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869B1 -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 Google Patents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869B1
KR100873869B1 KR1020070017183A KR20070017183A KR100873869B1 KR 100873869 B1 KR100873869 B1 KR 100873869B1 KR 1020070017183 A KR1020070017183 A KR 1020070017183A KR 20070017183 A KR20070017183 A KR 20070017183A KR 100873869 B1 KR100873869 B1 KR 10087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nut
leaf
varieties
tree
gra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522A (ko
Inventor
김만조
김선창
이문호
변광옥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17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86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2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drought, cold or salt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4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 A01H1/125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for fungal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4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 A01H1/127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for insect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3Propagation of plant by cuttings

Abstract

본 발명은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과실이 대립성이며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채취한 것을 대목에 절접하여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육종시켜 육종되는 변종밤나무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종밤나무는 대립성이고 고품질이며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고,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므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상기 밤나무에서 수확한 밤은 대립성이면서 감미가 많고 식미와 저장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 고품질로서 생식용은 물론 가공용으로서도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소비자의 기호 충족 및 밤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New Chestnut Variety Asexually Propagated by grafting, and Propagating method thereof}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동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휴면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피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잎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결실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종밤나무의 밤송이 및 가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d, 도 4 e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과실을 나타낸 사진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접목(저접) 및 접목 후 활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과실이 대립성이며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채취한 것을 대목에 절접하여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육종시켜 육종되는 변종밤나무 및 이의 육종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밤나무는 참나무과(Fagaceae) 밤나무속(Castanea)의 낙엽활엽성 교목으로 원산지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 4개 대륙에 걸쳐 있으며, 북반구의 온대지역의 야산에 널리 분포, 자생하고 있다. 전세계에 분포하는 밤나무 종류는 학자의 견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10여종이 분포하며 이중에서 재배상 중요한 것은 일본밤, 중국밤, 유럽밤, 미국밤 등 4종이다.
우리나라에서 밤은 예로부터 관혼상제에 빠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과일로 영양가도 풍부하여 식량 대용자원 및 기호식품으로 널리 재배되어온 대표적인 구황식품의 하나이이다. 밤은 독특한 향과 단맛이 있어 날로 또는 삶아서 먹거나 구워 먹으며, 각종 요리에 첨가하기도 하고, 감로자, 마론그랏세(marrons glaces), 밤양갱 등의 가공원료 및 빵이나 과자 등의 제과원료로도 많이 사용되어 실제 그 이용범위가 아주 넓다. 또한 밤나무의 목재는 재질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강한데 특히 탄닌(tannin)함량이 대단히 많고 물과 습기에 잘 견디므로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차량재, 조각재, 철도침목, 갱목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밤나무 품종육성에 관한 연구는 일본이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현 재 우리나라 및 일본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은기 품종은 200년 이상의 재배역사를 가지고 있다. クリの栽培の理論と實際(猪崎政敏, 1978)와 農業技術大係-果樹編-(農山漁寸文化協會, 1984)에 의하면 1910년경에 제1회 밤 품종명칭조사회를 개최하여 풍다마조생(豊多摩早生), 을종(乙宗), 은기(銀寄), 금북(今北) 등을 우량품종으로 선정하였고, 실생묘로부터 선발된 이평(利平), 유마(有磨), 삼조생(森早生) 등 다수의 품종을 육성하여 재배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1941년 밤나무혹벌 발생을 계기로 내충성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연구가 수행되어 교잡육종 결과 단택(丹澤), 이취(伊吹), 축파(筑波)를 육성하였으며, 안근(岸根)과 입원조생(笠原早生)을 인공교배하여 석추(石鎚)를 육성 발표하였다. 이후 지속적으로 교잡육종이 수행되어 단택'과 석추를 인공교배하여 국견(國見) 품종을 육성하였고, 은령(銀鈴)과 석추를 교배하여 자봉(紫峰) 품종을 육성 발표하였다.
