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995B1 -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995B1
KR100879995B1 KR20070035676A KR20070035676A KR100879995B1 KR 100879995 B1 KR100879995 B1 KR 100879995B1 KR 20070035676 A KR20070035676 A KR 20070035676A KR 20070035676 A KR20070035676 A KR 20070035676A KR 100879995 B1 KR100879995 B1 KR 100879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dle screen
screen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3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157A (ko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스프레드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드텔레콤(주) filed Critical 스프레드텔레콤(주)
Priority to KR2007003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9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9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와 대기화면 프로그램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이 상기 단말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다운로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취향에 맞는 대기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교체시, 이전의 대기화면을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method for supporting customized idle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 :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 11 : 관리 서버
12 : DB 서버 20 : 통신망
30 : 단말
본 발명은 대기화면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 말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대기화면을 제공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은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출력되는 화면으로써, 단말기에 따라 특정 입력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이 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은 사용자에게 가장 친숙하게 접근 가능한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능동적으로 연계된다면 엄청난 잠재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이다. 더더욱이, 이동통신기술과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대기화면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한번의 동작으로 그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실행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대기화면 시스템이 각광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 대기화면은 제조사가 임의로 정해진 몇 가지 화면 출력만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대기화면 시스템의 문제점 및 그에 따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대기화면 시스템에 의하면, 대부분의 경우 정해진 틀 안에서만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대로 대기화면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종래의 대기화면 시스템에 의하면, 고정된 위치에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를 표시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이나 컨텐츠가 대기화면 중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기를 바라는 대기화면의 부분을 가리는 문제가 있다. 셋째, 브루 기반의 프로그램을 사 용하는 시스템에서도 해당 시점에 그 프로그램만 동작하여 하나의 컨텐츠 만을 사용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대기화면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하나의 컨텐츠만을 표시한다. 따라서, 동시에 여러 개의 컨텐츠, 특히 날씨, 증권 등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한 다양한 컨텐츠를 동시에 보고 싶어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넷째, 종래의 대기화면 시스템은 단말기 제조사가 단말기 판매시에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단말기 교체시,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대기화면을 계속 사용하고 싶어하는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다섯째,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의 단말에 구성된 대기화면 시스템이 자신의 취향에 맞아 그 대기화면 시스템을 자신의 단말에 구성하려 하는 경우, 이를 뒷받침하는 대기화면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취향에 맞는 대기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교체시, 이전의 대기화면을 편리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접속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와 대기화면 프로그램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이 상기 단말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다운로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 구성된 대기화면-대기화면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짐-이 추후 재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백업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업로딩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 또는 그외의 단말에게 상기 백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운로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와 대기화면 프로그램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복수의 컨텐츠들을 저장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의 구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이 상기 단말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DB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단말에 구성된 대기화면-대기화면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짐-이 추후 재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백업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백업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추후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DB 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 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사용자가 서버 상에서 대기화면을 구성한 후, 구성된 대기화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대기화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기존의 단말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대기화면 대신,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현재 단말에 구성된 대기화면에 해당하는 백업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딩하는 방법 및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동작은, 대기화면을 지원하는 대기화면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동작, 대기화면상에 표시 또는 연결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동작, 선택된 컨텐츠들을 대기화면상에 배치, 정렬,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기화면 컨텐츠의 예로는 "선택된 컨텐츠"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배치, 정렬, 연결이 반영된 대기화면 프로그램"가 묶여진 데이터를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과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은 통신망(20)을 통하여 단말(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1) 및 DB 서버(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신망(20)의 예로는 이동통신망을 들 수 있으며, 단말(30)의 예로는 이동통신 단말을 들 수 있다.
