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411B1 -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411B1
KR100880411B1 KR1020080106294A KR20080106294A KR100880411B1 KR 100880411 B1 KR100880411 B1 KR 100880411B1 KR 1020080106294 A KR1020080106294 A KR 1020080106294A KR 20080106294 A KR20080106294 A KR 20080106294A KR 100880411 B1 KR100880411 B1 KR 10088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ed
wiring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10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20Identification of install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에 배전선을 구분하여 넣을 수 있고, 배관 내에서 보호되는 배전선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배관을 파손시키지 않고 바로 인출할 수 있게 한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며, 원형의 관체(11)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저면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6)가 형성된 고무커버(15)가 개방구(12)에 개폐가능하게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관체(11) 내경 양단에 단차부(13)가 형성되고, 단차부(13)에 다수개의 돌기(14)가 형성되는 배관(10);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봉상으로 배관(10) 내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철선(21)이 고정밴드(22)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중앙봉(20); 원형의 판체(31) 중앙에 봉홀(33)이 형성되고, 판체(31)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배선홈(32)은 일측이 개방된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판체(31) 일측에 스프링철선홀(34)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철선(21)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판체(31)의 봉홀(33)으로 중앙봉(2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탄성스프링철선(2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배선판(30); 원형의 판체(41) 중앙에 봉홀(43)이 형성되어 중앙봉(20)의 양단에서 고정되고, 봉홀(43) 내경에 키홈이 형성되고 중앙봉(20) 단부 외경에 키가 형성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며, 판체(41)의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4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판체(41)의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홈(44)이 형성되어 배관(10)의 돌기(14)와 결합되도록 배관(31)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배선판(40); 사각바 형상의 몸체(51) 상면 중앙에 반원형 안 착부(52)가 형성되고, 몸체(51)의 양측부 저부에 고정부(53)가 형성되어 볼트 또는 접착제로 설치할 곳에 고정되며, 반원형안착부(52)는 반원보다 크게 홈이 형성되어 배관(10)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는 받침대(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06294
배관, 회전배선판, 단부배선판, 중앙봉, 받침대

Description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A pipe laying structure using electric}
본 발명은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에 배전선을 구분하여 넣을 수 있고, 배관 내에서 보호되는 배전선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배관을 파손시키지 않고 바로 인출할 수 있게 한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및 공동주택에서는 전기선이 배선되어 각 구획된 공간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준다. 이를 위해 전기를 소비하는 곳으로 전기를 보내기 위한 배전선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의 경우 배관에 한번 넣게 되면, 배전선의 보수와 새로운 배전선의 삽입시 배관에서 필요한 배전선만 꺼내어 보수를 하거나 새로운 배전선의 삽입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배관의 내부에 여러가닥의 전선이 복잡하게 얽히고 엉켜있어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고, 목적되는 곳에 배전선이 분기될 때 잘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전선을 내부에 내장하여 배전선을 목적하는 곳까지 정리하여 주는 것 이 필요하다.
배관의 경우 시작점과 끝점에서 전선을 삽입하여 빼내는 방식으로만 배전선을 넣거나 보수할 수 있어서 중간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배관을 파손하여 배전선을 꺼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배전선이 배관 내부에 한꺼번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배전선만 분리하여 빼내기 곤란하였고, 필요한 전선을 분리할 때 나머지 전선도 같이 나와 다시 전체적으로 정리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관에 수납되는 배전선을 쉽게 꺼내어 보수하거나, 배관내에 새로운 배전선을 넣을 수 있는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배관 내부에 정리된 배전선이나 통신선을 수납하되 반복적으로 꺼내어 교체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보수될 곳의 배전선만 인지하여 쉽게 보수할 수 있게 하조자 하는 목적이 있다.
