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157B1 -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157B1
KR100880157B1 KR1020070106437A KR20070106437A KR100880157B1 KR 100880157 B1 KR100880157 B1 KR 100880157B1 KR 1020070106437 A KR1020070106437 A KR 1020070106437A KR 20070106437 A KR20070106437 A KR 20070106437A KR 100880157 B1 KR100880157 B1 KR 10088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ignition timing
fly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욱
Original Assignee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박재욱 filed Critical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2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non-automatically; dependent on position of personal controls of engine, e.g. throttl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2Checking or adjusting ignition ti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축에 결합된 플라이휠에 제1부재(자석부재)를 설치하고 내연기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몸체에는 제2부재(픽업코일)를 설치하여 상기 제1부재가 제2부재를 지나칠때 마다 축전-방전수단(CDI)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를 통해 제2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점화시기를 조절하거나 임의적으로 바꿀수 있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3)에 결합되어 크랭크축(3)과 연동하는 플라이휠(10)과,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자석(12) 및 상기 자석(1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코일(31)로 구성된 전류발생수단(15)과, 상기 전류발생수단(15)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일시 저장한 후 점화시기에 맞춰 방전하는 축전-방전수단(16)과,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점화시기 조절수단과,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의 점화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전압을 증폭하여 점화플러그(18)로 보내는 점화코일(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연기관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플라이휠(10)이 수용되는 회전몸체(30)와, 상기 플라이휠(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부재인 제1부재(13)와,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픽업코일인 제2부재(35)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부재(13)가 제2부재(35)를 지나칠때 마다 발생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수단(20)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몸체(30)를 통해 상기 제2부재(35)의 위치를 조절하여 점화시기를 수동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1부재(13)인 자석부재는 상기 플라이휠(1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자석(12)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부는 상기 플라이휠(1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연기관, 점화장치, 점화시기, 수동조절, 플라이휠, 자석, 픽업코일

Description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MANUAL CONTROL APPARATUS OF IGNITION TIMING OF IGNITION APPARATU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크랭크축에 결합된 플라이휠에 제1부재(자석부재)를 설치하고 내연기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몸체에는 제2부재(픽업코일)를 설치하여 상기 제1부재가 제2부재를 지나칠때 마다 축전-방전수단(CDI)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를 통해 제2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점화시기를 조절하거나 임의적으로 바꿀수 있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복수의 기통에 의해 흡기,압축,폭발,배기의 4사이클로 구성되어 있고, 각 기통에 있어서,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혼합가스로 점화플러그에서 불꽃을 튀겨,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출력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때 각 기통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폭발력이 피스톤을 밀어내는 힘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가장 적절한 크랭크위치에서 충분한 에너지를 갖는 불꽃을 튀기게 하는 일은 중요한 제어항목이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면,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플라이휠과,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시 전류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수단과, 상기 전류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일시 저장한 후 점화시기에 맞춰 방전하는 축전-방전수단과, 상기 축전-방전수단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점화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방전수단에서 전송되는 전압을 수만 볼트로 증폭하여 점화플러그로 보내는 점화코일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은 엔진의 회전상태, 부하, 온도 등을 검출하여 점화시기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되는데, 즉, 점화시기는 다양한 작동상태를 위해 고안된 보정값의 맵과 함께 엔진 회전속도 및 엔진 부하, 온도 등에 대응하는 기본 점화 시기 맵을 사용함으로써 작동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장치는 엔진의 상태, 부하, 온도 등에 따라 마이컴에 미리 세팅된 맵을 통해 점화시기가 자동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바꿀수 없고, 아울러 전문지식을 가져야만 점화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는 내연기관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점화시기를 바꿀 필요성을 가지게 되지만,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장치는 점화시기를 수동으로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축에 결합된 플라이휠에 제1부재(자석부재)를 설치하고 내연기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몸체에는 제2부재(픽업코일)를 설치하여 상기 제1부재가 제2부재를 지나칠때 마다 축전-방전수단(CDI)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를 통해 제2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점화시기를 조절하거나 임의적으로 바꿀수 있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크랭크축과 연동하는 플라이휠과, 상기 플라이휠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자석 및 상기 자석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코일로 구성된 전류발생수단과, 상기 전류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일시 저장한 후 점화시기에 맞춰 방전하는 축전-방전수단과, 상기 축전-방전수단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점화시기 조절수단과,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의 점화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방전수단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전압을 증폭하여 점화플러그로 보내는 점화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연기관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플라이휠이 수용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부재인 제1부재와, 상기 회전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픽업코일인 제2부재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부재가 제2부재를 지나칠때 마다 발생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방전수단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몸체를 