도 1에서,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은 관리 서버(11) 및 DB 서버(12) 즉, 2개의 서버로 이루어져 있으나, 관리 서버(11) 및 DB 서버(12)의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하나의 서버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BREW 기반의 시스템인 경우,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 관리 서버(11) 및 DB 서버(12)는 각각 uiOne Delivery System, uiOne Publisher, uiOne Depot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DB 서버(12)는 다양한 대기화면 프로그램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관리하며, 관리 서버(11)에 의해 구성된 대기화면에 대한 정보(이하, 대기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받고, 저장/관리하며, 사용자의 단말(30)에 대기화면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단말(3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된 컨텐츠의 예로는, 위젯 컨텐츠, 테마 컨텐츠, 메뉴 컨텐츠를 들 수 있다. 위젯 컨텐츠는 날씨, 시간, 주식 정보 등 자동으로 새로운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테마 컨텐츠는 사용자 화면을 영화, 스포츠, 음악 등 특화된 화면으로 구성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여기서, 저장된 대기화면 프로그램의 예로는, 업무용으로 적합한 대기화면 프로그램, 광고용으로 적합한 대기화면 프로그램, 특정 취미용으로 적합한 대기화면 프로그램, 특정 계층용으로 적합한 대기화면 프로그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기화면 프로그램들은 설정된 구성 정보에 따라 컨텐츠들을 배치, 추가, 삭제, 숨김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컨텐츠는 마크 업 언어(예컨데, TrigML)로 구성되며, 대기화면 프로그램은 다중의 컨텐츠를 대기화면에 구성하고, 위치변경, 정렬 및 기타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30)에 전송(즉, 다운로드)되는 데이터 형태는, 사용자가 단말(30)상에서 대기화면을 설정시키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첫째, 사용자가 DB 서버(12)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대기화면이 설정되는 방법에 따른다면,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요청한 바에 따라 컨텐츠를 배치하도록 설정된 대기화면 프로그램" 및 "컨텐츠"가 묶여진 하나의 컨텐츠(즉, 대기화면 컨텐츠) 형식으로 다운로드된다. 둘째, 사용자가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의 도움 없이, 단말(30)상에서 직접 대기화면을 설정하려 하는 방법에 따른다면, 컨텐츠, 대기화면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이 방법에 따른다면,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이미 단말(30)에 구비된 대기화면 프로그램을 통하여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설정을 하거나, 다운로드된 대기화면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미 단말(30)에 구비된 컨텐츠를 대기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설정을 함으로써, 대기화면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관리 서버(11)는 단말(30)을 통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을 통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라 대기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대기화면에 대한 정보인 대기화면 구성 정보를 DB 서버(12)에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DB 서버(12)에 저장된 대기화면 프로그램들 및 컨텐츠들 중에서 원하는 대기화면 프로그램 및 컨텐츠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대기화면 프로그램을 통하여 대기화면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배치 설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 방법의 예로는, 관리 서버(11)가 웹 서버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웹 상에서 대기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대기화면 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내용으로는, 선택된 대기화면 프로그램에 대한 식별자,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 및 기타 대기화면 구성 정보(예 컨대, 컨텐츠의 배치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리 서버(11)는 사용자의 단말(3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와 대기화면 프로그램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을 구성하며, DB 서버(12)는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복수의 컨텐츠들을 저장하며, 관리 서버(11)로부터 제공되는 대기화면의 구성 정보를 기초로, 대기화면이 단말(30)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를 단말(3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리 서버(11)는 사용자의 단말(30)로부터, 단말(30)에 구성된 대기화면-대기화면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짐-이 추후 재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백업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받으며, DB 서버(12)는 관리 서버(11)와 연동하여 단말(30)로부터, 백업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추후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단말(3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대기화면을 제작하기 위해, 자신의 단말(3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30)에 접속한다(S200).
그 다음,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와 대기화면 프로그램으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을, 구성한다(S210). 예컨대, 사용자는,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상에서, 원하는 형태의 대기화면 프 로그램을 선택하고, 또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 후, 선택된 대기화면 프로그램 위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들을 위치 조정하여 대기화면상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S210 단계에서 구성된 대기화면이 자신의 단말(30)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를,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에 요청한다(S220).
그 다음, 관리 서버(11)는 구성된 대기화면에 대한 정보(즉, 대기화면 구성 정보)를 DB 서버(12)에 제공한다(S230). 부가적으로, 관리 서버(11)는 단말(30)로 하여금 다운로드 개시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DB 서버(12)는 구성된 대기화면이 단말(30)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를, 단말(30)에 전송한다(S240).
한편,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은 대기화면 구성 정보를 저장하여, 추후 단말(30) 또는 그외의 단말에게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기화면 구성에 가담한 사용자로서는, 추후 단말 교체시에 기존에 구성한 대기화면을 그대로 새로운 단말에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30)을 통하여, 대기화면 백업을 위한 업로딩을 위해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에 접속한 후(S300), 업 로딩을 요청한다(S310).
