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187B1 -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 Google Patents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187B1
KR100872187B1 KR1020070038493A KR20070038493A KR100872187B1 KR 100872187 B1 KR100872187 B1 KR 100872187B1 KR 1020070038493 A KR1020070038493 A KR 1020070038493A KR 20070038493 A KR20070038493 A KR 20070038493A KR 100872187 B1 KR100872187 B1 KR 10087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wiring
crimp terminal
insulat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685A (ko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임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호 filed Critical 임장호
Priority to KR1020070038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1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4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3상 전원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가 형성된 투명한 절연 캡을 형성하되 절연 캡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배선용 압착단자와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손쉽게 파악하여 케이블의 접속불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전원 공급 라인과 직접 접속하기 위한 평판의 터미널과 케이블의 동선이 내측으로 접속되어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부가 구비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와 케이블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절연 피복의 일부를 커버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있어서, 절연 캡은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부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배선용 압착단자 및 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도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전원의 3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배선용 압착단자, 절연 캡, 터미널, 3상 전원

Description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Cap insulation of pressure wiring terminal}
도 1 은 종래의 배선용 압착단자와 이에 적용된 절연 캡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배선용 압착단자와 이에 적용된 절연 캡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배선용 압착단자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배선용 압착단자에 적용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절연 캡을 배선용 압착단자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선용 압착단자 12. 케이블 접속부
12a. 압착 고정홈 14. 터미널
16. 접속공 20. 케이블
22. 동선 24. 절연 피복
30. 절연 캡 100. 절연 캡
102. 단자 커버부 104. 케이블 커버부
110. 고정색상표시부 120. 사용규격표시부
본 발명은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위의 연결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캡을 성형함은 물론 캡의 일측에 게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도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전원의 3상을 표시하는 고정된 색상표시부를 형성한 구조의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압착단자는 전기·전자 제품, 산업용 배전반 및 관련기기에 사용되는데 부품과 부품, 부품과 전원 및 전선과 전선 등을 효과적으로 연결 접속하기 위하여 절연전선의 선단을 적당한 길이로 탈피 후 그 선단에 압착가공하여 사용된다. 초기에는 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겨낸 후에 전선의 도체끼리 맞물려 엮은 다음 절연테이프로 마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 방법은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건물 등에 전선을 배선할 때는 절연테이프를 최소한 6회 이상 감아 주어야 한다는 지침까지도 있는 형편이다.
한편, 이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경우는 사용 전선의 선단을 탈피하여 탈피된 통전부를 압착부에 삽입한 다음 배선용 압착단자의 압착부를 압착 툴을 통해 강하게 압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배선용 압착단자는 통상 고압의 3상 전원을 사용하는 곳의 전원 연결에 사용된다. 다음은 배선용 압착단자 및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배선용 압착단자와 이에 적용된 절연 캡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배선용 압착단자와 이에 적용된 절연 캡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압의 3상 전원을 사용하는 곳의 전원 연결은 배선용 압착단자(10)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배선용 압착단자(10)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 접속부(12)의 일단부에 납작한 평판 상으로 형성되는 터미널(14) 및 터미널(14)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접속공(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케이블(20)은 끝단의 절연 피복(24) 일정 부분이 벗겨져 동선(22)이 노출된 상태로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 내측에 삽입된다. 이처럼 케이블 접속부(12) 내측에 케이블(20)의 노출된 동선(22)이 삽입되면 압착공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케이블 접속부(12)의 외측을 압착하여 배선용 압착단자(10)가 케이블(20) 상에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부(12)의 압착을 통해 배선용 압착단자(10)가 케이블(20) 동선(22)과 결합 고정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고정홈(12a)이 형성되고, 그 압착 고정홈(12a)의 내측면이 동선(22)의 외측을 압착함으로써 케이블(20)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때, 압착 고정홈(12a)과 그 사이의 케이블 접속부(12) 표면은 다각형(특히, 육각형의 형태)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 압착 고정홈(12a)은 케이블 접속부(12) 상에 일정간격으로 2∼3개 정도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부(12)를 압착하여 배선용 압착단자(10)를 케이블(20) 상에 결합 고정시킨 후에는 케이블(20)이 연결되는 부위에 절연을 위하여 절연 캡(30)이 씌워진다. 이때, 절연 캡(30)은 3상 전원의 각 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색으로 표시되는데 통상적으로 적색, 청색, 황색(또는 백색)으로 표시된다. 이처럼 색상의 표시를 통해 관리자는 쉽게 3상 전원의 상을 파악함으로써 전원 공급 라인에 해당 전원을 보다 용이하게 접속하여 연결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부(12)를 통해 케이블(20)과 결합된 배선용 압착단자(10)는 터미널(14)에 상하로 관통 성형된 접속공(16)을 통해 전원 공급 라인의 접속부재와 함께 볼트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체결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캡이 불투명한 경우 배선용 압착단자와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작업자의 실수에 의하여 압착단자와 케이블의 접속 상태가 불량한 경우 예를 들어, 압착 고정홈을 복수 개 형성하여야 하지만 한 번 또는 아예 형성하지 않아 접속 상태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배선용 압착단자로부터 케이블이 쉽게 이탈이 되어 감전사고 또는 정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속 부위에 저항이 커지므로 발열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은 그 형태가 원통형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절연 캡을 케이블 접속부와 케이블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씌워 결합하는 경우 육각형 형태의 케이블 접속부 표면과의 밀착도가 저하되어 헐거워지는 문제가 있음은 물론, 절연 캡이 불투 명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규격표시를 볼 수가 없어 절연 