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318B1 -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318B1
KR100873318B1 KR1020070012943A KR20070012943A KR100873318B1 KR 100873318 B1 KR100873318 B1 KR 100873318B1 KR 1020070012943 A KR1020070012943 A KR 1020070012943A KR 20070012943 A KR20070012943 A KR 20070012943A KR 100873318 B1 KR100873318 B1 KR 10087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location
data structure
referenc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210A (ko
Inventor
임훈
김수면
이진욱
공원근
안순신
정창성
백종권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31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센서 노드가 발신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 서버가 이를 파싱하는 단계와, 파싱된 데이터를 객체화하고 계층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이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위치 정보를 기준 노드와 함께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대적 위치 정보, 지리적 코드, 파싱 방법, 센서 노드, 기준 노드, 위치 기반 서비스

Description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METHOD OF LOCATION-BASED-SERVICE USING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AND APARATUS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에서, 상대적 위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에서,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센서 네트워크 320: 서버
330: 데이터베이스 340: 디스플레이부
410: 기준 노드 420, 430, 440: 센서 노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인프라와 유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사물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 관련 기술의 발달은 위치 보다 정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현재 위치 기반 서비스 기술은 개별적인 위치 관리 기법으로 구현되어, 통합 환경에서 일반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제약이 따른다. 또한, 이동 통신 환경에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노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노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있다. GPS는 GPS수신기가 위치한 곳의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이를 지도상에 표시한다. 그러나 GPS는 인공위성 시간 오차, 인공위성 위치 오차, 전리층과 대류층의 굴절,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path)등에 의해 정확성이 떨어지고, 보다 정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GPS모듈을 가지고 있는 센서 노드의 분포가 조밀해야 하는데, 이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크다.
GPS의 시간 오차, 잡음 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RFID 리더기와 Tag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미리 그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알고 있는 RFID 리더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각각의 센서 노드가 RFID 리더기를 가지고 있어야만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고가의 리더기를 조밀하게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통합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하드웨어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위치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 기반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모든 센서 노드를 통하여 일관성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있어,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있어, 각 센서 노드의 하드웨어 설치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있어, 계층적 데이터 구조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위치 정보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절대적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가지고 있는 센서 노드가,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시 발신하는 스트림 형식의 상기 데이터 구조 정보를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수신하여 의미가 있는 최소 단위로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파싱된 데이터를 객체화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의 계층 정보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노드를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객체화된 데이터를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상기 객체화하고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파싱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는 경우 에러로 취급하고 상기 파싱하는 단계를 되풀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의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지도 상의 표시된 위치를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절대적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가지고 있는 센서 노드가,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시 발신하는 스트림 형식의 상기 데이터 구조 정보를 수신하여, 의미가 있는 최소 단위로 파싱하고, 상 기 파싱된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및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를 그 계층 정보에 따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상기 기준 노드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변환된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에 의해 상기 센서 노드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절대적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가지고 있는 센서 노드가,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시 발신하는 스트림 형식의 상기 데이터 구조 정보를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수신하여 의미가 있는 최소 단위로 파싱한다(S110).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는 기준 노드에 종속된 센서 노드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센서 노드는 다른 센서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에 따라, 이를 반영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서버 간의 관계는 계층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는 국가 표시 필드, 척도 필드, 지리적 주소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에서 지원하는 상대적 위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대적 위치 정보는 국가 표시 필드(210), 척도 필드(220, 230), 지리적 주소 필드(240)를 포함한다.
이 때, 파싱하는 과정은 파서(parser)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 필드로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척도 필드(220, 230) 및 지리적 주소 필드(240)는 x, y, z 세 개의 실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로 정의(define)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 구조는 세 개의 실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class)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척도 필드(220, 230)는 절대적 위치 정보와 상대적 위치 정보를 구분하는 코드 체계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코드 체계 구분자는 척도 필드의 가장 앞의 수일 수 있다.
