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731B1 -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 Google Patents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731B1
KR100876731B1 KR1020080044406A KR20080044406A KR100876731B1 KR 100876731 B1 KR100876731 B1 KR 100876731B1 KR 1020080044406 A KR1020080044406 A KR 1020080044406A KR 20080044406 A KR20080044406 A KR 20080044406A KR 100876731 B1 KR100876731 B1 KR 100876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active cylinder
quartz tube
water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규
김월수
Original Assignee
이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규 filed Critical 이용규
Priority to KR102008004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분자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고 물을 활성화시켜 인체에 유익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도록 활성화 처리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이오 에너지워터, 물 분자, 원적외선, 자기장

Description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with revitalization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분자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고 물을 활성화시켜 인체에 유익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일상생활에서 사람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므로 물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대부분은 음용 또는 공업용 등에 제공하기 위해 취수시설을 설치한 상수원에서 화학약품으로 소독 처리되어 일반 가정으로 공급되거나 지하수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은 식수로서 사용은 가능하지만, 약품처리로 인해 냄새가 발생하거나 오염 등으로 인하여 물을 끓여 마시거나 정수기 등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정수기는 핵심 구성품인 침전필터, 프리 카본필터, 멤브레인 필터, 포스트 카본필터가 장착되며, 멤브레인 필터를 강제로 통과시키기 위해 모터가 장 착되고 수위를 자동으로 차단시켜주는 수위차단 볼탑이나 스위치 등이 장착된다. 그 밖에 정수기능 외에 냉,온수 공급을 위하여 냉수 탱크에 컴프레서를 장착하고 온수 탱크에 히터를 장착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물의 정수기능에만 집중하다 보니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이 모두 제거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현대인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인체에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수로서의 기능을 전혀 갖고 있지 못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지하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도록 활성화 처리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활성화 처리장치에 의해 3차(제1활성통, 제2활성통, 자석)에 걸쳐 물 분자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여 바이오 에너지워터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음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부 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도록 활성화 처리장치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화 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프리필터와, 상기 프리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아연판이 구비되고 상기 아연판의 사이에 맥반석이 채워지는 제1활성통과, 상기 제1활성통에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석영관이 구비되고 상기 석영관의 외부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보호가이드가 구비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세라믹 볼이 채워지는 제2활성통과, 상기 제2활성통을 통과한 물에 자기장을 걸어주는 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활성통의 일측에 상기 세라믹 볼을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히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활성통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활성통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편의상'정수기'라 칭함)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1)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1)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도록 활성화 처리장치(2)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침전필터(11), 프리 카본필터(12), 멤브레인 필터(13), 포스트 카본필터(14)의 순으로 이루어진 필터(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1)들을 통과한 물은 정수기의 내부에 구비된 활성화 처리장치(2)를 통과하면서 물 분자의 클러스터가 미세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정수기는 상기 필터(1)를 통과하고 활성화 처리장치(2)를 통과하여 얻어진 바이오 에너지워터의 수위를 자동으로 차단시켜주는 수위차단 볼탑이나 스위치 등이 장착됨은 물론 정수기능 외에 냉,온수 공급을 위한 냉,온수 탱크 및 압축기, 히터 등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처리장치(2)는 상기 필터(1)를 통과한 물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프리필터(21)와, 상기 프리필터(21)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221a)이 형성된 복수개의 아연판(221)이 구비되고 상기 아연판(221)의 사이에 맥반석(222)이 채워지는 제1활성통(22)과, 상기 제1활성통(22)에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석영관(231)이 구비되고 상기 석영관(231)의 외부에 다수의 통공(232a)이 형성된 보호가이드(232)가 구비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세라믹 볼(233)이 채워지는 제2활성통(23)과, 상기 제2활성통(23)을 통과한 물에 자기장을 걸어주는 자석(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필터(21)는 폴리술폰의 필라멘트로 제조된 원형기둥 형태의 프리필 터로 이루어지며, 상수도 또는 지하수를 통과시켜 흙, 모래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 제1활성통(22)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활성통(22)의 하부는 막혀져 있고 상부는 제1활성통(22)의 내부에 구성요소들의 구비가 완료되면 덮개를 씌워 입구를 차단한다.
상기 제1활성통(22)의 일측 상부에는 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223)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224)가 형성된다.
상기 아연판(221)은 두께가 1㎜인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홀(221a)이 형성된다. 상기 아연판(221)은 99.9%의 고순도 아연판을 사용하며, 아연 입자가 용출되면서 물속에 포함된 철분이 산화하여 배관 등에 물때나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맥반석(222)은 원적외선을 물에 방사함으로써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는 한편, 물의 활성도를 높여 건강한 물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활성통(23)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활성통(23)의 하부는 막혀져 있고 상부는 제2활성통(23)의 내부에 구성요소들의 구비가 완료되면 덮개를 씌워 입구를 차단한다.
상기 제2활성통(23)은 세라믹 볼(233)의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가열시켜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물에 방사함으로써 물 분자를 작게 쪼개며 물 분자의 침투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보통의 수돗물에서는 물 분자가 덩어리로 뭉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안에 불순물을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원적외선을 쪼이면 물 분자 구조가 육각수 형태로 재배열되어 안정화될 뿐만 아니라 용존 산소량이 증가된다.
상기 제2활성통(23)의 일측에 상기 세라믹 볼(233)을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히터(3)가 구비되며, 상기 제2활성통(23)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히터(3)의 가열에 의한 열을 발산하도록 코일(234)이 감겨진다.
상기 제2활성통(23)의 상부에는 상기 석영관(231)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홀(235)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2활성통(23)의 외부에는 장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열재는 석면, 유리섬유, 발포 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영관(231)은 직경이 약 10㎜ 정도이며, 고온에서 쉽게 깨지는 일반 유리관에 비해 고온에서 잘 견딜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석영관(231)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호가이드(232)는 상기 세라믹 볼(233)보다 작은 크기의 홀이 다수로 형성된 다공철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석영관(231)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세라믹 볼(233)이 석영관(231)과 충돌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상기 세라믹 볼(233)은 직경이 약 7㎜ 정도인 것으로, 구형이고 붉은색을 띤 다. 상기 세라믹 볼(233)의 온도는 110~13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활성통(22)과 제2활성통(23)은 호스나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며, 물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중간에 펌프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24)은 상기 제2활성통(23)의 배출부에 연결된 호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같은 극끼리 마주보게 배열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활성통(23)에 의해 처리된 물이 상기 자석(24)을 통과하면서 반발력에 의한 균일한 자력선이 방사형으로 방출되어 물의 흐름과 수직으로 만나게 되어 물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다수의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된 물을 상기 활성화 처리장치(2)를 통과시킴으로써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여 바이오 에너지워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활성통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활성통의 내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
11 : 침전필터
12 : 프리 카본필터
13 : 멤브레인 필터
14 : 포스트 카본필터
2 : 활성화 처리장치
21 : 프리필터
22 : 제1활성통
221 : 아연판, 221a : 홀, 222 : 맥반석, 223 : 유입부, 224 : 배출부
23 : 제2활성통
231 : 석영관, 232 : 보호가이드, 232a : 통공, 233 : 세라믹 볼, 234 : 코일, 235 : 홀
24 : 자석
3 : 가열히터

