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195B1 -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디지탈화된 음성에 대한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디지탈화된 음성에 대한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195B1
KR100870195B1 KR1020057022793A KR20057022793A KR100870195B1 KR 100870195 B1 KR100870195 B1 KR 100870195B1 KR 1020057022793 A KR1020057022793 A KR 1020057022793A KR 20057022793 A KR20057022793 A KR 20057022793A KR 100870195 B1 KR100870195 B1 KR 10087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bits
classes
error correction
audio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542A (ko
Inventor
브레들리 제이. 레인볼트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2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보코더(104)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각각을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등급들 중 한 등급으로 분류하는 무선 이동 장치(10)에서의 장치 및 대응 방법이 개시되며, 다수의 등급들 각각은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를 갖는다. 에러 정정 및 반복 다이버시티는 관련된 에러 정정 및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들 중 일부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루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보코더, 오디오 비트,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 무선 이동 장치.

Description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 디지탈화된 음성에 대한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AUDIO QUALITY FOR DIGITIZED VOICE TRANSMITTED OVER A CHANNEL EMPLOYING FREQUENCY DIVERSITY}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 음성을 송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시스템들의 채널을 통하여 송신될 때, 디지털화된 음성의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화된 음성을 송신하는 시스템은 종종 음성의 짧은 프레임을 분석하고 응답으로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포함하는 음성 프레임을 출력하는 보코더를 사용한다. 이러한 오디오 비트들은 그 후에 음성의 복제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수신기에서 사용된다. 전형적인 보코더들에 대하여, 각 프레임 내의 오디오 비트들은 오디오 품질에 대한 가변 중요도 레벨들을 갖는다.
오디오 비트들이 최적이거나 적절한 오디오 품질로 수신기에 도달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용 가능한 오버헤드를 오디오 비트들에 가하는데 종종 음성 채널 절차들(VCP들)이라 칭하는 절차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VCP는 오버헤드를 분할하여 덜 중요한 오디오 비트들에 가해지는 것보다 각각의 프레임의 더 중요한 오디오 비트들에 더 많은 에러 방지(error protection)가 제공되거나 가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VCP들은 상이한 오디오 비트들에 에러 방지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유연성을 허용하지 못하였다.
동일한 요소들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병기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의 양식 일부에 통합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은 다수의 실시예들을 더 서술하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다양한 원리들과 장점들을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예시적인 시스템을 간소화되고 대표적인 형태로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의 무선 장치(10)의 블록도.
도 3은 예시적인 음성 채널 절차 프레임 내의 상이한 음성 프레임들 및 슬롯들을 도시한 도.
도 4는 수신된 오디오의 품질을 강화하는 음성 채널 절차의 흐름도.
도 5는 음성 프레임 내의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분류를 도시한 도.
도 6은 제 1 등급의 오디오 비트들에 수행된 인코딩, 에러 정정, 매핑 프로세스들의 흐름도.
도 7은 제 2 등급의 오디오 비트들에 수행된 인코딩, 에러 정정, 매핑 및 인터리빙 프로세스들의 흐름도.
도 8은 제 2 등급의 오디오 비트들에 수행된 인터리빙 프로세스를 부가적으 로 도시한 도.
도 9는 제 3 등급의 오디오 비트들에 수행된 매핑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
도 10은 모든 등급들의 오디오 비트들에 수행된 블록 인터리빙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
도 11은 3 mph에서 레일리 페이딩 채널(Rayleigh fading channel) 상에서의 세 등급들에 대한 음성 채널 절차의 성능을 도시한 도.
도 12는 등급 II 심벌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성취된 성능 개선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각각의 등급에 대하여 각각의 오디오 비트들, 관련된 순방향 에러 정정, 및 다이버시티 차수를 분류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표.
