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769B1 -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 Google Patents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769B1
KR100872769B1 KR1020070073468A KR20070073468A KR100872769B1 KR 100872769 B1 KR100872769 B1 KR 100872769B1 KR 1020070073468 A KR1020070073468 A KR 1020070073468A KR 20070073468 A KR20070073468 A KR 20070073468A KR 100872769 B1 KR100872769 B1 KR 10087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guide
jig
main body
wi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21/042Calibration or calibration artif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21/047Accessories, e.g. for positioning, for tool-setting, for measuring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의 지지대와 와이어릴 및 치구본체를 제공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소하고, 안전하게 셀가이드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자석 방식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는 선박의 카고홀드(1)에 구비된 셀가이드(2)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카고홀드(1) 상부의 코너부위(1a)에 가설되도록 분리형 마그네트(111)를 갖는 지지대(110); 상기 지지대(110)에 탑재되어 와이어(125)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와이어릴(120); 상기 지지대(110)에 지지된 상기 와이어(125)에 매달려 상기 와이어릴(120)의 조작에 상응하게 상기 셀가이드(2)를 따라 승하강하는 치구본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치구본체(130)에 3차원 계측기용 타겟(132)을 결합시킨 것이다.
지지대, 와이어릴, 치구본체, 자력조정구, 마그네트, 타겟

Description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JIG FOR CHECKING ACCURACY OF CELL GUIDE}
본 발명은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은 컨테이너(container)를 적재시키기 위한 선창에 해당하는 카고홀드(cargo hold)를 설치하고 있다.
카고홀드는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적재할 수 있는 폭과 깊이를 갖고 있고,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싣거나 하역할 수 있으면서도,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카고홀드는 그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셀가이드(cell guide)가 구비되어 있다.
셀가이드는 정확한 수직도를 유지하여야만 컨테이너의 승강 또는 하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가이드 등이 정확히 시공되었는지 등을 판단하기 위해 셀가이드의 정도가 측정 또는 검사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적으로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싣기 위한 카고홀드(1)는 영어 T자 또는 한글 디귿자 단면과 같은 셀가이드(2)용 앵글부재를 카고홀드(1)의 내측면에 고정시키고 있다.
셀가이드(2)용 앵글부재는 복수개로서 카고홀드(1)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서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되어 있어서, 앵글부재간 안쪽 공간으로 삽입될 컨테이너(미 도시)의 모서리를 가이드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셀가이드 정도 측정 방법을 살펴보면, 실물 크기의 컨테이너모형을 크레인으로 들어서 셀가이드가 설치된 곳에 직접 넣어서 실제로 들어가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레벨링패드, 타겟, 줄자, 주걱형상의 치구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셀가이드(2)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종전 방법은 크레인 대기시간이 과다하게 되고 타작업과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바람 및 우천으로 인한 날씨 상황에 따라 작업이 지연되기 때문에 전체 공기(工期)가 지연되어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줄자와 시각에 의한 체크로 주간에만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소작업과 상호수신호에 의한 측정으로 측정값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작업자가 고소차(3)를 타고 직접 셀가이드(2)의 복수개소의 측정 위치에 타겟을 가설한 후, 주지의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하여 셀가이드(2)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나, 아래와 같은 어려움을 통해 작업 효율의 저하를 가져오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고소차(3)를 사용하기 위해서, 골리앗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소차(3)를 카고홀드(1) 내부로 이동시키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고소차(3)를 이용하면 측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소차(3)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에도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416639호를 통해서,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 및 검사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의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은 셀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센서부, 