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648B1 -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 Google Patents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0648B1 KR100880648B1 KR1020070061679A KR20070061679A KR100880648B1 KR 100880648 B1 KR100880648 B1 KR 100880648B1 KR 1020070061679 A KR1020070061679 A KR 1020070061679A KR 20070061679 A KR20070061679 A KR 20070061679A KR 100880648 B1 KR100880648 B1 KR 1008806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support member
- slabs
- bracket
- horizont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앵커로 고정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 수평부로 구성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수평부 내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석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 및 석판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삽입되어 석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05)의 수평부(102)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112)를 통해 내부 공간(113)으로 지지부재(10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102)에 장착되고 기어부재(130)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석판들을 간편하고 정밀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지지부재가 초기에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되어 석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 단부쪽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한 홀에 고정핀이 수평과 직립 위치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석판을 개별적으로 제거 및 교체되는 석판을 다시 고정핀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 외장용 석판의 보수유지를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consisting of a vertical portion fixed to the anchor to the building, a horizontal portion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portion, a plate-like support member inserted horizontally movable with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bracket and supporting the slab, And a slab fixing device inserted into a slot formed on upper and lower end faces of the slabs to fix the slabs, wherein the horizontal portion 102 of the bracket 105 is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in the form of a cartridge. It is made to partially accommodate the support member 103 into the internal space 113 through the 112, and is moun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02 and provided with a gear member 130 to horizontally support the support member 103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104 to move to, with the effect of installing the slabs in a simple and precise position, the support member is ultra It can be stably maintained at the position set at and can stably support the slabs, and the fixing pins are rotatab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upright positions in the hole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slabs can be individually Since the slabs to be removed and replaced can be fixed again with a fixing pin, maintenance of the slabs for building exteriors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ste of materials.
석판 고정, 앵커 Slab fixing, ancho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구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도 2는 도 1의 종래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구를 사용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using the conventional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 석판 고정장치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ilding exterior slab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석판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ab fixing device of FIG.
도 5는 도 3의 석판 고정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보여주는 석판 고정장치의 조립된 사시도.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lab fixing device partially showing the slab holding device of FIG. 3 in cross sec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석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건축물 외장 석판을 고정하기 위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for fixing the building exterior slab using the slab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에 따른 석판 고정장치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slab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1 : 수직부 102 : 수평부101: vertical portion 102: horizontal portion
103 : 지지부재 104 : 구동부
105 : 브라켓 110 : 장공103: support member 104: drive part
105: bracket 110: long hole
112 : 개구부 113 : 내부공간
114 : 개구부 120 : 기부
121,122 : 돌출편 123 : 홀
125 : 홀 130 : 기어부재
131 : 기어 톱니부 132 : 베벨기어부
133 : 베벨기어 134,135 : 축부
136 : 요홈부 150 : 노브
160 : 장공 161 : 톱니부
162 : 홀 170 : 고정핀
171 : 축112: opening 113: inner space
114: opening 120: base
121,122: protrusion 123: hole
125: hole 130: gear member
131: gear tooth 132: bevel gear
133: bevel gear 134,135: shaft portion
136: groove 150: knob
160: long hole 161: toothed part
162: hole 170: fixing pin
171: axi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장 석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외장패널(석재, 석판, 타일)을 앵커로 고정시켜 설치하기 위한 석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ixing an external slab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fixing an external panel (stone, slab, tile) to an external wall of a building by fixing it with an anchor.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장은 타일을 사용하는 경우에 시멘트 몰탈로 건축물 외벽에 부착 고정시키고 있으나, 석판이나 대형 타일과 같이 중량이 너무 큰 경우에는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더라도 양생기간동안 석판을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 없고 작업효율이 좋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소위 건식 공법으로서 건축물 외벽에 앵커를 박고 그 앵커에 브라켓을 장착하여 브라켓으로 석판을 지지 및 고정하도록 한다.In general,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s fixed to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by cement mortar in the case of using the tile, but in case of heavy weight such as slabs or large tiles, the slab is fixed in place during the curing period even if the cement mortar is used. In this case, so-called dry construction method anchor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ttaches the bracket to the anchor to support and fix the slabs with the bracket.
