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687B1 -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687B1
KR100874687B1 KR1020080084952A KR20080084952A KR100874687B1 KR 100874687 B1 KR100874687 B1 KR 100874687B1 KR 1020080084952 A KR1020080084952 A KR 1020080084952A KR 20080084952 A KR20080084952 A KR 20080084952A KR 100874687 B1 KR100874687 B1 KR 10087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insulating material
waterproofing
waterproofing materi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범
Original Assignee
안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범 filed Critical 안승범
Priority to KR102008008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687B1/ko
Priority to US13/056,659 priority patent/US8822823B2/en
Priority to PCT/KR2008/005111 priority patent/WO201002448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재(300); 상기 절연재(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형상의 제1보호덮개(100);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는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1방수재(110)의 하단부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2방수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시설물, 절연재, 제1보호덮개, 제2보호덮개, 제11방수재, 제12방수재, 제21방수재, 제22방수재, RFID 태그

Description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Double Water-tight Structure Protecting Device for electric charging part of pole}
본 발명은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재(300); 상기 절연재(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또는 캡 형상의 제1보호덮개(100);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는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1방수재(110)의 하단부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2방수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전력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는 도로 시설물(신호등, 가로등, CCTV, 철재지주 등)은 전력 에너지 충전부가 노출되더라도 문제점이 확인되기까지 그대로 방치되거나, 경보장치 등의 안전 시설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방법으 로는 그 보호장치의 특성 변화나 고장 등의 요인으로 제2의 고장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하여 감전위험 경고표시 및 차단보조장치(특허제10-0553061호), 부분적 방수구조 등이 제시되었으나 그 장치의 제2의 고장에 의한 경비 부담 및 경보확인이 된 후에 문제점 해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며, 주로 이 시간대에 충전부 노출에 의한 문제점이 많이 발생한다.
또 다른 요인(도로 굴착시 지중전력선 선로 손괴, 풍압에 의한 가공전력선 선로 손괴, 또 다른 요인에 의한 수분 침투)에 의한 문제점 해결이 불가능하다.
또 지주의 외주면에 단순 합성수지, 철재코팅, 석재가루 혼합물 붙임, 지주엠보싱 및 엠보싱보호판 등의 광고지 부착방지 방법이 공개되었으나, 이들의 방법은 탈거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우수기에 빗물이 지주를 따라 흘러 내려와 지주의 외주면에 부착된 절연재의 표면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때 전력 에너지의 충전부는 빗물의 경로에 따라 지주 표면에 충전부가 노출되는 치명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의 표면장력의 작용과 폴리머 절연을 근본 원리로 하며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전부의 노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우수기에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쾌적한 안전지수를 항구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보호덮개의 상부 및 하부에 절연재를 이격되게 설치하여 충전부 보호 구역을 이중으로 형성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친환경 절연재의 외주면에 기호, 문자 또는 도형이 새겨지거나 고휘도 반사지기 부착되는 음각부를 제공하여 전단지 부착 방지 및 절연성 강화 효과와 함께 홍보 효과를 부여하여 친환경성과 안정성 및 이미지 개선효과를 동시에 도모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각종 정보가 내장된 RFID 태그를 절연재에 내부에 내장하여 U-city 건설에 기반 시설물로 기여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옥외형 전력시설물의 충전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재(300); 상기 절연재(300)의 상부에 위치 하며 상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형상의 제1보호덮개(100);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는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1방수재(110)의 하단부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2방수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전부의 노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우수기에 도로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안전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보호덮개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절연재를 이격되게 설치하여 충전부 보호구역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밀폐형 충전부 보호구역과 개방형 충전부 보호구역을 형성하여 누설전류 차폐효율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전력시설물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제11방수재(110) 및 제12방수재(120)의 이중 수밀성 구조에 의해 제1보호덮개(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제1보호덮개(1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에서 물분자의 응집력에 의하여 물방울을 형성하면서 자유낙하하여 전력시설물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에 누설전류가 포함된 경우 이를 차폐시키게 되는데, 제2보호덮개(200)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누설전류를 차폐시키게 된다.
