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532B1 -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532B1
KR100880532B1 KR1020070113653A KR20070113653A KR100880532B1 KR 100880532 B1 KR100880532 B1 KR 100880532B1 KR 1020070113653 A KR1020070113653 A KR 1020070113653A KR 20070113653 A KR20070113653 A KR 20070113653A KR 100880532 B1 KR100880532 B1 KR 10088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op box
vod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현
이병덕
김정현
성희규
Original Assignee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831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805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인터넷망(20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시간 구간별로 연속적인 콘텐츠가 재생되는 방송 개념의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EPG 서버(400)로부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에 따라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VOD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PTV, VOD, 연속 방영, 방송, 콘텐츠

Description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INUOUSLY PLAYING CONTENTS WITH USER'S SET-TOP BOX}
본 발명은 IPTV망을 이용한 VOD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규약들이 제정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의 중심에는 단연 디지털 텔레비전이 놓이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를 예로 들 수 있는데, IPTV란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로서, TV와 같은 표시 장치를 셋탑 박스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한 것을 말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의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은 셋탑 박스를 매개로 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된다.  IPTV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 다(Video On Demand, VOD)는 점이 일반 케이블 방송과는 다른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VOD 방식의 IPTV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달리 말하면, 종래의 IPTV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VOD 콘텐츠마다 콘텐츠의 선택 작업을 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번거롭다고 느끼는 요인이 되었다.
즉, 선택한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시청할 후속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새로이 해야 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콘텐츠를 시청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복수개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작업도 복수번 실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IPTV 서비스에서도 한번 특정 채널을 선택하면 시간에 따라 편성된 콘텐츠가 시간 순서로 연속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방송 개념의 연속 방영 콘텐츠의 필요성이 요청되었다. 또한, 유사 장르에 속한 콘텐츠를 패키지로 묶어서 연속적으로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도 존재하였다.
만약, IPTV 서비스에서도 방송 개념의 연속 방영 콘텐츠가 제공된다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선택된 하나의 콘텐츠만이 재생되도록 하거나, 방송과 같이 연속적으로 시간 순서로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기존의 일반 콘텐츠와 함께 방송 개념의 시간적 연속 방영 콘텐츠도 함께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IPTV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 있어서, VOD 서버 및 EPG 서버에 기존의 일반 콘텐츠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구간별로 그에 대응한 VOD 콘텐츠가 편성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여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터넷망(20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IPTV망은 EPG 서버(400) 및 VOD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EPG 서버(400)로부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에 따라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VOD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상기 VOD 서버(300)로 전송된 채널 번호가 상기 일반 콘텐츠의 채널 번호인 경우에는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일반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와, (b-2)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상기 VOD 서버(300)로 전송된 채널 번호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번호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채널 번호를 입력한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방영 콘텐츠의 해당 시간 구간별 콘텐츠의 재생 예정 시간이 종료하면, 그에 후속한 시간 구간별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셋탑 박스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b-2) 단계에 후속하여, (b-3) 상기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의 재생 예정 시간이 종료되거나 소정 시간 이전에, 후속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해 있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에 개별적인 채널 번호를 할당할 수도 있다.
