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953B1 -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953B1
KR100873953B1 KR1020070082939A KR20070082939A KR100873953B1 KR 100873953 B1 KR100873953 B1 KR 100873953B1 KR 1020070082939 A KR1020070082939 A KR 1020070082939A KR 20070082939 A KR20070082939 A KR 20070082939A KR 100873953 B1 KR100873953 B1 KR 10087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eam generator
heat transfer
stopper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김우성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22Drums; Header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221Covers for drums, collectors, manholes or the like
    • F22B37/223Boiler plugs, e.g. for hand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산 형태의 인출팁을 관마개와 결합시킨 후 작동기를 이용하여 전열관으로부터 쉽고 용이하게 인출해내도록 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증기발생기의 튜브시트측에 설치된 이송수단에 연결되어 전열관에 용접된 관마개를 인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수단이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측에 지지되어 상기 관매개에 결합되는 인출팁을 갖는 인출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로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관마개 결합유닛; 및 상기 관마개에 인출팁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을 하강 동작시켜 전열관으로부터 관마개를 인출해내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달성된다.
증기발생기, 전열관, 관마개

Description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Device for pulling welded plug installed in the damaged heat exchanger tubes in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산 형태의 인출팁을 관마개와 결합시킨 후 작동기를 이용하여 전열관으로부터 쉽고 용이하게 인출해내도록 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의 제작 과정에 결함이 있는 전열관을 폐쇄하기 위해 용접식 관막음을 수행한다. 그러나 발전소 운전 중 증기발생기의 결함 전열관을 폐쇄한 관마개가 부식 분위기에서 결함이 발생, 성장 할 수 있다. 또한 제작 과정에서 설치된 관마개가 발전소 운전 중이나 검사 기간 중에 결함이 발견되면 관마개를 외부로 인출한 후 용접식 관마개를 재 설치한다.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는 원자로에서 생성된 방사능이 함유된 고온, 고압의 1차 냉각수(Primary Coolant)가 튜브 내면을 흐르게 함으로서 튜브 외부의 차가운 급수(Feed Water)를 데워서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터빈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설비이다.
또한, 증기발생시 제작 과정에 튜브 내면 상태를 와전류 검사(ECT)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검사 결과 결함이 발견된 튜브 중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발전소 운전 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튜브는 원형 모양의 용접식 관마개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폐쇄된다. 작업 방법은 튜브 내면에 원형 관마개를 삽입한 후 튜브, 튜브시트 및 관마개 3종 재료를 동시에 용접하는 방식이며, 용접식 관막음(Welded Plugging)이라 일컫는다.
하지만 장기간(수년 혹은 수십년) 운전 중 혹은 운전 후 증기발생기 튜브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에 부식 분위기나 외부 충격에 의해 결함들이 성장하거나 발생할 수 있다.