배전선을 배관에 넣을 때 각각 배전선별로 분리하여 넣을 수 있게 하고, 배전선의 인출이 용이하게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형의 관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되고, 저면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된 고무커버가 개방구에 개폐가능하게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관체 내경 양단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단차부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배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봉상으로 배관 내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철선이 고정밴드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중앙봉; 원형의 판체 중앙에 봉홀이 형성되고, 판체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배선홈은 일측이 개방된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판체 일측에 스프링철선홀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철선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판체의 봉홀으로 중앙봉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탄성스프링철선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배선판; 원형의 판체 중앙에 봉홀이 형성되어 중앙봉의 양단에서 고정되고, 봉홀 내경에 키홈이 형성되고 중앙봉 단부 외경에 키가 형성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며, 판체의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판체의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홈이 형성되어 배관의 돌기와 결합되도록 배관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배선판; 사각바 형상의 몸체 상면 중앙에 반원형 안착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부 저부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볼트 또는 접착제로 벽면에 고정되며, 반원형안착부는 반원보다 크게 홈이 형성되어 배관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관의 개방구를 통하여 쉽게 파손없이 내장된 배전선을 꺼내거나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선은 회전배선판의 배선홈들에 각각 분리되어 들어가 있으므로 분리되어 내장되고, 따라서 꺼낼 때도 해당되는 배선홈을 개방구쪽으로 회전시켜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고무커버의 돌출부가 개방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배선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회전배선판의 회전을 막아주고, 재질상 고무커버를 개방구에서 쉽게 빼내거나 끼워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내에 배전선과 통신선을 분리하여 내장하므로 전기선에 의한 통신 선 간섭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배관(10)의 내부에 배전선(1)이나 통신선을 분리하여 내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회전배선판(30)을 중앙봉(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배관(10)의 양단부에는 배전선(1)이나 통신선을 분리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단부배선판(40)을 두어 전선을 고정할 수 있으며, 배관(10)의 개방구(12)는 고무커버(15)로 개폐가능하게 밀폐할 수 있고, 배관(10)은 받침대(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10)은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관체(1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개방구(12)가 형성되고, 개방구(12)는 고무커버(15)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밀폐된다.
이러한 고무커버(15)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외부에 보호를 위한 테이핑을 할 수도 있다.
고무커버(15)는 저면에 돌출부(16)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돌출부(16)는 개방구(12)의 폭보다 크게 형성하여 고무 자체 탄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개방구(12)에 끼워진다. 이때 개방구(12)에 위치하는 후술할 회전배선판(30)과 단부배선판(40)의 배선홈(32)(42)에 돌출부(16)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관체(11)의 내경 양단에 관체(11) 중앙의 내경보다 큰 단차부(13)가 형성되고, 단차부(13)에 다수개의 돌기(14)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돌기(14)는 관체(11) 중앙의 내경과 단추부(13)의 내경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중앙봉(20)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봉상으로 배관(10) 내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철선(21)이 고정밴드(22)로 일정간격으로 고정된다. 탄성스프링철선(21)의 일단은 고정밴드(22)에 의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되나 타단은 움직일 수 있으므로 탄성스프링철선(21)의 타단이 고정된 회전배선판(30)은 탄력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배선판(30)은 원형의 판체(31) 중앙에 봉홀(33)이 형성되어 중앙봉(20)이 삽입되고, 회전배선판(30)은 중앙봉(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판체(31)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배선홈(32)은 일측이 개방된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배선홈(32)에 배전선(1)이 들어가 지지되고, 배선홈(32)은 하나만 배관(10)의 개방구(12)에 위치하여 고무커버(15)를 제거하였을 때 열려있고, 나머지는 배관(10) 내벽에 의하여 막혀있게 된다.
판체(31) 일측에 스프링철선홀(34)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철선(21)이 삽입되 어 고정되고, 판체(31)의 봉홀(33)으로 중앙봉(2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탄성스프링철선(2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탄성스프링철선(21)은 고정밴드(22)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이 회전배선판(30)의 스프링철선홀(34)을 통해 지나도록 삽입된다.
회전배선판(30)을 돌리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탄성스프링철선(21)이 꼬이면서 회전하게 되고,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스프링철선(21)이 원위치하려는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하게 된다.
단부배선판(40)은 원형의 판체(41) 중앙에 봉홀(43)이 형성되어 중앙봉(20)의 양단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중앙봉(20)의 단부 외경에 키가 형성되고 단부배선판(40)의 봉홀(43) 내경에 키홈이 형성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맞물린다.
판체(41)의 직경은 배관(10)의 단차부(13)의 내경과 맞게 형성되고, 배관(10)의 단차부(13)에 형성된 돌기(14)와 맞물리는 돌기홈(44)이 판체(41) 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판체(41)의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4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배선홈(42)의 형상은 전술한 회전배선판(30)의 배선홈(32)의 형상과 동일하다.
단부배선판(40)은 배관(10)의 단차부(13)와 중앙봉(20) 단부에 밀어넣어 고정하는 구조로서, 단부배선판(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배관(10) 단부에 미세한 반원형 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그냥 이탈되지 않게 한다.