지지어셈블리, 상하가이드어셈블리, 엔코더어셈블리를 갖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는 와이어를 윈치모터로 감아 공급 또는 회수하되 셀가이드의 상단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오토릴어셈블리와, 상기 캐리지에서 센싱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유무를 측정하는 콘트롤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은 한 개의 셀가이드 내에서 복수개의 지점을 측정한 후, 다른 셀가이드로 신속하게 이동 및 설치될 수 없어,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며, 현장 작업자 별로 상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경제적 문제점이 있고, 시스템이 비대하고 복잡하여, 작업자 별로 소지 및 운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의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은 통상적인 기존 설비에 해당하는 3차원 계측기를 사용할 수 없어서 범용성이 떨어지고, 중량이 과도하여 별도의 운반 및 취부장비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량의 지지대와 와이어릴 및 치구본체를 제공하여 휴대 및 사용이 간소하고, 안전하게 셀가이드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자석 방식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카고홀드에 구비된 셀가이드용 정도 측정용 치구에 있어서, 상기 카고홀드 상부의 코너부위에 가설되도록 분리형 마그네트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어 와이어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와이어릴; 상기 지지대에 지지된 상기 와이어에 매달려 상기 와이어릴의 조작에 상응하게 상기 셀가이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치구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치구본체에 3차원 계측기용 타겟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는 경량으로서 심플한 구조를 갖고 있고 분리형 마그네트에 의해 가설되어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지지대와, 수동식이지만 현장 상황에 맞게 와이어의 공급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와이어릴과, 3차원 계측기에 대응한 타겟을 장착하고 손잡이와 와이어 연결구를 구비한 치구본체를 제공함에 따라, 안전하고 신속하게 셀가이드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는 고소차를 사용하지 않고 셀가이드의 정도를 측정하여 매우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정도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는 치구본체 내에 타겟을 안전하게 구비시켜, 내구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와 와이어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치구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치구본체의 일부분을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00)는 카고홀드(1)의 셀가이드(2)용 정도 측정을 위한 치구(JIG)로서, 휴대, 운반, 취부, 관리가 용이하게 구성된 지지대(110), 와이어릴(120), 치구본체(130)를 갖는다.
지지대(110)는 경량으로서 분리형 마그네트(111)에 의해 가설되어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110)는 그의 전체 길이에 대응한 외팔보(112)와, 이런 외팔보(112)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와이어 지지부(113)를 갖고 있으므로, 와이어릴(120)의 취부 사용이 가능하고, 카고홀드(1) 상부의 코너부위(1a) 상부 공간에 상기 와이어 지지부(113)를 이격 배치시킬 수 있어서, 안정되고 정확하게 치구본체(130)의 승하강을 돕는다.
지지대(110)는 그의 임시 가설 지점에 대응하는 곳에 분리형 마그네트(111)를 구비시켜, 카고홀드 상부에서 자석 방식으로 신속하게 임시 가설 또는 취부될 수 있다.
와이어릴(120)은 지지대(110)의 외팔보(112) 상에 탑재되며, 볼트 조임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다.
치구본체(130)는 와이어릴(120)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125)의 끝단에 매달려서 셀가이드(2)의 코너를 따라 상하로 승하강 되는 무게추 내지 타겟 운반체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치구본체(130)는 박스 형상을 대각 방향 기준으로 절단하고 절단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모서리 부위를 모따기 한 외형적 형상을 갖는 본체케이싱(131)과, 본체케이싱(131)의 내부 중앙을 기준으로 안전하게 배치된 3차원 계측기용 타겟(132)(이하, '타겟'이라 약칭함)을 갖는다.
치구본체(130)는 치구본체(130)의 상부에 손잡이(133)를 장착하여 사용 및 설치가 용이하고, 와이어 연결구(134) 내지 연결 클립을 이용하여 와이어(125)와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3을 통해 지지대(110)의 구성적 특징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지지대(110)는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한 경량의 봉재, 프로파일 형식의 구조재, 경량 블록 재질, 판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지지대(110)는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와이어 지지부(113)와, 상기 와이어 지지부(113)를 일측 끝단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하고 있는 외팔보(112)와, 상기 외팔보(112)의 아래 중앙 부위와 타측 부위에서 하향 연장된 제1다리(114) 및 제2다리(115)와, 상기 제2다리(115)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지지블록(116)과, 지지블록(116)의 안착구멍에 체결된 분리형 마그네트(111)와, 제1다리(114) 및 제2다리(115)가 외팔보(112)에 연결된 곳 또는 제2다리(115)가 지지블록(116)에 연결된 곳 각각의 직각부위에 보강된 구조보강판(117)을 갖는다.
