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220B1 -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220B1
KR100874220B1 KR1020070070127A KR20070070127A KR100874220B1 KR 100874220 B1 KR100874220 B1 KR 100874220B1 KR 1020070070127 A KR1020070070127 A KR 1020070070127A KR 20070070127 A KR20070070127 A KR 20070070127A KR 100874220 B1 KR100874220 B1 KR 100874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air
mousse
hair dye
brush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칼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칼라
Priority to KR102007007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12Devices for colouring or bleaching separated strands of hair, e.g. high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졸(aerosol) 혹은 스퀴즈(squeeze) 타입으로 분출되는 두발용 화장품(hair cosmetics) 및 염모제(hairdye)가 충진된 약액통(용기)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헤어 브러쉬(hair brush)에 관한 것으로, 누름버튼의 가압을 통해 약액통에 내장된 무스나 염모제를 분출시켜 모발을 도포하는 브러쉬 작동부; 및 약액통의 노즐 부위 외측에 체결되며, 연결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이 연결체의 양쪽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가 구비된 체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브러쉬 작동부의 연결체의 하부는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 끝단부는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부와 파열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빗살 좌우로 분출공이 형성되고 분출공과 외측빗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내용물이 굴러다니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균일하게 두피를 도포할 수 있으며, 분출공이 형성된 내측판이 브러쉬헤드와 분리될 수 있어 분출공의 세척으로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파열성 결합부를 채택함으로서 제품의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하고 연결체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브러쉬와 두피 및 모발간의 마찰을 완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헤어 브러쉬, 무스, 젤, 염모제

Description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Brush for hair cosmetics and hairdye}
도 1은 약액통과 브러쉬가 일체로 되어 있는 종래의 헤어 브러쉬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a) 및 사시도(도 1b).
도 2는 약액통과 브러쉬가 일체로 되어 있는 또 다른 종래의 헤어 브러쉬를 나타내는 정면도(도 2a) 및 사시도(도 2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작동부에 약액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작동부의 브러쉬헤드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약액통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에어졸(aerosol) 혹은 스퀴즈(squeeze) 타입으로 분사 및 분출되 는 두발용 화장품(hair cosmetics) 및 염모제(hairdye)용 브러쉬(brush)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스(mousse), 젤(gel), 헤어코팅제 또는 염모제(hairdye) 등이 내부에 충진된 약액통(용기)에 브러쉬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손에 묻히지 않고 두발에 직접 시술하여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간편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약액통과 브러쉬가 결합된 형태의 헤어 브러쉬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50291호(도 1 참조)에서는 브러쉬의 정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일련의 빗살(25)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공(22)을 통해서 내용물이 분출되는 방식이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0351호(도 2 참조)에서는 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일련의 약제배출빗살(35)이 구비되어 있는 약제배출브러쉬(30)가 본체(29)의 정중앙부에 삽입되는 방식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모두 브러쉬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일의 빗살라인을 통해서만 내용물이 분출되는 관계로 모발을 골고루 도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빗살 끝부분 혹은 빗살의 끝단 측면부분에 분출공이 형성되거나 브러쉬의 몸체면에 형성되어 있다하더라도 촘촘히 다수 형성된 빗살로 인하여 내용물이 분출되는 경우 한데 뭉쳐져 커다란 거품형태의 포옴(foam)을 이루게 되어 모발에 굴러다니거나 브러쉬에서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빗살이 브러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분출공이 빗살 끝부분에 형성되거나 브러쉬 몸체면에 형성되어있어 사용 후 남은 무스나 염모제의 응고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분출공의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세척하거나 뚫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가 제품을 구입할 시 제품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브러쉬부에 빗살이 촘촘히 다수 형성되고, 작동부에 유연성이 없어서 무스나 염모제를 두발에 시술할 경우 브러쉬에 형성된 빗살과 두피 및 모발간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하여 두피와 모발이 손상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빗살의 좌우 양측으로 다수개의 분출공이 뚫려있는 내측판을 브러쉬헤드의 외측빗살 내부면에 결착시켜, 분출되는 내용물이 내측빗살을 따라 양쪽으로 분리되되 외측빗살에 의해 외측빗살과 내측빗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갇히게 되어 흘러내리지 않고 내용물이 굴러다니더라도 내측빗살에 의하여 외측빗살과의 사이에 있는 공간에서 막아주고 내측빗살이 머리에 저항을 주게되어 내용물이 모발에 골고루 시술되도록 하며, 분출공에 막힘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분출공이 뚫려있는 내측판을 브러쉬헤드에서 분리하여 세척하여 해결하고, 파열성 결합부를 통해 제품의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하고, 연결체와 가이드사이 의 간격과 파열성 결합을 통하여 작동부의 탄성 및 유연성을 확보토록함으로써 