증기발생기는 내부에 방사능 수가 흐르고 있어 용접식 관마개에 결함이 발생하여 외부로 이 방사능수가 누수 되었을 경우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사고로 이어지게 되므로 용접식 관마개를 제거하여 재보수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용접식 관마개가 있는 증기발생기의 채널헤드 내부는 방사능이 다량으로 분포 되어 있어 내부에서 작업 시 작업자가 방사능 피폭을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용접식 관마개를 제거하고 재 설치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를 자동 인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첨부된 예시 도면 도 1은 증기발생기의 개략도로서, 증기발생기(11)의 내부에는 튜브(1)(이하 "전열관"이라고 함)가 다수(수천개)개 입설되어 있고, 하부에는 튜브시트(2) 및 채널헤드(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증기발생기(11)는 다수 구비된 전열관(1)을 통해 1차 냉각수와 급수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증기가 발생하고, 이 증기를 터빈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채널헤드(3)는 원자로에서 발생된 방사능 함유 1차 냉각수의 입출입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첨부된 예시 도면 도 2는 증기발생기(11) 제작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된 전열관(1) 내부에 설치될 용접식 관마개(6) 형상과 억지(강제) 끼워 맞춤으로 설치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의 (가)와 같이 용접식 관마개(6)는 내부가 협소한 홈(7)이 형성 되어 있으면서 상단부의 일정부분이 나사홈(8)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는 전열관 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9)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식 관마개(6)는 도 2의 (나)와 같이 결함 전열관(1) 내부에 일정 부분 삽입 후 작업자가 해머로 용접식 관마개(6)를 두드려 일정 부분을 전열관(1) 내부로 삽입 시키는 것으로 작업이 마무리 된다. 다음, 용접식 관마개(6)는 도 2의 (다)와 같이 전열관(1) 및 튜브시트(2)와 만나는 최하단부 영역에서 서로 용접(10) 되어 결함 전열관(1)을 영구적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예시된 도 3a 및 도 3b는 미국 특허 제6189212호의 구성도로서, 용접식 관마개가 아닌 임시 관마개를 인출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증기발생기 전열관에 결함이 발생하면 외부로 방사능수가 누출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결함이 발생하였 을 경우에는 임시로 그 전열관을 임시 관마개를 이용하여 관막음 보수를 실시하며, 이 관막음이 통상 5~10%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정비 기간에 관재생 보수를 하게 된다. 관재생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설치된 임시 관마개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임시 관마개 설치 시 잘못 설치된 관마개가 발생할 경우에도 제거를 해 주어야 한다. 임시 관마개는 용접식 관마개와 달리 전열관(1) 및 튜브시트(2)와 용접을 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다.
도 3a는 임시 관마개 설치도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28, 88) 내부에 임시 관마개(42)를 삽입한 후 연결봉(44)과 임시 관마개 확장 기구(46)를 하강 시켜 임시 관마개 외관(52)을 전열관 내면으로 확장 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전열관 내면과 외관(52)이 접촉하여 관마개 설치가 완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임시 관마개(42)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임시 관마개 외면과 전열관(28, 88) 내면간 접촉 영역(60)을 느슨하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본 선행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드릴링으로 임시 관마개(42)와 전열관(28, 88) 내면간 접촉된 부분까지 제거하게 된다.
드릴링 작업이 완료된 임시 관마개(42)는 도 3b와 같은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최종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인출 작업은 다음과 같다.
인출 장치에 연결된 그리핑 도구(120)의 콜레트 구동기(126)와 그리핑 표면(124)은 임시 관마개 상단부(64)까지 삽입되어 최종 임시 관마개 내면과 접촉하게 된다.
구동 피스톤(125)은 슬라이드식 구동 축(127)과 연결되어 있으며, 콜렉트 구동기(126)와 그리핑 표면(124)이 임시 관마개(42) 내면과 접촉하게 도움을 준다. 즉, 콜렉트 구동기(126)와 연결된 구동 축(127)이 구동 피스톤(125)에 의해 하강하고, 그로 인해 콜렉트 구동기(126)가 그리핑 표면(124)을 임시 관마개 상단부(64) 내면으로 확장시켜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드식 구동 축(127)은 구동 피스톤(125)과 연결되어 있어 전진/후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핑 표면(124)이 임시 관마개 내면과 접촉이 완료가 되면 그리핑 도구(120)를 하강 시켜 외부로 임시 관마개(42)를 인출하게 된다. 그리핑 도구(120)는 인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뉴플레이터(manipulator)에 장착되어 운영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하는 종래 관마개 인출장치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임시 관마개 확관 부위까지 드릴링 작업 시 전열관 표면에 손상을 줄 소지가 있다.
(2) 드릴링 작업 시 전열관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작업 수행 시 일부 제거가 안된 관마개 잔존물과 버(Burr)로 인해 그리퍼 가이드가 원활히 삽입되지 않아 인출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3) 그리퍼 가이드가 원활하게 전열관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기구가 없다.
