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358B1 - 하지 재활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하지 재활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358B1
KR100878358B1 KR1020070090654A KR20070090654A KR100878358B1 KR 100878358 B1 KR100878358 B1 KR 100878358B1 KR 1020070090654 A KR1020070090654 A KR 1020070090654A KR 20070090654 A KR20070090654 A KR 20070090654A KR 100878358 B1 KR100878358 B1 KR 100878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habilitation
user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섭
Original Assignee
김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섭 filed Critical 김헌섭
Priority to KR102007009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의 마비 또는 근력이 약화 된 환자의 재활을 위한 하지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를 기립가능토록 지지하는 테이블(100)과; 상기 테이블(100)과 힌지결합되며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해 상기 테이블(100)을 회전시켜 기립토록 하는 연결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제 5 구동수단(55)을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된 상기 테이블(100)을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하부지지프레임(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100)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지축(SP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등받이부(110)가 제 1 구동수단(51)을 통해 회전토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리받침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내측으로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상부로 제 2 구동수단(52)을 통해 교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프레임(122)이 설치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제 3 구동수단(53)을 통해 사용자의 다리를 승강토록 하는 발판부(13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 재활, 치료, 근력약화, 마비

Description

하지 재활 치료장치 {A lower part of body undo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하지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의 마비 또는 근력약화가 있는 환자들의 재활 치료를 위한 장치로서, 하지의 마비정도, 하지근력 또는 하지의 상태에 따라 환자에게 가장 알맞는 운동방법 및 운동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에게 하지단련운동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줌과 동시에 하지 재활 치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하지마비 환자 및 하지 근력이 약화된 환자들에게 재활 치료를 위해 보조기구 및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통한 근력강화 훈련, 스트레칭, 균형훈련 등을 하고 있다.
한편, 하지 재활 치료를 돕는 다양한 종류의 하지 단련 운동기구 및 장치들이 만들어져 환자의 하지 재활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구 및 장치들의 이용은 최근에 더욱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하지 재활 치료 장치들은 사용자의 상체를 고정하여 기립상태를 유지한 후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보행토록 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와 비슷하게 런닝머신이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의 의지와 함께 런닝머신을 이용한 강제보행 이 병행되어 하지 단련을 하는 기구 및 장치가 있다.
또한, 근래에는 상술한 재활 기구 및 치료장치의 여러 문제점 등을 개선한 장치 중에 사용자가 누워서 하지 단련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테이블 위에 누운 자세로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자세로 무릎을 굽혔다 펴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강제적인 하지 단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활 치료 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 하지 재활 치료장치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며 하지의 양다리를 굽혔다 폈다를 반복하는 발판이 테이블과 직교를 이루며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발판의 승강시 사용자의 하지가 발판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종아리부위 및 허벅지부위에 설치되어 있어 발판의 승강시 사용자의 신체를 지탱하는 지지력이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발판은 테이블과 직각을 이루며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발판에 놓인 환자의 발은 정상보행시와는 달리 부자연스러운 보행이 이루어져 환자가 재활 치료의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하지 재활 치료장치는 환자가 테이블에 눕거나 기립했을때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지가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에서 테이블로 옮길 경우 보다 쉽게 오를 수 있도록 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하지 재활 치료장치는 환자의 하지마비 정도 및 근력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하지 훈련 방법을 선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며 하지를 승강시키는 발판부위에 환자의 발목을 착탈가능한 밸트로 고정하여 발판의 지지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발판 승강시 발 판에 놓인 환자의 하지가 정상보행시에 행해지는 관절각도와 동일하도록 하여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테이블에 눕거나 기립상태에서의 편안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환자가 휠체어에서 테이블로 오르기 쉽도록 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환자의 하지마비 및 하지 근력상태에 따라 그에 맞는 하지 재활 훈련을 선택할 수 있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며 하지를 승강시키는 발판부위에 환자의 발목을 착탈가능한 밸트로 고정하여 발판의 지지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발판 승강시 발판에 놓인 환자의 하지가 정상보행시에 행해지는 관절각도와 동일하도록 하여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테이블에 눕거나 기립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환자가 휠체어에서 테이블로 오르기 쉽도록 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환자의 하지마비 및 하지 근력상태에 따라 그에 맞는 하지 재활 훈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훈련에 대한 거부감이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지속적인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기립가능토록 지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과 힌지결합되며 제 4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테이블을 회전시켜 기립토록 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과 제 5 구동수단을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프레임과 