두피와 모발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약액통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약액통의 노즐을 누르면 상기 약액통에 내장된 무스나 염모제가 분출공을 통해 분출되어 모발을 도포하는 헤어 브러쉬에 있어서, 누름버튼(530)의 가압을 통해 약액통(1)에 내장된 무스나 염모제를 분출시켜 모발을 도포하는 브러쉬 작동부(500); 및 약액통(1)의 노즐(2) 부위 외측에 체결되며, 연결체(5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520)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이 연결체(520)의 양쪽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410a, 410b)가 구비된 체결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의 연결체(520)의 하부는 상기 체결부(400)와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530)의 하단 끝단부는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부(400)와 파열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는 상기 약액통(1)의 노즐(2)이 삽입되어 무스 또는 염모제를 브러쉬헤드(540)로 이동하는 분출통로(510); 상기 분출통로(510)의 하단부가 상기 약액통(1)의 노즐(2)을 가압하도록 하는 누름버튼(530);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를 상기 체결부(400)와 연결시키 며 작동 후 자동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연결체(520); 및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분출통로(510)가 연결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이동되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분출되어 모발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헤드(540);로 구성되되 전체가 일체형으로 제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누름버튼(530)은 하단 끝단부가 파열성 결합부(531)를 통해 상기 체결부(400)와 파열 가능하게 연결형성되어 있어 원터치방식에 따른 사용시 제품의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한쌍의 가이드(410a, 410b)는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의 연결체(520)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이 상기 연결체(520)의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410a, 410b)와 상기 연결체(520)가 연속하는 형태의 곡면을 이루면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브러쉬헤드(540)는 다수개의 외측빗살(541)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중앙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분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빗살(541) 안쪽으로는 내측판(5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A)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빗살(541)을 경계로 그 내측에는 일련의 내측빗살(551)이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그 좌우 양측 방향으로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분출되는 분출공(552)이 다수개 뚫려 있는 내측판(550)이 삽입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헤드(540)는 상기 분출통로(510)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져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브러쉬헤드(540)는 다수개의 외측빗살(541)과 내측빗살(551) 사이에 공간부(B)를 형성하여 분출공(552)을 통해 분출되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상기 브러쉬헤드(540) 내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인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작동부에 약액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작동부의 브러쉬헤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가 약액통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액통(1)의 상부 노즐(2) 부위의 외측으로 체결부(400)가 결착되게 되는데, 상기 체결부(400)의 상부면에는 브러쉬 작동부(500)의 연결체(5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520)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이 연결체(520)의 양쪽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410a, 410b)가 돌출되어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로 하여금 작동시 좌우로 어긋나거나 뒤틀리지 않고 상기 가이드(410)를 따라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 도록 한다.
브러쉬 작동부(500)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410)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의 연결체(520)의 하부가 상기 체결부(4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410)가 돌출되는 접지부위에서 상기 체결부(40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써 상기 가이드(410)와 상기 연결체(520)가 연속하는 형태의 곡면을 이루면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도 3a 참조). 한편,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의 누름버튼(530)의 끝단부는 파열성 결합부(531)를 통해 상기 체결부(400)와 파열 가능하게 연결형성된다(도 3b 참조).
도 4 및 도 5에서는 브러쉬 작동부(5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약액통(1)의 노즐(2)에 삽입되어 무스 또는 염모제를 브러쉬헤드(540)로 이동하는 분출통로(510); 상기 분출통로(510)가 상기 약액통(1)의 노즐(2)을 가압하도록 하는 누름버튼(530);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를 상기 체결부(400)와 연결시키며 작동 후 자동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연결체(520); 및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분출통로(510)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이동되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분출되어 모발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헤드(540); 다수개의 외측빗살(541)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중앙부의 수직방향으로 분출통로가 형성되고 외측빗살 안쪽으로는 내측판(5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빗살(541)을 경계로 그 내측에는 일련의 내측빗살(551)이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 고, 그 좌우 양측 방향으로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분출되는 분출공(552)이 다수개 뚫려 있는 내측판(550)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400)에 체결된 약액통(1)의 노즐(2)은 상기 분출통로(510)에 삽입되어 체결을 이룬다. 