이러한 건식 공법으로서 건축물 외장 석판을 고정구로 건축물 외벽에 고정하는 예가 도 1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석판(1)들은 건축물 외벽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앵커(2)를 고착시키고, 강판을 절곡하여 수평부(3)와 수직부(4)로 이루어진 브라켓(5)을 앵커(2)에 볼트(6)로 고정한 고정구(7)를 상하 각각 2개씩 소정거리로 이격시켜 설치하여 석판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An example of fixing a building exterior slab to a building exterior wall with a fixture as such a dry method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브라켓 수직부에는 위치 수정을 위하여 수직방향의 장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3)에도 장공(9)이 형성되고 석판(1)을 지지하기 위한 판상의 지지부재(10)를 볼트(11)로 장공(9)의 소정의 위치에 체결고정하고, 그 지지부재(10)의 선단부에는 홀(12)이 형성되고 고정핀(13)이 상하로 돌출되게 끼워져 조립된다.The bracket vertical portion is formed with a
판상으로 가공된 석판(1)은 지지부재(10)의 선단부에서 지지되며, 이때 지지부재(10)의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핀(13)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14)가 석판(1)의 하측 단부면에 가공된 슬로트(15)에 삽입되고, 석판(1)의 상측 단부면에도 마찬가지로 슬로트(15)가 형성되며 상측 고정구(7)의 브라켓(5)에 고정된 지지부재(10)에 제공되는 고정핀(13)의 하부(16)를 삽입함으로써, 석판(1)이 측방향, 즉 건축물 외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되고, 지지부재(10)에 의해 석판(1)의 하중이 지지되어 건축물 외벽에 대하여 석판(1)이 설치된다. 이때, 석판(1)들 사이의 틈새는 실리콘과 같은 시일재(17)로 채워져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The
그러나 이러한 석판 고정구(7)에 있어서 석판(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를 브라켓의 수평부(3)에 조립하기 위하여 볼트(11)를 장공(9)의 정확한 위치에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해야 하므로 정확한 위치 설정의 어려움 및 공구를 사용한 볼트 체결작업으로 인하여 석판 조립작업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assemble the
또한, 볼트 체결에 의해 지지부재(10)를 브라켓(5)에 고정하는 종래의 고정구(7)에서는, 석판 조립후 장기간이 경과하는 동안 건축물 주변을 지나는 차량등의 이동시 진동이 발생되어 건축물로 전달되며, 이러한 미세한 진동이 건축물에 계속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지지부재(10)를 브라켓(5)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11) 체결이 점차적으로 풀려질 수 있고, 석판(1)에 대하여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재(10)가 브라켓(5)의 수평부(3)에 볼트(11) 체결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fastener (7) for fixing the
또한, 상하로 돌출되게 지지부재(10)에 장착된 고정핀(13)들의 상하부(14,16)에 의해 상하측 석판(1)들이 함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석판들을 조립하여 건축물 외장을 형성한 다음에는 어느 한 석판이 모서리가 깨지는 경우와 같이 손상되더라도 그 손상된 석판만을 교체할 수 없어서 손상된 석판을 깨트리고 교체되는 석판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해 기존 고정핀(13)의 상하부를 제거해야 하거나, 석판의 상하 단면부의 슬로트에 끼워진 상측 고정핀의 하부와 하측 고정핀의 상부를 석판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절단기로 절단하여야만 손상된 석판을 제거해야 하므로 석판 보수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손상된 석판 제거시 상하측 고정핀(13)의 상하부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교체되는 석판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할 수 없고 단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지부재와 인접한 석판들에 대하여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교체되는 석판의 고정유지가 불안정하게 되고 따라서 장기간 사용시 교체된 석판이 탈락될 수 있고 이 경우 그 아래를 지나는 사람들을 다치게 하거나 물건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또한, 종래의 석판 고정구(7)는 브라켓(5)의 수직부(4)에 대하여 직각으로 수평부(3)가 형성되고 그 수평부에 지지부재(10)의 일단부가 볼트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0)의 타단부, 즉 자유단부측에 석판의 중량이 작용하게 되므로 브라켓의 수평부(3)와 지지부재(10)가 하방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볼트(11)의 체결 위치 또한 변화되어 석판 지지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부와 지지부재의 두께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것은 자재비의 상승을 초래하고, 석판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조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외부에 영향에 의해 지지부재와 브라켓의 체결 위치가 변화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building exterior slab fixing device to provide a building exterior slab fix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bracket by the external influence.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된 석판들에 있어서 손상이 있는 경우 그 손상된 석판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교체되는 석판을 안정되게 재설치할 수 있는 석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ab fixing device that can easily remove only the damaged slabs and stably reinstall the replaced slabs in case of damage in the assembled slab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는 건축물 외벽에 접촉되어 앵커로 고정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 수평부로 구성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수평부속에서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석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 및 석판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에 