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98B1 - 생체전기 발생 침 - Google Patents

생체전기 발생 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98B1
KR100877598B1 KR1020070112462A KR20070112462A KR100877598B1 KR 100877598 B1 KR100877598 B1 KR 100877598B1 KR 1020070112462 A KR1020070112462 A KR 1020070112462A KR 20070112462 A KR20070112462 A KR 20070112462A KR 100877598 B1 KR100877598 B1 KR 10087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ioelectric
stagnation
bipolar
film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관호
Original Assignee
목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12/667,65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015712A1/en
Application filed by 목관호 filed Critical 목관호
Priority to EP08778634A priority patent/EP2173308A2/en
Priority to CN2008800233023A priority patent/CN101742983B/zh
Priority to JP2010514646A priority patent/JP2010532199A/ja
Priority to PCT/KR2008/003973 priority patent/WO2009005328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전기 발생 침에 관한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상단 외주면에 권취되어 접촉되는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하부에 위치되며 침체(2)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해물질이 함유된 격막부재(6)와, 상기 격막부재(6)의 외주면에 권취된 음극성 금속(8)으로 구성되며, 격막부재에 전해물질인 물이 흡수되면, 양극성 금속과 음극성 금속이 전위차를 일으켜 미세전류가 발생될 수 있고,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다.
생체, 전기, 발생, 침, 양극성, 음전위, 격막, 전해질

Description

생체전기 발생 침{ Living body electricity needle}
본 발명은 인체의 경락에 시술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에 관한 것으로, 휴대와 이동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생체전류를 침을 통하여 흐르도록 하여 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에 관한 것이다.
자연의 일부인 우리 몸은 전기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인체에는 생체전류가 발생하여 전신을 순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체전기(bioelectricity)는 생체에서 일어나는 전기현상으로 갈바니에 의해 발견되었다. 통상 출생시 5 ~ 6V의 전기가 몸에 흐르나 생물학적 노인이 되면 2.5V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체내의 생체전류에 이상이 생기면 질병이 생기며, 이러한 생체전류는 한의학의 침요법 및 현대과학의 신 임상치료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는 것이다.
한의학의 침요법은 경혈과 경락에 대해 이루어지는데, 경혈과 경락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그 실체가 불명확했으나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경락의 해부학적 실체가 확인되었다.
연세대 원주의대 생화학교실 김현원 교수팀은 그동안 기(氣)라는 신비한 에 너지가 흐르는 자리로만 알려졌던 경락의 실체를 해부학적으로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연세대 원주의대 생화학교실 김현원 교수팀은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해 토끼의 체내 피부뿐만아니라 혈관안팍, 복막, 내부장기 표면 등에서 경락을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첨부된 도 12a 내지 도 12d는 경락을 촬영한 도면대용 사진들이다.
이와 같은 경혈에 대한 침술에 사용되는 침은 전통적인 침 외에도 최근에는 생체전류에 대한 치료법을 이용하는 전기침이 개발되었다.