상기 VOD 서버(3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DB(310)와, 상기 콘텐츠 DB(310)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에 따라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VOD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텐츠 DB(31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콘텐츠 DB(311)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PG 서버(4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PG DB(410)와,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 및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기 위한 EPG 관리 어플리케이션(420)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인터넷망(20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할 VOD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VOD 서버(300)로서, 상기 VOD 콘텐츠 정보는 일반 콘텐츠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로 구성되는 것인 VOD 서버(300)와,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기 위한 EPG 정보를 저장한 EPG 서버(400)로서, 상기 EPG 정보는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 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로 구성되는 것인 EPG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VOD 서버(300)는 콘텐츠 DB(310)와,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텐츠 DB(31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콘텐츠 DB(311)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EPG 서버(4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PG DB(410)와,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 및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기 위한 EPG 관리 어플리케이션(4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IPTV 망에서 제공되었던 일반 콘텐츠 이외에, 연속 적인 시간 구간별로 콘텐츠가 편성되어 제공되는 연속 방영 콘텐츠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시청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한번의 채널 번호의 입력만으로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더 나아가 한번의 채널 번호 입력만으로 동일한 카테고리 또는 장르에 속한 콘텐츠를 패키지화하여 시간 순서로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일반 콘텐츠'는 단일하고 개별적인 VOD 콘텐츠 각각을 의미하고 '연속 방영 콘텐츠'는 상기 일반 콘텐츠를 복수개 시간 순서로 편성하여 연속적으로 나열시킨 방송 개념의 VOD 콘텐츠를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 콘텐츠는 사용자의 셋탑 박스가 시청을 요청하는 시간에 무관하게 동일한 콘텐츠가 재생되지만, 연속 방영 콘텐츠는 사용자의 셋탑 박스가 시청을 요청하는 시간에 대응하여 편성된 VOD 콘텐츠가 재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PTV 망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TV 망은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을 경유하여 VOD 서버(300) 및 EPG 서버(400)에 연결된다.
EPG 서버(400)는 셋탑 박스(100)가 온(ON) 상태일 때, 주기적으로 VOD 콘텐츠들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 파일(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을 셋탑 박스(100)로 전송한다. EPG 서버(400)에는 EPG 파일이 저장된 EPG DB(410)와, EPG DB(410) 내의 EPG 파일의 정보를 관리하고 셋탑 박스(100)로의 EPG 파일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EPG 관리 어플리케이션(420)이 마련된다.
VOD 서버(300)는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의 요청에 따라 셋탑 박스(100)에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VOD 서버(300)는 VOD 콘텐츠 파일이 저장된 콘텐츠 DB(310)와 콘텐츠 DB(310) 내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을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측에는 셋탑 박스(100)에 다운로드된 각종 정보, 예컨대, EPG 정보 또는 VOD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600)가 연결되고, 셋탑 박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위하여 입력 수단(700)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IPTV 망에서의 연속 방영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기존의 IPTV 서비스에서 제공되었던 단발적인 개별 콘텐츠(소위 일반 콘텐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일반 콘텐츠를 시간 순서로 연속적으로 편성하여 제공하는 콘텐츠(소위 연속 방영 콘텐츠)를 셋탑 박스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VOD 서버(300)에 마련된 콘텐츠 DB(310)에는 일반 콘텐츠뿐만 아니라 연속 방영 콘텐츠 파일도 함께 저장되어 있다. 도 2는 콘텐츠 DB(3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텐츠 DB(310)에는 일반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콘텐츠 DB(311)와,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에는 복수개의 연속 방영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시간 스케쥴에 따라 방영이 예정된 일반 콘텐츠의 목록이 저장된다.
연속 방영 콘텐츠 시간 스케쥴의 시간 단위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하루 단위(24 시간)로 편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한 개별적인 콘텐츠들은 동일한 카테고리 또는 장르에 속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이라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예를 보여주는데, 채널 번호는 '36600'으로 할당되어 있고, 시간 순서로 방영이 예정된 일반 콘텐츠들의 목록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8:00 ~ 9:00 시간 구간에는 '고비 사막의 전설'이라는 일반 콘텐츠가 방영예정이고, 9:00 ~ 10:00 시간 구간에는 '2차 세계 대전의 잔해'라는 일반 콘텐츠가 방영예정이며, 10:00 ~ 11:00 구간에는 '히틀러와 핵폭탄'이라는 일반 콘텐츠가 방영예정되어 있다. 이들 콘텐츠들은 동일한 상위 카테고리 또는 장르인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속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인 '내셔널 지오그래픽'을 시청하기 위해 입력 수단(700)을 이용하여 채널 번호 '36600'를 입력하여 VOD 서버(300)에 시청을 요청하면, 시청을 요청한 시간에 대응되는 VOD 콘텐츠가 셋탑 박스(100)로 다운로드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채널 번호 '36600'를 입력한 시점이 '8:00' 와 '9:00' 사이(A)인 경우에는 '고비 사막의 전설'이, '9:00' 와 '10:00' 사이(B)인 경우에는 '2차 세계 대전의 잔해'가 셋탑 박스(100)로 다운로드될 것이며, 입력 시점이 '10:00' 와 '11:00' 사이(C)인 경우에는 '히틀러와 핵폭탄'이 셋탑 박스(100)로 다운로드될 것이다.