상기 분출통로(510)가 노즐(2)에 삽입되는 위치에는 누름버튼(530)이 구비되어 있어 이를 누르게 되면 상기 분출통로(510)가 상기 노즐(2)을 가압하게 됨에따라 상기 약액통(1) 내에 저장된 무스 또는 염모제가 배출되어 상기 분출통로(510)를 따라서 브러쉬헤드(54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530)의 하부는 파열성 결합부(531)를 통해 상기 체결부(400)와 연결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원터치방식에 따라 상기 누름버튼(530)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파열성 결합부(531)의 연결형성된 부분이 끊어지게 되어 당해 상품이 신제품인지 사용된 제품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누름버튼(530)의 맞은편 측면에는 연결체(52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를 상기 체결부(400)와 일체형으로 연결형성시키며, 상기 누름버튼(530)에 의한 작동 후 원위치로 자동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따라서, 상기 파열성 결합부(531)와 함께 탄성력을 갖는 연결체(520)가 한쌍 의 가이드(410)와 사이가 떨어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연결체(520)와 브러쉬헤드(540)가 구비된 작동부(500)가 전후, 좌우로 유연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모발에 내용물을 도포할때 발생되는 브러쉬헤드와 두피 및 모발간의 마찰을 완충하는 작용을 하여 두피 및 모발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분출통로(510)의 노즐(2)체결 반대측 위치인 상부에는 손으로 약액통(1)을 잡고 모발에 시술하는데 있어 보다 효과적이며 편리하도록 브러쉬헤드(54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져 형성되고, 머리결이 외측빗살(541)에 엉키지 않으면서 내용물도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움직여서 모발에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브러쉬헤드(540)를 타원형으로 형성한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상기 브러쉬헤드(540)의 중앙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분출통로(510)가 연결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쉬헤드(540)의 가장자리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다수개의 외측빗살(541)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빗살(541)을 경계로 그 내측으로는 내측판(5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판(550)의 중심부에는 일련의 내측빗살(551)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그 좌우 양측 방향으로는 다수개의 분출공(552)이 뚫려 있고 내측빗살(551)이 있는 내측판(550)의 뒤쪽면 하단부에는 돌출부(553)를 형성하여 브러쉬헤드(540)에 형성된 분출통로(510)에 삽입되는 결착력을 강화한다.
따라서, 상기 분출통로(51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좌우 분출공(552)을 통해 분출되는 무스 또는 염모제는 중심부의 내측빗살(551)에 의해 분리되고 분출공과 외측빗살사이의 공간과 브러쉬헤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외측빗살(541)에 의해 상기 브러쉬헤드(540) 내에 모이게 되어 흘러내림이 없이 모발을 골고루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출공(552)이 뚫려있는 상기 내측판(550)은 상기 브러쉬헤드(540)에 끼움결합을 통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후 남은 무스나 염모제의 응고 및 먼지 등으로 인하여 상기 분출공(552)의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내측판(550)을 분리하여 세척해 줌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브러쉬 작동부(500)와 체결부(400)는 모두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써, 제작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구성요소의 단순화에 따른 제조원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빗살의 좌우로 분출공이 형성되고 내측빗살과 외측빗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이 한데 뭉쳐 거대한 포옴(foam)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굴러다니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두피를 골고루 도포할 수 있으며, 분출공이 형성된 내측판이 브러쉬헤드와 끼움결 합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분리될 수 있어서 분출공의 세척이 가능하여 분출공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열성 결합부를 채택함으로서 제품의 사용여부 확인이 가능함은 물론 연결체의 유연성도 확보되어 브러쉬와 두피 및 모발간의 마찰을 완충할 수 있어 두피 및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약액통(1)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약액통(1)의 노즐(2)을 누르면 상기 약액통(1)에 내장된 무스나 염모제가 분출공을 통해 분출되어 모발을 도포하는 헤어 브러쉬에 있어서,
    누름버튼(530)의 가압을 통해 약액통(1)에 내장된 무스나 염모제를 분출시켜 모발을 도포하는 브러쉬 작동부(500); 및
    약액통(1)의 노즐(2) 부위 외측에 체결되며, 연결체(5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체(520)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이 연결체(520)의 양쪽으로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410a, 410b)가 구비된 체결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의 연결체(520)의 하부는 상기 체결부(400)와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530)의 하단 끝단부는 힘을 가하면 상기 체결부(400)와 파열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는 상기 약액통(1)의 노즐(2)이 삽입되어 무스 또는 염모제를 브러쉬헤드(540)로 이동하는 분출통로(510);
    상기 분출통로(510)의 하단부가 상기 약액통(1)의 노즐(2)을 가압하도록 하는 누름버튼(530);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를 상기 체결부(400)와 연결시키며 작동 후 자동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연결체(520); 및