상기 전기침은 1816년경에 프랑스 베를리오즈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침요법으로 신경통을 치료하는 것을 발표하였으며, 1825년경에 프랑스의 의사인 샤르린디에(Sarlandier)는 전기침을 응용하여 통풍과 신경계통의 치료를 하였다. 또한 1921년 경에 영국인 골든(E.A. Golden)에 의해 현대의 전기침 요법이 기초를 이룩하였으며, 이후 중국, 일본, 독일 등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기침에 의해 혈자리에 지속적인 전류를 보냄으로 혈주변의 지상세포를 분해 및 배설관을 통해 배설시키도록 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며, 수술후 또는 분만 후 급만성 통증의 완화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전기침에 사용되는 전기 발생은 AC전류를 다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인체에 미량의 생체전류가 흐르도록 하여야 함에도 전기장치가 오작동이 발 생되면 인체에 커다란 전류가 흘러 전기쇼크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명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안전하고 간편한 전기침에 대해 출원한 바 있고,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4106호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기술은 휴대성이 다소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및 이동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는 생체전기 발생 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생체전기 발생 침을 이용하면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길이를 갖는 침체의 상부에 양극성 금속과 음극성 금속이 설치되되, 상기 양극성 금속과 음극성 금속 사이에는 전해물질이 함유된 격막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외용 전기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양극성 금속은 금, 백금, 은, 구리, 납, 주석, 니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음극성 금속은 칼슘,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막부재는 물, 황산 등의 전해물질이 함유된 스폰지, 펄프섬유, 필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A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상단 외주면에 권취되어 접촉되는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하부에 위치되며 침체(2)의 외주면에 설치된 격막부재(6)와, 상기 격막부재(6)의 외주면에 권취된 음극성 금속(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은 상호 반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체(2)는 도전성의 금속재이며, 일정 길이를 갖는 봉상이며, 하단에는 첨예한 선단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코일 또는 봉체가 결합되어 굵은 직경의 머리부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성 금속(4)은, 상기 침체의 머리부의 외주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며, 그 재질로는 금(Au), 백금(Pt), 은(Ag), 구리(Cu), 납(Pb), 주석(Sn), 니켈(N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Cu)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격막부재(6)는 침체가 끼워지도록 내측에 통로가 형성된 원통형이며, 상단에는 환턱(62)이 형성됨으로써 양극성 금속(4)와 음극성 금속(8)의 경계가 되도록 하고, 그 재질은 전해물질인 물, 황산, 소금 성분이 함유된 스폰지, 펄프섬유, 필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격막부재(6)에 대해서는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므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음극성 금속(8)은, 상기 격막부재(6)의 외주에 코일형태로 권취되며, 그 재질로는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철(F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아연(Zn)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양극성 금속(4) 또는 음극성 금속(8)은 상호 반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상기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에 대해서는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므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예(A1)의 침을 경락에 시술한 후 그 상부에 물을 묻히면, 내측의 양극성 금속(4)은 "+"전기를 띠게 되고, 외측의 음극성 금속(8)은 "-" 전기를 띠게 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가 침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침을 통한 미세전류가 경락을 자극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하는 등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A2)는,
내측에 삽입공(220')이 형성된 손잡이(22')와, 상기 삽입공(220')에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침체(2')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삽입공(22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침체(2')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되는 양극성 금속(4')이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220')의 내주면 타측에는 상기 침체(2')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음극성 금속(8')이 설치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에 격막부재(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22')의 삽입공(220')에는 먼저 침체(2')를 종방향으로 삽입하고, 상기 침체(2')에 접지되도록 양극성 금속(4')을 끼워 삽입하고, 상기 양극성 금속(4')에 접지되도록 격막부재(6')를 끼워 삽입하며, 상기 격막부재(6')에 접지되도록 음극성 금속(8')을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양극성 금속(4') 또는 음극성 금속(8')은 상호 반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손잡이(22')의 측면에는 내부의 삽입공(220')과 통하도록 통공(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222')을 통해 전해물질이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침체(2')는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되며, 손잡이(22')의 상단으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격막부재(6')는 상기 삽입공(220')에 매입되되, 손잡이(22')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예는 상기 손잡이(22')의 상단에 돌출된 침체(2')에 물을 묻히면 양극성 금속(4')은 "+"전기를 띠게 되고, 외측의 음극성 금속(8')은 "-" 전기를 띠게 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가 침체(2')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침체(2')를 경혈에 시술하면 미세전류가 경락을 자극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3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제 3실시예]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A3)는,
내면 일측에 박판상으로 실크인쇄하여 양극성 금속(4")이 형성되고,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이격되며 박판상으로 실크인쇄된 음극성 금속(8")이 형성된 필름지(6")와,
상기 양극성 금속(4")에 외주면의 하부가 접착(c)되어 상기 필름지(6")에 부착된 침체(2")와,
상기 양극성 금속(4")를 덮도록 침체(2")의 상부에 코팅된 전해질막(62")으 로 구성된다.