배전선(1)을 배관(10) 내부로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배관(10) 양단에 끼워 지는 단부배선판(40)을 빼내고, 배관(10)의 개방구(12)를 통해 일측 단부부터 원하는 회전배선판(30)의 배선홈(32)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개방구(12)로 회전시켜 배전선(1)을 배선홈(32)에 삽입시킨후 놓으면 배전선(1)이 각각의 회전배선판(30)에 의하여 분리되어 수납된다. 배관(10) 중간의 회전배선판(30)들에 배전선(1)을 수납시킨후 양단의 단부배선판(40)을 삽입시켜 고정하고, 고무커버(15)를 끼우면 전선의 수납이 완료된다. 이때 단부배선판(40)의 배선홈(42)에 배전선(1)을 회전배선판(30)의 배선홈(32)에 수납된 위치에 맞게 수납시킨 후 배관(10) 양단에 밀어 끼운다.
배전선(1)을 빼낼때는 고무커버(15)를 빼낸후 단부배선판(40)을 양단에서 이탈시키고, 원하는 배전선(1)이 위치한 회전배선판(30)의 배선홈(32)을 순차적으로 개방구(12)로 회전시켜 원하는 배전선(1)을 꺼낸 후 다시 단부배선판(40)을 끼우면 된다.
이때 단부배선판(40)은 반원형 돌기가 형성되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드라이버 등을 배선홈(42)에 끼워 약간의 힘을 주면 빠지게 된다.
받침대(50)는 배관(1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는 구성으로서, 사각바 형상의 몸체(51) 상면 중앙에 반원형 홈으로 이루어진 반원형 안착부(52)가 형성되고, 몸체(51)의 양측부 저부에 고정부(53)가 형성되어 볼트 또는 접착제로 설치할 곳에 고정된다. 이때 반원형안착부(52)는 반원보다 크게 홈이 형성되어 원형인 배관(10)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된다. 즉 반원형안착부(52)의 내면 지름을 지나 상단이 형성되므로, 반원형안착부(52)를 형성하는 홈의 개방구보다 배관(10)의 외경이 크므로 삽입할 때 억지끼움으로 고정한다. 배관(10)이나 받침대(50) 모두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재질상 삽입과 이탈을 반복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도시한 내부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를 도시한 다른 방향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배전선 10 : 배관
11 : 관체 12 : 개방구
13 : 단차부 14 : 돌기
15 : 고무커버 16 : 돌출부
20 : 중앙봉 21 : 탄성스프링철선
22 : 고정밴드 30 : 회전배선판
31 : 판체 32 : 배선홈
33 : 봉홀 34 : 스프링철선홀
40 : 단부배선판 41 : 판체
42 : 배선홈 43 : 봉홀
44 : 돌기홈 50 : 받침대
51 : 몸체 52 : 반원형안착부
53 : 고정부

Claims (1)

  1. 원형의 관체(11)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개방구(12)가 형성되고, 저면이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6)가 형성된 고무커버(15)가 개방구(12)에 개폐가능하게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며, 관체(11) 내경 양단에 단차부(13)가 형성되고, 단차부(13)에 다수개의 돌기(14)가 형성되는 배관(10);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봉상으로 배관(10) 내에 설치되고, 탄성스프링철선(21)이 고정밴드(22)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중앙봉(20);
    원형의 판체(31) 중앙에 봉홀(33)이 형성되고, 판체(31)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배선홈(32)은 일측이 개방된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판체(31) 일측에 스프링철선홀(34)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철선(21)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판체(31)의 봉홀(33)으로 중앙봉(20)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탄성스프링철선(2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배선판(30);
    원형의 판체(41) 중앙에 봉홀(43)이 형성되어 중앙봉(20)의 양단에서 고정되고, 봉홀(43) 내경에 키홈이 형성되고 중앙봉(20) 단부 외경에 키가 형성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며, 판체(41)의 둘레에 다수개의 배선홈(4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판체(41)의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홈(44)이 형성되어 배관(10)의 돌기(14)와 결합되도록 배관(31) 단부에 고정되는 단부배선판(40);
    사각바 형상의 몸체(51) 상면 중앙에 반원형 안착부(52)가 형성되고, 몸체(51)의 양측부 저부에 고정부(53)가 형성되어 볼트 또는 접착제로 설치할 곳에 고정되며, 반원형안착부(52)는 반원보다 크게 홈이 형성되어 배관(10)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는 받침대(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KR1020080106294A 2008-10-29 2008-10-29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KR10088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294A KR100880411B1 (ko) 2008-10-29 2008-10-29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294A KR100880411B1 (ko) 2008-10-29 2008-10-29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411B1 true KR100880411B1 (ko) 2009-02-02

Family

