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224B1 -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224B1
KR100880224B1 KR1020080058436A KR20080058436A KR100880224B1 KR 100880224 B1 KR100880224 B1 KR 100880224B1 KR 1020080058436 A KR1020080058436 A KR 1020080058436A KR 20080058436 A KR20080058436 A KR 20080058436A KR 100880224 B1 KR100880224 B1 KR 10088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light emitting
group
carbon atoms
trip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156A (ko
Inventor
박춘건
서정대
권순기
김윤희
정성욱
안준환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224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9/00Metal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main groups C07F1/00 - C07F1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33Irid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8Metal complexes
    • C09K2211/185Metal complexes of the platinum group, i.e. Os, Ir, Pt, Ru, Rh or P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 리간드를 포함하는 이리듐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재료로 사용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화합물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에 사용되어 소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발광효율을 나타내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L1, L2, L3 및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릴기, 알콕시 및 알킬기로 이루어진 그룹 및 하기 화학식 2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D1 내지 D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알릴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플루오르화된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화합물은 리간드에 대형 치환체(유기 실리콘)를 도입하여 OLED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삼중항-삼중항 소멸현상(triplet-triplet annihilation)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호스트와의 친화력을 높여 어그리게이션(aggregation)에 의한 삼중항-삼중항 소멸현상을 억제시킴으로써 통상적인 페닐 피리딘계 이리듐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효율과 휘도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이리듐, 삼중항-삼중항 소멸현상, 발광효율, 휘도