상기 필름지(6")의 일단,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좌측에는 소정의 통공(61")이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수분이 침투되어 양극성 금속(4")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지(6")를 맨 좌측부터 권취시켜 침체(2")를 감싸면, 상기 양극성 금속(4")은 침체(2")의 일면에 접촉되고, 상기 음극성 금속(8")은 좌측의 통공(61")이 형성된 필름지(6") 및 전해질막(62")을 사이에 두고 침체(2")의 외주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침체(2")는 그 상단이 상기 필름지(6")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음극성 금속(8")은 필름지(6")를 권취시켰을때 침체(2")에 접촉된 양극성 금속(4")의 접착부위(c)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극성 금속(4")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실시예는 침체(2")의 상부에 물을 묻히면, 음극성 금속(8")에는 "-" 전기를 띠게 되고, 양극성 금속(4")에는 "+"전기를 띠게 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가 침체(2")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침체(2")를 경혈에 시술하면 미세전류가 경락을 자극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한다.
첨부된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4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제 4실시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A4)는,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머리부의 외주에 도금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외주에 권취되는 마감재(7)와
상기 마감재(7)의 내면에 실크인쇄로 형성된 음극성 금속(8)과,
상기 음극성 금속(8)의 상면에 부착된 격막부재(6)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재(7)는 직사각형의 테이프형상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좌측 끝단이 상기 침체(2)의 양극성 금속(4)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때, 침체(2)는 상단이 마감재(7)의 상단 외부로 돌출되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극성 금속(4) 또는 음극성 금속(8)은 상호 반대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 1실시예에서 밝힌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격막부재(6)는 수분의 흡수가 용이한 섬유재질 또는 펄프시트로 이루어지며, 전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극성 금속(4)에 고정된 부위부터 마감재(7)를 권취시키면 격막부재(6)를 사이에 두고 음극성 금속(8)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실시예(A4)는 침체(2)의 상부에 물을 묻히면, 양극성 금속(4)은 "+"전기를 띠게 되고, 음극성 금속(8)은 "-" 전기를 띠게 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가 침체(2)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침체(2)를 경혈에 시술하면 미세전류가 경락을 자극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한다.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1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제 5-1실시예]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5-1실시예(A5-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와, 상기 침체(2)에 부착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발생부(e)로 구성된 생체전기 발생 침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e)는 스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장방형의 필름지(7)와,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중앙부에 박판상으로 부착된 격막부재(6)와,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일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상기 격막부재(6)의 상면 일측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필름지(7)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연장부(43)를 갖도록 형성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필름지(7)의 상면 타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상기 격막부재(6)의 상면 타측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음극성 금속(8)과,
상기 필름지(7), 격막부재(6),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의 상면 전부에 코팅되는 이형지(1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발생부(e)는 스틱형상으로써 어떤 종류의 침에나 부착이 가능하고, 1회 사용 후 폐기된다.
상기 격막부재(6)는 수분의 흡수가 용이한 섬유재질 또는 펄프시트로 이루어지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상기 양극성 금속(4)은 필름지(7)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격막부재(6)의 일측에 겹쳐지도록(X1) 형성되며, 그 일단에는 필름지의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침체와 직접 접촉되는 연장부(43)가 형성된다.
상기 음극성 금속(8)은 상기 양극성 금속(4)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필름지(7)의 상면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격막부재(6)의 타측에 겹쳐지도록(X2) 형성된다.
