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437B1 - 연결커플러 - Google Patents

연결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437B1
KR100870437B1 KR1020060127873A KR20060127873A KR100870437B1 KR 100870437 B1 KR100870437 B1 KR 100870437B1 KR 1020060127873 A KR1020060127873 A KR 1020060127873A KR 20060127873 A KR20060127873 A KR 20060127873A KR 100870437 B1 KR100870437 B1 KR 100870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female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5038A (ko
Inventor
최윤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디.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디.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이치.디. 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12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437B1/ko
Publication of KR2008005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comprising a first ring being placed on a male part and a second ring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커플러는, 일측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숫커플러;와, 상기 숫커플러의 타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암나사산;과, 상기 제1연결구멍과 상기 제2암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1통공;과, 일측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숫커플러의 돌출부와 끼움결합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암커플러;와, 상기 암커플러의 타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암나사산;과 상기 제2연결구멍과 상기 제3암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2통공; 및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커플러의 외부의 일측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단턱에 의해 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숫커플러의 제1숫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1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커플러에 의하면, 연결관의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암커플러와 숫커플러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여 연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쇼크 업소버, 연결관

Description

연결커플러{Connection coupl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커플러의 숫커플러와 제1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커플러의 암커플러와 제2연결구 및 고정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커플러의 연결순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분리형 쇼크 업소버의 연결관의 개략적인 장착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연결관
100-숫커플러 110-제1연결구멍
120-제1숫나사산 130-돌출부
140-제2암나사산 150-제1통공
200-암커플러 210-제2연결구멍
220-단턱 230-삽입부
240-제3암나사산 250-제2통공
260-결합고무링
300-고정부재 310-제1암나사산
400-제1연결구 410-제1유체단속턱
420-제1개구부 430-제2숫나사산
440-제1스프링부재 450-제1연통구멍
460-제1고무링 470-제1단속홈
500-제2연결구 510-제2유체단속턱
520-제2개구부 530-제3숫나사산
540-제2스프링부재 550-제2연통구멍
560-제2고무링 570-제2단속홈
600-돌출편 700-삽입홈
본 발명은 연결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결관의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암커플러와 숫커플러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응력이 집중되어 연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결커플러는 예컨대 연결관을 상호 연결하는 부위에 적용하는 장치로서, 연결관을 상호 연결시에 암수로 나뉘어져 서로 힌지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종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분리형 쇼크업소버의 제1탱크(1)와 제2탱크(2)를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결관(3)을 매개로 연결하였는데, 자동차의 운전중에 발생하는 상하 혹은 좌우 진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관(3)도 동시에 충격을 받아 상하 혹은 좌우로 반복되게 응력을 받게 되어 상기 연결관(3)이 파손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관의 소정부위에 클램프 등을 적용하여 차체에 고정시켰는데, 상기 클램프 결합부에 응력이 발생하여 상기 연결관의 파손을 방지하기에는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관의 일부가 예컨대 송곳 등의 날카로운 물체에 손상을 받았을 경우 연결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교체비용 증가와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의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암커플러와 숫커플러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여 연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관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파손부위의 연결관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 체비용이 절감되고, 교체작업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연결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커플러는, 일측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숫커플러;와, 상기 숫커플러의 타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암나사산;과, 상기 제1연결구멍과 상기 제2암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1통공;과, 일측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숫커플러의 돌출부와 끼움결합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암커플러;와, 상기 암커플러의 타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암나사산;과, 상기 제2연결구멍과 상기 제3암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2통공; 및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커플러의 외부의 일측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단턱에 의해 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숫커플러의 제1숫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1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숫커플러의 돌출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암나산에 나사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연결구;와 상기 암커플러의 삽입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3암나산에 나사결합되는 중공형의 제2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는 일측에 형성된 제1유체단속턱;과 타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2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숫나사산;과 상기 제2숫나사산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제2숫나사산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구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통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일측에 형성된 제2유체단속턱;과 타측에 형성된 제2개구부;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3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3숫나사산;과 상기 제3숫나사산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숫나사산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구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통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된 돌출편;와 상기 제1 제2 개구부의 나머지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게 형성된 삽입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의 제1유체단속턱과 다수개의 연결구멍 사이에 형성된 제1단속홈;과 상기 제1단속홈에 끼워지는 "오(O)자" 형상의 제1고무링;과 상기 제1연결구의 제2유체단속턱과 다수개의 연결구멍 사이에 형성된 제2단속홈; 및 상기 제2단속홈에 끼워지는 "오(O)자" 형상의 제2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커플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커플러의 연결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숫커플러(100), 암커플러(200), 고정부재(300)가 포함되고, 연결관(10), 제1연결구멍(110), 제1숫나사산(120), 돌출부(130), 제2암나사산(140), 제1통공(150), 제2연결구멍(210), 단턱(220), 삽입부(230), 제3나사산(240), 제2통공(250), 결합고무링(260), 제1암나사산(310), 제1연결구(400), 제1유체단속턱(410), 제1개구부(420), 제2숫나사산(430), 제1스프링부재(440), 제1연통구멍(450), 제1고무링(460), 제1단속홈(470), 제2연결구(500), 제2유체단속턱(510), 제2개구부(520), 제3숫나사산(530), 제2스프링부재(540), 제2연통구멍(550), 제2고무링(560), 제2단속홈(570), 돌출편(600), 삽입홈(7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숫커플러(100)는 일측에 상기 연결관(10)과 연결되는 상기 제1연결구멍(11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숫나사산(120)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재(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암나사산(310)과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0)는 후술할 암커플러(200)의 삽입부(230)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상기 제2암나사산(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멍(110)과 상기 제2암나사산(140) 사이에는 상기 연결관(10)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1연결구멍(110)의 지 름보다 크게 형성된 상기 제1통공(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구(400)는 대체로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1통공(150)에 유입된 유체를 단속하는 제1유체단속턱(41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1개구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4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숫커플러(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암나사산(140)과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제2숫나사산(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숫나사산(430)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410) 사이에는 상기 제1스프링부재(440)가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암커플러(200)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제2연결구(500)와 상기 제1연결구(400)가 맞물리면 상기 제1스프링부재(440)에 탄성력이 저장되면서 상기 제1연결구(400)가 상기 제1연결구멍(110) 측으로 후퇴되는데, 이때, 상기 제1통공(150)에 유입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제1연결구(400)의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숫나사산(430)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410)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구(40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1연통구멍(450)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통구멍(450)들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410) 사이에는 상기 제1스프링부재(440)가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고무재질의 "오(O)자" 형상의 상기 제1고무링(460)이 상기 제1단속홈(470)에 끼워져 있다.
