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12B1 -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 Google Patents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12B1
KR100877512B1 KR1020080082295A KR20080082295A KR100877512B1 KR 100877512 B1 KR100877512 B1 KR 100877512B1 KR 1020080082295 A KR1020080082295 A KR 1020080082295A KR 20080082295 A KR20080082295 A KR 20080082295A KR 100877512 B1 KR100877512 B1 KR 10087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ld air
air tank
explos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08008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54Fire extingui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81Diving equip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탱크에 압축공기 충전시 공기탱크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충전 거치대로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압축공기를 충전할 공기탱크(A)가 상부로부터 삽입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안치케이싱(200)과; 상기 하우징(100)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을 토출하는 냉풍기(600)와; 상기 냉풍기(600)로부터 토출된 냉풍을 직접 공급받아 안내하는 냉풍메인관체(500)와;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안치케이싱(200)에 각각 관결합되어, 냉풍메인관체(500)를 통해 안내 이송되는 냉풍을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공급하는 냉풍서브관체(400)를 포함한다.
공기탱크, 충전, 방폭, 냉각, 냉풍기.

Description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Anti-explosive and cooling type Compression-air charge Stand of airtank}
본 발명은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용, 스킨스쿠버용 등으로 사용되는 공기탱크에 압축공기를 충전시, 압축열 발생에 따른 공기탱크의 온도상승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공기탱크를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압축공기의 공기탱크내 충진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온도상승에 따른 공기탱크의 폭발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스킨스쿠버용 등으로 사용되는 공기탱크에는 사용자가 장시간 호흡할 수 있도록 별도의 충전장치를 통해 공기가 압축되어 충전된다. 소방용 공기탱크는,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 등 산소가 희박한 위험지역에 투입되어 화재진압 또는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스킨스쿠버용 공기탱크는 사용자가 물속에 잠수하여 경치를 감상하거나 별도의 해양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장시간 호흡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다.
즉, 이러한 공기탱크를 사용하여 화재지역이나 물속 등 정상적인 호흡이 곤란한 곳에서의 호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공기탱크를 이용한 호흡 가능 시간은 공기탱크 내에 충전된 공기의 충전압력, 즉, 공기의 양에 비례한다. 따라서, 공기탱크의 사용 목적 및 사용 시간에 부합하는 정량의 공기가 충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공기탱크에 압축공기를 충전하는 경우, 공기의 압축에 의한 압축열이 다량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공기탱크의 온도가 급상승하여 공기탱크 내 공기의 부피가 팽창하여 실제 충전되어야 할 공기의 정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충전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량 미만의 공기가 충전되는 경우, 사용자의 호흡 가능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생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큰 문제점을 야기한다.
예컨대, 약 50 내지 60분 정도 사용 가능한 공기탱크에는 약 300bar 정도의 압축공기가 충전되어야 하는데, 충전시 압축열 발생으로 인하여 실제로는 약 270bar 정도의 공기가 충전되어 상대적으로 정량보다 적은 양의 공기가 충전된게 된다. 이는 정량보다 10 내지 15% 정도 모자란 공기의 양이 충전됨을 의미하며, 호흡 가능 시간은 약 5분 정도가 단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기탱크에 약 50bar정도의 잔류량이 남으면 화재진압이나 구조작업 또는 잠수활동 등의 작업을 마치고 철수해야 하기 때문에 체감되는 량은 그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량 미만의 공기 충전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예상하는 호흡 가능 시간과 실제 공기탱크의 사용시간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공기탱크의 표준 충전용량만을 믿고 화재진압이나 구조작업 또는 잠수활동 등을 수행하는 경우, 예상치 못한 공기 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생명을 위협받게 될 우려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공기탱크를 압축공기로 1회 충전하고 상온에서 일정시간 방치하거나 찬 물속에 일정시간 담가놓는 등 냉각과정을 거쳐 공기탱크 내 공기의 부피를 수축시킨 후에 다시 충전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최소 3 내지 4회의 재충전 작업이 요구되는 바,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충전작업에 상당한 불편이 따르며, 공기탱크의 충전 및 냉각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충전장치와 공기탱크의 연결 및 해제가 반복되어 충전장치로부터 공기탱크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이 많아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왔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는 충전시 공기탱크를 단순히 거치 고정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안전장치가 전혀 구비되지 않아, 공기탱크 온도의 급작스런 상승이나 압축공기의 과충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공기탱크의 폭발 등의 사고에 대한 대책이 전혀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공기탱크 내에 압축공기 충전시, 공기탱크를 지속적으로 냉각하여 충전시 압축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충전 및 냉각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필요없이 단 한 번의 충전작업으로 공기탱크 내에 압축공기를 목표충전압으로 충전하여 정량의 공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와 인력의 낭비, 그리고 충전 및 냉각 작업의 반복에 따른 압축공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기탱크의 폭발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는, 공기탱크에 