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and supporting the user's head and transmitting the force to the rotating part when the user's head is forc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부는 그 일단이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머리받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결합부에는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머리받침부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도록 해주는 반면에 상기 외력이 소멸되어질 경우 상기 머리받침부가 위쪽으로 회전하여 원상회복하도록 해주는 탄성체를 더욱 포함하여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end of the rotating portion is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head support portion, the head support portion downwar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that allows the headrest to rotate upward while restoring the external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dissipat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체는 코일형(coil)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 판상(board plate)의 판형 탄성체, 또는 탄성물체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body is preferably used by combining an elastic body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a plate-shaped elastic body in a board plate, or an elastic object.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척추를 서서히 늘려주게 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머리부분을 상기 머리받침대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금씩 자신의 머리부분에 힘을 가하면, 상기 머리받침대가 회전운동을 하명서 서서히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때 사용자의 신체를 서서히 머리쪽으로 끌어오면서 머리는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사용자의 척추는 서서히 늘어나게 되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서로 겹쳐지거나 원래의 위치를 이탈하였던 디스크 등이 제자리로 되돌아오게 되는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imple structure and serves to gradually increase the user's spine. When the user puts his head on the head restraint, and if a little force is applied to his head, the head restraint is gradually lowered down by the rotational movement, and the user's body slowly toward the head As the head is pulled down while pulling, the user's spine is slowly stretched. In this process, it is also possible to enjoy the effect that the disks, which overlap each other or have deviated from their original position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그의 신체를 긴장완화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끌여당게 주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물리치료를 보조해주는 효과도 갖게 된다. In addition,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s gradually pulled in the state of relaxing the body in the user lying down, it also has the effect of assisting the physical therapy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describ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절개도이고, 2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3a and 3b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pi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4 to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100)는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잡아주는 받침판(110)을 포함하고 있다.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late 110 to hold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받침판(110)은 본 발명의 제품을 바닥에 놓았을 경우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잡아주고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의 받침판(110)은 이러한 기능을 실형하기 위하여 길고 넓은 형상이 바람직하고, 일정한 무게를 가진 철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철판은 일정한 무게에 의하여, 바닥에 놓았을 경우 무게 중심을 가지고 안정된 형태로 놓여지게 해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110 has a shape that can be placed stably to grab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when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The base plate 110 is preferably a long and wide shape in order to implement such a function,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teel plate having a constant weight. The iron plate is placed in a stable form with a center of gravity when placed on the floor by a constant weigh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받침판(110)은 그 위에 성형되어질 몸체부(120)를 더욱 잘 붙들어주기 위하여 다수의 격판(11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격판(112)은 상기 받침판(110)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late 110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diaphragms 112 to better hold the body portion 120 to be molded thereon. The diaphragm 112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10 in a right angle.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100)는 상기 받침판(110)을 완전히 감싸고 있는 몸체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20 that completely surrounds the support plate (11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120)는 제조과정의 편의상 상기 받침판(110)을 그 내부에 포함시킨 상태에서 금형에 의하여 성형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20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molding by a mold in the state containing the support plate 110 therein for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120)는 성형시 유연한 탄성체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 재질의 합성수지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등에 맞닿아지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등 부분에 유연한 감촉을 주고 사용자의 등 부분이 그 위치에서 다른 쪽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합성수지를 탄성체 재질로 구성할 경우, 그 내부에 수많은 미세 기포를 가지게 되어, 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20 is preferably formed using a synthetic resin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during molding. Since the synthetic resin of the elastic material is a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give a flexible touch to the user's back portion and to prevent the user's back portion from moving away from the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synthetic resin is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it has a number of fine bubbles there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eight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몸체부(120)는 사용자의 등 부분이 좀더 완전하게 밀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약간 위쪽으로 튀어나온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돌출부(122)는 상기 몸체부(120)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20 may include a protrusion 122 protruding slightly upward in order to more closely contact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The protrusion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20.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100)는 상기 받침판(110)의 일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전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portion 130 which is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부(130)는 상기 받침판(110)에 대하여 약 30 도 내지 80 도의 각도를 가지고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한쪽이 힌지결합되어있다. 상기의 힌지부(130)가 30 이하의 각도를 형성할 경우 힌지부(130)의 회전운동에 의한 영향이 적어지는 반면에, 80 도 이상의 각도를 형성할 경우 상기 회전부(130)가 지면에 대하여 거의 직각을 형성하게 되어 사용자의 척추부위에 대한 교정효과가 약화되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art 130 is formed upward with an angle of about 30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110, one of which is hinged. When the hinge portion 130 forms an angle of 30 or less, the influence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inge portion 130 is l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forming an angle of 80 degrees or more, the rotating portion 130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It is not desirable to form a right angle so that the corrective effect on the spinal region of the user is weake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회전부(130)는 상기 받침판(110)과 머리받침대(140)의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부재로서, 그 한쪽이 힌지결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반대쪽이 힌지결합을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머리받침대(140)로 하여금 회전하면서 운동하도록 해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art 130 is a member that i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10 and the head restraint 140, one side of which is fixed by a hinge coupling,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coupling center point By being rotated, the head restrain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movement while rotat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30)의 힌지결합관계는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형태는 코일 스프링(132)을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인데, 이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코일 스프링(132)은 상기 회전부(130)의 타단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회전부(130)가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해주지만,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상기 회전부(130)가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원래의 위치로 다시 회전운동을 하도록 해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tating unit 130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The most common and representative form is the coupling using coil spring 132, which is well illustrated in FIG.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part 130, the coil spring 132 allows the rotating part 130 to rotate around the hinge coupling, but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rotating part 130 Allows the rotational movement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ased on the hinge coupl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30)의 힌지결합관계는 위와 같은 작용원리 를 이용하게 되는데,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4와 같이 판형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탄성물체를 상기 회전부(130)의 힌지결합 부분의 아래쪽에 위치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도 6과 같이 회전부(130)의 회전축(134)을 탄성체로 형성함으로써 그 자체가 스프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otating unit 130 is to use the above operating principle, as another embodiment may use a plate-like spring as shown in Figure 4, the elastic body as shown in Figure 5 the rotating unit 130 It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sition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as shown in Figure 6 by forming the rotating shaft 134 of the rotating unit 130 as an elastic body may be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pring itself.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100)는 상기 회전부(130)의 힌지결합의 반대편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머리받침대(140)를 포함하고 있다.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restraint 140 which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coupling of the rotating part 13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머리받침대(140)는 사용시에 그 위에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올려놓여지고, 상기 회전부(130)의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사용자의 신체를 길게 끌어당겨줌과 동시에 머리부분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하도록 해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restraint 140 is placed on the user's head on the use, the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hinge coupling of the rotating unit 130, as a result of the user's body At the same time pull the head up and down to exercis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머리받침대(140)는 그의 외부를 합성수지재질로 감싸고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머리받침대(140)의 위에 사용자의 뒷목 부분이 놓여질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머리받침대(140)의 경우에도, 금형의 형틀 내부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이를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극히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restraint 140 is preferably a form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This is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feeling to the user when the user's back neck part is placed on the head restraint 140. To this end, even in the case of the head restraint 140, it is preferable to mold it into a synthetic resin of an elastic material in the state that is inserted into the mold of the mold. In this cas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performed in an extremely simple mann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sed in the following state.