작업자는 분리형 마그네트(111)를 이용하여 지지블록(116)을 카고홀드의 상부에 취부시킨다.
이때, 제1다리(114)가 외팔보(112)를 카고홀드의 상부 공간에서 안정되게 지지한다.
와이어 지지부(113)는 회전 가능한 롤러를 지지하도록 영문 Y자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와이어릴(120)로부터 와이어(125)를 수평하게 공급하거나 꼬이지 않게 공급하도록 외팔보(112)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향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예 : 5센티미터)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팔보(112)에는 와이어릴(120)을 취부 가능토록 볼트 또는 너트가 삽입 가능한 구멍과 같은 장착부위(1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대된 원의 단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장착부위(119)에서 외팔보(112)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와이어릴(120)의 하우징의 바닥면을 외팔보(112)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와이어릴(120)은 수동식이지만 현장 상황에 맞게 와이어(125)의 공급 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립 성능이 좋은 영문 T자형 릴회전레버(121)를 구비하고 있고, 임시 고정 상태 유지 또는 해제를 수행하는 록킹레버(122)를 구비하고 있다.
와이어릴(120)은 릴회전레버(121)에 연결된 내부 보빈에 와이어(125)를 감고 있어서, 릴회전레버(121)의 회전에 따라 내부 보빈에 미리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125)를 공급 또는 회수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구본체(130)는 셀가이드(2)의 코너에 대응하게 안정된 밀착감을 유지하면서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치구본체(130)는 정면이 개구된 본체케이싱(131)을 갖는다.
본체케이싱(131)은 정면 개구된 곳 기준으로 각도 45도의 배치각(a)을 갖도록 형성된 양측 판부재(131a, 131b), 상기 양측 판부재(131a, 131b)의 상부와 하부를 막고 있는 평행사변형의 상, 하 판부재(131c, 131d), 정면 개구된 곳의 반대쪽에서 상기 양측 판부재(131a, 131b) 및 상, 하 판부재(131c, 131d)를 연결하는 직사각형의 배면 판부재(131e)를 용접과 같은 결합 방식을 통해 앞서 언급한 치구본체(130)의 외형적 형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양측 판부재(131a, 131b)에는 각각 라운드 사각형 통공(139)이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드 사각형 통공(139)은 부가적인 운반 손잡이로서의 역할이나, 무게를 줄이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 또는 이동 중 셀가이드의 표면을 확인하는 확인창과 같은 복합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손잡이(133)는 상 판부재(131c)의 앞쪽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해 결합된다.
와이어 연결구(134)는 상 판부재(131c)의 뒤쪽에 형성된 다른 체결구멍을 통해 결합된다.
사각 홀더(135)의 아래쪽 거치대 부위는 배면 판부재(131e)에서 수직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각 홀더(135)에는 타겟(132)이 틸트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치구본체(130)의 중앙에 배치된 타겟(132)을 기준으로 배면 판부재(131e)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자력조정구(136, 137)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자력조정구(136, 137)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일측의 자력조정손잡이와, 상기 자력조정손잡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타측의 자력조정볼트와, 상기 자력조정볼트의 코어 부위에 내장된 영구자석을 갖는다.
작업자가 자력조정손잡이를 나사 회전시킬 때, 상기 배면 판부재(131e)에 나사결합된 자력조정볼트가 나선이동하여, 결국 그 나선이동에 따른 스트로크 거리 변화만큼 자력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작업자는 자력조정구(136, 137)를 조작하여, 치구본체(130)가 셀가이드를 따라 자연스럽게 승하강 할 수 있을 정도로, 셀가이드와 치구본체(130)간의 간격 또는 상호 이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정 또는 관리한다.
