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196B1 - 충격 흡수부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용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부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용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76196B1 KR100876196B1 KR1020070031520A KR20070031520A KR100876196B1 KR 100876196 B1 KR100876196 B1 KR 100876196B1 KR 1020070031520 A KR1020070031520 A KR 1020070031520A KR 20070031520 A KR20070031520 A KR 20070031520A KR 100876196 B1 KR100876196 B1 KR 100876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ck absorbing
- lower plate
- plate
- upper plate
- sho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흡수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 바닥면에 발바닥 형상의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완충 스트링이 교체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과 하판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달리거나 걷기 등 신발 뒷축에 압력이 가해져도 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가만히 서있을 때의 접촉 면적과 큰 차이가 없어서 안정성이 향상되고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완충 스트링 및 충격 흡수부를 교체가능하기 때문에 완충 스트링이 열화되었거나 또는 사용 목적 또는 교정 목적에 따라서 충격 흡수부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완충 스트링, 상판, 하판, 걸림고리, 스토퍼, 완충 컬럼, 충격 흡수부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 흡수용 신발이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한 직립시와 보행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 흡수용 신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충격흡수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상세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충격 흡수용 신발 바닥의 평면도 및 상기 충격 흡수용 신발 바닥에 탈부착가능한 충격흡수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충격 흡수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흡수부또는 완충 스트링을 체중 또는 교정 목적에 맞게 탈부착가능하고 운동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발은 직립 시 지면과 접촉하여 체중을 지탱하며 보행이나 운동 등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직립 시 족궁을 제외하고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안정적 으로 직립을 하며, 보행이나 달리기 등에서는 족궁이 마치 스프링과 같이 신축되어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발가락 등 발의 전단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완만하고 부드러운 보행 및 달리기 등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신발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고르게 하중을 분산시켜 줄 필요가 있다.
또한, 달리기, 농구, 축구 및 테니스 등 운동자의 발에 운동자의 체중의 수배에 달하는 상당한 충격력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충격력을 최대한 많이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신발이 요구된다.
최근에 이러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신발, 특히 운동화 등에는 충격 흡수용 쿠션 또는 완충재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에어쿠션 등이 이용되고 있 다. 그러나 종래의 완충재들은 운동자의 충격이 일반적으로 신발 뒤축에 1차적으로 집중되어 점차적으로 신발 전방부로 이동하여 압축부분과 비압축부분이 관성력으로 작용하여 완충재에 일정한 굴곡면을 형성하여 충분한 완충력을 갖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력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전달되어 충격시 발의 관절과 발목 등 손상되기 쉬운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 흡수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 흡수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용 신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 흡수용 신발이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한 직립시와 보행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용 신발(1)은 보행 또는 운동시 충격이 1차적으로 집중되는 신발(1)의 후방부에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10)를 구비하며, 점차적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신발(1)의 전방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1 이상의 충격 흡수용 패드로 구성된 충격흡수용 쿠션(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충격 흡수부(10)는 충격 흡수용 신발(1) 후방부의 바닥면 형상에 따른 상판(11)과, 상기 상판(11)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판(13)과, 상기 상판(11)과 하판(13) 사이에 동일한 길이를 갖는 완충 스트링(15)이 복수개 교체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판(11)과 하판(13)의 서로 대응하는 중앙부에는 상기 신발(1) 바닥 전방부와 동일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고무, 폴리우레탄 등 탄성재로 된 컬럼부(17)가 배치되어 상기 상판(11)과 하판(13)을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용 신발(1)은 보행 또는 운동 시 1차적으로 충격이 신발 뒷축에 집중될 때, 상기 상판(11)과 하판(13) 사이의 후방 완충 스트링(15)은 a1으로 수축하고 상기 상판(11)과 하판(13) 사이의 전방 완충 스트링(15)은 a2로 이완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충격흡수로 상기 상판(11)과 하판(13) 사이의 후방부에서 노후화된 완충 스트링(15)을 교체하여 항상 일정한 완충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이 때,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럼부(17)는 상기 완충 스트링(15)의 수축과 이완의 중심축으로서 상기 상판(11)과 상기 하판(13) 사이를 지탱할 수 있으며, 상기 하판(13)은 직립시나 보행 또는 운동시 지면과 균일한 접촉 면적을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을 높힐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 흡수용 신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판(11)과 상기 하판(13) 사이의 전방에 칼럼부(17) 또는 암수칼럼부(117)를 구비하여 상기 상판(11)과 상기 하판(13) 사이의 거희 대부분은 완충 스트링(15)이 수축 이완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칼럼부(17) 또는 암수칼럼부(117)를 상기 상판(11)과 상기 하판(13) 사이의 전방, 다시 말해서 족궁 근처에 배치하는 것은 족궁에서 가장 충격이 적기 때문이며, 가장 충격을 많이 받는 뒷축 부분이 상기 완충 스트링(15)에 의해서 충격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착용감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 때도, 상기 하판(13)은 직립시나 보행 또는 운동시 지면과 균일한 접촉 면적을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을 높힐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10)의 상판(112)과 하판(114)은 운동자의 체중의 수배를 지탱할 수 있는 금속판 또는 강화 플라스틱판과 같이 쉽게 파손되거나 구부려 지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신발(1)의 바닥 모양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상판(112)과 이에 대응하는 하판(114) 사이에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완충 스트링(118)은 피아노 와이어로 된 복수개의 탄성 스프링일 수도 있으며, 탄성이 좋은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판(112)과 이에 대응하는 하판(11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 판(112)과 하판(114)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완충 스트링(118)보다는 직경 및 두께를 갖는 솔리드형 컬럼부(1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럼부(117)는 금속 소켓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폴리우레탄, 고무 스폰지와 같은 탄성이 좋은 재질로 솔리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컬럼부(117)는 상기 상판과 하판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고무 스폰지와 같은 탄성이 좋은 재질로 솔리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충격흡수부(1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력이 