상기 암커플러(200)는 일측에 상기 연결관(10)과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구멍(21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단턱(220)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재(300)를 고정시키고, 타측에는 상기 삽입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230)는 상기 숫커플러(100)의 돌출부(130)와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와 같이 끼움결합시 끼움면을 긴밀하게 유지하고, 마찰력을 증가시켜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상기 결합고무링(2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30)와 상기 제2연결구멍(210) 사이에는 상기 제3암나사산(2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결구멍(210)과 상기 제3암나사산(240) 사이에는 상기 연결관(10)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제2연결구멍(2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상기 제2통공(2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구(500)는 대체로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제2통공(250)에 유입되어 있는 유체를 단속하는 상기 제2유체단속턱(510)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제2개구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커플러(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암나사산(240)과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제3숫나사산(5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숫나사산(530)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510) 사이에는 상기 제2스프링부재(540)가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숫커플러(100) 내측에 나사결합된 상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가 맞물리면서 상기 제2스프링부재(540)에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며, 상기 제2연결구(500)가 상기 제2연결구멍(210) 측으로 후퇴되는데, 이때, 상기 제2통공(250)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연결구(500)의 중공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3숫나사산(530)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510) 사이에는 상기 제2연결구(50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상기 제2연통구멍(550)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연통구멍들(500)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510) 사이에는 상기 제2스프 링부재(540)가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고무재질의 "오(O)자" 형상의 상기 제2고무링(560)이 상기 제2단속홈(570)에 끼워져 있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내측면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커플러(200)의 외부의 일측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암커플러(200)의 단턱(2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암나사산(310)이 상기 숫커플러(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제1숫나사산(120)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숫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200)의 결합과 상기 각 커플러(100,200)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제1연결구(400)와 제2연결구(500)의 결합을 견고하게 단속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커플러의 연결순서도를 참조하여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결합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에는 숫커플러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제1연결구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암커플러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제2연결구가 도시되어 있다.
(a)단계는, 상기 숫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200)가 분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양측에 예컨대 오일을 내부에 수용한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10)의 끝단에는 각각 상기 숫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200)가 결합되어 있다.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처럼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이 시작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c)단계는, 상기 숫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200)가 결합이 완료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숫커플러(100)의 돌출부(130)가 상기 암커플러(200)의 삽입부(230)에 끼워지고, 상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가 서로 맞물려 있으며, 고정부재(300)가 상기 암커플러(200)의 외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숫커플러(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숫나사산(12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숫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200)가 결합이 되면서 상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는 각각 제1연결구멍(110)과 제2연결구멍(210) 측으로 후퇴된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부재(440)와 제2스프링부재(540)에는 상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가 후퇴한 거리에 비례하는 탄성복원력이 저장되면서 상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의 일부가 상기 제1통공(150)과 상기 제2통공(250)으로 후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통공(150)과 상기 제2통공(250)에 충진되어 있던 오일이 제1연통구멍(450)과 제2연통구멍(550)을 통해 상기 제1연결구(400)의 중공부와 상기 제2연결구(500)의 중공부로 유입이 되는데,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a)단계로 전환시에는 상기 숫커플러(10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된 상기 고정부재(300)를 해체하면서 잡아당기면 상기 제1스프링부재(440)와 상기 제2스프링부재(540)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상 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가 상기 각 커플러(100,200)의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내부에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면서 상기 숫커플러(100)와 상기 암커플러(200)가 해체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400)와 상기 제2연결구(500)의 결합시에 결합력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 어느 한 곳에는 돌출편(60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상기 돌출편(60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7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의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암커플러와 숫커플러 및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 응력의 집중을 방지하여 집중되어 연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관의 일부가 파손되어도 파손부위의 연결관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비용이 절감되고, 교체작업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일측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1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숫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숫커플러;와
    상기 숫커플러의 타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암나사산;과
    상기 제1연결구멍과 상기 제2암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1통공;과
    일측에는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숫커플러의 돌출부와 끼움결합하는 삽입부가 형성된 암커플러;와
    상기 암커플러의 타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암나사산;과
    상기 제2연결구멍과 상기 제3암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구멍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제2통공; 및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커플러의 외부의 일측에서부터 삽입되어 상기 단턱에 의해 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숫커플러의 제1숫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1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커플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숫커플러의 돌출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암나산에 나사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연결구;와
    상기 암커플러의 삽입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3암나산에 나사결합되는 중공형의 제2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커플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일측에 형성된 제1유체단속턱;과
    타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2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2숫나사산;과
    상기 제2숫나사산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제2숫나사산과 상기 제1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구의 중공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통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일측에 형성된 제2유체단속턱;과
    타측에 형성된 제2개구부;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3암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제3숫나사산;과
    상기 제3숫나사산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숫나사산과 상기 제2유체단속턱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구의 중공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통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커플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의 어느 한 곳에 형성된 돌출편;과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의 나머지 한 곳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게 형성된 삽입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커플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의 제1유체단속턱과 다수개의 상기 제1연결구멍들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단속홈;과
    상기 제1단속홈에 끼워지는 "오(O)자" 형상의 제1고무링;과
    상기 제1연결구의 제2유체단속턱과 다수개의 상기 제2연결구멍들 사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단속홈; 및
    상기 제2단속홈에 끼워지는 "오(O)자" 형상의 제2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커플러.
KR1020060127873A 2006-12-14 2006-12-14 연결커플러 KR100870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73A KR100870437B1 (ko) 2006-12-14 2006-12-14 연결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873A KR100870437B1 (ko) 2006-12-14 2006-12-14 연결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38A KR20080055038A (ko) 2008-06-19
KR100870437B1 true KR100870437B1 (ko) 2008-11-26