힌지결합된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하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등받이부가 제 1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토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리받침부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받침부의 내측으로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다리받침부의 상부로 제 2 구동수단을 통해 교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다리받침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제 3 구동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다리를 승강토록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의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지 재활 치료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제 5 구동수단 및 발판부를 포함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지지봉이 포함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립가능토록 지지하는 테이블(100), 상기 테이블(100)과 힌지결합되며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해 상기 테이블(100)을 회전시켜 기립토록 하는 연결프레임(200),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제 5 구동수단(55)을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된 상기 테이블(100)을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하부지지프레임(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100)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지축(SP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등받이부(110)가 제 1 구동수단(51)을 통해 회전토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리받침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내측으로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상부로 제 2 구동수단(52)을 통해 교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프레임(122)이 설치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제 3 구동수단(53)을 통해 사용자의 다리를 승강토록 하는 발판부(130)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3, 제 4 구동수단(51, 52, 54, 54')은 통상의 유압액츄에이터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될 제 1, 제 3, 제 4 구동수단(51, 52, 54, 54')에 대해서는 더 이상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될 사용자 및 환자라는 표현은 모두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음 밝혀둔다.
상기 테이블(100)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지축(SP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등받이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리받침부(120)가 형성되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다리를 승강토록 하는 발판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부(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매트(115)를 형성하고, 사용자가 착용을 통해 상체와 하체를 고정토록 하는 착탈식 밸트가 구비된 하네스(112)가 설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하네스(112)를 고정하며 이를 착용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지토록 하는 지지봉(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네스(112)와 지지봉(111)을 연결하는 밸트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10)의 측면 일측에는 테이블(100)의 회전각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도계(CP)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도계(CP)는 아날로그방식 및 디지털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10) 하부 일측에는 힌지결합을 통해 제 1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즉, 제 1 구동수단(51)은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에 힌지결합을 통해 설치되고, 메인프레임(MF)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 1 구동수단의 로드(510)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로드(51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등받이부(110)를 회전시키게 된 다.
따라서, 제 1 구동수단(51)의 로드(510)가 인출되면 등받이부(110)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되고, 역으로 로드(510)가 인입되면 등받이부(110)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수단(51)에 의한 등받이부(110)의 기울기(θ1)는 대략 0°~ 30°로 회전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다리받침부(120)는 테이블(100)의 골조를 형성하는 메인프레임(MF)으로 이루어지며, 메인프레임(MF)의 내측으로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각각 지탱하며 다리받침부(120)의 상부로 제 2 구동수단(52)을 통해 교번 승강이 이루어지는 승강프레임(122)이 설치되고, 메인프레임(MF)의 외측 둘레에는 커버부재(CV1,CV2)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재(CV1)의 상부면에는 사용자의 하체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쿠션부재(129)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부(120)의 메인프레임(MF) 내측에 각각 설치되며, 승강프레임(122)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지지롤러(522)가 형성되어 제 2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프레임(122)의 유동을 부드럽게 유도하면서 하중을 분배하여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테이블(100)에 눕혀지는 사용자의 허벅지부위를 받쳐줄 수 있도록 상부에 받침대(124)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24)의 양단부에는 사용자의 하체를 고정토록 하는 착탈식 고정밸트(127)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식 고정밸트(127)는, 밸크로테이프가 부착된 착탈식 고정밸트(127)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탄성결합 및 고리결합이 이루어지는 밸트로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받침대(124)는 상기 승강프레임(122)과 고정레버를 통해 힌지결합되며, 사용자의 하지 상태에 따라 고정 또는 회전토록 한다.