세계 총 밤생산 중 약 2/3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은 약 300여개의 지역품종(Local cultivar)들이 있으나, 그중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품종수는 50개 내외이며 품종간 변이가 아주 다양하다. 중국밤의 주생산지역은 남방지구(南方地區)(강소(江蘇), 절강(浙江), 호북(湖北), 안휘성(安徽省)), 산동지구(山東地區), 연산지구(燕山地區)(북경(北京), 하북성(河北省)) 등 3개 지구이다.
남방지구에서는 야생 판율(板栗)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데, 사람들이 오랜 동안을 접목번식을 통해 야생판율을 개량하여 비교적 고유한 품종을 형성하였고 동시에 선발 및 재배를 병행 실시하여 우량품종을 만들어 내었다. 산동지구의 우량 품종들은 화북실생품종군(華北實生品種群)에 속하며 과실은 군밤용으로 적합하다. 태산감율(泰山甘栗) 또는 산동감율(山東甘栗)이란 상품명으로 수출한다. 역사적으로 종자(실생)번식을 사용했었으나 1960년대 초반부터 산동성 과수연구소가 주관이 되어 판율을 선발하고 검정을 거쳐 품종명을 확정·보급 중에 있는 우량품종으로는 홍광(紅光), 홍율(紅栗), 금풍(金豊), 송가단(宋家早), 담성207, 무화율(無花栗) 등이 있다.
연산지구의 우량 밤나무 품종의 공통적인 특징은 견과가 눈부시게 아름답고 육질이 부드럽고 고우며 당도가 높고 품질이 좋아 군밤용으로 적당하다. 국제시장에서는 천진감율(天津甘栗), 국내시장에서는 양향율자(良鄕栗子)라는 상품명으로 불리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실생번식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예를 들면, 추분율(秋分栗), 호조율(虎爪栗), 유율(油栗) 등과 같은 종류가 있기는 하나 실제로는 이들의 표현형이 일치하는 품종은 없었다. 1970년대 이후 북경시 임업과수연구소, 하북성(河北省) 昌黎 과수연구소 등에서 개체선발 및 검정을 거쳐 연홍(燕紅), 연창(燕昌), 은풍(銀豊), 연괴(燕魁), 조풍(早豊), 대엽청(大葉靑) 등 10여개 품종들을 명명하고 현재 보급 중에 있다.
미국의 경우 밤나무 육종연구는 과실보다는 용재생산을 위한 줄기마름병 내병성 육종에 주안점을 두어 왔다. 미국밤나무는 미국 동부지역의 주요한 용재수종의 하나로 20세기초까지만 해도 미국에서 생산되는 용재수 중에서 으뜸갈 정도로 많이 생산되어 이용되었으나 1904년 중국에서 유입된 줄기마름병(Chestnut blight disease)의 피해로 거의 고사하고 맹아림으로 명맥을 유지할 정도로 전멸위기에 있 다. 따라서 1980년 후반 미국밤나무재단(The American Chestnut Foundation)의 주도로 미국밤나무에 줄기마름병에 저항성인 중국밤나무를 여교배(backcrossing)하여 내병성 형질을 미국밤나무에 고정을 시키는 내병성 육종을 수행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잉크병 및 동양에서 유입된 줄기마름병으로 인해 많은 유럽밤나무 재배지가 피해를 입게 됨에 따라 줄기마름병에 저항성 및 과실형질 개량을 위하여 유럽밤과 일본밤과의 종간교잡을 통한 내병성 품종개발을 실시해오고 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주요 재배품종들은 이들 종간교잡을 통해 개발된 품종들이 많다.
우리나라 밤나무 재배는 1950년대 까지만 해도 품종 개념이 없이 평양밤, 가평밤, 양주밤 등 밤이 생산된 주산지의 지방명(地方名)으로 불리어지면서 종자에 의한 실생묘로 증식되어 왔다. 그러나 1958년 충북 제천지방에서 밤나무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밤나무혹벌이 발생되어 전국으로 확산됨에 따라 이를 계기로 시작된 품종육성 연구는 밤나무혹벌에 내충성이 강하고, 과실이 크며, 풍산성인 품종육성을 목표로 선발, 도입, 교잡육종의 방법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현재 맛(味)개량, 군밤용, 조생성(早生性) 등 기능성 품종육성을 육종목표로 설정하여 지속적으로 품종개량을 수행하고 있다.
