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783B1 -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 Google Patents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783B1
KR100873783B1 KR1020070113598A KR20070113598A KR100873783B1 KR 100873783 B1 KR100873783 B1 KR 100873783B1 KR 1020070113598 A KR1020070113598 A KR 1020070113598A KR 20070113598 A KR20070113598 A KR 20070113598A KR 100873783 B1 KR100873783 B1 KR 100873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od
absence
lis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현
이병덕
김정현
성희규
Original Assignee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91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provid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updates, e.g. updating software modules, stored at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에 따른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제공 방법은 (a)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셋탑 박스(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OD, 콘텐츠, 결방

Description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SYSTEM, METHOD AND SET-TOP BOX FOR PROVIDING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OF CONTENTS NOT BROADCASTED IN VOD SERVICE USING IPTV 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IPTV망의 VOD서비스에서 방송망에서 결방됨으로 인해 VOD 서버에 업로드되지 않은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규약들이 제정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중심에는 단연 디지털 텔레비전이 놓이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예로 들 수 있는데, IPTV란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TV를 셋탑 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한 것을 말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의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은 셋탑 박스를 매개로 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된다.  IPTV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융합이라 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다(Video On Demand, VOD)는 점이 일반 케이블 방송과는 다른 점이다.
이와 같은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셋탑 박스는 VOD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VOD 서비스 제공자측의 VOD 서버로부터 원하는 VOD 콘텐츠를 다운로드받게 된다.
한편, VOD 서버에 저장된 VOD 콘텐츠 중 상당 부분은 방송망 서비스에서 제공되었던 콘텐츠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방송망에서 제공되었던 콘텐츠들은 단편물(특집 방송, 단막극)보다는 일정 주기(매일, 주 1-2회) 마다 새로운 회차의 콘텐츠가 제공되는 소위 '시리즈물 콘텐츠'가 대부분이다. 예컨대, TV 주말 드라마가 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시리즈물 콘텐츠는 방송망 서비스에서 방영이 된 이후라야 VOD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그러나, 방송망 서비스의 사정으로 인하여 시리즈물 콘텐츠는 방영 예정 시점에 방영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뉴스 속보와 같이 방송 우선 순위가 높은 긴급한 프로그램에 의해 주말 드라마가 방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 경우 결방된 회차의 시리즈물 콘텐츠(소위 '결방 콘텐츠')는 VOD 서버에 예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못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결방된 해당 회차의 시리즈물 콘텐츠의 감상을 방송망 서비스에서 결방된 콘텐츠가 차기 방영 예정 시점에 방송된 시점 이후로 미루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는 결방 콘텐츠에 대한 정보 를 셋탑 박스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의 결방 여부를 콘텐츠 목록 표시 단계 또는 콘텐츠 세부 정보 표시 단게에서 확인할 수 없었다.
즉, 사용자은 특정 콘텐츠의 결방 여부를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한 이후 다운로드가 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콘텐츠의 결방 여부 확인을 위해 VOD 서비스 제공자에 전화 또는 인터넷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문의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결방 콘텐츠가 일정 주기마다 업로드되는 시리즈물 콘텐츠인 경우, 결방된 회차가 몇 회차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특정 콘텐츠가 방송망 서비스에서 결방됨으로 인해 VOD 서버에 업로드되지 못했다는 결방 여부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결방 콘텐츠 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를 마련하여 주기적으로 결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 명령을 수행하기 이전 단계, 예컨대 초기 화면 단계 또는 콘텐츠 목록이나 세부 정보 표시 단계에서 손쉽게 콘텐츠의 결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PTV 망은 VOD 서버(300)와,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특정 시점에 상기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그 특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않은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셋탑 박스(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 록을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방 콘텐츠는 일정 주기마다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되는 콘텐츠, 더 바람직하게는 일정 주기마다 개별 회차가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되는 시리즈물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방 콘텐츠가 일정 주기마다 업데이트되는 콘텐츠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상기 결방 콘텐츠가 결방된 회차의 정보도 함께 사용자의 표시 장치(60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상기 결방 콘텐츠가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될 예정 시기도 함께 사용자의 표시 장치(6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방 콘텐츠 목록은 상기 사용자의 표시 장치(600)에 팝업창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IPTV 망은 EPG 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EPG 서버(500)로부터 상기 VOD 서버(300)에 저장된 VOD 콘텐츠별 채널 정보를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은,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된 VOD 콘텐츠별 채널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VOD 