압축공기 충전시 공기탱크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충전 거치대로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압축공기를 충전할 공기탱크(A)가 상부로부터 삽입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안치케이싱(200)과; 상기 하우징(100)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을 토출하는 냉풍기(600)와; 상기 냉풍기(600)로부터 토출된 냉풍을 직접 공급받아 안내하는 냉풍메인관체(500)와;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안치케이싱(200)에 각각 관결합되어, 냉풍메인관체(500)를 통해 안내 이송되는 냉풍을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공급하는 냉풍서브관체(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방폭재(C)가 채워지되, 상기 방폭재(C)는 콘크리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안치케이싱(200)과 냉풍서브관체(400) 및 냉풍메인관체(500)가 내설된 후,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타설되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풍서브관체(400)는 안치케이싱(200)의 외부 표면에 다수개 연결 설치되되, 각 냉풍서브관체(400)는 상기 안치케이싱(200)의 표면 법선방향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공기탱크(A)의 폭발시 파편이 상향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폭커버(110)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방폭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방폭커버(110)가 덮여진 상태에서 공기탱크(A)에 압축공기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방폭커버(110)의 상부면에는 안치케이싱(200) 내부에 삽입 안치되는 공기탱크(A)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통공(112)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탱크 내에 압축공기 충전시, 공기탱크를 지속적으로 냉각하여 압축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반복적인 충전 및 냉각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단 한 번의 충전작업으로 공기탱크 내에 압축공기를 목표충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와 인력의 낭비를 막고, 반복적인 충전 및 냉각 작업에 따른 압축공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케이스상에 다수의 공기탱크를 삽입하여 충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한 번에 여러 대의 공기탱크의 충전이 가능하여 공기탱크의 충전시간을 단축하고, 충전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인력이 감소되며, 콘크리트 케이스상에 삽입된 상태로 충전이 되기 때문에, 공기탱크가 폭발하는 경우에도 주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전체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요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평면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요부 확대 평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 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안치케이싱(200), 열차단부재(300), 냉풍서브관체(400), 냉풍메인관체(500), 냉풍기(600), 환테형 고무캡(7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 함체로서, 내부에는 공기탱크(A)의 폭발시, 폭발력을 상쇄시키고 하우징(100) 내부에서만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명과 주변시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폭재(C)가 채워진다.
여기서, 상기 방폭재(C)는 콘크리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안치케이싱(200)과 냉풍서브관체(400), 그리고 냉풍메인관체(500)가 하우징(100) 내부에 내설된 후 나머지 공간에 기밀하게 타설되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양생되면 상당한 경화성을 지니고 있어, 폭발력을 상쇄시켜 공기탱크의 파편으로 인한 인명피해와 주변시설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치케이싱(200)은 공기탱크(A)가 안정적으로 안치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 공기탱크(A)의 외부 윤곽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 케이싱이다. 상기 안치케이싱(200)은 전술한 하우징(100)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내측으로 구비되어, 상부로부터 공기탱크(A)를 삽입하여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치케이싱(200)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양측에 일렬로 4개씩, 총 8개의 안치케이싱(2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치케이싱(200)의 하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21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10)은 후술되는 냉풍서브관체(4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풍이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안치케이싱(200) 표면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열차단부재(300)는 전술한 안치케이싱(200) 내면에 부착 설치되어,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공급되는 냉풍의 냉기가 외부로 전도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대체로, 단열성이 우수한 스티로폼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치케이싱(200) 내부에는 공기탱크(A)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풍이 공급된다. 이러한 냉풍은 냉풍기(600)에 의해 발생 공급된다. 상기 냉풍기(600)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압축 토출시키도록 내부에 냉동펌프, 열교환기, 증발기를 포함하고,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통상의 냉풍기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냉풍기(600)는 안치케이싱(200) 내부에 공기탱크(A)를 삽입 안치한 상태에서 압축공기 충전시 발생하는 압축열에 의한 공기탱크(A)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냉풍을 불어준다.
상기 냉풍기(600)로부터 발생 및 토출되는 냉풍은 냉풍메인관체(500)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는 냉풍기(600)로부터 냉풍을 직접 공급받아 안내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는 양측에 각각 일렬로 배열된 안치케이싱(200) 사이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를 통하여 이송되는 냉풍은 냉풍메인관체(500)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되는 냉풍서브관체(400)를 통하여 각 안치케이싱(200)으로 공급된다.