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통상의 감속모터가 사용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 2 구동수단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122)의 외주면과 면접 대응토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구동체(52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MF)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체(5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프레임(122)의 외주면과의 구름마찰에 의해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체(52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고무바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탄성재질이 아닌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바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22)의 유동진행방향과 일치하도록 메인프레임(MF)의 일측에 센서(S1)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MF)과 이격거리가 먼 곳은 브래킷을 통해 센서(S2)를 고정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센서(S1)와 센서(S2) 사이의 거리만큼 상기 승강프레임(122)이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센서(S1,S2)는, 바람직하게는 근접센서가 적당하나, 필요에 따라 적외선 센서 및 접촉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메인프레임(MF) 하부 내측으로는 제 4 구동수단(54)이 대응토록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발판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봉(138)이 인출 및 인입되는 가이드브래킷(GBR)과 상기 가이드봉(138) 일단에 형성된 발판지지프레임(131)과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동축(132)과 상기 회동축(132)과 축설되어 회전하되, 회전력을 조절토록 고정레버(133)가 형성된 연결봉(134)과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의 하단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34)의 유동거리를 제한하는 이탈방지프레임(139)과 상기 연결봉(134)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브래킷(135)을 통해 결합되고 신체의 양다리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며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도록 형성된 좌,우측발판(13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에 대응토록 설치된 제 4 구동수단(54)의 로드(540)가 각각의 발판지지프레임(131)에 고정브래킷(FBR)을 통해 고정되어, 로드(540)의 인출 및 인입작동에 의해 발판지지프레임(131)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한 발판지지프레임(131)의 높이조절은 대략 10 ~ 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4 구동수단(5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지지프레임(131)에 고정된 각각의 로드(540)를 동일 방향으로 승강토록 하는 것이 바람 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양측 로드(54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시킴으로써, 교번으로 왕복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또한,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해 발판지지프레임(131)을 교번으로 승강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다리받침부(120)의 상부로 상승된 승강프레임(122)은 다리받침부(120)의 내측으로 모두 수용토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은 일단부에 회동축(132)이 설치되고, 회동축(132)에는 연결봉(134)이 축설되어 회전하게 되며, 연결봉(134) 일측에는 각도조절브래킷(135)이 형성되고, 각도조절브래킷(135)의 상부로는 좌,우측발판(13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과 연결봉(134)의 일단부에는 회동축(132)의 회전력을 조절토록 하거나 고정토록 하는 고정레버(133)가 형성된다.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의 하단부 일측에는 연결봉(134)의 회동거리를 제한하는 이탈방지프레임(139)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발이 하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좌,우측발판(136)의 외측 둘레에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토록 형성하여 좌,우측발판(136)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판프레임(136a)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격판프레임(136a)의 외측 둘레 상부에는 사용자의 발등부위를 감싸주어 좌,우측발판(136)으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착 탈식 고정밸트(13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일측단부에 대략 5°~10°의 기울기를 갖도록 돌출형성하여 테이블(100)이 기립됨에 있어서 간섭됨이 없도록 하는 프레임의 일단부와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메인프레임(MF) 하부 일측이 서로 힌지결합을 통해 힌지축(SP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상부면 일측에는 제 3 구동수단이 힌지결합 되고, 상기 등받이부(110) 의 하부 일측에는 로드(530)가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제 3 구동수단(53)의 로드(530)가 인장되면, 테이블(100)을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직(기립)상태가 될 수 있고, 역으로 제 3 구동수단(53)의 로드(530)가 인입되면, 테이블(100)을 하방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가 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구동수단(53)에 의한 테이블(100)의 기울기(θ2)는 대략 0°~ 90°로 회전가능토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하부에는 구동기어(550)가 형성된 제 5 구동수단(55)이 다수개로 설치된다.
이때, 제 5 구동수단은 통상의 감속모터가 사용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에 바퀴(310)가 설치되며, 외측 둘레 일측에는 구동수단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C)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연결프레임(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 5 구동수단(55)의 구동기어(550)와 대응토록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일 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프레임(552)이 소정의 기울기(θ3)로 설치되며, 기어프레임(522)이 설치된 상부 측면부에는 커버부재(CV3)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기어프레임(552)은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하여 직선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울기(θ3)는 대략 10°~ 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5 구동수단(55)은 감속모터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에 형성된 랙기어(552)와 대응하는 기어(550)를 형성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연결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된 테이블(100) 전체를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랙기어(552) 및 커버부재(CV3)에는 복수개의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상술한 승강프레임(122)의 유동거리를 제한하는 센서(S1,S2)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5 구동수단(55)이 랙기어(55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한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메인프레임(MF) 내측에 승강프레임(122)과 대응토록 설치되되, 상기 승강프레임(122)의 외측 둘레 일측면에는 기어(122a)가 형성되며, 제 2 구동수단(52)에는 상기 기어(122a)와 대응하며 회전토록 구동기어(5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어(122a)는 랙기어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헬리컬기어 등과 같이 다른 형식의 기어와도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감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밝혀둔다.