콘텐츠 목록을 표시할 때, 상기 VOD 콘텐츠의 목록 중 상기 결방 콘텐츠에 대해서는 콘텐츠 목록과 함께 결방 콘텐츠 아이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르면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VOD 서버(300); 및 특정 시점에 상기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그 특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않은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기 위한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는,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 및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DB(41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추출하여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셋탑 박스(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100)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유닛(110); 상기 입출력 유닛(110)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버퍼 처리를 담당하는 캐시 메모리(130);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의 VOD 콘텐츠와, 특정 시점에 상기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그 특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않은 상기 결방 콘 텐츠의 목록을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소정 주기마다 제공받아 저장받기 위한 스토리지(120);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의 VOD 콘텐츠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VOD 관리 어플리케이션(140); 및 상기 스토리지(12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 목록을 추출하여 사용자 표시 수단(600)에 결방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여 제공하기 위한 결방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를 마련하여 주기적으로 결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콘텐츠의 다운로드 명령을 수행하기 이전 단계, 즉 초기 화면 단계 또는 콘텐츠 목록이나 세부 정보 표시 단계에서 손쉽게 콘텐츠의 결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콘텐츠의 결방 여부 확인을 위해 VOD 서비스 제공자에게 유무선상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결방 여부를 문의할 필요 없이 셋탑 박스 및 표시 장치상에서 해당 콘텐츠의 결방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시리즈물 콘텐츠'는 일정 주기(매일, 주 1-2회) 마다 새로운 회차의 내용이 제공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또한, '결방 콘텐츠'는 특정 시점에 VOD 서버에 업로드되어야 하지만, 콘텐 츠 제공자(방송국에서의 콘텐츠의 결방)의 사정으로 그 특정 시점에 VOD 서버에 업로드되지 못한 VOD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컨대, 방송국에서 정기적(매일 또는 매주)으로 방송되는 콘텐츠(예: TV주말 드라마 등)를 IPTV 서비스 제공자가 방송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서, VOD 서버에 정기적으로 업로드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송국의 사정으로 예정된 시점에 정기적 방송 콘텐츠가 방송되지 않게 되면(소위, 결방), VOD 서버에도 상기 정기적 방송 콘텐츠는 예정된 업로드 시점에 업로드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콘텐츠가 결방 콘텐츠의 일 예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PTV 망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는 인터넷망(200)을 통해 VOD 서버(300),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 및 EPG 서버(500)에 연결되어 있다. 셋탑 박스(100)에 대한 명령의 입력은 리모콘과 같은 소정의 입력 수단(700)에 의해 수행되고, 셋탑 박스(100)에 다운로드된 각종 VOD 콘텐츠는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는 각종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유닛(110), 입출력 유닛(110)으로 입력된 데이터(VOD 콘텐츠 파일 및 결방 콘텐츠 정보 등)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120), VOD 콘텐츠의 다운로드시 버퍼 처리를 담당하는 캐시 메모리(130) 및 표시 수단(60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VOD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 및 처리하기 위한 VOD 관리 어플리케이션(140)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100)에서는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어 플리케이션(150)을 포함한다.
콘텐츠 정보 관리 어플리케이션(150)은 스토리지(120)로부터 결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표시 수단(600)에 결방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VOD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VOD 콘텐츠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VOD 콘텐츠 DB(310)를 포함하고 있다.
EPG 서버(500)에는 셋탑 박스(100)에 제공될 전자 채널 정보(Electronic Channel Guide; 이하 EPG)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EPG 파일 DB(510)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망(200)에 연결된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는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와 콘텐츠 관리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결방 콘텐츠 DB(410)에는 특정 시점에 VOD서버(300)에 업로드되어야 하지만 방송국의 사정으로 방송되지 못한 콘텐츠(소위, 결방 콘텐츠)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결방 콘텐츠 DB(410)에 저장된 결방 콘텐츠 목록은 주기적으로(매일 또는 몇 시간 마다) 체크되고 갱신된다.
콘텐츠 관리 제어부(420)는 결방 콘텐츠 DB(410)에 저장된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고,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로부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추출하여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에는 특정 시점(2007.10.8.)을 기준으로 VOD 서버(300)에 업로드되었어야 하지만 콘텐츠 제공자(방송망 서비스 제공자 등)의 사정으로 콘텐츠가 방송망에서 결방됨으로써, VOD 서버(300)에 업로드되지 않은 소위 결방 콘텐츠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같이, 결방 콘텐츠의 제목('대조영'), 채널 번호('30365'), 결방 회차('112'), 결방일('2007.10.7.')이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기에 결방 콘텐츠가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될 예정 시기, 즉 차기 업데이트 예정일(2007.10.13.)도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기 업데이트 예정일은 해당 결방 콘텐츠가 방송망 서비스에서 제공될 시점 이후 적당한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루 단위로 결방 콘텐츠 목록이 갱신되는 경우이지만, 결방 콘텐츠 목록이 갱신되는 주기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매일 2회 이상 등).