이하, 도 2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 치구를 조작하는 제1작업자는 와이어릴(120)이 탑재된 지지대(110)를 카고홀드(1) 상부의 코너부위(1a) 쪽으로 운반시킨 후, 측정하려는 셀가이드(2)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배치한 후 분리형 마그네트(111)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110)를 가설한다.
그리고, 제1작업자는 상기 코너부위(1a) 안쪽에서 안전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손잡이(133)를 이용하여 치구본체(130)를 들어서 셀가이드(2)의 코너 상부 시작점에 배치시킨다.
이때, 치구본체(130)는 자력조정구(136, 137)에 의해 셀가이드(2)의 표면쪽으로 안정되게 근접될 수 있다.
또한, 치구본체(130)와 와이어릴(120)은 와이어(12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125)는 와이어릴(120)에서 연장된 후 지지대(110)의 와이어 지지부(113)에서 하향으로 꺾여 연장되며, 치구본체(130)의 자중에 의해 팽팽한 장력을 받고 있다.
3차원 계측기를 조작하는 제2작업자는 상기 제1작업자와 상호수신호 또는 별도의 신뢰성 있는 협조체제를 통해 작업한다.
제1작업자는 와이어(125)를 풀어 공급하도록 와이어릴(120)을 조작하여서, 치구본체(130)가 상기 셀가이드(2)의 코너 상부 시작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첫 번 째 측정 높이 간격까지 하강 및 정지시키고, 이후 미리 정해진 다른 복수개의 측정 높이 간격마다 하강 및 정지를 반복시켜서, 결국 치구본체(130)의 타겟(132)이 임시 정지 타이밍마다 해당 높이에서 계측이 되도록 조작한다.
이에 상응하게 제2작업자는 3차원 계측기로 상기 타겟(132)을 계측하여 해당 높이별로 셀가이드(2)의 정도를 측정 및 기록 관리한다.
이후, 제1작업자는 와이어(125)를 회수하도록 와이어릴(120)을 반대로 조작하여서, 치구본체(130)를 원위치 시키고 측정 완료 신호를 제2작업자에게 전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가이드 정도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와 와이어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치구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치구본체의 일부분을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실시예 110 : 지지대
120 : 와이어릴 130 : 치구본체

Claims (6)

  1. 선박의 카고홀드에 구비된 셀가이드용 정도 측정용 치구에 있어서,
    상기 카고홀드 상부의 코너부위에 가설되도록 분리형 마그네트를 갖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탑재되어 와이어를 공급 또는 회수하는 와이어릴;
    상기 지지대에 지지된 상기 와이어에 매달려 상기 와이어릴의 조작에 상응하게 상기 셀가이드를 따라 승하강하는 치구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치구본체에 3차원 계측기용 타겟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와이어 지지부;
    상기 와이어 지지부를 일측 끝단에서 수직하게 돌출 형성한 외팔보;
    상기 외팔보의 아래 중앙 부위와 타측 부위에서 하향 연장된 제1다리 및 제2다리;
    상기 제2다리의 하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된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안착구멍에 체결된 분리형 마그네트;
    상기 제1다리 및 제2다리가 상기 외팔보에 연결된 곳 또는 상기 제2다리가 상기 지지블록에 연결된 곳 각각의 직각부위에 보강된 구조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릴은
    상기 외팔보 상에서 볼트 조임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구본체는 박스 형상을 대각 방향 기준으로 절단하고 절단한 곳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모서리 부위를 모따기 한 외형적 형상의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의 중앙에 배치된 상기 타겟;
    상기 본체케이싱을 상기 셀가이드에 근접시키는 것을 조정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에 결합된 복수개의 자력조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은
    정면 개구된 곳 기준으로 각도 45도의 배치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라운드 사각형 통공을 각각 형성한 양측 판부재;
    상기 양측 판부재의 상부와 하부를 막고 있는 평행사변형의 상, 하 판부재;
    정면 개구된 곳의 반대쪽에서 상기 양측 판부재와 상기 상, 하판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타겟과 상기 자력조정구가 설치되는 직사각형의 배면 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조정구는
    일측의 자력조정손잡이;
    상기 자력조정손잡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타측의 자력조정볼트;