상기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은 금속분말에만 한정되지 않고, 금속 고체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이형지(11)는 격막부재(6) 및 필름지(9)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비닐커버로써, 사용하기 전에 미리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형지(11)를 제거시킨 후 격막부재(6)에 침체(2)의 머리부를 대고 누르면, 필름지(7)의 점착제에 점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침체(2)는 종래 침술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침이 다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침체(2)의 상부에 물을 묻히면, 양극성 금속(4)은 "+"전기를 띠게 되고, 음극성 금속(8)는 "-" 전기를 띠게 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가 침체(2)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침체(2)를 경혈에 시술하면 미세전류가 경락을 자극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한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2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제 5-2실시예]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5-2실시예(A5-2)는,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와, 상기 침체(2)에 부착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발생부(e)로 구성된 생체전기 발생 침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e)는 스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하부에 점착제가 도포된 장방형의 필름지(7)와,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일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형성되고, 일단에는 필름지(7)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연장부(43)를 갖도록 형성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필름지(7)의 상면 타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음극성 금속(8)과,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중앙부에 흡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하면 양측이 상기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과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형성된 전해층(6a)과,
상기 필름지(7), 전해층(6a),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의 상면 전부에 코팅되는 이형지(11)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발생부(e)는 스틱형상으로써 어떤 종류의 침에나 부착이 가능하고, 1회 사용 후 폐기된다.
상기 전해층(6a)은 흡수성 화학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필름지(7)의 상면 및 상기 전해층(6a) 사이에는 일부분에는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공간(9)이 형성된다.
그외 상기 필름지(7),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 이형지(11)의 상세 구성은 전술한 제5-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첨부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6실시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실시예(A6)는,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머리부의 외면에 도금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된 관형상의 격막부재(6)와,
상기 격막부재(6)의 외주에 권취된 테이프 형상의 음극성 금속(8)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체(2)는 그 상부의 머리부의 외면에 양극성 금속(4)을 도금시키되, 머리부의 상단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도금시킨다.
상기 격막부재(6)는 주로 종이로 된 관체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전해물질이 함유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음극성 금속(8)은 상기 격막부재(6)가 결합된 침체(2)의 머리부의 외주에 권취되는 테이프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침체(2)의 머리부의 외면에 양극성 금속(4)을 도금시킨 후 그 외주에 관체형상의 격막부재(6)을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격막부재(6)의 외면에 테이프 형상의 음극성 금속(8)을 권취시킨다.
이후, 상기 침체(2)의 상단에 물을 묻히면 상기 격막부재(6)에 수분이 흡수되면서 상기 양극성 금속(4)은 "+"전기를 띠게 되고, 음극성 금속(8)은 "-" 전기를 띠게 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가 침체(2)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침체(2)를 경혈에 시술하면 미세전류가 경락을 자극하여 혈행을 원활하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4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1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5-2실시예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전기 발생 침의 제 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경락을 촬영한 도면대용 사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침체 4,4',4" : 양극성 금속
6,6',6" : 격막부재 7 : 마감재
8,8',8" : 음극성 금속 9 : 필름지
11 : 이형지 22 : 손잡이

Claims (16)

  1.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상단 외주면에 권취되어 접촉되는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하부에 위치되며 침체(2)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해물질이 함유된 격막부재(6)와,
    상기 격막부재(6)의 외주면에 권취된 음극성 금속(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2. 내측에 삽입공(220')이 형성된 손잡이(22')와, 상기 삽입공(220')에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침체(2')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삽입공(22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침체(2')의 외주면에 직접 접촉되는 양극성 금속(4')이 설치되고,