셋째, 친환경 절연재의 외주면에 기호, 문자 또는 도형이 새겨지거나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음각부를 제공하여 전단지 부착 방지 및 절연성 강화 효과와 함께 홍보 효과를 부여하여 친환경적 시설 이미지와 감전예방 효과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넷째, 필요 정보가 내장된 RFID 태그를 절연재에 내장함으로써, 도시미관이 깨끗해지며, U-city 건설에 필요한 기반 시설물을 도시의 특성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하고,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3은 (a)제1보호덮개와 그 내부에 설치된 제11방수재 및 제12방수재, (b)제2보호덮개와 그 내부에 설치된 제21방수재 및 제22방수재를 각각 도시한다.
절연재(30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에 부착된다.
절연재(300)는 고무 계열, 우레탄 연질 계열, 실리콘 계열, 프라스틱 계열 등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나 자연석 가루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보호덮개(100)는 절연재(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형상을 하고 있다.
제1보호덮개(100)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다각면을 가진 관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절연재(300)와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는 제11방수재(110)와 제12방수재(120)가 삽입되는데, 제11방수재(110)와 제12방수재(120)는 도3(a)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된다.
즉 제12방수재(120)는 제11방수재(110)의 하단부와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 서술한다면 제11방수재(110)와 제12방수재(120) 사이의 밀폐공간이 밀폐형 충전부 보호구역이 형성되는 영역이고, 제12방수재(120)와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이 개방형 충전부 보호구역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는 절연재(3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전력시설물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제11방수재(110) 및 제12방수재(120)의 이중 수밀성 구조에 의해 제1보호덮개(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제1보호덮개(1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에서 물분자의 응집력에 의하여 물방울을 형성하면서 자유낙하하여 전력시설물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에 누설전류가 포함된 경우 이를 차폐시킨다.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제12방수재(120)는 2개 이상이 이격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가장 아래에 설치되는 제12방수재(120)와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이 개방형 충전부 보호구역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제11방수재(110) 및 제12방수재(120)는 각각 탄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을 향하여 제11방수재(110) 및 제12방수재(12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 제1방수재체결핀(11)에 꽂히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어 절연재(300)와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1보호덮개(100)의 내주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제1보호덮개(100)의 내주면을 따라 한바퀴 돌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보호덮개(100)는 제1보호덮개(10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30)가 구비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제1보호덮개(100)의 절곡 부(130)가 캡(cap) 형상으로 밀폐되어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상단부를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제2보호덮개(200)는 절연재(300)의 하부에 위치(다시 말하면 제1보호덮개(100)의 하부)하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형상을 하고 있다.
제2보호덮개(200)도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다각면을 가진 관 형상이 될 수 있다.
절연재(300)와 제2보호덮개(200) 사이에는 제21방수재(210)와 제22방수재(220)가 삽입되는데, 제21방수재(210)와 제22방수재(22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된다.
즉 제22방수재(220)는 제21방수재(210)의 하단부와 제2보호덮개(2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더 상세히 서술한다면 제21방수재(210)와 제22방수재(220) 사이의 밀폐공간이 밀폐형 충전부 보호구역이 형성되는 영역이고, 제22방수재(220)와 제2보호덮개(200) 하단부 사이의 개방공간이 개방형 충전부 보호구역이 형성되는 영역인데, 제2보호덮개(200), 제21방수재(210) 및 제22방수재(220)의 구조도 상기 제1보호덮개(200), 제11방수재(110) 및 제12방수재(120)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로써 수밀성 강화에 의해 효율적으로 누설전류 차폐지수를 향상시키며 안정적 시공이 가능하다.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제22방수재(220)도 2개 이상이 이격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가장 아래에 설치되는 제22방수재(220)와 제2보호덮개(200)의 하단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이 개방형 충전부 보호구역이 형성되는 영역이 된다.
제21방수재(210) 및 제22방수재(220)는 각각 탄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을 향하여 제21방수재(210) 및 제22방수재(22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 제2방수재체결핀(22)에 꽂히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어 절연재(300)와 제2보호덮개(200) 사이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2보호덮개(200)의 내주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제2보호덮개(200)의 내주면을 따라 한바퀴 돌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보호덮개(100) 및 제2보호덮개(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볼트 및 너트(33)에 의하여 관 형상으로 조립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제1보호덮개(100) 및 제2보호덮개(200) 각각의 부분에는 볼트 및 너트(33)를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수용홈부(44)가 구비된다. 또한 일체형으로 될 경우에는 제1보호덮개(100)와 제2보호덮개(200)가 분리형보다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도1 및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덮개(100)의 상부에 다수 개의 장식링(140)이 간격을 유지하며 제1보호덮개(1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제1보호덮개(100), 장식링(140), 및 제2보호덮개(200)의 표면을 불소수지도장과 같은 내환경성 수지로 도장처리를 하고, 제1보호덮개(100) 및 장식링(140)의 외주면에 EL(Electro Luminescence) 시트와 같은 시트형태의 냉음극 발광체(150) 를 부착하여 발광이 되도록 한다. 상기 서술한 제1보호덮개(100)와 제2보호덮개(200)는 철재가공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기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내환경성 합성수지로 압출성형 방법으로 가공이 가능하며, 그 표면은 특수도장으로 여러 색상의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다.