개략적으로, 본 명세서는 디지털화된 음성을 송수신하는 무선 이동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또한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바와 같은 오디오의 품질을 강화할 수 있는 에러 정정을 적절하게 적용하고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들을 반복하기 위하여 무선 이동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음성 채널 절차(VCP)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 장치는 본원에서 무선 가입자 장치 또는 유닛과 호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고, 각각의 이러한 용어들이 통상적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장치와, 전형적으로, 서비스 동의에 따라 공중 네트워크에 사용되거나 사설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이동 장치를 나타낸다는 것을 주목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 최상의 모드들을 합법적인 방식 으로 더 설명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하기 보다는 오히려, 본 발명의 원리들 및 장점들을 더 잘 이해시키고 인식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이 계류 중인 동안 행해질 수 있는 임의의 보정들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발행된 바와 같은 그러한 청구항들의 모든 등가물에 의해서만 규정된다.
제 1 및 제 2 등과 같은 상관적인 용어들의 용도는 이와 같은 엔티티들, 아이템들, 또는 동작들 사이의 임의의 실제 이와 같은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나타냄이 없이, 단지 한 엔티티, 아이템,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아이템 또는 동작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됨을 이해한다.
구현될 때, 많은 본 발명의 기능 및 많은 본 발명의 원리들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이에 대한 소프트웨어, 또는 주문형 IC들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집적 회로들(IC들)로 또는 이러한 것들에서 최상으로 지원된다.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인 고려사항들로 인한 아마도 상당한 노력 및 많은 설계 선택들에도 불구하고, 본원에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지도될 때, 당업자들이 최소의 실험으로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명령들 또는 IC들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것이라고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리들 및 개념들을 애매하게 할 임의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및 IC들의 부가적인 논의가 있다면,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사용된 원리들 및 개념들에 관련된 요점들에 국한될 것이다.
이하에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그 조합들은 유 용하게도 보코더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수신된 오디오 품질의 상이한 상대적인 중요도 또는 중요성을 각각 나타내는 다수의 등급들로 분류하여,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다수의 등급들 각각에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를 반복하고, 다수의 채널들을 통하여 에러 정정, 바람직하게는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따른 주파수 홉(frequency hop)들을 갖는 등급들을 송신 또는 전송하므로, 수신된 오디오의 수신 품질을 강화하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주파수 다이버시티 프로세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각각의 등급에 특정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음성 채널 절차(VCP)가 도 1에 일반적으로 그리고 간략하게 도시된 통신 시스템(이하에서 "시스템") 내에서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통합된 디지털 강화 네트워크들 및 자신의 장비에서 보코더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다른 것들이 또한 본원에 논의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도시된 무선 이동 장치(10, 11)와 함께 다수의 무선 이동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지원한다. 이러한 장치들(10, 11)은 기지국(12)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12)은 다른 가입자 유닛들 또는 공지된 바와 같은 평범한 구형 전화들과 같은 유선 통신 장치들과의 통신을 무선 통신 장치(10)에 제공한다. 더구나, 무선 통신 장치들(10, 11)은 하나의 장치(10)로부터 다른 장치(11)로 무선 통신 링크를 지원할 수 있다. VCP는 특히 장치들 사이의 이러한 통신 링크에 대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직접적인 장치 대 장치 접속에서 다른 장치로 직접 링크된 한 장치의 이 성능을 이러한 통신 장치들에 대한 토크 어라운 드(talk around)라고 칭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이 특성은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장점들이 실현되도록 할 수 있는 902-908 주파수 대역에 대한 ISM 규정들에 따른 주파수 호핑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장점들을 실현하기 위하여, 송신된 신호 또는 심벌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반복되고, 수신기는 이러한 주파수 대역들 각각으로부터의 통계에 기초하여 결정을 행한다. 통계는 캐리어 주파수들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클 때, 상관성이 없게 되는 페이딩 프로세스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장치(1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무선 이동 장치(10)는 이하에 충분히 논의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이동 장치(1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상호 접속된 마이크로폰(102), 보코더(104), 제어기(106), 증폭기(112), 또는 무선 주파수 전력 증폭기 및 안테나(114)를 포함한다. 보코더(104)는 마이크로폰(102)으로부터 수신된 바와 같은 음성과 같은 아날로그 트래픽을 인코딩하여 결과적인 음성 프레임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음성 프레임들은 미리 결정된 수 또는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로 이루어진다. 보코더(104)는 바람직하게는 22.5 ms 시간 윈도우 마다 49 개의 오디오 비트의 음성 프레임을 발생시키는 진보된 다중-대역 여기(Excitation) 보코더이다.