삽입되어 석판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길이방향의 장공을 가지며 상기 장공의 측벽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그 내부 공간 속으로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에 장착되는 기어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시 그 톱니부와 맞물려 상기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uilding exterior slab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cket consisting of a vertical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anchor in contact with the building outer wall, a horizontal portion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portion, and a horizontal part of the bracket In the slab fixing device for building exterior having a plate-like support member which is inserted to be movable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support and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lot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slab to secure the slab, the bracket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cartridg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having a longitudinal long hole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front and the side wall of the long hole is formed to partially receive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the gear moun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engaged with the tooth part when the gear member is rota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to move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구동부는 브라켓 수평부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기부와, 그 기부의 저면 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편들 사이에서 유지되고 외측면에 기어 톱니부가 형성된 기어부재 및 상기 기어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기부에 장착된 베벨기어 및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portion is held between the base mounted in the opening of the bracket horizontal portion, the two protruding pieces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base, and the gear member having gear teeth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and the base to rotate the gear member. A bevel gear mounted and a knob for rotating the bevel gear.
삭제delete
상기 기어부재에는 그 선단부에 베벨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벨기어부는 노브에 의해 회전되는 베벨기어와 맞물려 있어서 노브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gear member has a bevel gear portion formed at a distal end thereof, and the bevel gear portion meshes with the bevel gear rotated by the knob, so that the gear member rotates by the knob rotation.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 단부쪽에는 폭방향으로 형성된 홀에는 축에 의해 석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직립위치와 수평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핀이 제공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ing pin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upright position and the horizontal position for fixing the slab by the shaft in the hol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라 석판을 건축물 외벽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기 위한 건축물 외장용 석판 고정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석판 고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기존의 앵커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건축물 외장용 석판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4 and 5 illustrate a building exterior
본 발명의 석판 고정장치(100)는 건축물의 외벽에 접촉되어 앵커로 고정되는 수직부(101)와 카트리지 형태의 수평부(102)로 구성되는 브라켓(105)과, 그 브라켓(105)의 수평부(102) 속에서 수평방향으로, 즉 건축물의 외벽에 대하여 근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석판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103), 상기 지지부재(103)를 수평부(10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101)에는 장공(1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브라켓(105)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앵커로 건축물의 외벽에 요구되는 높이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105)의 수평부(102)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112)에 의해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석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03)는 개구부(112)를 통해 삽입되어 내부 공간(113)에 배치된다. 또한 브라켓(105)의 카트리지 형태의 수평부(102)의 상면에는 장방형의 개구부(114)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114)에 지지부재(10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04)가 장착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구동부(104)는 브라켓(105)의 수평부(102)의 상부 두께와 같은 두께로 형성되고 브라켓(105)의 수평부(102)의 개구부(114)에 장착되는 기부(120)와, 그 기부(12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2개의 돌출편(121,122)들이 형성되고 그 돌출편(121,122)들 사이에 배치되어 유지되는 기어부재(130)를 포함하며, 기부(120)의 앞쪽에는 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부재(130)는 원기둥 형태로서 외측면에 기어 톱니부(131)가 형성되고 전단부의 경사면에는 베벨기어부(132)가 형성되어 있다.The driving