상기 냉풍서브관체(400)는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로부터 분기되어 각 안치케이싱(200)의 하부 표면에 관통 형성된 통공(210)에 결합됨에 따라, 냉풍기(600)로부터 발생되는 냉풍을 최종적으로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관체이다.
상기 냉풍서브관체(400)와 안치케이싱(200)의 연결 구조에는 제한이 없으나, 냉풍이 상기 안치케이싱(200) 내부에 삽입 안치된 공기탱크(A) 표면과의 접촉을 최대화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냉풍서브관체(400)는 상기 안치케이싱(200)의 표면 법선방향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냉풍서브관체(400)를 통하여 냉풍이 각각 공급되는 경우, 안치케이싱(200) 내부에서 와류가 형성되기 때문에, 냉풍이 공기탱크(A)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 및 시간이 최대화되어 냉각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환테형 고무캡(700)은 상기 안치케이싱(200)과 열차단부재(300)가 결합된 상부 개구측 일단 외연을 따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환테형 고무캡(700)은 공기탱크(A)의 충전시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탱크(A)가 안치케이싱 상부 외벽 또는 모서리에 충돌하는 경우 완충작용을 수행하고, 안치케이싱(200) 내부에서 냉풍 잔류시간이 증가되도록 상기 안치케이싱(200)과 상기 열차단부재(300)가 결합된 상부 개구측을 밀폐하여 공기탱크(A)의 냉각효율이 증대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방폭커버(1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폭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공기탱크(A)가 상기 안치케이싱(200)에 삽입 안치된 후 커버되도록 하여, 공기탱크(A)의 폭발시 파편이 상향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상기 방폭커버(110)가 덮여진 상태에서 공기탱크(A)에 압축공기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방폭커버(110)의 상부면에는 안치케이싱(200) 내부에 삽입 안치되는 공기탱크(A)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통공(112)이 다수 형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제조 과정 및 사용상태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냉풍기(600)를 배치하고, 여기에 냉풍메인관체(500)를 연결한 후, 냉풍메인관체(500)에 냉풍서브관체(400)를 관결합한다. 이후, 냉풍서브관체(400)를 안치케이싱(200)의 하부 외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통공(210)에 대응하게 각각 결합한다. 각 관체의 관결합 및 냉풍서브관체(400)와 안치케이싱(200)의 결합은 용접이나 별도의 관결합구를 이용한 통상적인 관결합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냉풍기(600)는 방폭재(C)인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지 않도록,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별도의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안치케이싱(200)과는 격벽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격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이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 후에는, 하우징(100) 내부 나머지 공간에 방폭재(C)인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에 따라, 안치케이싱(200)과 냉풍메인관체(500) 및 냉풍서브관체(400)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다. 이후, 안치케이싱(200)의 상측 개구측에 환테형 고무캡(700)을 결합하여 마감처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를 완성한다.
공기탱크(A)의 충전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안치케이싱(200) 내부에 공기탱크(A)를 각각 삽입하여 안치시킨다. 그리고, 방폭커버(110)로 하우징(100)의 상측을 커버한 후, 방폭커버(110)의 상부에 다수 형성된 노출통공(112)을 통해 노출된 공기탱크(A)의 상측 주입부(부호생략)에 별도의 충전장치를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주입 충전한다.
압축공기의 충전이 시작되면, 공기탱크(A)의 주입부 측에는 압축열이 발생한다. 이때, 압축열의 발생으로 인해 공기탱크(A)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풍기(600)를 작동시켜 냉풍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냉풍은 냉풍기(600)에 연결된 냉풍메인관체(500)를 통해 이송되고,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로부터 분기되어 연결된 다수의 냉풍서브관체(400)를 통하여 각각 분배되어 통공(210)을 통하여 각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최종 공급된다.