캡을 분리하지 않는 한 케이블의 규격 대비 이에 대응하는 배선용 압착단자를 사용하였는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측에 3상 전원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가 형성된 절연 캡을 형성하되 절연 캡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배선용 압착단자와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손쉽게 파악하여 케이블의 접속불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절연 캡의 일측에 3상 전원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색상이 고정된 고정색상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3상 전원에 알맞는 절연 캡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절연 캡을 다각형의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케이블 접속부와의 밀착도 향상을 통해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여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 표면에 기재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사용규격표시 등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에 3상 전원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가 형성된 투명한 절연 캡을 형성하되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절연 캡의 내측면에 압착단자의 표면에 인자된 사용규격문자와 같은 사용규격표시를 각인하여 해당 압착단자에 알맞는 절연 캡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은 전원 공급 라인과 직접 접속하기 위한 평판의 터미널과 케이블의 동선이 내측으로 접속되어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부가 구비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와 케이블의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절연 피복의 일부를 커버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있어서, 절연 캡은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부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배선용 압착단자 및 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도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전원의 3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절연 캡의 투명한 부분인 단자 커버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일측에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른 배선용 압착단자의 사용규격과 같은 사용규격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된 사용규격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절연 캡의 단자 커버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절연 캡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커버부는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절연 캡의 재질은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연질염화비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고정색상표시부는 테이프, 시트 및 도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절연 캡은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부분과 케이블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경계에서 절곡에 의한 단턱이 형성되어 케이블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경계에서 케이블 접속부의 끝단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절연 피복의 일부를 커버하는 부분의 직경이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부분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배선용 압착단자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을 배선용 압착단자에 적용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은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102)와 절연 피복(24)의 일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부(104)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배선용 압착단자(10) 및 케이블(20)의 발명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도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전원의 3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110)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절연 캡(100)의 투명한 부분인 단자 커버부(102)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일측에는 케이 블(20)의 직경에 따른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사용규격과 같은 사용규격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된 사용규격표시부(120)가 더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규격표시부(120)의 사용규격문자는 케이블(20)의 동선(22)이 차지하는 단면적을 뜻하는 100SQ, 200SQ ‥‥‥ 900SQ, 1000SQ와 같이 표시하게 되는데, 그 규격은 통상 0.5SQ∼1000SQ의 범위 내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의 적용시에는 배선용 압착단자(10)의 표면에 표시된 사용규격문자(12b)의 사용규격과 동일한 사용규격이 표시된 절연 캡(100)을 적용하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의 단자 커버부(102)는 원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절연 캡(100)의 단자 커버부(102)가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와 같다. 그리고, 절연 캡(100)의 단자 커버부(102)가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각형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은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절연을 위해 씌워져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은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동선(22)을 감싸고 있는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절연을 위해 씌워져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은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한편, 케이블 접속부(12)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102)와 절연 피복(24)의 일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부(104)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동선(22)을 감싸고 있는 절연 피복(24)의 일부분 전체를 커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커버부(102)가 투명한 절연 캡(100)을 통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씌워 커버하게 되면 단자 커버부(102)의 투명함 때문에 절연 캡(100)을 제거하지 않고도 압착 고정홈(12a)의 형성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케이블 접속부(12)와 동선(22)의 접속상태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커버부(102)가 투명한 절연 캡(100)을 통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씌워 커버하게 되면 단자 커버부(102)의 투명함 때문에 배선용 압착단자(10)의 표면에 표시된 사용규격문자(12b)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해당 배선용 압착단자(10)에 일치하는 규격의 절연 캡(100)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절연 캡(100)을 구성하는 단자 커버부(102)가 투명하고 또한, 단자 커버부(102)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일측에 케이블(20)의 직경에 따른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사용규격과 같은 사용규격문자(12b)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사용규격표시부(120)가 형성된 절연 캡(100)을 통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을 커버하게 되면 단자 커버부(102)의 투명함과 