밤은 연간 2,000억원 내외의 농가소득을 올리는 농산촌의 주요 소득작목으로 농산물 중 제1위의 수출품목(년간 약 7,000만달러)이다. 밤나무는 일반과수와 마찬가지로 생장기간이 길어 다른 농작물과는 달리 품종선택이 경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우량품종의 선택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세계로 개방돼 가고 있는 현실에 대응하는 중요한 과제로서 우리나라의 기후풍토에 적합하고 다양한 소비자 의 기호에 적합한 고품질의 세계적인 브랜드의 밤품종을 만들어 낸다면 밤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이는 데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국제적으로 날로 강화추세에 있는 품종보호제도에 맞서 경쟁력 있는 한국산 브랜드의 신품종 개발 및 새로운 무성증식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과실이 대립이고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고,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어 안정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변종밤나무 및 그 육종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과실이 대립성이며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채취한 것을 대목에 절접하여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육종되는 변종밤나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만생종이고, 과실이 대립성이고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채취하여 0~4℃의 저온상태로 보관한 것을 대목의 줄기절단면에 절접에 의한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육종되는 변종밤나무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에서 토종밤나무는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의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밤나무의 동아(冬芽)는 흑적색으로 끝부분은 둥글며 동아의 윗부분에 털(單毛)이 있고, 휴면지는 적갈색을 띠고 가지표면에 털이 없다. 가지밀도는 보통이며 휴면지는 굵은 편이고 절간이 짧으며 반직립성의 수형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밤나무의 잎의 형태는 피침형으로 수관외부의 잎은 안쪽으로 약간 말리는 특성이 있으며, 엽거치는 미철형이고 엽맥수는 20∼23개, 엽길이/엽폭 비율은 3.0∼4.0, 엽길이/엽병길이 비율은 8.0∼9.0의 특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밤나무는 9월 말~10월 초순에 성숙하며 과실은 진한 갈색의 편원형으로 종경/횡경 비율 0.7∼0.85, 좌면길이/횡경 비율 0.9∼1.0, 평균입중 26∼28g, 수확직후의 당도 10∼15%, 과육경도 9∼10㎏/㎠, 다배율 3.0∼4.0%, 열과율 0.4∼0.6%의 특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밤나무의 육종방법을 포한한다.
본 발명의 밤나무의 육종방법은 밤나무의 육종방법에 있어서,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과실이 대립성인 것을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접수를 채취하고 이를 대목에 절접하여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변종밤나무를 육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밤나무의 육종방법은 밤나무의 육종방법에 있어서,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만생종이고, 과실이 대립성이고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채취하여 0~4℃의 저온상태로 보관한 것을 대목의 줄기절단면에 절접에 의한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변종밤나무를 육종할 수 있다.
삭제
상기에서 토종밤나무는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의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밤나무의 동아(冬芽)는 흑적색으로 끝부분은 둥글며 동아의 윗부분에 털(單毛)이 있고, 휴면지는 적갈색을 띠고 가지표면에 털이 없다. 가지밀도는 보통이며 휴면지는 굵은 편이고 절간이 짧으며 반직립성의 수형을 지니는 변종밤나무를 육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밤나무의 잎의 형태는 피침형으로 수관외부의 잎은 안쪽으로 약간 말리는 특성이 있으며, 엽거치는 미철형이고 엽맥수는 20∼23개, 엽길이/엽폭 비율은 3.0∼4.0, 엽길이/엽병길이 비율은 8.0∼9.0의 특성을 지니는 것을 변종밤나무를 육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종밤나무는 9월 말~10월 초순에 성숙하며 과실은 진한 갈색의 편원형으로 종경/횡경 비율 0.7∼0.85, 좌면길이/횡경 비율 0.9∼1.0, 평균입중 26∼28g, 수확직후의 당도 10∼15%, 과육경도 9∼10㎏/㎠, 다배율 3.0∼ 4.0%, 열과율 0.4∼0.6%의 특성을 지니는 변종밤나무를 육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변종밤나무는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에 위치한 토종밤나무에서 1983년에 선발된 후 1984년 2월에 접수를 채취하여 4월에 산림유전자원부(구 임목육종연구소)포지에 접목하여 얻어진 묘목으로 유전검정림을 조성하여 1985년∼1998년까지 1차 선발과정을 거친 후 1999년에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 산 3번지에 지역적응성 검정을 겸한 시험림을 조성하여 개체별로 과실특성을 조사하였다.
