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19B1 -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19B1
KR100879519B1 KR1020070046482A KR20070046482A KR100879519B1 KR 100879519 B1 KR100879519 B1 KR 100879519B1 KR 1020070046482 A KR1020070046482 A KR 1020070046482A KR 20070046482 A KR20070046482 A KR 20070046482A KR 100879519 B1 KR100879519 B1 KR 10087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size
length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595A (ko
Inventor
송건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1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가로/세로 방향에 상관없이 적응적으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미지(Image), 표시부 방향, 정방형 이미지 센서(Image Sensor)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도 1a는 가로방향 센서의 픽셀 어레이의 예시도.
도 1b 및 1c는 가로방향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 및 가로방향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예시도.
도 2a 및 2b는 세로방향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의 예시도.
도 3은 가로방향 센서를 90도 돌려서 장착시 감지되는 이미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방형 센서의 픽셀 어레이 및 표시부의 크기에 맞춰 선택되는 픽셀 어레이들의 예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방형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 및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고정된 단말기에서 이미지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고정되지 않은 단말기에서 이미지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고정되지 않은 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가로/세로 방향에 상관없이 적응적으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상기 기능들에 대한 만족감 향상을 위한 노력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시각적 기능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기능들의 기술 개선에 대해서는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기술 개선의 효과는 매우 클 수 있다.
시각적 기능의 대표적인 예로 영상 데이터인 이미지(Image)를 제공하는 기능을 들 수 있는데, 상기 기능은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촬영된 데이터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됨으로써 제공된다.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의 경우, 피사체를 감지하는 센서 및 표시부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비율이 4:3으로 동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센서가 피사체로부터 빛 신호를 받아들이는 배열인 픽셀 어레이(Pixel Array)에서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센서가 이용되고, 상 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역시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표시부가 이용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픽셀 어레이를 가지는 센서를 '가로방향 센서'라 칭하고,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표시부를 '가로방향 표시부'라 칭한다.
도 1a는 가로방향 센서의 픽셀 어레이의 예시도이고, 도 1b 및 1c는 가로방향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 및 가로방향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1b는 가로방향 센서의 픽셀 어레이에 따라 센서가 감지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c는 가로방향 표시부를 장착한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를 통하여 보여지는 이미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 센서의 픽셀 어레이의 가로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이 표시부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과 동일하므로 도 1b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가 도 1c에서처럼 디지털 카메라의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된다.
그런데 표시부의 형태가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경우, 센서가 감지하는 이미지 그대로가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될 수 없다. 자세히 설명하면, 센서의 픽셀 어레이는 일반적으로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긴 형태가 주로 이용되는데 반해, 휴대 단말기 표시부의 경우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긴 형태,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더 긴 형태, 또는 표시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가로의 길이가 더 길게 할 수도 있고, 세로의 길이가 더 길게 할 수는 형태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창 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휴대 단말기의 경우 LCD 창이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더 긴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가로방향 센서와 같은 픽셀 어레이를 가질 수 없으므로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이미지는 센서에서 감지된 이미지와 다르다. 이를 도 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세로방향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의 예시도이다. 여기에서 세로방향 표시부는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보다 더 긴 표시부를 의미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도 1b와 같은 이미지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때 도 2a는 상기 이미지가 세로방향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때 가로방향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이미지는 가로의 길이가 더 긴데 반해 세로방향 표시부는 세로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상기 이미지가 세로방향 표시부를 통하여 그대로 표시되지 못하고 이미지의 좌우가 잘린 상태로 표시된다.