따라서, 제 2 구동수단(52')의 구동기어(520')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기어(520')와 대응하는 기어(122a)를 형성한 승강프레임(122)은 승강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판부, 승강프레임, 하부지지프레임 및 제 2, 제 5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발판부(130)의 좌,우측발판(136)을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발판지지프레임(1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해 교번됨이 없이 좌,우측발판(136)이 동시에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해 사용자의 신제조건에 맞도록 좌,우측발판(136)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제 2, 제 3 프레임(122-1),(122-2),(122-3)으로 구성되어 메인프레임(MF)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프레임(122-1)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MF)에 형성된 회동축(520a)에 회전토록 축설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프레임(122-3)의 양단 사이에 힌지결합된다.
이에, 상기 제 2 프레임(122-2)은 상기 제 1 프레임(122-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토록 일단이 상기 회동축(520a) 하부 메인프레임(MF)에 힌지결합되 고, 타단은 상기 제 3 프레임(122-3)의 일단과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3 프레임(122-3)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받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형성된 받침대(124)와 상기 받침대(124)의 양단에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고정하는 착탈식 고정밸트(127)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520a)과 축설되는 구동기어(52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MF)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520")를 회전시켜 상기 회동축(520a)에 축설 고정된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감속모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기어(520")는 베벨기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절곡부에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과 각각 힌지결합을 통해 힌지축(SP3)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축(SP3)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전하는 제 1 구동프레임(331) 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구동프레임(331)의 타단과 힌지결합을 통해 수평을 이루는 제 2 구동프레임(332)이 설치된다.
상기 제 5 구동수단(55')은, 상기 제 2 구동프레임(552)의 일단에 힌지결합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5 구동수단(55')의 로드(550')가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 2 구동프레임(332)의 수평 이동과 동시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1 구동프레임(331)의 힌지축(SP3)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0)을 승강토록 한다.
또 다른 한편, 첨부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지지봉이 포함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등받이부(110) 의 측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상기 테이블(100)에 오르기 수월하도록 접이식지지봉(117)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지지봉(117)은 접고 펼수 있도록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되, 접이식지지봉(117)의 회전각도가 약 0°~90°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테이블(100)은 수평상태를 이루며, 필요에 따라 등받이부(110)를 수평보다 좀더 하강시켜 사용자가 더욱 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등받이부(1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 제 1 구동수단(53)의 로드(510)가 인입되면, 등받이부(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등받이부(110)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역으로, 제 1 구동수단(51)의 로드(510)가 인출되면, 등받이부(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등받이부(110)가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부(110)를 회전토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테이블(100)에 오르내리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오른 후에도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누울 수 있게 된 다.
그리고, 테이블(100)에 오른 사용자는 등받이부(110)에 구비된 하네스(112)를 착용하여 상체와 하체를 고정한 후 테이블(100)에 눕게 되며, 여기서 사용자의 하체 양쪽 다리는 다리받침부(120)의 승강프레임(122)에 형성된 받침대(124)에 올려지고, 받침대(124)에 형성된 착탈식 고정밸트(127)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하부지지프레임(300)에 구비된 컨트롤러(C)를 조작하여 테이블(100)에 누운 사용자의 신장에 맞도록 좌,우측발판(136)의 높이를 조절하여 적당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4 구동수단(54)의 로드(540)가 인출되면, 좌,우측발판(136)이 사용자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아울러 제 4 구동수단(54)의 로드(540)를 인입시키면 좌,우측발판(136)이 하강하게 된다.