ID=4068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294A KR100880411B1 (ko) 2008-10-29 2008-10-29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1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16B1 (ko) 2010-11-27 2011-02-2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건축물 바닥의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1027369B1 (ko) 2010-12-06 2011-04-11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129475B1 (ko) 2010-09-30 2012-03-28 김용호 케이블 매설을 위한 보호관의 이격 묶음장치
KR101472293B1 (ko) * 2014-05-15 2014-12-2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플로어 닥트 기능의 건축물 바닥구조
CN109742699A (zh) * 2019-01-18 2019-05-10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设备线缆固定保护装置
CN109767870A (zh) * 2019-01-30 2019-05-17 穆云鹏 一种墙壁贴合型自定形式强电电缆
CN110445066A (zh) * 2019-08-09 2019-11-12 周健昌 一种集束型多线缆容纳固定器
KR102149228B1 (ko) * 2020-04-22 2020-08-28 (유)광진이엔지 단지내 통신 케이블용 지중 설치 구조체
CN117254399A (zh) * 2023-11-14 2023-12-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便于电缆安装更换的线缆夹具以及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7U (ko) * 1999-02-25 1999-07-05 박강덕 배선용와이어닥트구조
KR200394084Y1 (ko) 2005-05-30 2005-09-01 제일설계(주)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437U (ko) * 1999-02-25 1999-07-05 박강덕 배선용와이어닥트구조
KR200394084Y1 (ko) 2005-05-30 2005-09-01 제일설계(주)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KR100596461B1 (ko) 2006-03-15 2006-07-05 (주)서광전기컨설팅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조립식 통합전선 보호덕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75B1 (ko) 2010-09-30 2012-03-28 김용호 케이블 매설을 위한 보호관의 이격 묶음장치
KR101016216B1 (ko) 2010-11-27 2011-02-25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건축물 바닥의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1027369B1 (ko) 2010-12-06 2011-04-11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의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472293B1 (ko) * 2014-05-15 2014-12-2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플로어 닥트 기능의 건축물 바닥구조
CN109742699A (zh) * 2019-01-18 2019-05-10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设备线缆固定保护装置
CN109767870A (zh) * 2019-01-30 2019-05-17 穆云鹏 一种墙壁贴合型自定形式强电电缆
CN109767870B (zh) * 2019-01-30 2020-05-05 桂昌线缆集团有限公司 一种墙壁贴合型自定形式强电电缆
CN110445066A (zh) * 2019-08-09 2019-11-12 周健昌 一种集束型多线缆容纳固定器
KR102149228B1 (ko) * 2020-04-22 2020-08-28 (유)광진이엔지 단지내 통신 케이블용 지중 설치 구조체
CN117254399A (zh) * 2023-11-14 2023-12-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便于电缆安装更换的线缆夹具以及操作方法
CN117254399B (zh) * 2023-11-14 2024-03-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一种便于电缆安装更换的线缆夹具以及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411B1 (ko) 배전용 전선의 배선관리를 위한 배관 구조
US8338707B2 (en) Cord seal for swimming pool and spa light niches
US9120641B2 (en) Electric vehicle charger
US20140120765A1 (en) Distributor having a power connection with a plug
JP5337565B2 (ja) アース線中継端子台及びこれを内部に備えた分電盤
KR101219019B1 (ko) 방수용 플러그와 콘센트 구조체
DE1039587T1 (de) Steckerteil bestimmt für Montage auf einem elektrischen Kabel mit einem schraubenförmig gewellten Aussenleiter und Verfahren zur Montage
DE60103447D1 (de) Kabelschuhverbindervorrichtung für Batterie
CN207069523U (zh) 用于架空导线分段装置的绝缘护套组件
KR100700045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JP5947997B2 (ja) 配線・配管材またはその接続具の接続部
JP5286149B2 (ja) 電気接続箱
KR101016216B1 (ko) 건축물 바닥의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US7083466B1 (en) Cover of wiring box for use in telecommunication line
CN208385718U (zh) 一种圆形连接器线束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KR100640712B1 (ko) 벽면에 매립되는 공동주택용 통합전선 보호덕트
KR20220008027A (ko) 전선 안전커버장치
JP2013042572A (ja) 電気車両用充電装置
KR101162963B1 (ko) 건축물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KR200429439Y1 (ko) 밴드 케이블
US20050130492A1 (en) Receptacle having electric power code box installed therein
CN216622452U (zh) 电路改装测试盒
CN105428881A (zh) 三面墙壁插座
KR200205460Y1 (ko) 전선의 여장수단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