Description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 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Iridium compound-based luminescence compounds comprising phenylpyridine groups with organic silicon and OLED using the same as luminous material}
본 발명은 2004년 10월 04일자로 출원된 국내특허출원 제10-2004-0078721호의 분할출원건이다.
본 발명은 녹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색순도와 발광효율이 개선된 녹색 발광 화합물과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고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계발광소자(eletroluminescence device: EL device)는 자발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EL 소자는 발광층(emitter layer) 형성용 재료에 따라 무기 EL 소자와 유기 EL 소자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유기 EL 소자는 무기 EL 소자에 비하여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는 기판 상부에 양극(anode)이 형성되어 있고, 이 양극 상부에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정공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수송층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박막들이다.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1) 먼저, 투명기판 위에 양극 물질을 입힌다. 양극 물질로는 흔히 ITO(indium tin oxide)가 쓰인다.
(2) 그 위에 정공주입층(HIL:hole injecting layer)을 입힌다. 정공주입층으로는 주로 구리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CuPc))을 10nm 내지 30nm 두께로 입힌다.
(3) 그런 다음, 정공수송층(HTL:hole transport layer)을 도입한다. 이러한 정공수송층으로는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바이페닐(4,4'-bis[N-(1-naphthyl)-N-phenylamino]-biphenyl(NPB))을 30nm 내지 60nm 정도 증착하여 입힌다.
(4) 그 위에 유기발광층(organic emitting layer)을 형성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불순물(dopant)을 첨가한다. 녹색(green) 발광의 경우 흔히 유기발광층으로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레이트)알루미늄(Alq3)(tris(8-hydroxy-quinolatealuminum) )을 두께 30~60nm 정도 증착하며 불순물(dopant)로는 MQD(N-메틸퀴나크리돈)(N-Meth ylquinacridone)를 많이 쓴다.
(5) 그 위에 전자수송층(ETL: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I L: electron injecting layer)을 연속적으로 입히거나, 아니면 전자주입운송층을 형성한다. 녹색(green) 발광의 경우 상기(4)의 Alq3가 좋은 전자수송능력을 갖기 때문에 전자 주입/수송층을 쓰지 않는 경우도 많다.
(6) 다음으로 음극(cathode)을 입히고, 마지막으로 보호막을 덧 씌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EL 소자의 구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양극 및 음극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은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한다. 한편, 전자는 음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에 주입되고, 발광층 영역에서 캐리어들이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한다. 이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사에서는 발광층 형성용 재료로서 저분자인 방향족 다이아민과 알루미늄 착체를 이용하고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개발하였다(Appl. Phys. Lett. 51. 913. 1987).
이밖에도, 발광층 형성용 재료로서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페닐렌비닐렌) 등과 같은 고분자를 사용하고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가 발표되었다(Nature, 347, 539, 1990 & Appl. Phys. Lett. 58, 1982, 1991).
한편, 종래에 사용된 이리듐 화합물은 발광특성이 우수하지만 삼중항-삼중항 소멸현상에 의한 효율감소 등 아직까지 더 개선해야할 점이 많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광효율 특성이 현저히 개선된 발광 화합물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화합물을 발색재료로서 사용하는 표시소자를 제공하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L1, L2, L3 및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릴기, 알콕시, 알킬기로 이루어진 그룹 및 하기의 화학식 2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그리고, 상술한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치환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 는 아래의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치환기일 수 있다.(여기서, L1 내지 L3는, L1 에서 L3까지 즉 L1, L2, L3를 모두 의미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4
[화학식 3]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5
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D1 내지 D6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알릴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플루오르화된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화합물은 발광효율특성이 현저히 개선되었고 이를 발광층르로 사용하는 OLED는 우수한 발광 특성 즉, 높은 외부양자효율, 휘도 및 낮은 구동전압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L1, L2, L3 및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아릴기, 알콕시, 알킬기로 이루어진 그룹 및 하기의 화학식 2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그리고, 상술한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치환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L1 내지 L3 및 R1 내지 R3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치환기일 수 있다.(여기서, L1 내지 L3는, L1 에서 L3까지 즉 L1, L2, L3를 모두 의미한다.)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7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8
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D1 내지 D6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알릴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플루오르화된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 1에 따른 발광 화합물은 그 자체로 사용되면 녹색 발광제로서 발광효율이 우수하며, 표시소자의 발색재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화학식 1의 발광 화합물을 사용하여 발광층 등과 같은 유기막을 형성하며, 통상적인 페닐 피리딘계 이리듐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발광효율과 휘도 특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킨다.
이하에서 상술한 화학식 1에 따른 발광 화합물의 일실시예의 제조방법 및 발광 특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화학식 1의 발광 화합물 중, L3와 R2가 모두 트라이메틸실란기이며, L1, L2 및 R1, R3는 수소인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8044359344-pat00009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합성한다.
*1. 화합물(A)의 합성
Figure 112008044359344-pat00010
1,3-다이브로모벤젠(1,3-dibromobenzene)을 나트륨을 사용하여 건조된 다이에틸이써(diethylether)에 녹인 다음 1.2 당량의 n-부틸리튬(n-butyl-lithium)을 -78℃에서 서서히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다시 반응 혼합물을 -78℃로 냉각하여 1.2 당량의 클로로트라이메틸실란(chlorotrimethylsilane)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부어 반응을 종결하고 다이에틸이써로 추출한 다음 진공증류로 상기 화합물(A)를 얻었다(수율: 73%).
2. 화합물(B)의 합성
Figure 112008044359344-pat00011
상기 화합물(A)를 나트륨을 사용하여 건조된 다이에틸이써에 녹인 다음 1.2 당량의 n-부틸리튬을 -78℃에서 서서히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다시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서서히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40분간 교반한 후, 다시 반응 혼합물을 -78℃로 냉각하여 2 당량의 트라이에틸보레이트(triethylborate)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1N-HCl에 서서히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상기 화합물(B)를 얻었 다(수율:35%).
3. 화합물(C)의 합성
Figure 112008044359344-pat00012
2,5-다이브로모피리딘(2,5-dibromopyridine)을 나트륨을 사용하여 건조된 다이에틸이써에 녹인 다음 1.2 당량의 n-부틸리튬을 -78℃에서 서서히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같은 온도에서 40분간 교반한 후에 1.2 당량의 클로로트라이메틸실란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을 물에 부어 반응을 종결하고 다이에틸이써로 추출한 다음 진공증류로 화합물(C)를 얻었다(수율:73%).
4. 화합물(D)의 합성
Figure 112008044359344-pat00013
질소 기류하에서, 화합물(B) 1.2 당량과 화합물(C) 1 당량을 THF/2M-K2CO3 용액을 가한 다음 5시간 환류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1N-HCl 수용액에서 서서히 부어 반응을 종결하여 다이에틸이써로 추출하여 화합물(D)를 얻었다(수율:92%).
5. 화학식 4의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8044359344-pat00014
질소 기류하에서 이리듐(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Iridium acetylacetonate) 1 당량을 에틸렌글리콜에 넣은 후 30분간 80℃에서 교반한 다음 화합물(D) 5 당량을 가한 후 20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온도를 실온으로 내린 다음 1N-HCl에 반응물을 붓고 교반하면 침전물이 생기고, 이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 후 이 화합물을 실리카겔 관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용리하여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얻었다(수율:24%).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구조는 질량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ITO(Indium Tin Oxide)(산화인듐주석) 기판(glass)의 발광 면적이 3mm×3mm 크기가 되도록 패터닝(patterning)한 후 세정한다. 기판을 진공 챔버에 장착한 후 기본 압력이 1×10-6torr가 되도록 한 후 유기물을 ITO위에 CuPC(200Å), NPB(400Å), 발광층(200Å), BCP(100Å), Alq3(200Å), LiF(5Å), Al(1000Å)의 순서로 성막하였다. 이 때, 발광층은 CBP를 호스트로하고 도펀트로 화학식 4를 8% 섞어서 증착 하였을 때 결과가 11.1mA/cm2에서 구동전압이 9.71V이고 휘도 955nits, 색좌표(0.316 0.603)와 같이 구현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OLED는 도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우수한 발광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층으로 제조되는 일반적인 OLED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의 합성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의 질량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의 UV/PL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화합물을 발광층으로 사용한 OLED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1: 유리 기판 12: 양극 13: 정공수송층 14:발광층
15: 전자수송층 16: 음극 17: 유리 기판