한편, 연속 방영 콘텐츠 내에 편성된 개별적인 일반 콘텐츠들에도 일반 콘텐츠용 채널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고비 사막의 전설'의 일반 콘텐츠용 채널 번호는 '36656'으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채널 번호의 선택에 따라 손쉽게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고를 수 있다. 즉, 연속 방영 콘텐츠 대신, '고비 사막의 전설' 한편만을 감상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고비 사막의 전설' 에 대한 일반 채널 번호인 '36656'를 입력할 수 있다.
일반 콘텐츠와 연속 방영 콘텐츠의 중요한 차이점은 일반 콘텐츠는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서 VOD 서버(300)에 VOD 콘텐츠를 요청하는 시점과 무관하게 동일한 콘텐츠가 다운로드되지만, 연속 방영 콘텐츠는 콘텐츠 요청 시점에 따라 상이한 콘텐츠가 다운로드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 번호인 '36600'를 입력한 경우에는 입력 시점이 8:00 ~ 9:00 사이인 경우에만 '고비 사막의 전설'이 다운로드되고 나머지 시점에는 미리 편성된 다른 콘텐츠가 다운로드되는 반면,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서 일반 콘텐츠 채널 번호인 '36656'을 입력한 경우에는 입력 시점에 무관하게 항상 '고비 사막의 전설'이 다운로드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한 개별적 일반 콘텐츠에 할당된 채널 번호가 특정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한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채널 번호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컨대, 연속 방영 콘텐츠인 '내셔널 지오 그래픽'에 할당된 채널 번호를 '36600'으로 설정하고, 그에 편성된 하위 일반 콘텐츠의 채널 번호 형식을 '366XX'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에 저장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콘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뿐만 아니라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도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EPG 서버(400)에서는 EPG DB(410)에는 일반 콘텐츠와 함께 연속 방영 콘텐 츠에 대한 채널 정보 또한 함께 저장된 EPG 파일이 저장된다.
도 4는 EPG DB(4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EPG DB(410)에는 일반 콘텐츠와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가 분리되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도 4에는 연속 방영 콘텐츠들의 콘텐츠 제목과 채널 번호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EPG 파일에는 해당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시간대별 일반 콘텐츠의 편성 정보(도 3과 같은)도 함께 저장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한 일반 콘텐츠에도 채널 번호를 할당할 수 있으며,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한 일반 콘텐츠들의 채널 번호를 적절히 설정하여, 채널 번호만으로도 특정 일반 콘텐츠가 연속 방영 콘텐츠 내에 편성된 것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속 방영 콘텐츠인 'KBS 드라마 ON'의 채널 번호를 '30800'으로 설정하고, 'KBS 드라마 ON' 내에 편성된 일반 콘텐츠의 채널 번호를 '308XX'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연속 방영 콘텐츠인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채널 번호를 '36600'으로 설정하고, 이에 편성된 개별 일반 콘텐츠의 채널 번호를 '366XX'로 설정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가 온(ON)되어 인터넷망(200)에 접속되면(S 100 단계), EPG 서버(400)는 일반 콘텐츠 뿐만 아니라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EPG 정보 도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전송한다(S 200 단계).