사용규격표시부(120)로 인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 표면에 표시된 사용규격문자(12b)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해당 배선용 압착단자(10)에 일치하는 규격의 절연 캡(100)을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100)을 구성하는 고정색상표시부(110)는 전원의 3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절연 캡(100)의 일측에 색상이 고정된 즉, 배선용 압착단자(10) 및 케이블(20)의 발열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고정색상표시부(110)를 형성함으로써 3상의 해당 전원에 알맞은 절연 캡(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색상표시부(110)는 절연 캡(100)의 외주를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및 흑색 등의 단일 색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고정색상표시부(110)는 배선용 압착단자(10) 및 케이블(20)의 발열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의해 가변색상표시부(110)의 색상이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이 고정색상표시부(110)의 색상을 통해 3상 전원의 상을 확인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절연 캡(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 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절연을 위해 씌워져 결합된 절연 캡(100)은 연질염화비닐에 아무런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투명한 상태의 튜브 형태로 성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절연 캡(100)의 일측 즉, 케이블 접속부(12)나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부(104)에는 3상 전원의 상을 확인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1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고정색상표시부(110)는 절연 캡(100)의 외주를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및 흑색 등의 단일 색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색상표시부(110)는 압착 고정홈(12a)의 위치를 회피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단자 커버부(102)의 선단부 또는 케이블 커버부(104)의 후단부 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절연 캡(100)의 고정색상표시부(110)는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및 흑색 등의 색상이 표현된 테이프, 시트 등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료에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및 흑색 등의 해당 색소를 넣어 혼합하여 도포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캡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절연 캡을 배선용 압착단자에 적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절연을 위해 씌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절연 캡(100a)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를 커버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자 커버부(102a)의 형태는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양호하게는 압착공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착되어지는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 형태가 육각형으로 압착되어지기 때문에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102a)의 형태는 육각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102a)를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절연 캡(100a)을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씌워 커버하는 경우 다각형으로 압착된 케이블 접속부(12) 표면과의 밀착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의 단자 커버부(102a)와 다각형으로 압착된 케이블 접속부(12) 표면과의 밀착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압착 고정홈(12a)의 형성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시 보다 정확하게 케이블 접속부(12)와 동선(22)의 접속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 표면에 표시된 사용규격문자(12b)를 보다 정확히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절연 캡(100)은 투명하고 또한 케이블 접속부(12)의 다각형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단자 커버부(102a)를 형성함으로써 배선용 압착단자(10)의 케이블 접속부(12)와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 및 케이블(2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계에 인접된 절연 피복(24)의 일부분에 씌워 커버하는 경우 밀착도를 보다 향상시켜 절연 캡(100)의 투명한 단자 커버부(102a)를 통해 케이블 접속부(12) 표면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일측에 3상 전원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고정색상표시부가 형성된 투명한 절연 캡을 형성하되 절연 캡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배선용 압착단자와 케이블의 접속 상태를 손쉽게 파악하여 케이블의 접속불량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효과로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절연 캡의 일측에 3상 전원의 상을 표시하기 위한 색상이 고정된 고정색상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3상 전원에 알맞는 절연 캡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효과로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절연 캡을 다각형의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케이블 접속부와의 밀착도 향상을 통해 시인성을 양호하게 하여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 표면에 기재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사용규격표시 등의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절연 캡의 내측면에 압착단자의 표면에 인자된 사용규격문자와 같은 사용규격표시를 각인하여 해당 압 착단자에 알맞는 절연 캡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전원 공급 라인과 직접 접속하기 위한 평판의 터미널과 케이블의 동선이 내측으로 접속되어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케이블 접속부가 구비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상기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단자 커버부와 절연 피복의 일부를 커버하는 케이블 커버부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의 일측에는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 및 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도 색상이 변화되지 않는 한편, 전원의 3상을 표시하기 위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고정색상표시부; 및
    상기 절연 캡의 투명한 부분인 상기 단자 커버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일측에는 상기 케이블의 직경에 따른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사용규격을 표시하는 사용규격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 형성되는 사용규격표시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색상표시부는 테이프와 시트 및 도료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해 표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케이블 접속부를 커버하는 상기 절연 캡의 단자 커버부는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 캡의 재질은 연질의 투명한 합성수지재인 연질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38493A 2007-04-19 2007-04-19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100872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93A KR100872187B1 (ko) 2007-04-19 2007-04-19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493A KR100872187B1 (ko) 2007-04-19 2007-04-19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685A KR20070048685A (ko) 2007-05-09