또한, 도 1b와 같은 이미지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때 도 2b는 세로방향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이미지 전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세로방향 표시부의 위아래에 공백이 만들어지는 예를 보여준다. 이때 표시부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센서의 위치를 이동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가로방향 센서를 90도 회전하여 장착할 시 감지되는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방향 센서를 세로방향 표시부에 맞추기 위하 여 센서를 90도 회전시켜서 장착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센서가 이미지를 스캐닝(Scanning)하는 방향까지 90도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래 센서의 픽셀 어레이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과 같이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긴 이미지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출력된다. 도 3의 이미지를 세로방향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기 위해서는 90도 또는 270도 회전시킨 후 표시하여야 하고 저장하는 경우에도 90도나 270도 회전시켜서 저장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고 상기 회전을 위한 연산 메모리도 추가로 요구되는 등 성능 및 효율성이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경우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따라서, 성능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구의 디자인에 상관없이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정방형 센서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방향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표시부의 방향에 맞추어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표시부의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는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와,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Windowing)할 부분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결정된 부분의 크기로 조정하는 크기 조정부와,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는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와, 표시부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와, 상기 방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표시부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Windowing)할 부분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결정된 부분의 크기로 조정하는 크기 조정부와,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변경 또는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개념 및 구조와 균등한 개념들 및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인식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카메라의 기능을 구비하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경우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부나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 등도 구비되나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므로 도시하지 않고 또한 그에 대한 설명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ulator/DEModulator: MODEM) 및 코덱(COder/ DECoder: 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부(410)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460)의 방향을 확인하고, 표시부(46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415)를 통하여 동작 중인 상태의 표시부(460)의 방향을 확인한다.
입력부(4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4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들 중에서 저장 요청 받은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카메라부(Camera module)(440)는 카메라 렌즈를 통하여 영상 데이터인 이미지(Image)를 촬영하고, 촬영된 빛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상태인 영상 데 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센서는 이미지 센서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Digital Signal Processor(DSP)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이 동일한 정방형의 픽셀 어레이의 구조를 가지는데, 제조 시 제조업자에 의해 또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픽셀 어레이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이 동일한 정방형의 픽셀 어레이를 가지는 센서를 정방형 센서라 칭한다.
영상 처리부(450)는 상기 카메라부(4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들을 표시부(460)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450)는 상기 카메라부(4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들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고,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4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표시부(460)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부의 크기에 맞추어 영상 데이터 즉,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크기 조정부(455)를 포함한다.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방형 센서의 픽셀 어레이 및 표시부의 크기에 맞춰 선택되는 픽셀 어레이들의 예시도이다. 상기 센서의 픽셀 어레이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센서는 도 5a와 같은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이 동일한 픽셀 어레이를 가지는 정방형 센서이며, 상기 픽셀 어레이 내에서 표 시부의 방향에 따라 도 5b 내지 5f와 같은 구조들이 선택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가로방향 표시부로 고정된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가로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는 크기에 맞추어 정방향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하는 부분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5b 또는 5d와 같은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세로방향 표시부로 고정된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세로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는 크기에 맞추어 정방향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하는 부분이 선택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5c 또는 5e와 같은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
표시부가 이동됨으로써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로 변경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부(450)는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도 5f와 같은 구조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f와 같은 구조로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정방형 센서의 크기 전체를 저장하는 경우보다 메모리의 낭비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10)는 이미지 표시 모드시 가로방향 표시부의 경우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의 경우일 때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표시부의 방향에 맞춰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한 후 표시부(4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구조 이외에도 상기 정방형 센서의 픽셀 어레이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구조가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로방향 표시부로 고정된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도 5b와 같은 구조로 이미지가 저장되고, 세로방향 표시부로 고정된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도 5c와 같은 구조로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표시부가 이동됨으로써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 향 표시부로 변경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정방형 센서가 이미지를 감지하는 크기 그대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도 5f와 같은 구조로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영상 처리부(45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고, 표시부(460)에 표시되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코덱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코덱,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460)는 영상 처리부(4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들을 표시하고, 제어부(41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LCD 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460)는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LCD 창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방형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 및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의 예시도이다. 상기 정방형 센서는 센서가 감지하는 픽셀 어레이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의 비율이 동일한 센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정방형 센서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는 표시부의 가로의 길이 및 세로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도 6a와 같은 이미지가 센서에 감지된 경우, 표시부의 방향이 고정된 단말기 에서 도 4의 제어부(410)는 장착된 표시부(460)의 방향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기는 표시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10)는 일반적으로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을 이미 알고 있다. 상기 확인된 표시부(460)의 방향에 맞추어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설정된 크기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한 후, 표시부(460)에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도 6b와 같이 가로방향 표시부가 장착된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가로방향 표시부에 맞추어 도 5b와 같은 구조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부(4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도 6c와 같이 세로방향 표시부가 장착된 단말기의 경우,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세로방향 표시부에 맞추어 도 5c와 같은 구조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부(4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동작들을 도면을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고정된 단말기에서 이미지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5 단계에서 도 4의 제어부(410)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촬영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7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표시부(460)의 방향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표시부가 고정된 단말기이므로 상기 제어부(410)는 일반적으로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을 이미 알고 있다. 제어부(410)는 715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에 따라 정방형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할 부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분의 크기로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상기 정방형 센서에 감지된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윈도우윙할 부분은 상술한 도 5b 내지 5f 구조들 중에서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에 따라서 이미지가 표시부(460)에 표시되기 위하여 선택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715 단계에서 크기 조정된 이미지를 제어부(410)는 720 단계에서 표시부(460)에 표시한다.