이하, 상기 변종밤나무의 특성을 개엽시기 및 엽특성, 개화특성, 결실특성, 수확기 및 수확량, 과실형태 및 과실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동아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휴면지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d는 본 발명의 변종밤나무의 피목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와 같이 동아의 윗부분에 털이 있으나 휴면지 상에는 털이 없고, 동아의 색은 흑적색이고 휴면지는 적갈색을 띠고 있다. 결과모지는 굵고 마디가 짧은 편이며 가지밀도는 보통이고 수형은 반직립성이고 수세는 강한 편이다.
개엽시기는 4월 29일경이며 엽서는 1/2과 2/5가 혼재하며 엽맥수는 20∼23개이다. 엽의 형태는 피침형으로 작은 편이며 가장자리의 거치형태는 미철형이고 엽 저는 심장저이며, 엽길이/엽폭 비율은 3.0∼4.0, 엽길이/엽병길이 비율은 8.0∼9.0의 특성을 보인다(도 2 참조).
개화특성은 수꽃의 경우 6월 11일경에 개화되기 시작하여 6월 23일경에 종료되는데 만개기간은 6월 16일∼6월 20일경이다. 암꽃은 6월 10일경에 개화되기 시작하여 6월 22일경에 종료되는데 만개기간은 6월 13일∼6월 18일경이다.
결실특성을 보면 결과모지당 결과지수는 적은 편이나 결과지당 착구수는 보통이다(도 3 참조).
과실 수확기는 중부지방 기준으로 9월 30일 전후로 만생종에 속하고 수확량은 8년생의 경우 8∼9㎏으로 비교적 다수확 품종에 속한다. 밤송이의 가시는 짧고 억세며 밀생하고, 밤송이살이 얇아 밤송이에 비해 과실이 큰 편이다. 과실은 진한 갈색의 편원형으로 광택이 우수하여 외관이 뛰어나며 밤알로 분리되어 떨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종경/횡경 비율이 0.7∼0.85이고, 좌면길이/횡경 비율은 0.9∼1.0 정도로 좌면의 크기는 보통이다(도 4a, 도 4b, 도 4c).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변종밤나무는 현재 많이 재배되고 있는 유마 품종보다 과실이 월등히 크고 품질이 우수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밤나무로부터 얻어지는 과실의 평균입중은 평균입중 26∼28g으로 대부분 특대 크기(size)에 속할 정도의 초대립종으로 수확직후의 당도가 10∼15%로 감미가 높고, 과육경도는 9∼10㎏/㎠으로 단단한 편이어서 식미가 뛰어나며 저장성이 우수하여 생식용 및 가공용으로 적합하다. 또한 쌍밤인 다배과의 비율(다배율)은 3.0∼4.0%, 열과율은 0.4∼0.6%으로 낮아 과실의 품질 및 상품성이 뛰어나다(도 4d, 도 4e 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종밤나무 품종의 무성번식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신품종 밤나무의 무성번식방법은 절접에 의한 접목번식 방법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절접 접목번식 방법은 밤을 파종하여 얻어진 대목에 접목하는 방법이다. 이때 대목은 1년∼3년생의 대목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절접 접목번식 방법은 모수(ortet)와 유전자형(genotype)이 동일한 품종을 고정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성번식 과정은 수액이 이동하기 전인 1∼2월에 접수를 채취하여 0~4℃의 저온상태로 보관한 후 접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액이 이동하기 시작하는 4월 중순경에 대목에 접목하는 것으로서 대목을 지상 5∼40cm의 높이로 자른 후 절접으로 접목한다(도 5a 참조). 이때 대목을 5cm 정도의 높이에서 자른 후 접목하는 것을 저접이라 하며, 이에 반해 지상 30cm 이상, 30∼40cm 정도의 높이에서 접목하는 것을 고접이라 하는데 저접방식에 비해 작업효율은 떨어지나 겨울철 동해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절접방법은 접수에 동아가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3개 정도 붙도록 하여 5∼6cm 길이로 자르고 아래쪽 동아가 붙어있는 방향으로부터 25∼35°각도로 깎은 다음 반대쪽 면을 1.5∼2.0cm 가량 목질부가 약간 포함되도록 편평하게 깎아준다. 접목순서는 첫째, 저접(5cm) 또는 고접(30cm)에 따라 적당한 높이에서 대목의 줄기를 자른다. 둘째, 절단부위 한쪽에서 껍질에 목질부가 약간 포함되도록 하여 1.7∼2.0cm 가량 밑으로 쪼갠다. 셋째 조제된 접수의 깎은 부분이 대목의 안쪽으로 향하도록 끼워 넣어 대목과 접수의 형성층(부름켜)을 일치시킨 다음 접목끈을 묶어 준다. 접목 후 접수 상단부의 건조 및 해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신페이스트(Topsin paste)를 처리한 후 접목한 곳을 결착수단에 의해 결착해 주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이때 결착수단은 비닐봉지를 이용하여 접목한 곳을 묶거나, 끈을 이용하여 접목한 곳을 묶거나, 또는 집게를 이용하여 접목한 곳을 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밤나무 선발육종에 의한 우수개체 선발 및 특성검정