신발의 뒤축에 1차적으로 집중되면 상기 컬럼부(117)를 작용점으로 하여 상기 상판(112)과 하판(114) 사이의 완충 스트링(118)의 수축과 이완에 의하여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으며, 이때에도 상기 하판은 지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신발의 접촉면이 보행 또는 운동시 변함이 없기 때문에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충격을 균일하게 흡수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칼럼부(117)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단면에 요부가 형성된 암칼럼부(117a)와, 상기 하판(114)으로부터 상기 암칼럼부(117a)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단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수칼럼부(11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수칼럼부(117a, b)는 금속 스프링판으로 구성되어 체결 및 이탈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솔리드형 칼럼부(117)와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솔리드형 칼럼부(117) 대신에 배 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암수 칼럼부(117a, 117b)는 완충 스트링(118)에 비해서 전방에 배치하여 보행 또는 운동시 충격을 대부분 상기 완충 스트링(118)에 의해서 흡수함으로써 보다 좋은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암수 칼럼부(117a, 117b)는 상기 완충 스트링(118)이 이완된 경우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완충 스트링(118)이 수축되는 경우에 서로 맞물려 충격을 지탱할 수 있다.
한편, 보행 또는 운동시 급격한 충격력이 발생하여 상기 상판(112)과 상기 하판(114)이 충돌하거나 상기 완충 스트링(118)이 과도한 수축 또는 이완에 의해서 상기 상판(112) 또는 상기 하판(114)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컬럼부(117)의 최대 높이보다 낮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럼부(117)의 높이의 1/3 정도의 높이를 갖는 스토퍼(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5)의 높이는 상기 완충 스트링(118)이 상기 상판(112)과 하판(114)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는 길이로 유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판(114)으로부터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 고무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112)과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수 칼럼부(117a, 117b)는 직립시에는 상기 완충 스트링(118)들의 장력에 의해서 이탈 상태로 유지되며, 보행 또는 운동시 상기 암수 칼럼부(117a, 117b)는 서로 결합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암수 칼럼부(117a, 117b)의 결합과 해제가 상기 완충 스트 링(118)의 수축과 이완을 보다 보조할 수 있어서 보다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10)는 발바닥 형상의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판(114) 사이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금속 와이어를 말아 만든 탄성스프링으로 된 복수개의 완충 스트링(118)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스트링(118)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크 모양의 걸림돌기(118a)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112)과 하판(114)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걸림돌기(118a)가 걸릴 수 있는 고리 모양의 걸림부(116)를 복수개 배치하여, 상기 완충 스프링(118)이 반복 수축 이완으로 열화된 경우에 또는 소정의 교정 목적이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한편, 보행 또는 운동시 뒷축의 완충 스트링(118)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뿐만 아니라 가장 충격력을 많이 받는 점을 고려하여 전방의 완충 스트링(118)에 비해서 탄성계수가 좋은 스트링 또는 스프링을 이용할 있다.
또한, 상기 완충 스트링(118)은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2 이상의 스트링 또는 스프링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스트링 또는 스프링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조인트가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관절과 같이 구브렸다 폈다를 반복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완충 스트링(118)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수축 이완을 반복하는 경우에 쉽게 노화되거나 보행 또는 운동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 쉽 게 상기 걸림부(116)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충격 흡수용 신발 바닥의 평면도 및 상기 충격 흡수용 신발 바닥에 교체가능하게 수용되는 충격흡수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용 신발 바닥에 대한 충격흡수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용 신발(1)은 그 신발 밑창(2)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a)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a)은 충격을 많이 받거나, 외전 또는 내전 치료용, 걷는 상태, 평발 등의 교정 목적 등으로 신발 바닥 전체에 대해서 충격 흡수력을 달리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분산 배치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0)를 적어도 1개 이상 끼워 맞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격흡수부(10)는 상판(112)과 하판(114)이 원판형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솔리드형 칼럼부(117) 또는 한쌍의 암수 칼럼부(117a, 117b)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완충 스프링(118)을 상기 칼럼부(117) 주위에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10)는 여러 번 사용하여 노화된 경우에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보다 탄성계수가 좋은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벌징현상을 나타내지 아니하며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력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전달되어 충격시 발의 관절과 발목 등 손상되기 쉬운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충격 흡수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흡수부가 노화되었거나, 사용자의 기호, 또는 교정목적에 따라 충격흡수부를 교체할 수 있는 충격 흡수용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 신발 바닥에,신발 바닥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따른 상판과,상기 상판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판과,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교체가능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완충 스트링을 갖는 충격흡수부와,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상기 상판과 하판에 대해서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칼럼부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완충 스트링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완충 스트링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스프링이며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완충 스트링은 탄성계수가 각기 다른 스프링인 충격 흡수용 신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칼럼부는 스폰지 또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판과 하판은 금속판 또는 강화 플라스틱판으로 된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하판은 높이방향으로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스토퍼는 폴리우레탄 소재 제조된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칼럼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며, 하단부에 요부를 갖는 암칼럼부와,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단부에 상기 요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수칼럼부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컬럼부는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전방부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후방부에서 탄성계수가 전방부 보다 큰 충격 흡수용 신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신발은 바닥에 충격 흡수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구비하는 충격 흡수용 신발.