아울러, 좌,우측발판(136)을 적절한 높이로 조절한 후에는 좌,우측발판(136)의 격판프레임(136a)에 형성된 착탈식 고정밸트(137)를 통해 사용자의 발등부위를 고정한다.
그리고, 제 5 구동수단(55)을 통해 테이블(100)를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 5 구동수단(55)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200)의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되고, 하부지지프레임(300)의 상부에 형성된 랙기어(552)와 대응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기어(550)를 형성하여 제 5 구동수단(55)의 구동기어(55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된 테이 블(1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같이, 테이블(100)이 하부지지프레임(300)으로부터 승강된 상태에서 제 3 구동수단(53)을 통해 테이블(100)을 기립시키게 된다.
즉, 테이블(100)의 다리받침부(120)와 힌지결합을 통해 힌지축(SP2)을 형성한 연결프레임(200)의 상부면 일단측에 설치된 제 3 구동수단(53)의 로드(530)가 인출되면, 테이블(100)은 다리받침부(120)의 하부와 힌지결합된 로드(53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인입되면 테이블(100)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100)은 제 3 구동수단(53)을 통해 기립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기립상태에서의 기울기(θ2)는 대략 0°~90°이므로 사용자가 기립상태 중 가장 편안한 자세를 선택하여 하지 재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된 상태에서의 사용자는 하네스(112)를 통해 상체와 하체가 고정 지지되므로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구동수단(52)을 통해 사용자의 무릎관절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스탭보행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 2 구동수단(52)의 구동체(520)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체(520)와 대응하는 원호형상의 승강프레임(122)은 구름마찰을 통해 유동하게 되며, 메인프레임(MF) 및 승강프레임(122)의 다측에 설치된 센서(S1,S2)를 통해 유동거리가 단속되게 된다.
여기서, 제 2 구동수단(52)의 동작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목부위을 고정한 좌,우측발판(136)이 유기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발판지지프레임(131)의 회동 축(132)에 축설된 좌,우측발판(136)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구동수단(52)을 통한 승강프레임(122)의 승강시 사용자가 보행운동을 함에 있어서 실제보행처럼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여 운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하지상태에 따라 보행훈련방법을 달리하여 환자의 하체에 인가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발판지지프레임(131)에 각각 설치된 제 4 구동수단(54)의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하체를 교번으로 승강시킴으로써 좌,우측발판(136)에 놓인 사용자의 하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 2 구동수단(52)은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다리받침부(120)의 상부로 승강된 승강프레임(122)도 내측으로 수용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지 재활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하지마비 및 하지근력에 맞게 보행훈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훈련 중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면서 재활훈련에 대한 의지를 증대시키도록 하여 지속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22)의 외측 둘레에는 기어(122a)를 형성하고, 제 2 구동수단(52')에는 상기 기어(122a)와 대응토록 구동기어(520')를 형성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유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122)과 제 2 구동수단(52')의 기어물림에 의한 동력전달 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인 보행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판부(130), 하부지지프레임(300) 및 제 2 구동수단(52), 제 5 구동수단(55)이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130)의 발판지지프레임(131)을 일체로 형성하여 높이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상기 회동축(520a)과 축설되는 구동기어(52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MF)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520")를 회전시켜 상기 회동축(520a)에 축설 고정된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MF)의 설치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제 2 구동수단(52")에 의해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킬 수 있어 메인프레임(MF) 내측의 설치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지지프레임(300')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연결프레임(2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절곡부에는 하부지지프레임(300)과 각각 힌지결합을 통해 힌지축(SP3)을 형성하며, 힌지축(SP3)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전하는 제 1 구동프레임(331) 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구동프레임(331)의 타단과 힌지결합을 통해 수평을 이루는 제 2 구동프레임(332)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5 구동수단(55')은, 제 2 프레임(552)의 일단에 힌지결합을 통해 설치되고, 하부지지프레임(300)에 힌지결합된 제 5 구동수단(55')의 로드(550')가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제 2 구동프레임(332)의 수평이동과 동시에 힌지결합된 제 1 구동프레임(331)의 힌지축(SP3)에 의한 회전으로 연결프레임(200)을 승강토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구동수단으로 동력전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지지봉(117)이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10 )의 측면 일측에 접이식지지봉(117)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테이블(100)에 오르기 수월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블의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지 재활 치료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판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지지봉이 포함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제 1 구동수단 52, 52', 52" : 제 2 구동수단