통해 상기 제2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점화시기를 수동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1부재인 자석부재는 상기 플라이휠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자석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부는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된 플라이휠에 제1부재(자석부재)를 설치하고 내연기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몸체에는 제2부재(픽업코일)를 설치하여 상기 제1부재가 제2부재를 지나칠때 마다 축전-방전수단(CDI)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를 통해 제2부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점화시기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전문지식을 가진자가 아니더라도 상기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분야 또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점화시기를 임의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에서 회전몸체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제2부재인 픽업코일의 위치를 조절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1)는 보트, 선박, 차량 등 내연기관을 엔진으로 사용하는 모든 분야의 점화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보트나 선박에 사용되는 내연기관의 점화장치에 적용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1)를 설명하기에 앞서 내연기관 및 점화장치를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내연기관은 공지된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본체(2)에 크랭크축(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3)에는 커넥팅로드(3b)를 통해 연결된 복수개의 피스톤(3a)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실린더(2a)(기통) 내부를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내연기관의 실린더(2a) 내부에서 압축된 혼합가스를 폭발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하여 점화플러그(18)로 점화하는 장치로써, 현재 다양한 방식의 점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축전 방전식 점화장치(CDI:Capacitor Discharge Ignition system)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점화장치는 크게 플라이휠(10)과, 전류발생수단(15)과, 축전-방전수단(16)과, 점화시기 조절수단과, 점화코일(17)과, 점화플러그(18)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몸체(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원형지지판(5)이 볼트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플라이휠(10)은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 일측에 결합된 상기 원형지지판(5)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크랭크축(3)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축(3)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플라이휠(10)의 가장자리에는 90°로 밴딩된 측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발생수단(15)은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자석(12)과, 상기 자석(1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코일(31)로 구성된다.
상기 자석(12)은 상기 플라이휠(10)의 측면부(11) 내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코일(31)은 철심에 코일을 감은 익사이트 코일로써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몸체(30)의 수용부(30a) 내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코일(31)은 상기 플라이휠(10)의 측면부(11) 내측에 수용되되 상기 자석(12)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플라이휠(10)의 회전시 상기 복수개의 자석(12)이 함께 회전하 면서 상기 코일(31)에 전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코일(31)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은 축전-방전수단(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축전-방전수단(16)은 공지된 CDI(Capacitor Discharge Ignition)로써, 상기 전류발생수단(15)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일시 저장한 후 점화시기에 맞춰 상기 점화코일(17)로 방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전류발생수단(15)에서 발생된 전류는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전류는 축전-방전수단(16)에서 수백 볼트(V)로 승압된 후 일시 저장된다.
한편,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 일시 저장된 전류는 본 발명의 특징부인 점화시기 조절수단으로 부터 점화신호를 받을 때 상기 점화코일(17)측으로 전류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코일(17)은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의 점화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전압을 수만 볼트(V)로 증폭하여 점화플러그(18)로 보낸게 된다.
상기 점화플러그(18)는 상기 점화코일(17)에서 전송되는 수만 볼트의 전압으로 실린더(2a)내에서 방전함으로써, 상기 실린더(2a)내에서 불꽃을 일으켜 압축된 혼합가스를 폭발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은, 회전몸체(30)와, 신호전송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몸체(30)는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 일측에 결합된 상기 원형지지판(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플라이휠(10)이 수용되도록 하단이 개방된 수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형지지판(5)의 외주면에는 결합홈(5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3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홈(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판(34)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축전-방전수단(16)과 점화코일(17)을 수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32)의 일측에는 회전몸체(30)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30)의 회전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도록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 일측에 결합된 원형지지판(5)에는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6)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몸체(30)의 설치부(32) 하단면에는 상기 스토퍼(6)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37)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는 볼트 형태로써, 상기 원형지지판(5)의 하측면에 가이드판(6a)을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판(6a)의 단부측에 상기 스토퍼(6)를 나사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몸체(3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턱(37)이 상기 스토퍼(6)의 단부에 걸리면서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6a)에 나사결합된 상기 스토퍼(6)를 감거나 풀어서 스토퍼(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몸체(30)의 회전 범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전송수단(20)은, 상기 플라이휠(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부재(13)와,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부재(35)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부재(13)가 제2부재(35)를 지나칠때 마다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신호전송수단(20)의 제1부재(13)는 자석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1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자석(12)에서 연장 형성되며 끝단부는 상기 플라이휠(1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된다.