우량한 토종밤나무를 수집 보존하고 대립성이며 고품질인 우량품종을 육성 보급하기 위하여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교항리에 위치한 토종밤나무를 현지특성검정을 통해 1983년에 선발하였다. 1984년 2월에 접수를 채취하여 4월에 산림유전자원부(구 임목육종연구소) 포지에 접목하여 얻어진 묘목으로 유전검정림을 조성하여 1985년-1998년까지 과실특성, 내병충성, 내한성 등 형질검정을 통해 1차 선발과정을 거친 후 1999년에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 산 3번지에 지역적응성 검정을 겸한 시험림을 조성하여 과실특성 등 재배안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한 결과 상기 토종밤나무의 신품종을 미풍이라 명명하고, 이 미풍 품종 의 밤나무와 대조구로서 유마 품종의 밤나무에 대해 개엽시기 및 엽특성, 개화특성, 결실특성, 수확기와 수확량 및 과실형태, 과실특성 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상기에서 신품종 미풍과 대조구인 유마 품종의 개엽시기 및 엽특성은 표 1-1, 표 1-2에 나타내었고, 개화특성은 표 2-1, 표 2-2에 나타내었고, 결실특성은 표 3, 수확기와 수확량 및 과실형태는 표 4, 과실특성은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1-1> 개엽시기 및 엽특성
구 분 개엽시기 엽서 엽맥수
미풍 4월 29일 1/2, 2/5 21.5
유마 4월 30일 1/2, 2/5 23.5
<표 1-2> 개엽시기 및 엽특성
구 분 엽거치 형태 엽저 형태 엽길이/엽폭 비율 엽길이/엽병길이 비율
미풍 미철형 심장저 3.5 8.5
유마 치아형 둔저 4.3 8.0
<표 2-1> 개화특성
구분 수꽃
개화시작 만개시작 만개종료 개화종료
미풍 6.11일 6.16일 6.20일 6.23일
유마 6.10일 6.15일 6.19일 6.24일
<표 2-2> 개화특성
구분 암꽃
개화시작 만개시작 만개종료 개화종료
미풍 6.10일 6.13일 6.18일 6.22일
유마 6.10일 6.15일 6.19일 6.24일
<표 3> 결실특성
구 분 결과지당 암꽃수 결과모지당 결과지수 결과모지당 총착구수 결과지당 착구수
미풍 1.19 2.09 2.63 1.25
유마 1.33 2.83 4.03 1.43
<표 4> 수확기, 수확량 및 과실형태
구 분 수확적기 수확량* (㎏/본) 과실형태 종경/횡경 비율 좌면길이/횡경 비율
미풍 9월 30일 8.8 편원형 0.79 0.97
유마 9월 21일 7.9 편원형 0.83 0.97
*; 8년생 기준
<표 5> 과실특성
구 분 평균입중 (g) 당도* (%) 과육경도 (㎏/㎠) 다배율 (%) 열과율 (%) 내피박피율 (%)
미풍 27.3 13.0 9.3 3.7 0.5 76.3
유마 19.1 11.9 8.2 0.2 3.5 54.6
* ; 수확직후 측정
<실시예 2> 절접에 의한 모수의 유전적 형질 고정
선발된 신품종의 유전적 형질고정을 위하여 접목부위 높이별로 절접에 의한 접목시험을 실시하였다.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인 2월에 건전하고 생장이 좋은 결과모지를 선정하여 채취한 다음 건조하지 않도록 밑부분에 축축한 이끼로 덮은 후 비닐 봉투에 넣어 2±2℃로 저장고에 보관하였다. 4월 20일경 대목용으로 실생묘 1년생 대목을 5cm 및 30cm의 높이에서 절단한 후 절접에 의해 접목을 실시한 결과 접목 활착율은 각각 89.2%와 83.6%로 나타났다(표 6 참조). 접목부위 높이별로 활착율에 있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80% 이상의 높은 활착율을 보여 절접방법으로 품종 고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표 6> 신품종 육성을 위한 절단면 직경별 활착율
접목부 높이 접목본수 활착본수 활착율(%) 비 고
5㎝ 65 58 89.2 저접
30㎝ 61 51 83.6 고접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종밤나무는 대립성이고 고품질이며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고, 모수와 동일한 유전형질로 계승되므로 안정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상기 밤나무에서 수확한 밤은 대립성이면서 감미가 많고 식미와 저장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닌 고품질로서 생식용은 물론 가공용으로서도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소비자의 기호 충족 및 밤나무 재배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8)