제어기(106)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하며, 바람직하게는, 음성 및 데이터 프로세서(108) 및 관련 메모리(110)를 포함하는 범용 프로세서이다. 음성 및 데이터 프로세서(108)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기지국(12) 및 다른 통신 장치와의 공중 또는 무선 인터페이 스의 특성들, 뿐만 아니라,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용의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에 따르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기초한 공지된 프로세서이다.
프로세서(108)는 송신에 적절한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된 루틴(routine)들에 따라서 보코더(104)로부터 수신된 음성 트래픽을 인코딩하도록 동작할 것이다. 프로세서(108)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및 본원과 관련되지 않은 공중 인터페이스 신호 프로세싱 임무들과 관련된 제어기의 책임들 및 구현되는 바와 같은 VCP의 특성들에 따른 다른 집적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8)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기초한 프로세서이다. 제어기(106)는 또한 공지된 RAM, ROM, EEPROM 또는 자기 메모리의 조합일 수 있는 메모리(110)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다양한 다른 아이템들 또는 프로그램들 등 중에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오디오 품질에 대한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서 에러 정정 코드와 같은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와 차수를 각각 갖는 다수의 등급들 중 하나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오디오 비트 분류 루틴,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코드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들 각각에 에러 정정을 적용하는 에러 정정 루틴, 에러 정정을 적용한 이후에, 송신용 심벌들 내에 오디오 비트들의 등급들을 매핑하는 매핑 루틴, 미리 결정된 패턴들 내에 다수의 심벌들을 인터리빙하고 블록 인터리버는 상기 심벌들에 가하는 인터리빙 루틴,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 및 차수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들 각각에 반복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반복 다이버시티 루틴 및 다수 의 주파수 홉을 통하여 다수의 등급들의 심벌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패턴을 설정하는 주파수 호핑 루틴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증폭기(112)는 공지된 바와 같이 송신 이전에 심벌들에 의해 변조되었던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이다. 안테나(114)는 심벌들에 의해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공지된 바와 같은 다수의 주파수 호프들을 통하여 송신하거나 방사하도록 동작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코더(104)에 의해 발생된 예시적인 음성 프레임(302)이 충분히 논의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코더(104)는 바람직하게는 진보된 다중-대역 여기 보코더이다. 보코더(104)는 마이크로폰(102)으로부터 270 ms의 음성을 수집하여 이를 12 개의 음성 프레임들(302)로 프로세싱할 것이다. 열두 개의 음성 프레임들(302) 각각은 49 개의 오디오 비트로 이루어지며 지속기간이 22.5 밀리초(ms)일 것이다. 이하에 충분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310)는 다수의 주파수 홉들을 통하여 송신될 것이다. 두 개의 무선 통신 장치들 사이의 디스패치(dispatch) 또는 직접 접속 모드를 지원하는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VCP 프레임(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주파수 홉들(304, 306, 308로 도시됨)을 통해 송신될 것이며, 상기 각각의 홉은 90 ms의 시간 지속기간을 가지며, 256 개의 8-FSK 심벌들(각 심벌은 3 비트를 인코딩함)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VCP 방법론(400)이 도 2-3에 제시된 참조 번호들을 또한 참조하면서 논의될 것이다. VCP는 404에서 시작하는데, 여기서, 보코더는 (402로 나타낸 음성과 같은) 270 ms의 오디오를 수집하고 음성을 발생시키거나 12 개의 음성 프레임(302)으로 인코딩한다. 406에서, 메모리(110)에 저장된 오디오 비트들을 분류하는 루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108)는 보코더(104)로부터 다수의 음성 프레임들(302)을 획득하고 각각의 프레임들(302) 내의 49 개의 오디오 비트 각각을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서 다수의 등급들 중 하나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다수의 등급들 각각, 또는 적어도 일부, 또는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은 바람직하게는 등급에 따라 변화하는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 및 바람직하게는 등급에 따라 변화하는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 또는 차수를 갖는다.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는 주관적인 청취 테스트들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매우 중요하고, 에러를 가지고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 품질이 매우 저하되는, 작은 그룹의 오디오 비트들이 각각의 음성 프레임 내에 통상적으로 존재한다. 에러를 가지고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 품질 저하가 적은 다른 오디오 비트들이 또한 존재할 것이다. 주관적인 청취 테스트들은 높은 오디오 품질을 성취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오디오 비트들의 특정 비트 순차 값(비트1, 비트2,...)을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진보된 다중-대역 여기 보코더에 의해 발생된 음성 프레임들 내의 49 개의 비트에 대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수행된 주관적인 청취 테스트는 비트 순차 값들(1,2,3,4,7,8,9,10,11, 및 28)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비트 순차 값들(5,6,10,12-22,27,29, 및 37)이 중간 중요도를 가지며 비트 순차 값들(23-26, 30-36, 및 38-49)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갖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주관적인 청취 테스트들의 결과는 상이한 보코더들에 대해 상이할 것이며, 이것들이 주 관적이기 때문에 청취자마다 변화될 것이다.