상기 신호전송수단(20)의 제2부재(35)는 철심에 코일을 감은 픽업코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픽업코일이 결합되는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는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상기 픽업코일이 상기 자석부재측에 근접하여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라이휠(10)의 회전시 상기 제1부재(13)인 자석부재가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을 지나칠때 마다 발생하는 전력을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 전송하여 점화신호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자석부재가 상기 픽업코일을 지나가는 과정에서 상기 픽업코일측에 전류가 발생하고, 이 전류는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서는 상기 픽업코일에서 전류가 전송되는 시점을 점화신호로 받아들여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 일시 저장된 전류를 상기 점화코일(17)로 전송하여 전압을 증폭시킨 후 점화플러그(18)를 통해 방전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된 제1부재(13)인 자석부재가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을 지나치는 시점이 점화시기이므로,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의 위치를 상기 회전몸체(30)의 회전을 통해 조절하면 점화시기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된 제1부재(13)인 자석부재는 상기 크랭크축(3)과 연동하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축(3)의 회전각도, 즉, 크랭크각이 최적위치에 도달했을때(피스톤이 최적위치에 상승했을때)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설정하고 싶으면, 상기 크랭크각이 최적위치에 있을때의 상기 자석부재 위치에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을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픽업코일의 최적위치는 상기 스토퍼(6)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몸체(30)가 상기 최적위치에서 회전이 멈추도록 제한시켜 놓으면 간편하게 픽업코일의 최적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몸체(30)를 회전시켜 상기 최적위치에 있는 픽업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점화시기도 변경되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각이 최적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따라 내연기관의 폭발력 및 RPM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30)를 계속 회전시켜 상기 픽업코일의 위치를 어느 범위 이상 변경시키게 되면 점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내연기관의 시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점화시기를 누구나 손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지식을 가진자가 아니더라도 상 기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분야 또는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점화시기를 임의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은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수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도시된 도면은 2기통일 경우를 일예로 도시한 것이며, 이처럼 2기통일 경우에는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이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며, 이때 상기 2개의 픽업코일에서 점화신호를 받아 상기 2개의 기통을 각각 점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전-방전수단(16) 및 점화코일(17)도 상기 회전몸체(30)의 설치부(32)에 2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된 제1부재(13)인 자석부재가 상기 첫번째 픽업코일을 지나칠때에는 첫번째 기통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고, 두번째 픽업코일을 지나칠때에는 두번째 기통에서 점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30)를 회전시켜 상기 픽업코일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2개의 기통의 점화시기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내연기관이 2기통일 경우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을 2개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수에 대응하여 상기 픽업코일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더욱더 많은 기통수를 갖는 내연기관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3)의 끝단부는 상기 회전몸체(30)를 관통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몸체(30)의 상측까지 관통한 상기 크랭크축(3)의 끝단부에는 풀 리(40)가 설치된다.
이에따라, 상기 풀리(40)에 스타트 로프(미도시)를 감아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플라이휠(10)이 회전하면서 상기 전류발생수단(15)에서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에서는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보내게 되어 상기 내연기관을 수동으로 시동을 걸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크랭크축(3)에 시동모터(미도시)를 연결하게 되면 상기 내연기관을 자동으로 시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신호전송수단(20)으로써 제1부재(13)는 자석부재를 사용하고, 제2부재(35)는 픽업코일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기 자석부재와 픽업코일을 센서로 대체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플라이휠(10)에 제1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는 제2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1센서가 제2센서를 지나칠때 마다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풀리(40)에 스타트 로프를 감아서 잡아당기거나 또는 시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크랭크축(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플라이휠(10)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전류발생수단(15)에서 전류가 발생하고, 이 전류는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전송된다.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전송된 전류는 수백 볼트로 승합되어 일시 저장된다.
계속해서, 상기 플라이휠(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된 제1부재(13)인 자석부재가 상기 회전몸체(30)에 결합된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을 지나치는 시점에서 상기 픽업코일에는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픽업코일은 이 전류를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전송하여 점화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축전-방전수단(16)은 상기 픽업코일의 점화신호에 따라 일시 저장하고 있던 전류를 상기 점화코일(17)로 보내게 되고, 상기 점화코일(17)은 전류를 수만볼트로 증폭하여 점화플러그(18)에서 방전시킴으로써 상기 내연기관의 실린더(2a)내 혼합가스를 폭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점화시기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몸체(30)를 회전시켜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의 위치를 변경시키면 된다.
일예로, 도 5와 같이,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이 a위치에 있을 때의 점화시기는 상기 피스톤(3a)이 크랭크각 30°인 위치에서 점화가 시작되고, 도 6과 같이 상기 픽업코일이 b위치에 있을 때의 점화시기는 상기 피스톤(3a)이 크랭크각 20°인 위치에서 점화가 시작된다.