이 때, 코드 체계 구분자는 1이면 절대적 위치 정보를, 2이면 상대적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국가 표시 필드(210)는 지역 표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상대적 위치 값은, 척도 필드(220, 230)에서 코드 체계 구분자를 제외한 일 부분(221)의 세 실수 값과 나머지 부분(230)의 세 실수 값을 각각 순서에 맞게 곱하고, 지리적 주소 필드(240)의 세 실수 값을 각각 순서에 맞게 더하여 x, y, z 좌표에 대응하도록 배열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대적 위치 정보의 상대적 위치 값은, 국가 표시 필드(210)에 상응하는 국가에서, 척도 필드의 일 부분(221)의 세 실수 값(1, 2, 3)을 각각 다른 일 부분(230)의 세 실수 값(0.1, 0.2, 0.3)과 곱하고, 지리적 주소 필드(240)의 세 실수 값(240)과 더하여 x, y, z 좌표에 대응한다.
x: 1 x 0.1 + 5
y: 2 x 0.2 + 4
z: 3 x 0.3 + 3
이 때, 상대적 위치 값은 위도, 경도, 고도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값은 극좌표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좌표 간의 변환은 선언된 모든 필드와 메소드(method)가 정적(static) 멤버인 클래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파싱된 데이터를 객체화하고, 객체화된 데이터의 계층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 스에 그 데이터를 저장한다(S120).
이 때, 상기 데이터는 객체화된 데이터의 계층 정보에 상응하는 리버스 트리(reversed-tree) 구조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객체(object)는 하나의 센서 노드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객체는 복수 개의 필드를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기준 노드를 지도에 표시하고, 저장된 객체화된 데이터를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하여 지도에 표시한다(S130).
이 때, 기준 노드의 위치 값은 (0, 0, 0)으로 주어질 수 있다.
이 때, 기준 노드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을 지나는 가상의 x, y 축을 설정하여 이를 기초로 센서 노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z 값은 고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3D 화면 구현 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웹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의 저장된 정보 및 지도 상의 표시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새로 수신된 상대적 위치 정보가 이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라면 새로이 수신된 이벤트 정보만을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파싱 하는 과정(S110)부터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객체화하고 저장하는 단계(S120)에서 파싱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는 경우 이를 에러(error)로 취급하고, 파싱하는 단계(S110)부터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에서,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 네트워크는 전체 센서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10) 가운데 척도 필드에 의해 스케일링(scaling)된 x, y, z 좌표로 표시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센서 노드(611)를 포함하고, 센서 노드(61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20)이 전체 센서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10) 중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된다.
상기 센서 노드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20) 가운데 척도 필드에 의해 스케일링(scaling)된 x, y, z 좌표로 표시되는 다른 센서 노드(621)가 존재하고, 다른 센서 노드(62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30)이 공간 영역(620) 중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된다.
상기 다른 센서 노드(62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30) 가운데 척도 필드에 의해 스케일링(scaling)된 x, y, z 좌표로 표시되는 또 다른 센서 노드(631)가 존재하고, 또 다른 센서 노드(63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이 공간 영역(630) 중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된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의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상기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에 따른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의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상기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계층화된 클래스(class)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서버(320)와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한다.
서버(320)는 센서 네트워크(310) 상의 센서 노드로부터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시 발신된 데이터 스트림 형식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의미가 있는 최소 단위로 파싱하고, 파싱된 데이터를 객체화하여, 객체화된 데이터를 센서 네트워크(310) 상의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한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는 국가 표시 필드(210), 척도 필드(220, 230), 지리적 주소 필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파싱하는 과정은 파서(parser)를 통하여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데이터 필드로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척도 필드(220, 230) 및 지리적 주소 필드(240)는 x, y, z 세 개의 실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로 정의(define)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 구조는 세 개의 실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class)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척도 필드(220, 230)는 절대적 위치 정보와 상대적 위치 정보를 구분하는 코드 체계 구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코드 체계 구분자는 척도 필드의 가장 앞의 수일 수 있다.
이 때, 코드 체계 구분자는 1이면 절대적 위치 정보를, 2이면 상대적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국가 표시 필드(210)는 지역 표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상대적 위치 값은, 척도 필드(220, 230)에서 코드 체계 구분자를 제외한 일 부분(221)의 세 실수 값과 나머지 부분(230)의 세 실수 값을 각각 순서에 맞게 곱하고, 지리적 주소 필드(240)의 세 실수 값을 각각 순서에 맞게 더하여 x, y, z 좌표에 대응하도록 배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상대적 위치 정보의 상대적 위치 값은, 국가 표시 필드(210)에 상응하는 국가에서, 척도 필드의 일 부분(221)의 세 실수 값(1, 2, 3)을 각각 다른 일 부분(230)의 세 실수 값(0.1, 0.2, 0.3)과 곱하고, 지리적 주소 필드(240)의 세 실수 값(240)과 더하여 x, y, z 좌표에 대응한다.