Claims (2)

  1. 하기 화학식 1의 이리듐착체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72311017-pat00015
    (상기 식에서, 상기 L2와 R3는 각각 독립적인 수소이며, L3 및 R2는 하기의 화학식 2로 구성된 그룹이고, 상기 L1과 R1은 하기의 화학식 3으로 구성된 그룹이며,
    [화학식 2]
    Figure 112008072311017-pat00016
    [화학식 3]
    Figure 112008072311017-pat00024
    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D1 내지 D6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알릴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플루오르화된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기판 상에, 애노드 전극과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차례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호스트 물질로 CBP를 준비하고 하기 화학식 1의 물질을 도핑하여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72311017-pat00025
    (상기 식에서, L3와 R2는 트라이메틸실란기이고, L2 및 R3는 하기의 화학식 2로 구성된 그룹이고, 상기 L1과 R1은 하기의 화학식 3으로 구성된 그룹이며,
    [화학식 2]
    Figure 112008072311017-pat00026
    [화학식 3]
    Figure 112008072311017-pat00027
    상기 화학식 2 및 화학식 3에서 D1 내지 D6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알콕시기,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알릴기 및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플루오르화된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20080058436A 2008-06-20 2008-06-20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88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36A KR100880224B1 (ko) 2008-06-20 2008-06-20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36A KR100880224B1 (ko) 2008-06-20 2008-06-20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721A Division KR100880220B1 (ko) 2004-10-04 2004-10-04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156A KR20080069156A (ko) 2008-07-25
KR100880224B1 true KR100880224B1 (ko) 2009-01-28

Family

ID=3982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36A KR100880224B1 (ko) 2008-06-20 2008-06-20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2149B2 (en) 2012-07-04 2018-01-30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rsing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organic optoelectr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996A (ja) * 2000-09-26 2003-05-21 Canon Inc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発光素子用金属配位化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996A (ja) * 2000-09-26 2003-05-21 Canon Inc 発光素子、表示装置及び発光素子用金属配位化合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2149B2 (en) 2012-07-04 2018-01-30 Samsung Sdi Co., Ltd. Compound for organic optoelectr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comprsing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organic optoelectr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156A (ko) 200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220B1 (ko)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US702976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reduced pixel shrinkage
KR10057726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US20040086743A1 (en) Organometallic compounds for use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0280707B1 (ko)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재료로서 채용하고있는 표시소자
US8017787B2 (en) Organometallic complex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JP2011160003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3142269A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
KR20060098860A (ko) 적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사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US6692846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tabilizing dopant in a hole-transport layer or in an electron-transport layer distant from the emission layer
EP2715825A1 (en) Oled having multi-component emissivie layer
CN1772840A (zh) 金属络合物及包含其的磷光有机发光器件
CN114447245A (zh)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与显示设备
KR101984188B1 (ko) 청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38815B1 (ko) 인광 도펀트용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KR102044134B1 (ko)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KR101414997B1 (ko) 발광 다핵 구리 착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090001072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금속착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101922050B1 (ko)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880224B1 (ko) 유기 실리콘을 갖는 페닐 피리딘기를 포함하는 이리듐화합물계 발광 화합물 및 이를 발색 재료로서 사용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50055356A (ko) 인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20038818A (ko) 적색 인광 호스트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69673B1 (ko) 유기 전자발광소자
KR100280706B1 (ko) 유기 전자발광소자
GB2581141A (en) Light-emitt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