이처럼, 상기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부재(13)인 자석부재가 픽업코일을 지나치는 시점이 달라지기 때문에 점화시기도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부재(35)인 픽업코일의 위치 에 따른 크랭크각은 일예 일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1)는 보트나 선박 등에 사용되는 내연기관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그외 모든분야에 사용된 내연기관에도 동일한 방법 및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2에서 회전몸체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제2부재인 픽업코일의 위치를 조절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2: 내연기관 본체
3: 크랭크축 5: 원형지지판
6: 스토퍼 10: 플라이휠
11: 측면부 12: 자석
13: 제1부재 15: 전류발생수단
16: 축전-방전수단 17: 점화코일
18: 점화플러그 20: 신호전송수단
30: 회전몸체 31: 코일
32: 설치부 33: 손잡이
34: 결합판 35: 제2부재
36: 관통공 37: 걸림턱
40: 풀리

Claims (6)

  1. 내연기관의 크랭크축(3)에 결합되어 크랭크축(3)과 연동하는 플라이휠(10)과, 상기 플라이휠(1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자석(12) 및 상기 자석(12)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코일(31)로 구성된 전류발생수단(15)과, 상기 전류발생수단(15)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일시 저장한 후 점화시기에 맞춰 방전하는 축전-방전수단(16)과,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여 점화시기를 조절하는 점화시기 조절수단과,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의 점화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방전수단(16)에서 전송되는 전류의 전압을 증폭하여 점화플러그(18)로 보내는 점화코일(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연기관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시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상기 플라이휠(10)이 수용되는 회전몸체(30)와,
    상기 플라이휠(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자석부재인 제1부재(13)와,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픽업코일인 제2부재(35)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플라이휠(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부재(13)가 제2부재(35)를 지나칠때 마다 발생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축전-방전수단(16)으로 점화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수단(20)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몸체(30)를 통해 상기 제2부재(35)의 위치를 조절하여 점화시기를 수동으로 조절하고,
    상기 제1부재(13)인 자석부재는 상기 플라이휠(1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상기 자석(12)에서 연장형성되며 끝단부는 상기 플라이휠(1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3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축전-방전수단(16)과 점화코일(17)을 수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32)의 일측에는 손잡이(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수단(20)의 제2부재(35)는 상기 내연기관의 기통수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몸체(3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30)의 회전 범위를 제한 할 수 있도록 상기 내연기관의 본체(2)에는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6)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몸체(30)에는 상기 스토퍼(6)에 걸릴수 있도록 걸림턱(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KR1020070106437A 2007-10-23 2007-10-23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KR10088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37A KR100880157B1 (ko) 2007-10-23 2007-10-23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37A KR100880157B1 (ko) 2007-10-23 2007-10-23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157B1 true KR100880157B1 (ko) 2009-01-28

Family

ID=4048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437A KR100880157B1 (ko) 2007-10-23 2007-10-23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1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362A (en) 1979-08-22 1981-03-30 Hitachi Ltd Magneto
JPS59101578A (ja) * 1982-11-30 1984-06-12 Yamah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時期調整装置
US4491121A (en) 1981-08-13 1985-01-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gnition system for two-cycle engine
US5233960A (en) 1991-05-17 1993-08-10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ignition timing adjus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1362A (en) 1979-08-22 1981-03-30 Hitachi Ltd Magneto
US4491121A (en) 1981-08-13 1985-01-0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Ignition system for two-cycle engine
JPS59101578A (ja) * 1982-11-30 1984-06-12 Yamah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点火時期調整装置
US5233960A (en) 1991-05-17 1993-08-10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ignition timing adjust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2378B (zh) 用于内燃机的具有足够能量的火花的点火电路
US7552714B2 (en) Igni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7974767B2 (en) Method for detecting operating parameters of a power tool compri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4163071A1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7191752B2 (en) Energy storing starter assembly
US10263485B2 (en) Alternator with integrated engine controller
US7040282B2 (en) Independent timing retard for engine speed limiting
US6932064B1 (en) Capacitor discharge ignition
US10344696B2 (en) Engine knocking detection apparatus
US3974815A (en) Signal source for use in a breakerless igni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880157B1 (ko) 내연기관 점화장치의 점화시기 수동 조절장치
US20170126057A1 (en) Generator having improved cold weather starting
JP6063305B2 (ja) タンピングランマー、およびタンピングランマー用エンジンユニット
CN107806492A (zh) 多键飞轮和发动机曲轴
US20180334969A1 (en) Throttle trigger actuated throttle position sensor and engine control module
US6192861B1 (en) Engine ignition device
US10907537B2 (en) Ignition module with low speed control
EP1985843A3 (en) Capacitor-discharge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016438A (ja) 汎用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装置
US11391259B2 (en) Crankshaft driven flywheel magneto generator with circular winding for power supply in handheld batteryless combustion engines
US20200332758A1 (en) Electronic ignition system for a generator engine
JP2014234756A (ja) 電源装置及び携帯型作業機
US20050205073A1 (en) Supplemental capacitive discharge ignition system
US20130032128A1 (en) Motorcycle ignition
JP3897157B2 (ja) 点火プラグ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