(4) 인출 장치와 튜브시트간 수평을 이룰 수 없어 콜렉트 구동기, 그리핑 표면 및 그리퍼 가이드가 전열관 내부로 원활히 삽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5) 내부 나사산 형태의 용접식 관마개 제거는 일부 전열관, 용접부 및 관마개 일부가 제거된 후 인출된다. 따라서 인출하기 전 관마개 내부가 드릴링 작업에 의해 공간이 협소하여 그리핑 표면이 내부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작아져 관마개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증기발생기의 튜브시트측에 설치된 이송수단인 메뉴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전열관에 용접된 관마개를 인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인 상기 메뉴플레이트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수단으로 도보테일로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측에 지지되어 상기 관마개에 결합되는 인출팁을 갖는 인출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로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관마개 결합유닛; 및
상기 관마개에 인출팁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을 하강 동작시켜 전열관으로부터 관마개를 인출해내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출팁은 외주면에 관마개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전열관과 이웃한 타 전열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출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프레임의 수평유지와 전열관에 용접된 관마개의 인출시 인출장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복수개 이상의 포지셔닝 바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지셔닝 바에는 관마개 인출 작업시 인출장치의 수평유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인 근접센서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출팁이 관마개와 결합되는 되는 것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은,
상기 액튜에이터의 작동력으로 승강 동작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세워설치된 복수개의 스플라인축과;
상기 스플라인축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발지지력을 받도록 설치된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인출로드를 관통삽입하여 상기 스플라인축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와 인출로드를 연결시키는 커플러를 구비하여, 연결플레이트에 장착된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 인출로드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케이싱은 하부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기 액튜에이터의 실린더 로드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기 구동력으로 인출 작업이 이루어져 손쉽게 용접식 관마개를 인출하는데 용이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포스트에 의해 정확한 인출위치가 확보되고, 포지션 바 및 근접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작업 시 발생될 수 있는 외부 영향에 의해 인출 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마개 내부로 작업도구의 전진 및 후진 등 진행 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어 인출작업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식 관마개 나사산의 내경 차이가 있어도 작업도구 크기만 조절하면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식 관마개 인출 작업 시 액튜에이터 하강으로 인해 작업도구와 연결되어 있는 모터에 하강 압력이 직접 전달이 되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수단이 구비되어 용접식 관마개 내면으로 작업도구 이송 및 보수 작업 시 작업용 메뉴플레이터에 탈/부착이 용이한 특징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용접식 관마개(6)(이하”관마개”라고 함)를 전열관에서 제거하기 위한 인출 장치(31)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먼저, 관마개(6)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관마개(6), 전열관(1) 및 튜브시트(2)가 서로 연결된 용접부(10)를 제거해주어 관마개(6)를 인출하게 용이하도록 느슨하게 해 주어야 한다.
도 2에 일부 용접부가 제거된 단면도(21B)를 나타냈다. 용접부(10) 제거 작업은 일반적으로 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드릴링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일부 용접부 제거(11)가 완료되면 인출 장치(31)를 이용하여 관마개(6)를 외 부로 인출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고안된 열교환기용 전열관 보수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내부 나사산 형태의 용접식 관마개 인출 장치(31)(이하”인출 장치”라고 함)의 상세도이다.
인출 장치(31)는 위치 이송용 메뉴플레이터(이하“메뉴플레이터”라고 함)에 고정시키는 장착수단으로 도보테일(24)이 구비된 프레임(27)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7)측에는 상기 관마개(6)에 결합되는 인출팁(14)을 갖는 인출로드(15)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로드(15)를 정역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9)를 갖는 관마개 결합유닛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관마개(6)에 인출팁(14)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을 하강 동작시켜 전열관(1)으로부터 관마개(6)를 인출해내는 액튜에이터(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출팁(14)은 외주면에 관마개(6)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7)에는 상기 전열관과 이웃한 타 전열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출팁이 관마개 내부로 진입하거나 전열관 인출 작업 중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18)가 구비된다.