  1.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서 과실이 대립성이며 접수는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채취한 것을 대목에 절접하여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육종되는 변종밤나무로서 상기 변종밤나무의 동아는 흑적색으로 끝모양은 둔두형이고 동아의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휴면지의 표면에 털이 있는 반직립성의 수형을 지니며, 변종밤나무의 엽은 피침형으로 엽거치는 미철형이며 엽맥수는 20∼23개, 엽길이/엽폭 비율은 3.0∼4.0, 엽길이/엽병길이 비율은 8.0∼9.0이고, 변종밤나무의 과실은 진한 갈색의 편원형으로 종경/횡경 비율 0.7∼0.85, 좌면길이/횡경 비율 0.9∼1.0, 평균입중 26∼28g, 수확직후의 당도 10∼15%, 과육경도 9∼10㎏/㎠, 다배율 3.0∼4.0%, 열과율 0.4∼0.6%의 특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 밤나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밤나무의 육종방법에 있어서,
    토종밤나무에서 선발되어 얻어진 것으로 동아는 흑적색으로 끝모양은 둔두형이고 동아의 윗부분에 털이 있으며, 휴면지의 표면에 털이 있는 반직립성의 수형을 지니며; 엽은 피침형으로 엽거치는 미철형이며 엽맥수는 20∼23개, 엽길이/엽폭 비율은 3.0∼4.0, 엽길이/엽병길이 비율은 8.0∼9.0이고; 과실은 진한 갈색의 편원형으로 종경/횡경 비율 0.7∼0.85, 좌면길이/횡경 비율 0.9∼1.0, 평균입중 26∼28g, 수확직후의 당도 10∼15%, 과육경도 9∼10㎏/㎠, 다배율 3.0∼4.0%, 열과율 0.4∼0.6%의 특성을 지니며, 과실이 대립성인 변종밤나무를 수액이 이동하기 전에 접수를 채취하고 이를 대목에 절접한 후 접수 상단부분에 톱신페이스트를 처리하고 접목으로 무성번식시켜 육종되는 변종밤나무의 육종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70017183A 2007-02-20 2007-02-20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KR10087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83A KR100873869B1 (ko) 2007-02-20 2007-02-20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83A KR100873869B1 (ko) 2007-02-20 2007-02-20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522A KR20080077522A (ko) 2008-08-25
KR100873869B1 true KR100873869B1 (ko) 2008-12-16

Family

ID=3988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183A KR100873869B1 (ko) 2007-02-20 2007-02-20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8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8724A (zh) * 2014-03-20 2014-06-18 刘海涛 一种优质核桃苗木的繁殖方法
KR20230081586A (ko) * 2021-11-30 2023-06-07 사회적협동조합 홍천군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단 홍천 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7828B (zh) * 2015-03-26 2017-05-03 迁西县职业技术教育中心 板栗嵌枝嫁接方法
CN105009952A (zh) * 2015-08-20 2015-11-04 韦江南 一种板栗冬季高接换种的方法
CN105557425B (zh) * 2015-12-17 2018-05-18 承德市林业技术推广总站 一种板栗骨干枝光秃带多点嫁接结果母枝的方法
CN106718486A (zh) * 2016-11-20 2017-05-31 浏阳市利瑞种养专业合作社 一种锥栗矮化高产以及单果10g以上的种植方法
CN107912214B (zh) * 2017-12-13 2019-06-28 株洲市文浩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板栗树自固定嫁接方法