- 신발 바닥에 복수개 형성된 원통형 수용홈과,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충격흡수부과,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상기 상판과 하판에 대해서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칼럼부를 포함하며,상기 충격흡수부는 원판형상판과, 상기 상판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복수개 배치된 완충 스트링을 갖는 걸음 교정용 신발.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홈은 보행시 충격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걸음 교정용 신발.
- 삭제
- 신발 바닥에,신발 바닥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따른 상판과,상기 상판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하판과,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교체가능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완충 스트링과,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상기 상판과 하판에 대해서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스폰지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칼럼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완충 스트링이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충격흡수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복수개의 완충 스트링은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스프링이며 그 상단부 와 하단부에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충격흡수장치.
- 삭제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칼럼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며, 하단부에 요부를 갖는 암칼럼부와,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단부에 상기 요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갖는 수칼럼부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520A KR100876196B1 (ko) | 2007-03-30 | 2007-03-30 | 충격 흡수부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용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1520A KR100876196B1 (ko) | 2007-03-30 | 2007-03-30 | 충격 흡수부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용 신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8786A KR20080088786A (ko) | 2008-10-06 |
KR100876196B1 true KR100876196B1 (ko) | 2008-12-31 |
Family
ID=4015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1520A KR100876196B1 (ko) | 2007-03-30 | 2007-03-30 | 충격 흡수부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용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7619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521B1 (ko) | 2004-10-07 | 2005-01-03 | 박범준 |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용 완충장치 |
KR200405434Y1 (ko) | 2005-10-14 | 2006-01-10 | 오상배 | 기능성 구두 |
KR200406597Y1 (ko) | 2005-11-01 | 2006-01-23 | 찬 수 이 | 탄성신발 |
KR100731793B1 (ko) | 2007-03-16 | 2007-06-25 | 손대근 | 신발 하부 구조체 |
-
2007
- 2007-03-30 KR KR1020070031520A patent/KR1008761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4521B1 (ko) | 2004-10-07 | 2005-01-03 | 박범준 | 충격완화 기능성 웰빙 신발용 완충장치 |
KR200405434Y1 (ko) | 2005-10-14 | 2006-01-10 | 오상배 | 기능성 구두 |
KR200406597Y1 (ko) | 2005-11-01 | 2006-01-23 | 찬 수 이 | 탄성신발 |
KR100731793B1 (ko) | 2007-03-16 | 2007-06-25 | 손대근 | 신발 하부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8786A (ko) | 2008-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43737A (en) | Energy return spring shoe construction | |
KR101991168B1 (ko) | 신발 | |
ES2286019T3 (es) | Zapato amortiguado por muelles. | |
US20140259785A1 (en) | Energy return sole | |
KR100902651B1 (ko) |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 |
JPH05309002A (ja) | 履 物 | |
KR101166466B1 (ko) |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 |
JP2019500088A (ja) | 主としてシューズ用のミッドソール又はインソール | |
US20020083616A1 (en) | Jumping shoe | |
KR101251572B1 (ko) |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 |
KR101298196B1 (ko) |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 |
KR100876196B1 (ko) | 충격 흡수부 및 이를 이용한 충격 흡수용 신발 | |
KR101625917B1 (ko) | 기능성 신발물품 | |
KR200430896Y1 (ko) |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 |
KR101031043B1 (ko) | 스프링 신발 | |
CA1321802C (en) | Jumping shoe | |
KR101131280B1 (ko) |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 |
KR100999900B1 (ko) | 스프링 완충 신발 | |
KR101288691B1 (ko) | 신발 밑창 | |
KR101217094B1 (ko) | 충격흡수 신발 | |
KR100755725B1 (ko) | 장구형 탄성부재가 결합된 신발의 충격 흡수 구조 | |
KR200397212Y1 (ko) | 점핑용 탄성신발 | |
KR102024770B1 (ko) |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
US9339689B2 (en) | Foot exercise device | |
KR101421158B1 (ko) | 다수의 스프링이 구비된 의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