도 5 및 13을 참조하여, 음성 프레임들에서 오디오 비트들이 분류되는 방법의 한 실시예가 더 논의될 것이다. 음성 프레임들 각각의 오디오 비트들은 바람직하게는 음성 프레임들(502)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등급들(C1,1, C2,1 및 C3,1)에서 분류된다. 이 분류는 어느 비트가 오디오 품질에 대해 어느 중요도 레벨인지의 상술된 주관적인 결정에 기초하여 각 등급의 멤버들이 되는 오디오 비트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각각의 49 개의 비트 음성 프레임을 분석하게 된다. 세 등급들 각각은 각각의 음성 프레임 내의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를 포함하며 관련된 순방향 에러 정정 및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를 가질 것이다. 각각의 음성 프레임 내의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는 등급 I(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되고,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2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는 등급 II(중간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되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나머지 수의 오디오 비트는 등급 III(가장 낮은 중요도 등급)로 분류된다.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각각을 분류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음성 프레임들의 절반 동안,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는 9 개의 등급 I 오디오 비트들이고, 제 3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는 24 개의 등급 III 오디오 비트일 것이며, 프레임의 다른 절반에서는,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비트는 10 개의 등급 I 비트들이고 제 3 미리 결정된 수의 비트는 23 개의 등급 III 비트일 수 있다. 제 2 미리 결정된 수의 비트는 항상 각 프레임에서 16 개의 등급 II 비트들일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j-번째 음성 프레임(j=1,2...,12)을 포함하는 49 개의 오디오 비트는 등급 I, II, III 오디오 비트들에 대하여 각각 벡터들(C1,j, C2,j, C3,j)로 분할된다.
도 4로 되돌아가면, 각 프레임 내의 49 개의 오디오 비트는 408-412에서 등급 I, II, III 오디오 비트들에 대하여 각각 벡터들(C1 ,j, C2 ,j, C3 ,j)로 분할된 것들에 의해 세 개의 등급들 중 하나로 분류된 이후에, 메모리(112)에 저장된 에러 정정 루틴 및 매핑 루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108)는 인코딩 또는 순방향 에러 정정 코딩을 자신과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에 따라 세 개의 등급들 각각에 적용하고 순방향 에러 정정을 포함한 결과적인 비트를 8-FSK 심벌들(각각의 심벌에 대하여 3 비트)로 매핑한다.
도 6을 참조하여, 408에서 적용된 인코딩 또는 순방향 에러 정정 코딩 및 매핑이 더 명확하게 논의될 것이다. 602에서, 각 12 개의 음성 프레임들(C1 ,1,C1 ,2,... C1,12)으로부터의 등급 I 오디오 비트들이 114 개의 비트로 수집된다. 604에서, 114 개의 오디오 비트의 벡터는 제어 비트의 역할을 하는 정지 비트와 부가되고 공지된 바와 같은 7-비트 주기적인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CRC)와 또한 부가된다. 그리고 나서, 606에서, 122 개의 비트의 벡터가 0들의 4 개의 플러시 비트(flush bit)에 부가된다. 608에서, 벡터는 1/3 컨벌루션 인코더로 인코딩되어 제 1의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을 제공한다. 등급 I 오디오 비트들은 다수의 등급들 중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이기 때문에 가장 높은 에러 정정을 적용 하는 레이트(1/3)로 인코딩된다.