CN111492818B (zh) * 2020-06-03 2021-11-16 河北科技师范学院 一种板栗树留槽式嫁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96B1 (ko) 2005-09-22 2007-07-10 대한민국 산지고접 및 유경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및육종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396B1 (ko) 2005-09-22 2007-07-10 대한민국 산지고접 및 유경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및육종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산림 2003년 11월호의 ‘우리나라 주요 밤나무 품종의 재배특성’(URL주소: http://www.sanrimji.com/contents.jsp?webzine_id=712&item_id=15180&year=2003&month=1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8724A (zh) * 2014-03-20 2014-06-18 刘海涛 一种优质核桃苗木的繁殖方法
KR20230081586A (ko) * 2021-11-30 2023-06-07 사회적협동조합 홍천군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단 홍천 홉
KR102549587B1 (ko) 2021-11-30 2023-06-30 사회적협동조합 홍천군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단 홍천 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522A (ko) 200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q Fruits for the Future 10: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KR100873869B1 (ko) 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Bounous et al. Chestnut: botany, horticulture, and utilization
Rutter et al. Chestnuts (Castanea)
Brewbaker Breeding leucaena: Tropical multipurpose leguminous tree
Meghwal et al. Underutilized fruits and vegetables in hot arid regions of India: status and prospects: a review
Goldman et al. Table beet
KR100737396B1 (ko) 산지고접 및 유경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및육종방법
Samim et al.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Hjalmarsson et al. Lingonberry: Botany and horticulture
Yusuf et al. Morphological studies of stability and identity of melon (Cucumis melo L.)‘Hikapel’and comparative cultivars
Meghwal et al. Underutilized fruits research in arid regions: a review
KR100736149B1 (ko) 산지고접 및 유경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및육종방법
Pohlan et al. Growth and production of cacao
Wu et al. ‘Jinyu’and ‘Jinhe’: Two New High-quality, Very Early-ripening Apricot (Prunus armeniaca L.) Cultivars from China
Chang et al. Mulberry
Morrison et al. Strawberry breeding in Australia
Ferlito et al. Bio-agronomic characterization of twelve plum cultivars on two clonal rootstocks in a semi-arid environment in Sicily
KR100736168B1 (ko) 산지고접 및 유경접목에 의해 무성번식되는 변종밤나무 및육종방법
BUJDOSÓ et al. Evalation of the novel bred Persian walnut genotypes
Ognjanov et al. Modern peach and nectarine production.
Jatoi et al. Dates in Sindh: facts and figures
CN112088670B (zh) 蔬菜桑树品种的培育方法
USPP32830P3 (en) Camellia sinensis (L.) Kuntze plant named ‘Kiyoka’
Dini-Papanastasi Contribution to the selection of productive progenies of Robinia pseudoacacia var. Monophylla Carr. from young plantations in Northern Gre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