또한, 상기 베벨기어부(132)와 맞물려 기어부재(130)를 회전시키는 베벨기어(133)는 기어부재(130) 앞쪽에서 기부(120)의 홀(123)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되, 베벨기어(133)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기어 톱니가 베벨기어부(132)와 맞물리게 조립된다. 상기 베벨기어(133)의 직경은 기부의 홀(123)을 통해 압입하여 설치하되 베벨기어(132)의 상면 모서리부분이 홀(123)의 모서리부분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로 홀(123)의 내경 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벨기어(133)의 상방향으로 연장된 축부(134)는 노브(150)에 결합되어 노브(150)를 돌림으로써 베벨기어(133)와 맞물린 베벨기어부(132)가 회전하고 따라서 기어부재(130)가 제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베벨기어(133)의 위치를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베벨기어(133)의 하방으로 돌출된 하방의 축부(135)는 브라켓(105)의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의 바닥면에 형성된 요홈부(136)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기부(120)를 수평부(102)의 개구부(114)에 장착하기 위하여 기부(120)의 전후측 단면부들 각각에는 폭방향으로 홈(125)이 형성되고, 수평부(102)에 형성된 개구부(114)의 대응된 측벽에는 상기 홈(125)에 끼워져 맞물리게 돌출부(126)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6)의 돌출된 거리는 기부(120)를 개구부(114)에 끼워 누름으로써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부(120)를 플라스틱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order to mount the base 120 to the
상기 지지부재(103)는 판상의 부재로서 브라켓(105)의 수평부(102)의 내부 공간(113)에 수용되는 부분에는 장공(160)이 형성되고 그 장공의 양측벽에는 톱니부(161)가 형성되고 상기한 기어부재(130)가 장공(16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기어부재(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기어 톱니부(131)가 맞물린다. 상기 지지부재(103)의 자유 단부쪽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홀(16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홀(162)에는 고정핀(170)이 축(17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축(171)은 고정핀(170)을 압입에 의해 관통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용 석판을 고정하기 위한 석판 고정장치(100)의 사용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석판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석판(180)의 조립 및 보수유지 작업을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6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석판 고정장치(100)는 브라켓(105)의 수직부(101)의 장공(110)에 기존의 앵커(191)로 건축물 외벽(190)에 고정되며, 브라켓(105)의 수평부(102)에서 노브(150)를 회전시키면 베벨기어(133)가 회전하면서 그 베벨기어(133)와 맞물린 베벨기어부(132)가 형성된 기어부재(130)가 회전함에 따라 기어부재(130)와 맞물린 지지부재(103)가 전진하여 건축물 외벽(19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다. 석판(180)의 상하단부면에 형성된 슬로트(181)에 고정핀(170)이 눕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석판(180)의 상하단부면의 슬로트(181)에 위치한 고정핀(170)을 축(171)의 회전에 의해 고정핀(170)을 직립되게 함으로써 석판(180)들이 조립되며, 석판(180)들 사이에는 통상의 시일재(도면부호 미부여)가 충진되어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The
석판(180)들중 일부가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석판(180)들 사이에 제공된 시일재를 제거하고, 드라이버로 고정핀(170)의 축(171)을 회전시켜 고정핀(170)을 직립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되게 함으로써, 손상된 석판(180)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상측 석판(180) 하단부면의 슬로트(181)에서 고정핀(170)이 제거되더라도 자체의 하중에 의해 지지부재(103) 위에서 유지된다. 그런 다음 새로운 석판(180)을 전술한 석판의 조립 순서에 따라 조립한다.If som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석판 고정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150)를 회전시켜 기어부재(130)를 회전시키며, 기어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103)의 장공(160)의 측벽에 형성된 톱니부(161)와 맞물려 지지부재(103)가 수평이동하여 석판(180)들을 간편하고 정밀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지지부재(103)에 대한 외부의 어떠한 영향, 예를 들어 진동, 석판의 하중, 충격 등에 의해서도 지지부재(103)는 전혀 이동하지 않고 초기에 설정된 위치에서 안정되게 유지되어 석판(180)을 안정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103)의 자유 단부쪽에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한 홀(162)에 고정핀(170)이 수평으로 배치된 위치에서 석판(180)을 고정하기 위하여 석판(180)의 상하 단부면에 형성되는 슬로트(181)에 고정핀(170)이 삽입되도록 직립시키는 작업을 축(171)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게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예를 들어 석판(180)이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 석판(180)들 사이에 제공된 시일재를 제거하고 고정핀(17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축(171)을 회전시키거나, 지지부재(103)와 석판(18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예를 들어 얇은 나이프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핀(170)을 수평 상태의 물림 해제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손상된 석판(180)만을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교체되는 석판(180)을 다시 고정핀(170)으로 간단히 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건축물 외장용 석판(180)의 보수유지를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679A KR100880648B1 (en) | 2007-06-22 | 2007-06-22 |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1679A KR100880648B1 (en) | 2007-06-22 | 2007-06-22 |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786A KR20080112786A (en) | 2008-12-26 |