가이드 포스트(18)는 인출 장치(31) 상단부(29)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18)의 상단부는 인출할 관마개(6)의 인접된 전열관(1) 내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테이퍼(18a)로 구성됨이 바람 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27)의 상단에는 프레임(27)의 수평유지와 전열관에 용접된 관마개의 인출시 상승을 억제하는 복수개 이상의 포지셔닝 바(17)와, 상기 포지셔닝 바(17)에 관마개 인출 작업시 수평유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근접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출팁(14)이 관마개(6)과 결합되는 되는 것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해 카메라(16)가 인출로드(15)의 일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16)는 케이싱(23)측에 설치되어 케이싱(23)의 승강 동작과 함께 이동하면서 관마개(6)의 인출 상태를 감시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은, 상기 액튜에이터(26)의 작동력으로 승강 동작하는 케이싱(23)과, 상기 케이싱(23)에 세워설치된 복수개의 스플라인축(22)과, 상기 스플라인축(22)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발지지력을 받도록 설치된 연결플레이트(20)와, 상기 인출로드(15)를 관통삽입하여 상기 스플라인축(22)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3)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3)와 상기 연결플레이트(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모터(19)와 인출로드(15)를 연결시키는 커플러(34)와, 상기 연결플레이트(20)에 구동모터(19)가 장착되어 상기 인출로드(15)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23)의 상단부는 스플라인축(22) 하단부와 볼트와 체결되어 있고, 스플라인축(22) 상단부는 상부 플레이트(13)와 볼트로 체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3)은 도 8과 같이 하부 플레이트(28)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8)의 양단에 각기 액튜에이터(26)의 실린더 로드(3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커플러(34)는 인출로드(15)와 구동모터(19)와의 출력단과의 착탈 결합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커플러(34)는 관마개의 크기에 대응되는 인출팁(14)을 갖는 인출로드(15)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9)는 리테이너(21)와 체결된 연결플레이트(20)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리테이너(21)는 스프링(25)이 장착된 스플라인축(2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21)와 연결된 스플라인축(22)에는 스프링(25)이 장착되어 있어 인출팁(14)의 나사산이 관마개(6) 내부 나사홈(8)에 정확하게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출팁(14)의 나사산은 회전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동모터(19)에 의해 회전하면서 관마개 나사홈(8)내로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그러나 인출팁(14)이 관마개 나사홈(8)에 체결 시 서로의 산끼리 맞지 않을 경우 인출팁(14), 리테이너(21) 및 구동모터(19)가 하강하게 된다.
그로 인해 스프링(25)이 압축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발생된 하강 압력은 스프링을 계속 상승 하고자 하는 장력으로 바뀌어 인출팁(14)를 다시 전진 시키며 인출팁(14)의 나사산이 관마개 나사산(8)과 체결이 되도록 모터(19)를 상승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상태를 관찰하여 인출팁(14)와 관마개(6)간 체결 상태를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인출팁(14) 진행 사항을 카메라(16)를 통 해 실시간으로 검사하여 작업이 원활히 수행 될 수 있다.
액튜에이터(26)는 케이싱(23)과 하부 플레이트(28)와 연결되어 있어 인출팁(14)을 하강시켜 관마개(6)를 인출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액튜에이터(26) 구동은 제어룸에서 작업자가 프로그램을 통해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액튜에이터(26)는 유압원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인출 장치(31) 설치는 도 1에서 채널헤드(3) 내부의 튜브시트(2)에 설치된 메뉴플레이터 암 끝단부의 리스트(wrist)에 작업자가 설치 도구를 이용하여 인출 장치(31)를 설치한다. 따라서 메뉴플레이터 암 끝단부의 리스트에 탈부착 가능한 도보테일(24)을 통하여 인출 장치(31)가 장착된다.