제1보호덮개(100) 및 제2보호덮개(200) 사이의 절연재(300)의 표면에는 기호, 문자, 또는 도형이 새겨지거나,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음각부(320)를 형성한다.
절연재(300)에 내장되고, 시설물의 위치, 방향, 관리번호, 및 보수이력을 포함한 필요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31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a)제1보호덮개와 그 내부에 설치된 제11방수재 및 제12방수재, (b)제2보호덮개와 그 내부에 설치된 제21방수재 및 제22방수재를 각각 도시한 실시도이다.
도4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보호덮개
110:제11방수재
120:제12방수재
130:절곡부
140:장식링
150:냉음극발광체
200:제2보호덮개
210:제21방수재
220:제22방수재
300:절연재
310:RFID 태그
320:음각부
11:제1방수재체결핀
22:제2방수재체결핀
33:볼트 및 너트
44:수용홈부

Claims (10)

  1. 옥외형 전력시설물의 충전부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충전부 외주면에 부착되는 절연재(300);
    상기 절연재(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형상의 제1보호덮개(100);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상단부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제11방수재(110)의 하단부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2방수재(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는 상기 절연재(3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전력시설물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제12방수재(120)의 이중 수밀성 구조에 의해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하단부에서 물분자의 응집력에 의하여 물방울을 형성하면서 자유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제12방수재(120)는 각각 탄성수지를 이용하여 관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1보호덮개(100) 사이에 삽입되거나,또는 스트랩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11방수재(110) 및 상기 제12방수재(12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 제1방수재체결핀(11)에 꽂히거나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내 주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내주면을 따라 한바퀴 돌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절연재(300)에 내장되고, 시설물의 위치, 방향, 관리번호, 및 보수이력을 포함한 필요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31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절연재(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재(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관 형상의 제2보호덮개(200);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상단부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제21방수재(210); 및,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2보호덮개(200)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제21방수재(210)의 하단부와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2방수재(22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하단부는 상기 절연재(3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전력시설물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제21방수재(210) 및 상기 제22방수재(220)의 이중 수밀성 구조에 의해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외측 표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하단부에서 물분자의 응집력에 의하여 물방울을 형성하면서 자유낙하하고,
    상기 제21방수재(210) 및 상기 제22방수재(220)는 각각 탄성수지를 이용하여 관 형상의 하우징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절연재(300)와 상기 제2보호덮개(200) 사이에 삽입되거나,또는 스트랩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제21방수재(210) 및 상기 제22방수재(22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된 제2방수재체결핀(22)에 꽂히거나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내주면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내주면을 따라 한바퀴 돌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보호덮개(100)는,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30)가 구비되거나,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절곡된 상단부가 캡(cap) 형상으로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2방수재(120) 또는 상기 제22방수재(220)는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다중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보호덮개(100) 및 상기 제2보호덮개(200)는 중심축을 따라 절개된 2개의 조각으로 구분되고, 볼트 및 너트(33)에 의하여 관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보호덮개(100) 및 상기 제2보호덮개(200) 각각의 조각에는 상기 볼트 및 너트(33)를 수용하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수용홈부(44);
    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1보호덮개(100)의 상부에 다수 개의 장식링(140)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보호덮개(1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보호덮개(100), 상기 장식링(140), 및 상기 제2보호덮개(200)의 표면을 내환경성 수지로 도장처리를 하고,