또한, 608에서, 제 1의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은 제 1 그룹의 126 개의 8-FSK 심벌들(610) 또는 변조 심벌들 내로 매핑된다. 제 1 그룹은 일반적으로 벡터(S1)로 표현된다.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 1 그룹(S1)의 8-FSK 심벌들은 세 개의 주파수 홉들 각각에 대하여 각각 발생되거나 반복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등급 II 오디오 비트들에 대하여 410에서 적용된 인코딩, 순방향 에러 정정 코딩 및 매핑이 보다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702에서, 각각의 12 개의 음성 프레임들(C2,1,C2,2,... C2,12)로부터의 등급 II 오디오 비트들이 192 개의 오디오 비트들의 벡터로 수집된다. 704에서, 192 개의 오디오 비트들의 벡터에는 4 플러시 비트가 부가된다. 그리고 나서, 706에서, 196 비트의 벡터가 레이트 2/3 인코더로 인코딩되어 제 2의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을 제공한다. 294 비트를 포함하는 제 2의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은 제 2 그룹의 98 개의 8-FSK 심벌들로 매핑된다. 708에서, 제 2 그룹은 하나의 부가적인 심벌로 채워진다. 제 2 그룹의 99 개의 8-FSK 심벌들은 일반적으로 벡터(S2)로 표현되며 710에 도시되어 있다. 712에서, 제 2 그룹의 99 개의 8-FSK 심벌들은 일반적으로 벡터들(S2,1,S2,2, ... S2,3)에 의해 표현된 세 개의 서브-그룹들(또는 홉들)의 심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세 개의 서브-그룹들에 걸쳐 인터리빙된다. 각각의 세 개의 서브-그룹들은 66 개의 8-FSK 심벌들을 가질 것이다.
제 2 그룹의 99 개의 8-FSK 심벌들이 인터리빙되는 미리 결정된 패턴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패턴은 세 개의 연속적인 심벌들(가령, ωS2(0),ωS2(1),ωS2(2))의 윈도우를 통하여 규정되며, 여기서, 제 1 심벌은 제 1 및 제 2 서브-그룹들(벡터들(S2 ,1, S2 ,2)과, 제 1 및 제 3 주파수들 또는 주파수 홉들에서 송신되며, 제 2 심벌은 제 1 및 제 3 서브-그룹들(벡터들(S2 ,1, S2 ,3))과, 제 1 및 제 3 주파수 홉들에서 송신되며, 제 3 심벌은 제 2 및 제 3 서브-그룹들(벡터들(S2,2, S2 ,3))과 제 2 및 제 3 주파수 홉들에서 송신된다. 대응하는 통계가 수신기에서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로 입력될 때, 세 개의 서브 그룹에 걸친 이러한 인터리빙은 이후에 설명되는 부가적인 다이버시티를 고려한다.
도 9를 참조하여, 412에서 적용된 인코딩, 순방향 에러 정정 및 매핑이 특히 논의될 것이다. 902에서, 각각의 12 개의 음성 프레임들(C3 ,1,C3 ,2,... C3 ,12)로부터의 등급 III(또는 나머지) 오디오 비트들이 282 개의 오디오 비트의 벡터로 수집된다. 904에서, 282 개의 오디오 비트의 벡터는 여섯 개의 부가적인 비트들로 채워진다. 등급 III 비트들의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가 이 특정 실시예에서 널(null)이기 때문에, 순방향 에러 코딩은 적용되지 않는다. 906에서, 288 개의 비트의 벡터는 제 3 그룹의 96 개의 8-FSK 변조된 심벌들로 매핑된다. 제 3 그룹의 96 개의 8-FSK 심벌들은 일반적으로 벡터(S3)로 표현되며 910으로 표시된다. 912에서, 제 3 그룹의 96 개의 8-FSK 심벌들은 일반적으로 벡터들(S3 ,1,S3 ,2, ... S3 ,3)로 표현된 세 개의 동일한 서브-그룹들로 분리된다. 세 개의 동일한 서브-그룹들 각각은 32 개의 8-FSK 심벌들을 가질 것이다.