사용자는 먼저 본 발명의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100)를 방바닥과 같이 평평한 장소에 놓아두고, 그 위에 자신의 등뼈 부분이 상기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몸체부(120)의 위쪽에 맞닿아 접촉되어지게 눕는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머리는 상기 머리 받침대(140)의 위에 놓여지도록 하되,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의 뒷목이 상기 머리 받침대(140)의 위쪽에 올려놓여지도록 한다. The user first puts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lat place such as a floor, and his spin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of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thereon Lie down. In that state, the user's head is to be placed on the head restraint 140, more preferably the user's back neck is placed on top of the head restraint 140.

그 위치에서, 사용자는 편안한 상태로 힘을 빼고 누워있다가, 서서히 자신의 머리부분에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머리 받침대(140)는 상기 회전부(130)의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사용자 신체의 머리쪽으로 서서히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서서히 끌어당기게 된다. 사용자가 더욱 힘을 가하면, 사용자의 머리는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원을 그리는 형태로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의 척추는 긴장이 완화된 상태에서 서서히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척추는 서서히 긴장이 완화된 상태에서 늘어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척추의 교정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며, 사용자의 피로감을 말끔히 씻어주게 된다.In that position, the user is lying in a relaxed state with the power released, and if a little force is gradually applied to his head, the head restraint 140 moves the hinged portion of the rotating part 130 about the central axis. Then, the rotational movement gradually toward the head of the user's body, and in the process to slowly pull the user's body. As the user applies more force, the user's head rotates in a circular shape while rotating downward, and the user's spine gradually increases while the tension is relaxed. Therefore, the spine of the user is gradually stretched in a relaxed state, and in the process, it is possible to enjoy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spine, and cleans the fatigue of the user.