x: 1 x 0.1 + 5
y: 2 x 0.2 + 4
z: 3 x 0.3 + 3
이 때, 상대적 위치 값은 위도, 경도, 고도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값은 극좌표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좌표 간의 변환은 선언된 모든 필드와 메소드(method)가 정적(static) 멤버인 클래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의 서버(320)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서버(320) 간의 관계는 계층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 네트워크는 기준 노드(410), 센서 노드(420, 430, 440)를 포함한다.
이 때, 센서 노드(420, 430, 440)는 기준 노드(410)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가지고 있다가 미리 정해진 이벤트 발생 시 이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발신한다.
이 때, 센서 노드(431, 432)는 다른 센서 노드(430)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센서 노드(420, 430, 431, 432, 440)의 상대적 위치 정보는 기준 노드(410)에 종속된 센서 노드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의 데이터베이스(330)는 서버(320)에서 객체화된 데이터를 그 계층 정보에 따라 저장한다.
이 때, 상기 데이터는 객체화된 데이터의 계층 정보에 상응하는 리버스 트리(reversed-tree) 구조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객체(object)는 하나의 센서 노드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객체는 복수 개의 필드를 저장할 수 있는 클래스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기준 노드를 지도에 표시하고, 저장된 객체화된 데이터를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노드의 위치 값은 (0, 0, 0)으로 주어질 수 있다.
이 때, 기준 노드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을 지나는 가상의 x, y 축을 설정하여 이를 기초로 센서 노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z 값은 고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3D 화면 구현 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 상의 저장된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의 지도 상의 표시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새로 수신된 상대적 위치 정보가 이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라면 새로이 수신된 이벤트 정보만을 업데이트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파싱하는 과정부터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의 서버(3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서버(320)에서 객체화하고 저장하는 단계에서 파싱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는 경우 이를 에러(error)로 취급하고, 파싱하는 단계부터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버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의 서버(320)는 수신부(510), 파서(520), 데이터베이스 연결부(530), 서비스 제공부(540)을 포함한다.
수신부(510)는 센서 네트워크(310)의 센서 노드 또는 기준 노드로부터 발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파서(520)로 전달한다.
또한, 파서(520)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의미 있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 필드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 연결부(530) 또는 서비스 제공부(540)로 전달한다.
이 때, 데이터 필드 간의 구분을 위해 실수 값 간에 구분 기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구분 기호는 여는 괄호, 닫는 괄호, 쉼표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파서(520)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구분함에 있어서, 동일 의미의 다른 명칭(alias)을 인식하여 어느 하나의 명칭으로 통일하여 데이터베이스 연결부(530) 또는 서비스 제공부(5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파서(520)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을 구분함에 있어서, 척도 필드 내의 절대적 위치 정보와 상대적 위치 정보를 구분하는 코드 체계 구분자를 인식하여 그에 따라 구분 체계를 달리 할 수 있다.
이 때, 코드 체계 구분자는 척도 필드의 가장 앞의 수일 수 있다.
이 때, 코드 체계 구분자는 1이면 절대적 위치 정보를, 2이면 상대적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연결부(530)는 파서(520)에서 구분된 데이터 구조를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전달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540)는 파서(520)에서 구분된 데이터 구조를 디스플레이부(340)에 전달한다.