    중앙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분출통로(510)가 연결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이동되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분출되어 모발을 골고루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브러쉬헤드(540);로 구성되되, 전체가 일체형으로 제작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530)은 하단 끝단부가 파열성 결합부(531)를 통해 상기 체결부(400)와 파열 가능하게 연결형성되어 있어 원터치방식에 따른 사용시 제품의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410a, 410b)는 상기 브러쉬 작동부(500)의 연결체(520)의 단면형상과 같은 형상이 상기 연결체(520)의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가이드(410a, 410b)와 상기 연결체(520)가 연속하는 형태의 곡면을 이루면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헤드(540)는 다수개의 외측빗살(541)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중앙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분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빗살(541) 안쪽으로는 내측판(5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A)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빗살(541)을 경계로 그 내측에는 일련의 내측빗살(551)이 중심부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그 좌우 양측 방향으로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분출되는 분출공(552)이 다수개 뚫려 있는 내측판(550)이 삽입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헤드(540)는 상기 분출통로(510)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져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헤드(540)는 다수개의 외측빗살(541)과 내측빗살(551) 사이에 공간부(B)를 형성하여 분출공(552)을 통해 분출되는 무스 또는 염모제가 상기 브러쉬헤드(540) 내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KR1020070070127A 2007-07-12 2007-07-12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KR100874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27A KR100874220B1 (ko) 2007-07-12 2007-07-12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127A KR100874220B1 (ko) 2007-07-12 2007-07-12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220B1 true KR100874220B1 (ko) 2008-12-16

Family

ID=4037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27A KR100874220B1 (ko) 2007-07-12 2007-07-12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2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226A2 (ko) * 2009-03-19 2010-09-23 Seo Won Tae 모발 염색용 브러시
KR20140110263A (ko) *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구 체결장치
KR101854327B1 (ko) * 2017-01-25 2018-05-03 민병선 염색약 용기
US11523672B2 (en) 2019-04-14 2022-12-13 Toly Management Ltd. Cosmetic applicator with flexible fluid retaining por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0405A (en) * 1998-03-24 1999-12-14 L'oreal S.A. Dispensing head for dispensing product from a reservoir
JP2002253333A (ja) 2001-01-04 2002-09-10 L'oreal Sa 毛髪用製品を収容し塗布するための装置
KR200289104Y1 (ko) 2002-05-13 2002-09-13 주영숙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의 혼합용 브러쉬
KR200433054Y1 (ko) 2006-09-26 2006-12-07 정희선 혼합용 분무 브러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0405A (en) * 1998-03-24 1999-12-14 L'oreal S.A. Dispensing head for dispensing product from a reservoir
JP2002253333A (ja) 2001-01-04 2002-09-10 L'oreal Sa 毛髪用製品を収容し塗布するための装置
KR200289104Y1 (ko) 2002-05-13 2002-09-13 주영숙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의 혼합용 브러쉬
KR200433054Y1 (ko) 2006-09-26 2006-12-07 정희선 혼합용 분무 브러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226A2 (ko) * 2009-03-19 2010-09-23 Seo Won Tae 모발 염색용 브러시
WO2010107226A3 (ko) * 2009-03-19 2011-01-27 Seo Won Tae 모발 염색용 브러시
KR20140110263A (ko) * 2013-03-07 2014-09-17 주식회사 탭코리아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구 체결장치
KR101854327B1 (ko) * 2017-01-25 2018-05-03 민병선 염색약 용기
US11523672B2 (en) 2019-04-14 2022-12-13 Toly Management Ltd. Cosmetic applicator with flexible fluid retaining por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0985B1 (en) Head-hair treatment-agent applicator
KR100874220B1 (ko)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용 브러쉬
CN101146472B (zh) 使用具有液体储存器及可更换无纺织垫的装置的清洁方法
KR20160096079A (ko) 오랄케어 도구
KR200433054Y1 (ko) 혼합용 분무 브러쉬
EP2120619B1 (en) A tool for hair extension removal
US20130198988A1 (en) Tooth cleaning device
DE20009791U1 (de) Haarpflegegerät
KR101773110B1 (ko) 물 분사용 칫솔
US20110271981A1 (en) Cleaner
JP2535110B2 (ja) 泡状化粧料塗布用具
KR102059506B1 (ko) 세척기능이 마련된 칫솔
US6568024B2 (en) Cleaning tool
KR101630758B1 (ko) 세척솔
US20120279513A1 (en) Liquid dispensing comb
JP2002065338A (ja) 塗布具付きの頭髪化粧用中空容器
KR20180121090A (ko) 염색용 빗
KR200270870Y1 (ko) 브러쉬용 헤드를 갖는 샤워기
JP5220422B2 (ja) 櫛歯付き塗布用具
KR200463141Y1 (ko)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분사장치
JP6632305B2 (ja) 二剤吐出装置の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二剤吐出装置
KR20040061938A (ko) 두발용 화장품 및 염모제 혼합용 브러쉬 및 그 제조방법
JPH0518972Y2 (ko)
KR20200145518A (ko) 탈부착이 가능한 브러쉬 샤워기
KR102561674B1 (ko) 두피 케어용 에어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