53 : 제 3 구동수단 54, 54' : 제 4 구동수단
55, 55' : 제 5 구동수단
100 : 테이블 110 : 등받이부
111 : 지지봉 112 : 하네스
115 : 쿠션매트 117 : 접이식지지봉
120 : 다리받침부 122 : 승강프레임
122-1 : 제 1 프레임 122-2 : 제 2 프레임
122-3 : 제 3 프레임 124 : 받침대
127, 137 : 착탈식 고정밸트 129 : 쿠션부재
130 : 발판부 131 : 발판지지프레임
132, 520a : 회동축 133 : 고정레버
134 : 연결봉 135 : 각도조절브래킷
136 : 좌,우측발판 136a : 격판프레임
138 : 가이드봉 139 : 이탈방지프레임
200 : 연결프레임 300, 300' : 하부지지프레임
331 : 제 1 구동프레임 332 : 제 2 구동프레임
310 : 바퀴 510, 530, 540, 540',550' : 로드
522 : 지지롤러 C : 컨트롤러
CP : 각도계 CV1, CV2, CV3 : 커버부재
FBR : 고정브래킷 GBR : 가이드브래킷
MF : 메인프레임 S1, S2, S3 : 센서
SP1, SP2, SP3 : 힌지축 θ1, θ2, θ3 : 기울기

Claims (20)

  1. 사용자를 기립가능토록 지지하는 테이블(100)과;
    상기 테이블(100)과 힌지결합되며 제 4 구동수단(54)을 통해 상기 테이블(100)을 회전시켜 기립토록 하는 연결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제 5 구동수단(55)을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프레임(200)과 힌지결합된 상기 테이블(100)을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하부지지프레임(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블(100)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힌지축(SP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등받이부(110)가 제 1 구동수단(51)을 통해 회전토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리받침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내측으로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각각 지지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상부로 제 2 구동수단(52)을 통해 교번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승강프레임(122)이 설치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제 3 구동수단(53)을 통해 사용자의 다리를 승강토록 하는 발판부(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원호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에 신체의 다리부위를 받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한 받침대(124)와;
    상기 받침대(124)의 양단에 신체의 다리부위를 고정하는 착탈식 고정밸트(1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상기 승강프레임(122)의 외주면과 면접 대응토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구동체(52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MF)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체(520)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원호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외측 둘레 일측면에 기어(122a)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52)은,
    상기 승강프레임(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122a)와 대응토록 구동기어(52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MF)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520')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122)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제 2, 제 3 프레임(122-1),(122-2),(122-3)으로 구성되어 메인프레임(MF)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 1 프레임(122-1)의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MF)에 형성된 회동축(520a)에 회전토록 축설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프레임(122-3)의 양단 사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2 프레임(122-2)은 상기 제 1 프레임(122-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토록 일단이 상기 회동축(520a) 하부 메인프레임(MF)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프레임(122-3)의 일단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3 프레임(122-3)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받치면서 각도조절이 가능토록 형성된 받침대(124)와;
    상기 받침대(124)의 양단에는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고정하는 착탈식 고정밸트(1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2 구동수단(52) 은,
    상기 회동축(520a)과 축설되는 구동기어(520")를 형성하여 메인프레임(MF)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520")를 회전시켜 상기 회동축(520a)에 축설 고정된 상기 승강프레임(122)을 승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10) 일단에는, 테이블(100) 기립시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지지봉(1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111)에는 착용을 통해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부위를 고정지지토록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하네스(1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51)은,