이때 인출장치(31)의 상단부(29)에 위치한 가이드 포스트(18)는 인출팁(14)이가 정확하게 관마개(6) 내부로 접근 및 작업 도중 외부 영향으로 인해 인출 장치(3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이 원활히 수행 되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출 장치(31) 상단부(29)에 장착된 근접 센서(12)와 포지셔닝 바(17)는 인출될 관마개(6)의 인접된 전열관(1)에 위치할 인출 장치(31)가 튜브시트(2)와 수평을 유지 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4개의 근접 센서(12) 중 어느 하나라도 미 동작 시에는 인출 장치(31)가 기울어져 있어 수평 유지가 안된 상태를 의미하며, 그 상태에서 작업 수행 시 인출팁(14)가 기울어져 있어 관마개(6) 내부 나사홈(8) 영역으로 삽입이 되지 않는 다.
또한 근접 센서(12) 동작은 케이블을 통해 제어룸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작업자가 모니터로 바로 확인할 있게 된다. 이때 포지셔닝 바(17)는 수평 유지 외에 관마개(6) 인출 시 발생되는 상승 압력으로 인해 인출 장치(31)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인출장치(31)의 구동모터(19)를 구동시켜 관마개(6)와 인출팁(14)과의 나사 체결이 완료되면 최종 인출작업이 수행된다.
인출 작업은 액튜에이터(26)가 동작하면서 실린더 로드와 연결된 하부 플레이트(28)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 하부 플레이트(28)와 연결된 케이싱(23)이 하강하면서 스플라인축(22)도 동시에 하강한다.
이때 스플라인축(22)에 연결된 상부 플레이트(13)가 인출로드(15)에 연결된 커플러(34)를 하강시켜 도 8과 같이 최종 인출팁(14)와 관마개(6)가 전열관(1)의 외부로 인출된다.
인출 작업시에는 커플러(34)에 대체하여 상부플레이트(13)가 구동모터(19)를 하강시킴으로써 구동모터(19)의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사산 형태의 인출팁을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관마개와 결합시킨 후 작동기를 이용하여 전열관으로부터 관마개를 인출해냄으로써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를 쉽고 용이하게 인출 제거해 내는 장치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원자력 증기발생기 개략도.
도 2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용접식 관마개 단면도 및 내부 설치도.
도3a 및 도 3b는 종래 증기발생기 전열관 임시 관마개 제거용 인출 장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식 관마개 인출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식 관마개 인출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식 관마개 인출 장치의 인출전,후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인출팁
15: 인출로드
16: 카메라
17: 포지셔닝 바
18: 가이드 포스트
19: 구동모터
20: 연결플레이트
22: 스플라인축
23: 케이싱
26: 액튜에이터
27: 프레임
28: 하부플레이트
34: 커플러

Claims (8)

  1. 증기발생기(11)의 튜브시트(2)측에 설치된 이송수단인 메뉴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전열관(1)에 용접된 관마개(6)를 인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인 상기 메뉴플레이트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수단으로 도보테일(24)로 구비된 프레임(27)과;
    상기 프레임(27)측에 지지되어 상기 관마개(6)에 결합되는 인출팁(14)을 갖는 인출로드(15)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로드(1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9)를 갖는 관마개 결합유닛; 및
    상기 관마개(6)에 인출팁(14)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을 하강 동작시켜 전열관(1)으로부터 관마개(6)를 인출해내는 액튜에이터(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팁(14)은 외주면에 관마개(6)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7)에는 상기 전열관과 이웃한 타 전열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인출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복수개의 가이드 포스트(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7)의 상단에 프레임(27)의 수평유지와 전열관에 용접된 관마개의 인출시 인출장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복수개 이상의 포지셔닝 바(1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바(17)에는 관마개 인출 작업시 인출장치의 수평유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인 근접센서(12)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팁(14)이 관마개(6)과 결합되는 되는 것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메라(16)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마개 결합유닛은,
    상기 액튜에이터(26)의 작동력으로 승강 동작하는 케이싱(23)과;
    상기 케이싱(23)에 세워설치된 복수개의 스플라인축(22)과;
    상기 스플라인축(22)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발지지력을 받도록 설치된 연결플레이트(20)와;
    상기 인출로드(15)를 관통삽입하여 상기 스플라인축(22)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20)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3);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13)와 상기 연결플레이트(20)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모터(19)와 인출로드(15)를 연결시키는 커플러(34)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20)에 장착된 구동모터(19)에 의해 상기 인출로드(15)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3)은 하부 플레이트(28)와 연결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28)의 양단에 각기 액튜에이터(26)의 실린더 로드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 장치.