    상기 자력조정볼트의 코어 부위에 내장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KR1020070073468A 2007-07-23 2007-07-23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KR100872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468A KR100872769B1 (ko) 2007-07-23 2007-07-23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468A KR100872769B1 (ko) 2007-07-23 2007-07-23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769B1 true KR100872769B1 (ko) 2008-12-09

Family

ID=4037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468A KR100872769B1 (ko) 2007-07-23 2007-07-23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7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5609A (zh) * 2016-11-25 2017-04-26 中国长江航运集团南京金陵船厂 集装箱船导轨测量装置与集装箱船导轨测量方法
CN109612363A (zh) * 2019-01-18 2019-04-12 浙江辛子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便捷式滚动导轨检测用量具
CN113978655A (zh) * 2021-11-10 2022-01-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集装箱船导轨总组定位及舱容检测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50A (ko) * 2000-10-28 2002-05-04 김징완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 및 검사방법
KR20060044213A (ko) * 2004-11-11 2006-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셀 가이드의 취부기준선 설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50A (ko) * 2000-10-28 2002-05-04 김징완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 및 검사방법
KR20060044213A (ko) * 2004-11-11 2006-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 셀 가이드의 취부기준선 설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5609A (zh) * 2016-11-25 2017-04-26 中国长江航运集团南京金陵船厂 集装箱船导轨测量装置与集装箱船导轨测量方法
CN109612363A (zh) * 2019-01-18 2019-04-12 浙江辛子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便捷式滚动导轨检测用量具
CN113978655A (zh) * 2021-11-10 2022-01-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集装箱船导轨总组定位及舱容检测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516B1 (ko) 지지와이어로부터 매달린 화물의 방위를 지지와이어를 중심으로 제어하는 방법과 윈치구조
EP3766820B1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elevator guide rail installation
KR100872769B1 (ko) 셀가이드 정도 측정용 치구
KR20140011815A (ko) 선박의 셀가이드 측정 시스템
CN111236660B (zh) 一种钢材组装用辅助设备及其使用方法
US20150368074A1 (en) Relocatable Fine Motion Positioner Assembly on an Overhead Crane
US20140217050A1 (en) Relocatable fine motion positioner assembly on an overhead crane
CN210149381U (zh) 一种多层可自动取料的料车
CN110789684A (zh) 一种大型甲板机械本体基座的装配方法
CN114348847A (zh) 一种超大型橇装的倾斜自纠正精密吊装工具及吊装方法
CN111236659B (zh) 一种钢材组装用辅助设备的组成
KR200447311Y1 (ko)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GB2600995A (en) Contact wire measurement device
CN111170138A (zh) 一种预制梁精确起吊装置及其方法
CN216272704U (zh) 一种集装箱货车精准卸车辅助装置
KR100416639B1 (ko) 컨테이너 셀가이드의 측정시스템 및 검사방법
US48588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objects inside a limited access vessel
CN112323796B (zh) 一种斜向预制桩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CN211628711U (zh) 核电站用定位装置
CN111485727B (zh) 钢结构雨棚屋拱梁吊装焊接的施工方法
CN210439084U (zh) 一种用于磁浮轨道铺设的对位装置
KR100618173B1 (ko) 골리앗 크레인의 중심점 측정장치
CN219411700U (zh) 一种干挂石材定位施工装置
CN217155414U (zh) 一种垂线基准仪
CN212198124U (zh) 一种预制梁精确起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