EPG 정보를 전송 받은 셋탑 박스(100)는 표시 장치(600)에 일반 콘텐츠 및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연속 방영 콘텐츠에 대한 채널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채널 번호 및 콘텐츠 제목과 함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간대별 콘텐츠 방영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채널 정보로부터 시청을 원하는 VOD 콘텐츠의 채널 번호를 선택하여 입력 수단(700)을 이용하여 해당 채널 번호를 입력하면(S 300 단계), 이 정보는 VOD 서버(300)로 전송되고,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은 채널 번호에 대응한 VOD 콘텐츠 파일을 콘텐츠 DB(310)로부터 추출하여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은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가 일반 콘텐츠인지 아니면 연속 방영 콘텐츠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입력된 채널 번호가 '36656'과 같이 일반 콘텐츠인 경우에는 일반 콘텐츠 DB(311)에서 '고비 사막의 전설'에 대한 콘텐츠 파일 하나만을 셋탑 박스(100)에 전송한다(S 600 단계).
반면, 입력된 채널 번호가 '36600'과 같은 연속 방영 콘텐츠인 경우에는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420)은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로부터 채널 번호가 입력된 시간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셋탑 박스(100)에 전송한다(도 3 참조). 예컨대, 사용자가 채널 번호 '36600' 를 입력한 시각이 '8:00' 에서 '9:00' 사이인 경우에는 '고비 사막의 전설'이 전송된다(S 500 단계, 도 5 참조).
한편, 사용자가 연속 방영 콘텐츠를 선택한 상태로 시청을 계속하던 도중 후속 콘텐츠 방영 시간(9:00)이 도래하면,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은 후속 콘텐츠, 즉 '2차 세계 대전의 잔해'를 셋탑 박스(100)로 전송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연속 방영 콘텐츠를 선택한 상태로 시청이 더 계속되어 그 다음의 후속 콘텐츠 방영 예정 시간(10:00)이 도래하면, 그 시각에 예정된 후속 콘텐츠인 '히틀러와 핵폭탄'이 셋탑 박스(100)에 전송되며, 이와 같이 연속 방영 콘텐츠를 선택한 사용자가 시청을 중단하지 않는 한 연속 방영 콘텐츠에 예정된 콘텐츠들의 전송은 연속적으로 계속된다.
한편, 여기서 후속 콘텐츠의 셋탑 박스(100)로의 전송은 후속 콘텐츠의 방영 예정 시간이 도래한 직후부터 시작될 수도 있지만, 전편 콘텐츠와 후속 콘텐츠 사이의 버퍼링 또는 다운로드 시간을 제거하기 위해서 후속 콘텐츠 방영 예정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전(예: 수분 전)부터 후속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9:00부터 방영 예정인 '2차 세계 대전의 잔해'의 경우 9:00 보다 약간 이전(수 분 전) 부터 미리 셋탑 박스(100)에 전송을 함으로써 '고비 사막의 전설'이 9:00에 종료되자마자 대기 시간 없이 바로 후속 콘텐츠인 '2차 세계 대전의 잔해'가 재생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 및 IPTV 망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콘텐츠 DB(3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EPG DB(41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연속 방영 콘텐츠가 시간 구간별로 재생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셋탑 박스 200: 인터넷망
300: VOD 서버 310: 콘텐츠 DB
311: 일반 콘텐츠 DB 312: 연속 방영 콘텐츠 DB
400: EPG 서버 410: EPG DB
420: EPG 관리 어플리케이션 600: 표시 장치
700: 입력 수단

Claims (14)

  1. 인터넷망(20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PTV망은 EPG 서버(400) 및 VOD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EPG 서버(400)로부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에 따라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VOD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b-1)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상기 VOD 서버(300)로 전송된 채널 번호가 상기 일반 콘텐츠의 채널 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채널 번호에 대응하는 일반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고,
    (b-2)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상기 VOD 서버(300)로 전송된 채널 번호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번호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채널 번호를 입력한 시각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2)에 후속하여,
    (b-3) 상기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의 재생 예정 시간이 종료되면, 후속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2)에 후속하여,
    (b-3) ' 상기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의 재생 예정 시간이 종료되기 소정 시간 이전에, 후속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300)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해 있는 상기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는 개별적인 채널 번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D 서버(3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DB(310)와,
    상기 콘텐츠 DB(310)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에 따라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VOD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DB(31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콘텐츠 DB(311)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G 서버(4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PG DB(410)와,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 및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기 위한 EPG 관리 어플리케이션(420)을 포함하는 것인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해 있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는 동일한 카테고리 또는 장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9. 인터넷망(200)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할 VOD 콘텐츠 정보를 저장한 VOD 서버(300)로서, 상기 VOD 콘텐츠 정보는 일반 콘텐츠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로 구성되는 것인 VOD 서버(300)와,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제공하기 위한 EPG 정보를 저장한 EPG 서버(400)로서, 상기 EPG 정보는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함께, 연속적인 시간 구간별로 방영이 예정된 시간 구간별VOD 콘텐츠가 대응되어 있는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로 구성되는 것인 EPG 서버(400)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를 실행하고자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채널 번호를 입력한 시각과 대응되는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를 상기 VOD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VOD 서버(3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 DB(310)와,