    상기 등받이부(110)의 하부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다리받침부(120) 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1 구동수단(51)의 로드(510)가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110)가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동수단(53)은,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3 구동수단(53)의 로드(530)가 인출 및 인입됨에 따 라 상기 테이블(100)이 회전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30)는,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하부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가이드봉(138)이 인출 및 인입되는 가이드브래킷(GBR)과;
    상기 가이드봉(138) 일단에 형성된 발판지지프레임(131)과;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동축(132)과;
    상기 회동축(132)과 축설되어 회전하되, 회전력을 조절토록 고정레버(133)가 형성된 연결봉(134)과;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의 하단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34)의 유동거리를 제한하는 이탈방지프레임(139)과;
    상기 연결봉(134)과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브래킷(135)을 통해 결합되고 신체의 양다리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며 사용자의 몸무게를 지탱하도록 형성된 좌,우측발판(1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발판(136)의 외측 둘레에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되, 이탈방지토록 하는 격판프레임(136a)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프레임(136a)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발등부위를 고정하는 착탈식 고정밸트(1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4 구동수단(54)은,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내측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에 힌지결합되어 로드(540)의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상기 발판부(130)를 승강토록 하되, 좌, 우측에 형성된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 이 교번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4 구동수단(54) 은,
    상기 다리받침부(120)의 내측 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발판지지프레임(131)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4 구동수단(54')의 로드(540')가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상기 발판부(130)를 승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 상부에는, 일측면에 기어가 형성된 기어프레임(552)이 10°~ 60° 의 기울기(θ3)를 갖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 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하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절곡부에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과 각각 힌지결합을 통해 힌지축(SP3)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축(SP3)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전하는 제 1 구동프레임(331) 과;
    상기 제 1 구동프레임 (331)의 타단과 힌지결합을 통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 2 구동프레임(3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5 구동수단(55)은,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하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되, 상기 기어프레임(552)과 대응하며 회전토록 구동기어(550)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기어(55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프레임(200)을 승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
    상기 제 5 구동수단(55) 은,
    상기 제 2 구동프레임(332) 의 일단에 힌지결합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5 구동수단(55')의 로드(550')가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제 2 구동프레임(332)의 수평이동과 동시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 1 구동프레임(331)의 힌지축(SP3)에 의한 회전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0)이 승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프레임(300)은,
    하부에 바퀴(310)가 설치되고, 외측 둘레 일측에는 구동수단을 전반적으로 제어토록 하는 컨트롤러(C)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10) 의 측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상기 테이블(100)에 오르기 수월하도록 접이식지지봉(117)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치료 장치.
KR1020070090654A 2007-09-06 2007-09-06 하지 재활 치료장치 KR10087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54A KR100878358B1 (ko) 2007-09-06 2007-09-06 하지 재활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654A KR100878358B1 (ko) 2007-09-06 2007-09-06 하지 재활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358B1 true KR100878358B1 (ko) 2009-01-15

Family

ID=4048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654A KR100878358B1 (ko) 2007-09-06 2007-09-06 하지 재활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358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KR101239059B1 (ko) 2011-01-18 2013-03-05 이광덕 재활용 보행 운동장치
KR101325100B1 (ko) *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쉽게 기립할 수 있는 프론 스탠더