    상기 상기 제1보호덮개(100) 및 상기 장식링(140)의 외주면에 시트형태의 냉음극 발광체(15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1보호덮개(100) 및 상기 제2보호덮개(200) 사이의 상기 절연재(300)의 표면에 기호, 문자, 또는 도형이 새겨지거나,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음각 부(320);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KR1020080084952A 2008-08-29 2008-08-29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KR10087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52A KR100874687B1 (ko) 2008-08-29 2008-08-29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US13/056,659 US8822823B2 (en) 2008-08-29 2008-09-01 Double water-tight structure protecting device for electric charging part of pole
PCT/KR2008/005111 WO2010024487A1 (en) 2008-08-29 2008-09-01 Double water-tight structure protecting device for electric charging part of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52A KR100874687B1 (ko) 2008-08-29 2008-08-29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687B1 true KR100874687B1 (ko) 2008-12-18

Family

ID=4037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952A KR100874687B1 (ko) 2008-08-29 2008-08-29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22823B2 (ko)
KR (1) KR100874687B1 (ko)
WO (1) WO20100244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29B1 (ko) * 2014-03-11 2015-03-03 안승범 일체형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008B1 (ko) * 2006-12-06 2007-04-16 상지이앤씨(주)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44678C (en) * 1991-03-25 2002-04-23 David A. Cowan Plastic fencing with reflective tape
US5266742A (en) * 1991-05-23 1993-1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Longitudinal water-tight cable sleeve
EP0767523A3 (en) * 1995-10-02 1997-07-23 Minnesota Mining & Mfg Improved wrapping device
US5912433A (en) * 1997-01-17 1999-06-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able closure injection sealed with low surface energy adhesive
ATE328388T1 (de) * 2000-03-07 2006-06-15 Tyco Electronics Raychem Nv Kabelabdichtung
US7014513B2 (en) * 2002-10-09 2006-03-21 Swenco Products, Inc. Weathertight electrical connector
KR100460796B1 (ko) * 2003-03-26 2004-12-09 주식회사 탑스코 절연특성을 갖는 피막층이 표면에 형성된 노상 전기시설물및 그 피막층의 형성방법
EP1744403B1 (en) * 2004-04-26 2011-06-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method for wire connecting part
KR100783041B1 (ko) 2005-05-17 2007-12-07 박재욱 기둥 보호 덮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7130811A2 (en) * 2006-05-05 2007-1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ubular terminal for a cable
US7531748B2 (en) * 2006-06-07 2009-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ing apparatus
KR100712318B1 (ko) * 2006-11-29 2007-05-02 (주)선진전력기술단 건축외각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KR100778210B1 (ko) * 2007-03-24 2007-11-22 김두영 날개 커버를 갖는 가로등 누수방지용 패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008B1 (ko) * 2006-12-06 2007-04-16 상지이앤씨(주) 건축외곽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329B1 (ko) * 2014-03-11 2015-03-03 안승범 일체형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2636A1 (en) 2011-06-09
WO2010024487A1 (en) 2010-03-04
US8822823B2 (en)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492B1 (ko) 시선유도봉
KR101190546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KR100851532B1 (ko) 도로 표시장치
KR101178092B1 (ko) 길알리미 기능을 겸비한 다용도 등주커버
KR100874687B1 (ko) 관등회로 전력시설물의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KR100712318B1 (ko) 건축외각 가로등의 감전예방 시설구조
KR100877617B1 (ko) 합성수지관과 금속관에 의한 이중 구조로 된 가로등용 지주
KR20080096216A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1497329B1 (ko) 일체형 이중수밀성 구조 충전부 보호장치
KR20050032558A (ko)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KR100751285B1 (ko)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가로등의 기둥
KR200219084Y1 (ko) 차선규제봉
KR200329392Y1 (ko) 광고등을 구비한 가로등
KR200356548Y1 (ko) 조명 울타리
KR100650928B1 (ko) 지주형 시설물 충전부 보호장치
KR20110028973A (ko) 투명 커버가 구비된 가로등주
CN107068005A (zh) 电缆走廊指示装置
KR20220064119A (ko) 모듈형 맨홀 커버
CN201936569U (zh) 一种长余辉自发光地面标志
JP7168924B1 (ja) 注意喚起用安全点灯具
KR20090004779U (ko) 가로등의 지주구조
KR100640148B1 (ko) 도로시설물 보호표지판
KR102540140B1 (ko) 반사판 보호수단을 가지는 볼라드
CN214783386U (zh) 一种交通标线发光指示灯
CN219157317U (zh) 一种具备发光功能的路缘石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