KR100872187B1 true KR100872187B1 (ko) 2008-12-09

Family

ID=3827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493A KR100872187B1 (ko) 2007-04-19 2007-04-19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18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48B1 (ko) 2016-05-17 2016-07-29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101692671B1 (ko) 2016-04-18 2017-01-04 강민정 가스 배출홀을 구비한 압착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00172B1 (ko) 2016-05-26 2017-01-26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20180053876A (ko) 2016-11-14 2018-05-24 (주) 아이캡코리아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20180053879A (ko) 2016-11-14 2018-05-24 (주) 아이캡코리아 회전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101872884B1 (ko) 2018-02-19 2018-06-29 임장호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에 의해 제조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20180085925A (ko) 2017-01-20 2018-07-30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발열 센싱 절연 캡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발열 센싱 절연 캡 제조 금형
KR20180085924A (ko) 2017-01-20 2018-07-30 임장호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상기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및 상기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20180003074U (ko) 2018-08-13 2018-10-25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대량 생산용 제조 금형
KR20190105195A (ko) 2018-03-04 2019-09-16 백종운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캡과, 상기 절연캡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절연캡 제조방법
KR20200114584A (ko) 2019-03-29 2020-10-07 백종운 교체형 비가역 표시부가 구비된 절연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87B1 (ko) * 2008-03-11 2008-09-04 임장호 케이블 접속의 확인이 가능한 배선용 압착단자
KR101048020B1 (ko) * 2009-04-13 2011-07-1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등용 덕트
KR101401635B1 (ko) * 2012-12-11 2014-06-02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CN109066140A (zh) * 2018-06-27 2018-12-21 友邦电气(平湖)股份有限公司 新能源汽车充电枪接线端子
KR102232169B1 (ko) * 2019-07-29 2021-03-2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용 연성 절연보호캡
KR102267161B1 (ko) * 2019-07-29 2021-06-2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단자용 연성 절연보호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377A (ja) * 2001-11-09 2003-05-23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コネクタを備えたマルチケーブル及びタグの取付方法
KR100604206B1 (ko) * 2005-12-01 2006-07-24 박현미 배선용 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377A (ja) * 2001-11-09 2003-05-23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コネクタを備えたマルチケーブル及びタグの取付方法
KR100604206B1 (ko) * 2005-12-01 2006-07-24 박현미 배선용 단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71B1 (ko) 2016-04-18 2017-01-04 강민정 가스 배출홀을 구비한 압착단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43948B1 (ko) 2016-05-17 2016-07-29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101700172B1 (ko) 2016-05-26 2017-01-26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20180053876A (ko) 2016-11-14 2018-05-24 (주) 아이캡코리아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20180053879A (ko) 2016-11-14 2018-05-24 (주) 아이캡코리아 회전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KR20180085925A (ko) 2017-01-20 2018-07-30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발열 센싱 절연 캡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발열 센싱 절연 캡 제조 금형
KR20180085924A (ko) 2017-01-20 2018-07-30 임장호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상기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된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및 상기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을 이용한 디핑 방식에 의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방법
KR101872884B1 (ko) 2018-02-19 2018-06-29 임장호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 및 상기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제조 금형에 의해 제조된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20190105195A (ko) 2018-03-04 2019-09-16 백종운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캡과, 상기 절연캡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절연캡 제조방법
KR20180003074U (ko) 2018-08-13 2018-10-25 임장호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대량 생산용 제조 금형
KR20200114584A (ko) 2019-03-29 2020-10-07 백종운 교체형 비가역 표시부가 구비된 절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685A (ko)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187B1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101401635B1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20070013348A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100855387B1 (ko) 케이블 접속의 확인이 가능한 배선용 압착단자
CN104505647B (zh) 一种usb数据线的制作工艺
WO2009125524A1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70013349A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100604206B1 (ko) 배선용 단자
US7378594B2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device with visual connection validation
JP5306798B2 (ja) 接地線付き平型ケーブル
CN105375218A (zh) 一种用于照明配电箱的汇流排
CN205264988U (zh) 电源插头
KR20210055554A (ko) 압착단자용 절연캡
KR20200018880A (ko) 개폐기용 케이블 접속재
CN108400507A (zh) 一种以太网插头连接器
KR20090007088A (ko) 배선용 압착단자의 절연 캡
KR101007632B1 (ko) 전선 꼬임 기능을 구비한 와이어 커넥터
CN217306745U (zh) 一种通电导线连接结构
CN205264978U (zh) 转换插座
WO2007064101A1 (en) Insulation cap for compressed wire terminal
JPH10144149A (ja) Vvfケーブル
CN105429021B (zh) 一种住宅照明配电箱
CN207909569U (zh) 一种易辨识的连接线
KR102260715B1 (ko) 교체형 비가역 표시부가 구비된 절연캡
CN110867704A (zh) 一种带插接口的母线连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414

Effective date: 2008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