KR100880648B1 true KR100880648B1 (en) | 2009-02-02 |
Family
ID=4037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1679A KR100880648B1 (en) | 2007-06-22 | 2007-06-22 |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064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2703B1 (en) * | 2015-03-12 | 2015-07-01 | 유성용 | Moun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stone |
CN105113755A (en) * | 2015-09-22 | 2015-12-02 | 胡耀东 | Outer wall plate fixing device |
CN113775138B (en) * | 2021-09-13 | 2025-01-28 | 佛山市南海慷德家居制品有限公司 | Adjustable hanger, wall panel hanger and suspension system |
KR102738199B1 (en) * | 2023-10-13 | 2024-12-03 | 주식회사 티엔지석재 | Stone panel fixtur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8925U (en) * | 1998-09-23 | 1998-12-05 | 박홍민 | Fixture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 |
KR200293493Y1 (en) | 2002-08-09 | 2002-10-30 | 주식회사 정원금속 | A devce for holding the building stone |
KR200421884Y1 (en) | 2006-05-04 | 2006-07-19 | 지영화 | A Fastening Device of Building Outer Wall Ornamental |
KR20070037737A (en) * | 2007-03-19 | 2007-04-06 | 김종성 | Fixture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
-
2007
- 2007-06-22 KR KR1020070061679A patent/KR10088064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68925U (en) * | 1998-09-23 | 1998-12-05 | 박홍민 | Fixture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 |
KR200293493Y1 (en) | 2002-08-09 | 2002-10-30 | 주식회사 정원금속 | A devce for holding the building stone |
KR200421884Y1 (en) | 2006-05-04 | 2006-07-19 | 지영화 | A Fastening Device of Building Outer Wall Ornamental |
KR20070037737A (en) * | 2007-03-19 | 2007-04-06 | 김종성 | Fixture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2786A (en) | 2008-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0649B1 (en) | Slab Fixture for Building Exterior | |
KR100880648B1 (en) | Building Exterior Slab Fixture | |
PT2221556E (en) | Solar array of at least one solar module with a spring-loaded bearing of the cover plate | |
KR100941963B1 (en) | The installing device for a partition | |
KR101028425B1 (en) | Stone plate fixing device for building exterior | |
KR20150019937A (en) | An apparatus for fixing external ornaments to outer wall of building | |
JP5855925B2 (en) | Supporting roof tile | |
JP6334227B2 (en) | Nut fastener and method of fastening nut with washer | |
JP2009281590A (en) | Fastening element | |
KR20080000059U (en) | The drop-in Anchor where the horizontal control system attaches. | |
KR100901261B1 (en) | Temporary support for lintel brick masonry and lintel brick masonry method | |
KR200247957Y1 (en) | Assembly panel construction system | |
KR200231715Y1 (en) | Apparauts for constructing slave of building | |
KR100414677B1 (en) | Assembly panel construction system | |
JP5062713B2 (en) | Support structure for vertical slit material | |
KR101057832B1 (en) | Fixture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 |
JP5585845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 member and exterior structure including solar cell panel | |
JP2009286567A (en) | Hanging metal fitting such as chain or the like | |
KR19990025966U (en) | Formwork for concrete walls and slabs | |
KR101152930B1 (en) | Device for indicating the fix points on the wall | |
JP3848873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wall of building and concrete formwork | |
JP5896258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 member and exterior structure including solar cell panel | |
JP5850085B2 (en) |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 member and exterior structure including solar cell panel | |
JP4274637B2 (en) | Anchor bolt and anchor bolt device | |
KR20090008765A (en) | Slab fixings on building wal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