상기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유입된 냉풍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공기탱크(A) 표면과 접촉하여 압축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공기탱크(A)의 상하 길이방향 전체를 냉각한다. 이에 따라, 공기탱크(A) 내부에 주입된 압축공기의 부피가 팽창되는 것이 방지되어 단 1회 압축공기 충전으로 정량의 공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가능한 변형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전체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요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요부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하우징 110 : 방폭커버
112 : 통공 200 : 안치케이싱
210 : 통공 300 : 열차단부재
400 : 냉풍서브관체 500 : 냉풍메인관체
600 : 냉풍기 700 : 환테형 고무캡
A : 공기탱크 C : 방폭재

Claims (5)

  1.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되, 압축공기를 충전할 공기탱크(A)가 상부로부터 삽입 안치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안치케이싱(200)과;
    상기 하우징(100) 일측에 구비되어 냉풍을 토출하는 냉풍기(600)와;
    상기 냉풍기(600)로부터 토출된 냉풍을 직접 공급받아 안내하는 냉풍메인관체(500)와;
    상기 냉풍메인관체(500)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안치케이싱(200)에 각각 관결합되어, 냉풍메인관체(500)를 통해 안내 이송되는 냉풍을 안치케이싱(200) 내부로 공급하는 냉풍서브관체(400)를 포함하는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방폭재(C)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재(C)는 콘크리트로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안치케이싱(200)과 냉풍서브관체(400) 및 냉풍메인관체(500)가 내설된 후, 상기 하우징(100) 내부 공간에 타설되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서브관체(400)는 안치케이싱(200)의 외부 표면에 다수개 연결 설치되되, 각 냉풍서브관체(400)는 상기 안치케이싱(200)의 표면 법선방향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공기탱크(A)의 폭발시 파편이 상향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폭커버(110)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방폭커버(110)는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방폭커버(110)가 덮여진 상태에서 공기탱크(A)에 압축공기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방폭커버(110)의 상부면에는 안치케이싱(200) 내부에 삽입 안치되는 공기탱크(A)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통공(112)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KR1020080082295A 2008-08-22 2008-08-22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KR10087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295A KR100877512B1 (ko) 2008-08-22 2008-08-22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295A KR100877512B1 (ko) 2008-08-22 2008-08-22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512B1 true KR100877512B1 (ko) 2009-01-07

Family

ID=4048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295A KR100877512B1 (ko) 2008-08-22 2008-08-22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29B1 (ko) * 2015-12-03 2016-07-12 김경훈 호흡용 고압공기 안전충전함
KR101686580B1 (ko) * 2016-07-07 2016-12-14 김경훈 호흡용 고압공기 통합충전장치
CN113217807A (zh) * 2021-06-07 2021-08-06 聂堃 一种变电站sf6连充装置及充气方法
CN116045193A (zh) * 2023-01-18 2023-05-02 金宏气体股份有限公司 用于乙硅烷的储罐结构及其存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5133A2 (en) 1978-04-26 1979-10-31 Svenska Vägaktiebolaget Explosion-proof plant for the storage of liquid gas
JPH0724295A (ja) * 1993-07-08 1995-01-27 Teisan Kk シリンダ付ガス供給装置
KR20030029689A (ko) * 2001-10-08 2003-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천연가스차량의 연료충전효율 향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5133A2 (en) 1978-04-26 1979-10-31 Svenska Vägaktiebolaget Explosion-proof plant for the storage of liquid gas
JPH0724295A (ja) * 1993-07-08 1995-01-27 Teisan Kk シリンダ付ガス供給装置
JP3375178B2 (ja) 1993-07-08 2003-02-10 日本エア・リキード株式会社 シリンダ付ガス供給装置
KR20030029689A (ko) * 2001-10-08 2003-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천연가스차량의 연료충전효율 향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29B1 (ko) * 2015-12-03 2016-07-12 김경훈 호흡용 고압공기 안전충전함
KR101686580B1 (ko) * 2016-07-07 2016-12-14 김경훈 호흡용 고압공기 통합충전장치
CN113217807A (zh) * 2021-06-07 2021-08-06 聂堃 一种变电站sf6连充装置及充气方法
CN116045193A (zh) * 2023-01-18 2023-05-02 金宏气体股份有限公司 用于乙硅烷的储罐结构及其存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512B1 (ko) 방폭 및 냉각형 공기탱크 충전 거치대
US8733465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lithium ion batteries
CN104681758A (zh) 惰化含锂电池和相关容器的方法
KR101638829B1 (ko) 호흡용 고압공기 안전충전함
EP3881904B1 (en) Fire protection fluid storage device for battery pack
KR101686580B1 (ko) 호흡용 고압공기 통합충전장치
JP2015512506A5 (ko)
CN109087738A (zh) 耐火电缆
RU21506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локализации воздействий взрывных механизмов
WO2013090935A1 (en) Handheld portable oxygen generator for use in extreme environments
US20090056718A1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CN212408244U (zh) 一种高耐腐蚀性防爆储气罐
KR20230080375A (ko)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을 위한 주입구를 가진 배터리케이스
JP2022536404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US4301792A (en) Respirator with cooling device
CN215578940U (zh) 防爆阀及电池箱
CN213692253U (zh) 电池组防火防爆专用箱
CN115149152A (zh) 一种电池
CN113304421A (zh) 一种锂离子电池热失控处理系统
RU2204800C2 (ru) Локализатор взрыва закрытоячеистый
KR102164104B1 (ko) 방폭형 공기실린더 충전장치
CN113314797A (zh) 防爆阀及电池箱
CN103758556B (zh) 矿井紧急避险设施制冷总成
CN208502887U (zh) 一种具有防烫功能的保温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