    상기 콘텐츠DB(310)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로부터 입력된 채널 번호에 따라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연속 방영 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VOD 서버(300)에서 셋탑 박스(100)로 전송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DB(31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콘텐츠 DB(311)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연속 방영 콘텐츠 DB(312)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PG 서버(400)는
    상기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와,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EPG DB(410)와,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채널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셋탑 박스(100)가 인터넷망(200)에 접속하면 상기 EPG DB(410)에 저장된 일반 콘텐츠의 채널 정보 및 연속 방영 콘텐츠의 채널 정보를 상기 셋탑 박스(100)에 전송하기 위한 EPG 관리 어플리케이션(420)을 포함하는 것인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100)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해 있는 상기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는 개별적인 채널 번호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방영 콘텐츠에 속해 있는 시간 구간별 VOD 콘텐츠는 동일한 카테고리 또는 장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망에서 연속 방영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070113653A 2007-11-08 2007-11-08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8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653A KR100880532B1 (ko) 2007-11-08 2007-11-08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653A KR100880532B1 (ko) 2007-11-08 2007-11-08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532B1 true KR100880532B1 (ko) 2009-01-28

Family

ID=4048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653A KR100880532B1 (ko) 2007-11-08 2007-11-08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83B1 (ko) 2009-12-10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홈 iptv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303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303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583B1 (ko) 2009-12-10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홈 iptv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578B1 (ko) 가상 채널 프리뷰 가이드를 생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구현 방법,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구현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EP19351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rding multiple programs simultaneously with a single tuner
US6211901B1 (en) Video data distributing device by video on demand
KR101094553B1 (ko)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14441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a Virtual Digital Video Recorder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EP2242258A1 (en) Content access notification
CA2688701C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dvertising via network generated overlays
EP20155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PTV service
US200502105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rogram guide
JP2008263434A (ja) テレビ装置および番組情報表示方法
US9301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ignals provided to multiple display devices
KR100880532B1 (ko) Iptv망에서 사용자의 셋탑 박스에 연속 방영 콘텐츠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348724A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video-on-demand functionality
WO2009085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 recording of an upcoming sdv program deliverable over a content delivery system
KR101116966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KR20110033625A (ko) 시청 이력 채널 및 랜덤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20110114162A (ko) VoD 가상채널을 이용한 VoD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53509B1 (ko)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시청 히스토리 관리방법
KR20090120920A (ko) Iptv 서비스에서 관련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셋탑박스
KR101110991B1 (ko) 실시간 방송 시청 중 타임 쉬프트 기능을 사용 시 시청자 선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95539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vod 콘텐츠 시청 예약 시스템및 방법
KR100872241B1 (ko) Iptv 망을 이용한 vod 콘텐츠의 예약 다운로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셋탑 박스
KR100872284B1 (ko) 개인 채널 번호를 이용한 vod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90024382A (ko) Iptv 망을 이용한 vod 서비스에서 광고 등급에기초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셋탑 박스
KR20090127562A (ko) Iptv에서의 시청 예약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428

Effective date: 2011082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