KR1020070082939A 2007-08-17 2007-08-17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KR100873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939A KR100873953B1 (ko) 2007-08-17 2007-08-17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939A KR100873953B1 (ko) 2007-08-17 2007-08-17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953B1 true KR100873953B1 (ko) 2008-12-12

Family

ID=4037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939A KR100873953B1 (ko) 2007-08-17 2007-08-17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9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19Y1 (ko) * 2013-11-29 2015-03-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 교환기 튜브 플러그
CN108269635A (zh) * 2016-12-30 2018-07-10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蒸汽发生器传热管机械辊胀式堵管装置系统
KR102370361B1 (ko) * 2022-01-20 2022-03-04 에스이앤테크(주) 증기 발생기의 결함 전열관용 플러그 용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916Y1 (ko) * 2005-12-20 2006-03-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KR200431175Y1 (ko) * 2006-09-07 2006-11-15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916Y1 (ko) * 2005-12-20 2006-03-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KR200431175Y1 (ko) * 2006-09-07 2006-11-15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19Y1 (ko) * 2013-11-29 2015-03-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 교환기 튜브 플러그
CN108269635A (zh) * 2016-12-30 2018-07-10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蒸汽发生器传热管机械辊胀式堵管装置系统
KR102370361B1 (ko) * 2022-01-20 2022-03-04 에스이앤테크(주) 증기 발생기의 결함 전열관용 플러그 용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8770B (zh) 一种压水堆乏燃料组件水下解体修复装置及其修复工艺
KR100873953B1 (ko) 증기발생기 결함 전열관에 설치된 용접식 관마개의 인출장치
JP5897156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装置及びウォータジェットピーニング施工方法
EP2463527B1 (en) Jet pump measurement pipe repair method
KR200431177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검사장치
EP2704152B1 (en) Nozzle repairing method
JP6029465B2 (ja) 管台補修方法及び原子炉容器
CA2766459A1 (en) Calandria tube, pressure tube, and annulus spacers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for nuclear reactor retubing
KR200410388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검사장치
CN110176321A (zh) 一种反应堆控制棒导向筒更换方法及装置
KR100894536B1 (ko) 증기발생기의 결함 전열관 보수용 자동 오비탈 용접장치
KR200431175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US5432828A (en) Method and device for replacing an adaptor for penetrating the vessel head of a nuclear reactor
KR200409916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보링장치
EP06520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quentially registering tool modules for a welding operation of a tube
JP6029466B2 (ja) 管台補修方法及び原子炉容器
KR101148795B1 (ko) 원자로 상부 헤드 오리피스 인출장치
JP4262450B2 (ja) 原子炉狭隘部の補修システム
JP6150485B2 (ja) スタッドボルトの除去方法及び装置
CN106531258A (zh) 一种控制棒导向筒pu项盖板的拆除工具及方法
KR20130008889A (ko) 캠락형 증기발생기의 검사용 경량로봇
KR102575698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200412327Y1 (ko) 고정판 상단부위의 전열관 내경 절단장치
CN116275996B (zh) 一种拆卸装置
KR200410395Y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