만약, 사용자가 본 발명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타인에 의하여 도움을 받는 경우에는, 그 타인이 사용자의 머리를 서서히 눌러줌으로써, 위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물리치료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use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helped by another person, the other person may have the same effect as the other person by slowly pressing the user's hea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physical therapy device. .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 및 그 작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 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Although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is is only for describ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ppended claims Its scope is determined and limited.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by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is also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기구를 나타낸 것이고, 1 shows a conventional chiropractic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절개도이고, 2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3a and 3b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pi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4 to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i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잡아주고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는 기본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는 받침판(110)과; A support plate 110 which forms a basic shape that can hold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and can be stably placed on the floor; 상기 받침판(110)을 완전히 감싸고 있으며 유연한 탄성체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등에 맞닿아 사용되어지는 몸체부(120)와; A body part 120 which completely surrounds the support plate 110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de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and is used in contact with a user's back; 상기 받침판(110)의 일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110)에 대하여 30 도 내지 80 도의 각도를 가지고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쪽에서 내리누르는 힘을 받았을 경우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부(130)와; It is hinged to on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10 and is formed upward with an angle of 30 degrees to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110, and rotates downward based on the hinge coupling when the force is pushed down from the top. Rotating unit 130 is to be; 상기 회전부(130)에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받쳐주며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힘을 주었을 경우 그 힘을 상기 회전부(130)에 전달해주는 머리받침대(1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 기구. A head restraint 140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ng part 130 and supports the user's head and transmits the force to the rotating part 130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user's head; Spi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의 회전부(130)는 그의 힌지결합부에 탄성체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기구. The rotation unit 130 is a rotational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body in its hinge coupl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의 탄성체는 스프링 탄성체, 판형 탄성체, 및 탄성물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어느 1개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기구.The elastic body is a spinal traction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pring elastic body, a plate-like elastic body, and an elastic objec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의 탄성체는 회전축(134)을 탄성체로 형성함으로써 회전축(134)이 그 자체로서 스프링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척추 회전 견인교정기구.The elastic body is a rotational rotation traction correc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shaft 134 by forming an elastic body so that the rotating shaft 134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pring as it is itself.
KR1020070068839A 2007-07-09 2007-07-09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KR100881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39A KR100881970B1 (en) 2007-07-09 2007-07-09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839A KR100881970B1 (en) 2007-07-09 2007-07-09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44A KR20090005644A (en) 2009-01-14
KR100881970B1 true KR100881970B1 (en) 2009-02-05

Family

ID=4048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839A KR100881970B1 (en) 2007-07-09 2007-07-09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97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1821A (en) 2004-03-22 2005-09-29 Sawamura Gishi Seisakusho:Kk Pillow for tracting cervical vertebra in bending 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1821A (en) 2004-03-22 2005-09-29 Sawamura Gishi Seisakusho:Kk Pillow for tracting cervical vertebra in bending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644A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179B2 (en) Deep sleep pillow
KR101564674B1 (en) a cervical spinal pillow with variable form
US6708353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human backbones
KR101547263B1 (en) Pillow for correcting neck disk
US9192503B1 (en) Mechanical massage and traction apparatus
KR20160028191A (en) pillow
KR20150009457A (en)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US8998832B2 (en) Body therapy device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0955202B1 (en) Shoulder Correction Device And Posture Corr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816892B1 (en) Electric traction apparatus for user's spine
JP5114783B2 (en) Health exercise equipment
KR100881970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KR200483101Y1 (en) A functional Neck Pillow of supporting upper backrest
US20170119167A1 (en) Spinal Support Pillow
JP2008043709A (en) Massager to relieve stiffness
KR100750631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spinal structure
KR101675979B1 (en) Equipment for exercing cervical
JP2007044389A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KR101397393B1 (en) Spinal adjustment System Using Chain Lift
KR20210133333A (en) Massage Device Of Posterior Cervical muscle
WO2024014504A1 (en) Acupressure instrument set and method for using same
CN205286887U (en) Multifunctional medical chair
KR102386785B1 (en) Cervical massage device that provides a thermal effect
KR101121577B1 (en) massage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