이 때, 서비스 제공부(540)는 디스플레이부(340)에서 지도에 위치를 표시하기에 용이하도록 데이터 형식을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에서, 센서 네트워크는 전체 센서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10) 가운데 척도 필드에 의해 스케일 링(scaling)된 x, y, z 좌표로 표시되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센서 노드(611)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 노드(61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20)이 전체 센서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10) 중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노드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20) 가운데 척도 필드에 의해 스케일링(scaling)된 x, y, z 좌표로 표시되는 다른 센서 노드(621)가 존재할 수 있고, 다른 센서 노드(62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30)이 공간 영역(620) 중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센서 노드(62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630) 가운데 척도 필드에 의해 스케일링(scaling)된 x, y, z 좌표로 표시되는 또 다른 센서 노드(631)가 존재할 수 있고, 또 다른 센서 노드(631)에 상응하는 공간 영역이 공간 영역(630) 중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될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의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상기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에 따른 계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대적 위치 정보의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상기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를 반영할 수 있는 계층화된 클래스(class)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 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센서 노드를 통하여 일관성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있어, 위치 기반 서비스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있어, 계층적 데이터 구조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위치 정보 저장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있어, 각 센서 노드에 대한 하드웨어 설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Claims (16)

  1.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시 센서 노드로부터 발신되는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 구조 정보를 하나 이상의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 구조 정보는 상기 센서 노드의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가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표현된 것이고, 상기 기준 노드는 절대적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음 - ;
    상기 수신된 데이터 구조 정보를 의미가 있는 최소 단위로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에 대응하여 객체화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의 계층 정보에 따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노드를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된 객체화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하여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파싱하는 단계는 상기 파싱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는 경우 에러로 취급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구조 정보를 다시 파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기준 노드에 종속된 센서 노드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지리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상기 객체화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주기적으로 파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지도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지도 상의 표시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국가 표시 필드, 척도 필드, 지리적 주소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시 센서 노드로부터 발신되는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 구조 정보 - 상기 스트림 형식의 데이터 구조 정보는 상기 센서 노드의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정보가 계층적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표현된 것이고, 상기 기준 노드는 절대적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음 - 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구조 정보를 의미가 있는 최소 단위로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데이터를 상기 센서 노드에 대응하여 객체화하고,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를 상기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 및
    상기 객체화된 데이터를 그 계층 정보에 따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버는 상기 파싱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식에 맞지 않는 경우 에러로 취급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구조 정보를 다시 파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상기 기준 노드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상기 변환된 기준 노드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값에 의해 상기 센서 노드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의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지도 상의 표시된 위치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기준 노드에 종속된 센서 노드의 개수에 따라 가변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데이터 구조는 센서 노드 간의 계층 관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지리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15. 삭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는 국가 표시 필드, 척도 필드, 지리적 주소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KR1020070012943A 2007-02-07 2007-02-07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7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943A KR100873318B1 (ko) 2007-02-07 2007-02-07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943A KR100873318B1 (ko) 2007-02-07 2007-02-07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210A KR20080104210A (ko) 2008-12-02
KR100873318B1 true KR100873318B1 (ko) 2008-12-10

Family

ID=4036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943A KR100873318B1 (ko) 2007-02-07 2007-02-07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25B1 (ko) * 2014-07-02 2015-01-29 국방과학연구소 멀티센서 네트워크 도시 시스템
KR101952810B1 (ko) * 2016-09-19 2019-02-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산업 자동화를 위한 파워링크 무선 hart 게이트웨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53A (ko) * 2001-10-25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것의 맵 매칭 방법
KR20060104329A (ko) * 2005-03-30 2006-10-09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53A (ko) * 2001-10-25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것의 맵 매칭 방법
KR20060104329A (ko) * 2005-03-30 2006-10-09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네트워크 및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210A (ko) 200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4973B2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at a client de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rver device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EP13587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ition profiles in mobile value-added services
KR100723842B1 (ko) 사용자 생성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750380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위치기반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100406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based navigational services
US20130085672A1 (en) Flight Trajectory Prediction with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US20080208444A1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hared between peer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10008414B (zh) 地理信息点的确定方法和装置
JP2007304009A (ja) 位置情報から移動手段を求め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754097A (zh) 用于呈现内容的第一人世界视图的方法和装置
CN101506857B (zh) 接收交通状况报告并生成方向信息的方法
CN101866345A (zh) 用于交换不同数据格式下的位置内容数据的方法和系统
CN105051493A (zh) 用于传输路线的方法及其设备
US200201039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collection in a WAP environment
Keikhosrokiani et al. Wireless positioning techniques and location-based services: a literature review
CN103902555A (zh) 兴趣点分享方法、装置和系统
KR100873318B1 (ko)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6162542B (zh) 一种电子凭证提示方法及服务器
US91461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directions
Deidda et al. An example of a tourist location-based service (LBS) with open-source software
KR1006711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128725A (ja) 滞在地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Beaubrun et al. An architecture for delivering location-based services
CN111480322A (zh) 普适计算
WO20040997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to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