Family

ID=3980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873A KR100870437B1 (ko) 2006-12-14 2006-12-14 연결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4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91A (ja) * 1994-02-21 1995-09-05 Betsuseru Kogyo:Kk 流体流通用継手
JP2000266264A (ja) * 1999-03-12 2000-09-26 Yasusada Sakai ガス放出防止装置
KR200211151Y1 (ko) 2000-08-14 2001-01-15 김진규 셀프실 커플링
JP2001324076A (ja) 2000-05-16 2001-11-2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管継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891A (ja) * 1994-02-21 1995-09-05 Betsuseru Kogyo:Kk 流体流通用継手
JP2000266264A (ja) * 1999-03-12 2000-09-26 Yasusada Sakai ガス放出防止装置
JP2001324076A (ja) 2000-05-16 2001-11-2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管継手
KR200211151Y1 (ko) 2000-08-14 2001-01-15 김진규 셀프실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038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322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on site
KR101964764B1 (ko) 플러그 보호 캡,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광섬유 플러그 및 네트워크 장치
US20170131509A1 (en) Towing assembly, fiber optic connector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assembling the same
JP3149685U (ja) 光コネクタ
JP6271542B2 (ja) ピペットチップ連結用の、ピペット装置のピペット導管の連結構造
US20120298417A1 (en) Cable sealing and retaining device
US9323007B1 (en) One-piece optical fiber adapter capable of switching coupling polarity of optical fiber connectors
US9146351B2 (en) Loopback housing for a fiber optic connector
US20100296778A1 (en) Optical connector
KR100870437B1 (ko) 연결커플러
JP2019193972A (ja) 連結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パイプ圧着連結装置
KR101821229B1 (ko) 배관 피팅용 고정 장치
TWI632407B (zh) 光纖轉接器
CN109395198B (zh) 输液设备
EP3140583B1 (en) Compression fitting with coupled ferrule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KR20090033765A (ko) 광커넥터
CN115407459A (zh) Mt卡夹及其装配方法、适配器组件
KR101998375B1 (ko) 광 커넥터
KR100819372B1 (ko) 관이음
KR20120086161A (ko) 호스클램프
KR20170114680A (ko) 난방용 파이프 연결장치
KR10182305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2389440B1 (ko)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100536985B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