제어부(410)는 표시된 이미지의 촬영 요구가 있는지 725 단계에서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410)는 촬영 요구가 없으면 720 단계로 되돌아가서 계속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촬영 요구가 있으면 730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410)는 730 단계에서 영상 처리부(450)를 제어하여 상기 725 단계에서 촬영 요구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부(460)에 표시하고, 735 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요구가 있는지 확인한다. 저장 요구가 있으면 제어부(410)는 7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755 단계로 진행한다. 755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종료여부를 확인하여 종료가 아니면 720 단계로 되돌아가서 계속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제어부(410)는 740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저장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일제목이 입력되는지 확인한 후, 입력되면 745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에 따라 결정된 크기대로 영상 처리부(45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압축하여 저장한다. 상기 74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파일제목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75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저장할 이미지의 제목을 기본값으로 설정한 후 745 단계로 진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고정되지 않은 단말기에 서 이미지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5 단계에서 도 4의 제어부(410)는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촬영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촬영 모드가 선택되면, 81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방향 감지부(415)에 의해 표시부(460)의 방향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말기는 표시부(460)의 방향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이므로, 방향 감지부(415)는 제어부(410)의 제어하에 동작 중인 상태에서의 표시부(460)의 방향을 감지한다. 즉, 제어부(410)는 방향 감지부(415)에 의해 동작 중인 상태에서 표시부(460)의 방향이 가로방향인지 세로방향인지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10)는 815 단계에서 정방형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로부터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에 따라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를 설정할 것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를 윈도우윙할 부분은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의 크기에 맞추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410)는 820 단계에서 윈도우윙할 부분의 설정을 위해 사용자 설정 모드를 실행하여 82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가 입력되면, 83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상기 입력된 크기를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에 대한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로 설정한다. 8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크기대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부(460)에 표시한다. 만약 상기 815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설정이 선택되지 않거나, 상기 825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윈도우윙할 부분 의 크기가 입력되지 않는다면, 제어부(410)는 835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460)의 방향에 맞추어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본값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대로 상기 크기 조정부(455)에 의해 상기 정방형 센서에 감지된 이미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기본값은 제조 시에 제조업자에 의해 단말기에 장착된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의 경우들 각각에 맞춰 이미지를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로 기본으로 설정된 값들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의 경우 이미지를 윈도우윙할 부분의 크기로 설정된 값이다. 8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표시부(460)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어부(410)는 표시된 이미지의 촬영 요구가 있는지 845 단계에서 확인한다. 제어부(410)는 촬영 요구가 없으면 840 단계로 되돌아가서 계속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촬영 요구가 있으면 850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410)는 850 단계에서 영상 처리부(450)를 제어하여 상기 845 단계에서 촬영 요구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부(460)에 표시하고, 855 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요구가 있는지 확인한다. 저장 요구가 있으면 제어부(410)는 86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875 단계로 진행한다. 875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종료여부를 확인하여 종료가 아니면 840 단계로 되돌아가서 계속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제어부(410)는 860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저장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일제목이 입력되는지 확인한 후, 입력되면 865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46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에 맞출 수 있는 크기로 이미지를 압축하고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46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에 맞출 수 있는 크기는 상기 정방형 센서에 감지되는 이미지 전체일 수 있고, 도 5f와 같은 구조의 크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f와 같은 구조로 압축되고 저장됨을 예로 든다. 상기 860 단계에서 파일제목이 입력되지 않는다면, 제어부(410)는 기본값을 상기 요청된 이미지의 제목으로 설정한 후, 865 단계에서 상기 표시부(46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에 맞출 수 있는 크기로 이미지를 압축하고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이미지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표시부(460)에 맞추어 표시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9를 통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고정되지 않은 단말기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4의 제어부(410)는 표시부(46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모두에 맞출 수 있는 크기로 저장된 이미지가 표시부(460)에 표시되기 위한 표시 모드가 선택되는지 910 단계에서 확인한다. 상기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92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방향 감지부(415)에 의해 동작 중인 상태에서의 표시부(460)의 방향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93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표시 요청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이미지 표시 요청이 있으면, 94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감지된 표시부(460)의 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이미지 표시 방향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도 5f와 같은 구조로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 동작 중인 표시부(460)의 방향이 가로방 향이면 제어부(410)는 가로방향 표시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동작 중인 표시부(460)의 방향이 세로방향이면 제어부(410)는 세로방향 표시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한다. 만약 표시 요청이 없으면, 920 단계로 되돌아간다.