    상기 삽입공(220')의 내주면 타측에는 상기 침체(2')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음극성 금속(8')이 설치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과 음극성 금속(8') 사이에 설치되며 전해물질이 함유된 격막부재(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3. 내면 일측에 박판상으로 실크인쇄하여 양극성 금속(4")이 형성되고, 상기 양 극성 금속(4")과 이격되며 박판상으로 실크인쇄된 음극성 금속(8")이 형성된 필름지(6")와,
    상기 양극성 금속(4")에 외주면의 하부가 접착(c)되어 상기 필름지(6")에 종방향으로 설치된 침체(2")와,
    상기 양극성 금속(4") 및 침체(2")의 상부에 코팅된 전해질막(6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4.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머리부의 외주에 도금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외주에 권취되는 마감재(7)와
    상기 마감재(7)의 내면에 실크인쇄로 형성된 음극성 금속(8)과,
    상기 음극성 금속(8)의 상면에 부착된 격막부재(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5.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와, 상기 침체(2)에 부착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발생부(e)로 구성된 생체전기 발생 침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e)는 스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장방형의 필름지(7)와,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중앙부에 박판상으로 부착된 격막부재(6)와,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일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상기 격막부재(6)의 상면 일측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필름지(7)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연장부(43)를 갖도록 형성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필름지(7)의 상면 타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상기 격막부재(6)의 상면 타측에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음극성 금속(8)과,
    상기 필름지(7), 격막부재(6),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의 상면 전부에 코팅되는 이형지(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6.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와, 상기 침체(2)에 부착되어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발생부(e)로 구성된 생체전기 발생 침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e)는 스틱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하부에 점착제가 도포된 장방형의 필름지(7)와,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일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형성되고, 일단에는 필름지(7)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연장부(43)를 갖도록 형성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필름지(7)의 상면 타측에 금속분말을 실크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양극성 금속(4)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음극성 금속(8)과,
    상기 필름지(7)의 상면 중앙부에 흡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며, 하면 양측이 상기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과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형성된 전해층(6a)과,
    상기 필름지(7), 전해층(6a), 양극성 금속(4) 및 음극성 금속(8)의 상면 전 부에 코팅되는 이형지(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7. 일정 길이를 갖는 침체(2)의 머리부의 외면에 도금된 양극성 금속(4)과,
    상기 양극성 금속(4)의 외주에 끼워져 결합된 관형상의 격막부재(6)와,
    상기 격막부재(6)의 외주에 권취된 테이프 형상의 음극성 금속(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성 금속(4,4',4")은, 금(Au), 백금(Pt), 은(Ag), 구리(Cu), 납(Pb), 주석(Sn), 니켈(Ni)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9. 제 1항 및 제 2항, 제 4항 및 제 5항,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막부재(6,6')는, 전해물질인 물, 황산, 소금 성분이 함유된 스폰지, 펄프섬유, 필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0. 제 1항 내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성 금속(8,8',8")은,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마그네 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철(F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성 금속(4,4',4") 또는 음극성 금속(8,8',8")은 상호 반대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2')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공(220')과 통하도록 통공(222')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통공(222')을 통해 전해물질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성 금속(8")은 상기 침체(2")에 접촉된 양극성 금속(4")의 접착부위(c)가 닿지 않도록 상기 양극성 금속(4")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7)는 직사각형의 테이프형상이며, 상기 침체(2)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침체(2)의 상단이 외부에 보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층(6a)은 흡수성 화학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지(7)의 상면 및 상기 전해층(6a) 사이에는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공간(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전기 발생 침.
KR1020070112462A 2007-07-04 2007-11-06 생체전기 발생 침 KR10087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67,652 US20110015712A1 (en) 2007-07-04 2007-07-04 Living body electricity needle