Claims (3)

  1. 수돗물이나 지하수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여과하는 다수의 필터(1)가 설치되어 있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1)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유입되어 물 분자의 클러스터를 미세하게 분리하도록 활성화 처리장치(2)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활성화 처리장치(2)는 상기 필터(1)를 통과한 물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프리필터(21)와, 상기 프리필터(21)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며 내부에 다수의 홀(221a)이 형성된 복수개의 아연판(221)이 구비되고 상기 아연판(221)의 사이에 맥반석(222)이 채워지는 제1활성통(22)과, 상기 제1활성통(22)에서 유입된 물이 통과하도록 내부에 석영관(231)이 구비되고 상기 석영관(231)의 외부에 다수의 통공(232a)이 형성된 보호가이드(232)가 구비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세라믹 볼(233)이 채워지는 제2활성통(23)과, 상기 제2활성통(23)을 통과한 물에 자기장을 걸어주는 자석(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활성통(23)의 일측에 상기 세라믹 볼(233)을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가열히터(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2. 삭제
  3. 삭제
KR1020080044406A 2008-05-14 2008-05-14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KR100876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06A KR100876731B1 (ko) 2008-05-14 2008-05-14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406A KR100876731B1 (ko) 2008-05-14 2008-05-14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731B1 true KR100876731B1 (ko) 2008-12-31

Family

ID=4037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406A KR100876731B1 (ko) 2008-05-14 2008-05-14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9569A1 (zh) * 2010-08-12 2012-02-16 Zheng Zhaoge 一种天然的永恒的弱碱性小分子团水的制作设备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515Y1 (ko) * 2001-08-30 2001-12-24 주식회사 리매직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515Y1 (ko) * 2001-08-30 2001-12-24 주식회사 리매직 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9569A1 (zh) * 2010-08-12 2012-02-16 Zheng Zhaoge 一种天然的永恒的弱碱性小分子团水的制作设备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6459B2 (en) Internal UV treatment of potable water systems
US5785845A (en) Water purifying system
KR100906823B1 (ko) 상수도관 연결형 정수장치
KR100671311B1 (ko) 광촉매 살균정화장치
US7230255B2 (en) Photocatalyst sterilizer
KR101823948B1 (ko) 유수 정화 장치
JP2009515675A (ja) 磁化濾過装置
KR100876731B1 (ko) 활성화 처리장치가 구비된 정수기
KR100876732B1 (ko) 바이오 에너지워터 제조시스템
RU4734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ультрафиолетом и озоном
KR200409944Y1 (ko) 정수시스템의 자화연수기
KR101181632B1 (ko)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및 필터유닛
US10897920B1 (en) Self-contained water system
JPH02126994A (ja) 水精製処理装置
WO2013041918A1 (es) Planta de tratamiento de agua portátil con filtración y purificación a base de ozono
JP6089526B2 (ja) オゾナイザとこれを用いた液体浄化装置並びに処理方法
CN217323750U (zh) 一种便携式饮用水处理装置
KR101640003B1 (ko) 고농도 오존수 제조장치
KR20030030583A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JP3069019U (ja) 活性常水製造装置
CN211570369U (zh) 一种高磁活化直饮水处理装置
KR101678107B1 (ko) 공업용수 처리장치
KR200259748Y1 (ko) 가정용 용수의 정수장치
KR200213800Y1 (ko) 정수기의 냉각장치
KR200297485Y1 (ko) 오존 살균 기능을 이용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