그 다음,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업로딩 승인을 받으면, 사 용자는 단말(30)에 구성된 대기화면-대기화면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짐-이 추후 재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백업 데이터를,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에 업로딩한다(S320). 여기서, 백업 데이터는, 대기화면과 관련된 설정 정보-컨텐츠의 배치, 이미지, 주소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이후에, 사용자는 단말 교체시에 S320 단계에서 업로딩된 백업데이터를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10)으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대기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 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대기화면을 단말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의 단말에 설정된 대기화면에 대한 정보를 서버를 통해 백업 받은 후, 단말 교체시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리성이 있다.

Claims (9)

  1. 사용자의 단말이,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복수의 컨텐츠들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상에서 대기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설치데이터 - 상기 구성된 대기화면이 상기 단말에 설치되기 위한 데이터 - 를 다운로드 받아, 상기 대기화면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설치된 대기화면을 확인하거나 편집함에 따라, 상기 단말이 백업데이터 - 현재 설정된 대기화면이 추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 - 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업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데이터는,
    상기 대기화면과 관련된 설정 정보- 컨텐츠의 배치, 이미지, 주소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5. 삭제
  6. 사용자의 단말에 현재 설정된 대기화면-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짐- 이 추후 재사용가능하도록 하는 백업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업로딩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 또는 그외의 단말에게 상기 백업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운로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 데이터는,
    상기 대기화면과 관련된 설정 정보- 컨텐츠의 배치, 이미지, 주소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8. 삭제
  9.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현재 설정된 대기화면 - 대기화면 프로그램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로 이루어짐- 이 추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백업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받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백업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추후 상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DB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서버 시스템.
KR20070035676A 2007-04-11 2007-04-11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KR100879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5676A KR100879995B1 (ko) 2007-04-11 2007-04-11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35676A KR100879995B1 (ko) 2007-04-11 2007-04-11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57A KR20080092157A (ko) 2008-10-15
KR100879995B1 true KR100879995B1 (ko) 2009-01-22

Family

ID=4015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35676A KR100879995B1 (ko) 2007-04-11 2007-04-11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29B1 (ko) * 2012-09-05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12456B1 (ko) * 2012-11-20 2013-10-08 주식회사 버즈피아 모바일 단말의 홈 스크린 큐레이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34A (ko) * 2003-12-19 2005-06-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5656A (ko) * 2005-09-05 2007-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방법
KR20070031672A (ko) * 2005-09-15 2007-03-2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편집 방법 및 바탕화면 편집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934A (ko) * 2003-12-19 2005-06-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5656A (ko) * 2005-09-05 2007-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방법
KR20070031672A (ko) * 2005-09-15 2007-03-2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신 단말기의 바탕화면 편집 방법 및 바탕화면 편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57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8368B1 (en) Loading branded media outside system partition
JP4391434B2 (ja) テーマ変更システム,携帯通信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047493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widget and device using the same
JP5185374B2 (ja) 無線装置でテーマをダウンロードしアクティブ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926468A1 (en) Application managing application
KR100840609B1 (ko)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203364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8270961B2 (en) Method of configuring a mobile telephone to interact with external services
CN102685573A (zh) 经由多个设备的因特网内容订阅服务
JPWO2003069470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作成システム、作成装置、および作成方法、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提供装置、および提供方法、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運用システム、運用装置、および運用方法
US201202335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application and web browser
CN101436124A (zh) 一种嵌入式设备kjava应用程序管理系统及方法
KR100879995B1 (ko) 맞춤형 대기화면 지원 방법 및 서버 시스템
JP5165628B2 (ja) コンテンツ表示端末、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配信サーバ
CN105025320A (zh) 一种混合构架的可运营桌面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10093566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download service and terminal apparatus applying the same
WO201815878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development and execution platform
CN103098037A (zh) 内容传送系统、内容传送方法、服务器、内容重放装置、程序、及记录介质
JP2002183007A (ja) 限定的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2045917B1 (ko) 광고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7444297B2 (ja) 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サーバ装置、ユーザ側装置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JP2005242874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451850B1 (ko) 임베디드 시스템, 임베디드 디바이스 및 그의 메뉴 처리방법
KR100654541B1 (ko) 무선컨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9524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이용한 맞춤형 정보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