KR101442686B1 (ko) 2012-11-20 2014-09-26 주식회사 하이로시 재활 치료기기
CN105434091A (zh) * 2015-12-18 2016-03-30 北京晟尚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脊柱减压设备
CN105596158A (zh) * 2016-01-28 2016-05-25 戴星亮 一种智能医疗轮椅
CN108524195A (zh) * 2018-05-07 2018-09-14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骨科患者康复装置
CN110123577A (zh) * 2019-05-13 2019-08-16 宿州学院 一种下肢康复训练器械
WO2021096032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승하강 풋컨트롤러를 구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CN114246762A (zh) * 2022-01-13 2022-03-29 常州思雅医疗器械有限公司 基于情景互动的调节型下肢康复训练器
CN114344003A (zh) * 2021-12-13 2022-04-15 郭明娣 一种用于肝胆外科Amira软件术前肝脏体积测定的辅助设备
KR20220053704A (ko) 2020-10-21 2022-05-02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하지 재활 훈련장치
KR20220073598A (ko) * 2020-11-25 2022-06-03 주식회사 엠디로봇 상지 및 하지의 근력 강화 재활운동 로봇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5197A (en) 1997-06-04 1999-03-23 Barton; Jimmy Exercise equipment
JP3583005B2 (ja) 1999-02-23 2004-10-27 維衛 川合 腰痛治療機
KR20060001819A (ko) * 2005-03-04 2006-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
KR100630260B1 (ko) 2005-08-22 2006-10-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재활 치료 장치 및 훈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5197A (en) 1997-06-04 1999-03-23 Barton; Jimmy Exercise equipment
JP3583005B2 (ja) 1999-02-23 2004-10-27 維衛 川合 腰痛治療機
KR20060001819A (ko) * 2005-03-04 2006-01-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
KR100630260B1 (ko) 2005-08-22 2006-10-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 재활 치료 장치 및 훈련 방법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18B1 (ko) * 2010-08-17 2011-01-14 (주)코지라이프 장애인용 스탠딩 장치
KR101239059B1 (ko) 2011-01-18 2013-03-05 이광덕 재활용 보행 운동장치
KR101325100B1 (ko) * 2011-12-26 2013-11-06 주식회사이지무브 쉽게 기립할 수 있는 프론 스탠더
KR101442686B1 (ko) 2012-11-20 2014-09-26 주식회사 하이로시 재활 치료기기
CN105434091A (zh) * 2015-12-18 2016-03-30 北京晟尚美嘉科技有限公司 一种脊柱减压设备
CN105596158A (zh) * 2016-01-28 2016-05-25 戴星亮 一种智能医疗轮椅
CN108524195A (zh) * 2018-05-07 2018-09-14 南通市第二人民医院 一种骨科患者康复装置
CN110123577B (zh) * 2019-05-13 2021-03-09 宿州学院 一种下肢康复训练器械
CN110123577A (zh) * 2019-05-13 2019-08-16 宿州学院 一种下肢康复训练器械
WO2021096032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승하강 풋컨트롤러를 구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KR20210058095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승하강 풋컨트롤러를 구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KR102367899B1 (ko) 2019-11-13 2022-02-25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승하강 풋컨트롤러를 구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KR20220053704A (ko) 2020-10-21 2022-05-02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하지 재활 훈련장치
KR20220073598A (ko) * 2020-11-25 2022-06-03 주식회사 엠디로봇 상지 및 하지의 근력 강화 재활운동 로봇장치
KR102531025B1 (ko) * 2020-11-25 2023-05-16 주식회사 엠디로봇 상지 및 하지의 근력 강화 재활운동 로봇장치
CN114344003A (zh) * 2021-12-13 2022-04-15 郭明娣 一种用于肝胆外科Amira软件术前肝脏体积测定的辅助设备
CN114344003B (zh) * 2021-12-13 2024-04-26 南京鑫优伟健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肝胆外科Amira软件术前肝脏体积测定的辅助设备
CN114246762A (zh) * 2022-01-13 2022-03-29 常州思雅医疗器械有限公司 基于情景互动的调节型下肢康复训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358B1 (ko) 하지 재활 치료장치
JP7259187B2 (ja)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KR102317187B1 (ko) 병상에 누운 환자를 위한 재활 기구 및 재활 기구를 포함하는 침대
JP5259629B2 (ja) 身体障害者用の訓練器具
CN106176143B (zh) 一种多姿态下肢康健训练椅
US9649236B1 (en) Dynamic seating and walking wheelchair with an active seat with powerlift to stand
JP5283282B2 (ja) 歩行補助装置
KR100942968B1 (ko) 재활치료용 운동기구
WO2010140560A1 (ja) 移乗・移動装置
US20150359692A1 (en) Sit-to-stand apparatus and method
WO2016020883A1 (en) Multi-functional and multipositional bed
KR101953236B1 (ko) 편마비 하지용 재활장치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KR102058242B1 (ko) 스트레칭 안마의자
KR100599467B1 (ko) 편마비 하지 재활 치료용 장치
JP6441149B2 (ja) 移乗支援のための体幹支持装置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EP0337297A1 (en) Gymnastic-curative apparatus
EP3560472B1 (en) Multi-functional therapeutic hospital bed convertible into a standing aid
KR20200082979A (ko) 하지 재활 치료장치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4547477B2 (ja) 対麻痺者用立ち上がり・立位保持装具
EP3558207A1 (en) A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patient
JP2008237785A5 (ko)
JP7150287B2 (ja) 多機能介護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