도 3 및 도 4는 사용자 표시 수단(600) 화면에 결방 콘텐츠 정보를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메뉴 및 VOD 콘텐츠 목록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특정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3단 구조의 메뉴 표시 방식으로서, 메뉴 표시부(10)는 대메뉴 표시부(11), 소메뉴 표시부(12) 및 콘텐츠 목록 표시부(13)의 3가지 부분이 동시에 표시되며, 콘텐츠 목록 표시부(13) 상단 여백은 콘텐츠 표시부(20)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가 대메뉴 'KBS', 소메뉴 '드라마 ON(현재 방송망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드라마)'을 선택하여 그 하위에 속한 콘텐츠 목록들(대조영, 드라마 시티)이 콘텐츠 목록 표시부(13)에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만약 '대조영'이 결방 콘텐츠인 경우, 대조영에 대한 목록 표시부에 결방 콘텐츠임을 상징하는 아이콘 이미지(
Figure 112007080169757-pat00001
)가 콘텐츠 목록과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목록 표시 상태에서 특정 콘텐츠의 결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대조영'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 상태 또는 다운로드 요청 이전에 '대조영'이 결방되어 최신 회차 콘텐츠가 VOD 서버(300)에 업로드되지 않았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은 콘텐츠 목록 표시 상태에서, 특정 콘텐츠, 예컨대 '대조영'를 선택하면, 도 4와 같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도 4와 같은 콘텐츠 세부 정보 화면에서는 메뉴 표시부(10)에 콘텐츠의 이미지(14), 제목(15), 채널 번호(16) 및 감독, 출연진, 줄거리와 같은 간략한 세부 정보(17)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해당 콘텐츠가 주기적으로 업로드되는 소위 시리즈물 콘텐츠 (주말 드라마 등)인 경우에는 회차 표시부(18)도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도 '대조영'은 주말 드라마로서 소위 시리즈물 콘텐츠이므로, 회차 표시부(18)에는 회차(...109, 110, 111, 112...)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대조영'의 '112'회차가 결방된 경우로서, 112회차 선택창이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고 비활성화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대조영'의 '112'회차에 대한 다운로드 명령을 내리지 않고서도 결방되었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결방 회차의 표시 방법은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한 다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셋탑 박스(100)를 시동한 다음, 표시 수단(600)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에 팝업창을 마련하여 결방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셋탑 박스(100)를 시동(ON)하여 인터넷망(200)에 접속한 직후 표시 장치(600)에 표시된 초기 화면에 결방 콘텐츠 목록 팝업창이 표시되어 있다. 결방 콘텐츠 목록 팝업창에는 결방된 콘텐츠의 제목(대조영), 채널 번호(30365), 결방 회차(112회)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결방 콘텐츠가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 시점(2007.10.13. 예정)도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VOD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잔여 일수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6과 전술한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결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가 ON 되어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S 100 단계),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로부터 결방 콘텐츠 목록 정보가 셋탑 박스(100)로 다운로드된다(S 200 단계). 이 단계에서 EPG 서버(500)로부터 채널 정보 파일(EPG 파일)도 함께 다운로드될 수 있다.
결방 콘텐츠 정보를 셋탑 박스(100)의 스토리지(120)에 다운로드하고 나면, 결방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150)은 스토리지(120)에 저장된 결방 콘텐츠 목록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 수단(600)에 결방 콘텐츠 목록을 표시한다(S 300 단계, 도 5).
한편, EPG 서버(500)로부터 EPG 파일을 전송받아 셋탑 박스(100)의 스토리지(120)에 저장한 경우에는 결방 콘텐츠 목록은 콘텐츠 메뉴 및 목록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도 3).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S 400 단계), 결방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150)은 선택된 콘텐츠가 결방 콘텐츠인지를 판단한 다음(S 500 단계), 결방 콘텐츠인 경우에는 콘텐츠 세부 정보와 함께 결방 회차 정보도 함께 표시한다(S 600 단계, 도 4).