EP08778634A EP2173308A2 (en) 2007-07-04 2008-07-04 Living body electricity needle
CN2008800233023A CN101742983B (zh) 2007-07-04 2008-07-04 生命体电针
JP2010514646A JP2010532199A (ja) 2007-07-04 2008-07-04 生体電気発生針(Livingbodyelectricityneedle)
PCT/KR2008/003973 WO2009005328A2 (en) 2007-07-04 2008-07-04 Living body electricity nee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960 2007-07-04
KR20070066960 2007-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598B1 true KR100877598B1 (ko) 2009-01-07

Family

ID=4048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462A KR100877598B1 (ko) 2007-07-04 2007-11-06 생체전기 발생 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15712A1 (ko)
EP (1) EP2173308A2 (ko)
JP (1) JP2010532199A (ko)
KR (1) KR100877598B1 (ko)
CN (1) CN101742983B (ko)
WO (1) WO200900532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24A (ko) * 2017-11-08 2019-05-16 목관호 생체전기를 발생하는 쑥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409B1 (ko) * 2013-07-09 2014-03-03 김춘기 전기 및 미세전류 생성기
CN105448235B (zh) * 2014-09-28 2018-01-26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Amoled像素单元及其驱动方法、amoled显示装置
CN104784044B (zh) * 2015-05-12 2017-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针灸装置
CN111643814B (zh) * 2020-07-03 2023-04-28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神经科电针刺激治疗仪
WO2024009840A1 (ja) * 2022-07-04 2024-01-11 株式会社トップ 針基カバーおよび高周波処置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477U (ko) 1998-04-09 1999-11-25 유재택 음전위 자기 지압침
KR200289141Y1 (ko) * 2002-06-03 2002-09-13 유태우 한방용 침
KR200290306Y1 (ko) * 2002-06-11 2002-09-26 임청산 휴대용 전기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024A (ja) * 1999-05-31 2000-12-05 Nobuari Takakura 安全鍼、プラシーボ鍼及びダブルブラインド用鍼セット
JP2001293062A (ja) * 2000-04-14 2001-10-23 B Braun Japan Co Ltd 電気刺激針及び電気刺激針の加工方法
KR200232246Y1 (ko) * 2001-01-20 2001-09-25 유태우 수지용 티봉
JP2003010284A (ja) * 2001-07-03 2003-01-14 Seirin Kk 通電治療用の針
CN1701823A (zh) * 2004-05-24 2005-11-30 宋玉萍 针灸用电针
KR100724106B1 (ko) * 2005-05-16 2007-06-04 목관호 전기침
JP4002957B2 (ja) * 2006-03-17 2007-11-07 株式会社アドメテック 生体加熱針及びこれを用いた治療器具
KR20080004857U (ko) * 2007-04-19 2008-10-23 김윤향 공기통로가 구비된 침
KR100856736B1 (ko) * 2007-06-01 2008-09-04 라종주 전기 침술기 및 전기 침술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477U (ko) 1998-04-09 1999-11-25 유재택 음전위 자기 지압침
KR200289141Y1 (ko) * 2002-06-03 2002-09-13 유태우 한방용 침
KR200290306Y1 (ko) * 2002-06-11 2002-09-26 임청산 휴대용 전기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24A (ko) * 2017-11-08 2019-05-16 목관호 생체전기를 발생하는 쑥뜸기
KR101993530B1 (ko) 2017-11-08 2019-06-26 목관호 생체전기를 발생하는 쑥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15712A1 (en) 2011-01-20
CN101742983B (zh) 2013-01-23
WO2009005328A3 (en) 2009-03-26
EP2173308A2 (en) 2010-04-14
WO2009005328A2 (en) 2009-01-08
JP2010532199A (ja) 2010-10-07
CN101742983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598B1 (ko) 생체전기 발생 침
US3122137A (en) Device for facilitating iontophoresis treatment of eyes
KR20110118647A (ko) 전기 자극시의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그 조성물 및 장치
JPH06509248A (ja) 初期に存在する炎症性皮膚変化を治療する装置
JP2007523695A5 (ko)
Zhang et al. Implantable electrode array with platinum black coating for brain stimulation in fish
JPH01280476A (ja) 電極によりひき起される皮膚傷害を最少限に抑える装置及び方法
CN206613034U (zh) 一种用于小型实验动物经颅直流电刺激的杯状电极
RU2537761C2 (ru) Ушной клипс с контактом
CN101926730A (zh) 电解针灸针
KR20090105681A (ko) 열공급을 통해 시술효과를 극대화한 온열침 장치
KR20170033155A (ko) 한방침의 절연코팅을 위한 고정용 지그
KR20120010532A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침구 바늘
KR100724106B1 (ko) 전기침
US111169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ancer cells and bacteria in mammals including humans
CN208809047U (zh) 眼周穴位贴
CN209108405U (zh) 一种用于探究血管周围电势差的外加电场装置
RU21478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флексотерапии
KR20090009330U (ko) 갈바니이온영동도입기능을 갖는 화장품용기
WO2001089378A1 (en) Needle electrode for electromyography
RU2121381C1 (ru) Электростимулятор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ого тракта
UA82347C2 (uk)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хронічного тонзиліту та пристрій для його реалізації
Friel Zinc Ions in Ear, Nose, and Throat Work
JPS6316345Y2 (ko)
KR20120001300U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침구 바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