95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크기 조정부(455)를 제어하여 표시부의 방향에 맞추어 저장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한다. 960 단계에서 제어부(410)는 상기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부(460)에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방형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의 방향에 맞추어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형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상기 장착된 표시부가 세로방향 표시부인 경우 상기 표시부의 세로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장착된 표시부가 가로방향 표시부인 경우 상기 표시부의 가로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정은 가로방향 표시부이면 획득한 정방형 이미지로부터 가로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정은 세로방향 표시부이면 획득한 정방형 이미지로부터 세로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5.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과정과,
    표시부의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표시부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형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상기 표시부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 중 긴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저장 요청이 있으면, 가로방향 표시부 및 세로방향 표시부를 모두 포함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크기 조정은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에 대응되는 크기의 이미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방법.
  9.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와,
    표시부가 장착된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Windowing)할 부분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결정된 부분의 크기로 조정하는 크기 조정부와,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형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상기 장착된 표시부가 세로방향 표시부인 경우 상기 표시부의 세로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장착된 표시부가 가로방향 표시부인 경우 상기 표시부의 가로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정부는 가로방향 표시부이면 획득한 정방형 이미지로부터 가로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정부는 세로방향 표시부이면 획득한 정방형 이미지로부터 세로방향 표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3.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촬영시, 가로x세로의 길이 비율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정방형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와,
    표시부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부와,
    상기 방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표시부의 방향에 따라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윈도우윙(Windowing)할 부분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결정된 부분의 크기로 조정하는 크기 조정부와,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형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상기 표시부의 가로 또는 세로의 길이 중 긴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길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저장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가로방향 표시부 및 세로방향 표시부를 모두 포함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더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정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가로방향 표시부 또는 세로방향 표시부에 대응되는 크기의 이미지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KR1020070046482A 2007-05-14 2007-05-14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7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482A KR100879519B1 (ko) 2007-05-14 2007-05-14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482A KR100879519B1 (ko) 2007-05-14 2007-05-14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595A KR20080100595A (ko) 2008-11-19
KR100879519B1 true KR100879519B1 (ko) 2009-01-22

Family

ID=4028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482A KR100879519B1 (ko) 2007-05-14 2007-05-14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2533B2 (ja) * 2013-02-13 2016-08-0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駆動方法、および撮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868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45849A (ko) * 2004-04-26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에 관계없이 동일 모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868A (ko) * 2003-01-30 2004-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60045849A (ko) * 2004-04-26 200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에 관계없이 동일 모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595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18B1 (ko)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화상 표시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US11334231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in
JP4448177B2 (ja) Tv電話機能の撮影画像処理切り替え装置
EP170589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651521B1 (ko) 휴대단말기의 속력측정방법
KR100617702B1 (ko)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편집 방법
US20140071326A1 (en) Method for displaying camera preview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JP2005117661A (ja) 携帯用端末機の自動ズーミング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33695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파노라마 이미지 촬영 모드 수행 방법
KR102072731B1 (ko)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38154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KR20100028315A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KR10087951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95258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20130094662A (ko) 카메라의 멀티프레임 이미지 촬영 촬영 장치 및 방법
EP254947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opup window in portable terminal
JP2005005791A (ja) 電子カメラ
KR100641176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JP2013190791A (ja) 携帯端末機のイメージ撮影装置及び方法
KR10082714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추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97627B1 (ko)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0876734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029454A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55009B1 (ko)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