반면,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가 결방 콘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적인 콘텐츠 세부 정보만을 표시한다(S 700 단계).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방 콘텐츠 정보 DB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방 콘텐츠 목록를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초기 화면에 제공되는 결방 콘텐츠 알림 팝업창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셋탑 박스 110: 입출력 유닛
120: 스토리지 130: 캐시 메모리
140: VOD 관리 어플리케이션 150: 결방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200: 인터넷망 300: VOD 서버
310: VOD 콘텐츠 DB 400: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
410: 결방 콘텐츠 정보 DB 420: 콘텐츠 관리 제어부
500: EPG 서버 510: EPG 파일 DB
600: 표시 수단 700: 입력 수단

Claims (13)

  1.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PTV 망은 VOD 서버(300)와,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특정 시점에 상기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그 특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않은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셋탑 박스(100)에 다운로드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방 콘텐츠는 일정 주기마다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되는 콘텐 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방 콘텐츠는 일정 주기마다 개별 회차가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되는 시리즈물 컨텐츠이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상기 결방 콘텐츠가 결방된 회차의 정보도 함께 사용자의 표시 장치(6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상기 결방 콘텐츠가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될 예정 시기도 함께 사용자의 표시 장치(60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결방 콘텐츠 목록은 상기 사용자의 표시 장치(600)에 팝업창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TV망은 EPG 서버(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EPG 서버(500)로부터 상기 VOD 서버(300)에 저장된 VOD 콘텐츠별 채널 정보를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은,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된 VOD 콘텐츠별 채널 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VOD 콘텐츠 목록을 표시할 때, 상기 VOD 콘텐츠의 목록 중 상기 결방 콘텐츠에 대해서는 콘텐츠 목록과 함께 결방 콘텐츠 아이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7.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VOD 서버(300); 및
    특정 시점에 상기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그 특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않은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기 위한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는,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 및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결방 콘텐츠 DB(410)에 소정 주기마다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DB(41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추출하여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제어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방 콘텐츠는 일정 주기마다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되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방 콘텐츠는 일정 주기마다 개별 회차가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 이트되는 시리즈물 컨텐츠이고,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는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상기 결방 콘텐츠가 결방된 회차의 정보도 함께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11.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는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과 함께, 상기 결방 콘텐츠가 상기 VOD 서버(300)에 업데이트될 예정 시기도 함께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상기 VOD 서버(300)에 저장된 VOD 콘텐츠별 채널 정보를 제공하는 EPG 서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13. 인터넷망(200)을 통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표시 수단(6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셋탑 박스(100)로서,
    상기 IPTV 망은 VOD 서버(300)와, 결방 콘텐츠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는,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입출력 유닛(110);
    상기 입출력 유닛(110)으로 입력된 데이터의 버퍼 처리를 담당하는 캐시 메모리(130);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의 VOD 콘텐츠와, 특정 시점에 상기 VOD 서버(300)에 업로드될 예정이었으나 그 특정 시점에 업로드되지 않은 상기 결방 콘텐츠의 목록을 상기 결방 콘텐츠 정보 관리 서버(400)로부터 소정 주기마다 제공받아 저장받기 위한 스토리지(120);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의 VOD 콘텐츠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VOD 관리 어플리케이션(140); 및
    상기 스토리지(120)로부터 상기 결방 콘텐츠 목록을 추출하여 사용자 표시 수단(600)에 결방 콘텐츠 목록을 표시하여 제공하기 위한 결방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셋탑 박스(100).
KR1020070113598A 2007-11-08 2007-11-08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KR100873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98A KR100873783B1 (ko) 2007-11-08 2007-11-08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598A KR100873783B1 (ko) 2007-11-08 2007-11-08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783B1 true KR100873783B1 (ko) 2008-12-15

Family

ID=4037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598A KR100873783B1 (ko) 2007-11-08 2007-11-08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999B1 (ko) 2010-12-29 2012-11-28 전자부품연구원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999B1 (ko) 2010-12-29 2012-11-28 전자부품연구원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3703A1 (en) Selection of Electronic Content and Services
JP5499024B2 (ja) 電子通知装置及び電子通知方法
US8595768B2 (en) Enhanced program preview content
US115891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deo program information or video program content to a user
US20070183745A1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recording of a digital program
US20080098436A1 (en) Top recording events list for media device
EP3416026B1 (en) Remote access to personal video profile
JP2003333485A (ja) 番組イベントをダイナミックに録画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2613558A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ent display system, and program guide display control method
JP5069254B2 (ja) チャネル番号のお気に入りリストを更新する方法及び装置
US9301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ignals provided to multiple display devices
KR100873783B1 (ko)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결방 콘텐츠 정보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CN101287103A (zh) 阻断消失后再次出现的频道的方法及装置
KR10117662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파일 업데이트 방법 및 그장치
KR100872241B1 (ko) Iptv 망을 이용한 vod 콘텐츠의 예약 다운로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셋탑 박스
KR100880526B1 (ko)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vod 콘텐츠별잔여 일수 및 만료 일자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방법 및 셋탑 박스
KR100880532B1 (ko)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U2016253573A1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KR100919908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다운로드 방법
CN106303718A (zh) 数字电视频道排序方法及数字电视
AU2014200496B2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JP2009100143A (ja) 番組受信装置、番組配信システム及び番組受信方法
JP2005167664A (ja) 番組情報システム
KR20110045637A (ko)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56899A (ko) 방송 수신기의 메뉴화면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