도 4로 되돌아 가면, 414-420에서, 메모리(110)에 저장된 반복 다이버시티 루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108)는 각각의 세 주파수 홉들을 통하여 각각 하나씩 송신되는 세 개의 블록들(1001)을 조립하기 위하여 자신의 관련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따라서 각 등급에 특정 반복 다이버스티를 적용한다. 특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2에서, 각각의 세 블록들(1001)은 제 1 그룹(S1), 제 그룹의 세 서브-그룹들 중 하나 및 제 2 그룹의 세 서브-그룹들 중 두 개를 포함하도록 조립된다. 즉, 등급 I 심벌들은 모든 세 개의 주파수 홉들(1001)에서 반복되고, 등급 II 심벌들은 두 번 반복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 개의 블록들에 걸쳐 인터리빙되며, 등급 III 심벌들은 다른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서 세 개의 블록들 중 두 개에서 각각 단순히 두 번 반복된다. 각각의 블록(1001)은 256 개의 8-FDK 심벌들을 가질 것이다.
도 4로 되돌아가면, 422-426에서, 블록들 각각은 예를 들어, 도 10에서 1004로 도시된 바와 같은 8x32 블록 인터리버(1003)를 사용함으로써 시간 인터리빙된다. 최종적으로, 428-432에서, 인터리빙된 바와 같은 세 개의 블록들(1001) 각각은 캐리어를 변조하는데 각각 사용되며 세 개의 주파수 홉들 중 대응하는 하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712에서 수행되는 등급 II 심벌들에서의 주파수 홉들에 걸친 인터리 빙이 이 8x32 블록 인터리빙과 상이하고, 이 인터리빙에 투과(transparent)하며, 이 인터리빙에 부가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도 11-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VCP의 성능 및 장점들이 논의될 것이다. VCP의 성능은 레일리 페이딩 채널 및 3 mph의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시뮬레이팅되었다. 각각의 주파수 홉들에 대한 페이딩은 독립적인 것으로 취해졌다. 수신기는 각각의 심벌 간격 동안 8 개의 복합적인 통계의 세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8-FSK 심벌들 각각에 대응하는 여덟 개 중 하나의 주파수를 갖는 8 개의 주파수 각각에 대하여 하나씩 일군의 정합된-필터들을 사용하였다. 상이한 홉들에 반복되는 심벌에 대응하는 상기 통계의 세트들(등급 I 심벌들에 대하여 세 개의 세트들 및 다른 것에 대한 두 개의 세트들)은 제곱 결합되었다. 그리고 나서, 코딩되었던 이러한 심벌들의 결합된 통계들(등급 I 및 등급 II)이 비터비 디코더에 입력되었는데, 이것은 경로 메트릭스(path metrics)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기 메트릭스의 자승 결합을 사용한다. 코딩되지 않은 등급 III 심벌들의 결합된 통계는 심벌을 상기 결합된 통계가 최대인 것으로 선택함으로써 직접 복조된다.
대응하는 (dB에서의) ES/N0 값들의 비트 에러율 결과들이 세 개의 등급들에 대하여 각각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0.01의 비트 에러율에서, 등급 I 비트들은 등급 II 비트들보다 더 양호한 대략 4.5 dB를 수행하였다. 또한, 동일한 비트 에러율에서, 등급 II 비트들은 등급 III 비트들보다 더 양호한 대략 3.5 dB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상이한 양들의 반복 다이버시티 및 상이한 양들의 FEC의 조합이 등급 들 각각에 제공되는 VCP 설계는 에러 방지의 양이 상이한 등급들 각각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이하도록 한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등급 II 심벌들을 인터리빙함이 없이 제 2 시간에 수행된다. 그러나, 제 2 시뮬레이션에서, 등급 II 심벌들은 세 개의 주파수 홉들의 두 개에 대하여 단순히 반복되며 주파수 홉들에 걸쳐 인터리빙되지 않는다. 비트 에러율 결과 및 대응하는 (dB에서의) ES/N0 값들이 (710에서) 인터리빙되었던 등급 II 심벌들 및 인터리빙되지 않았던 등급 II심벌들에 대하여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9 dB 및 그보다 높은 ES/N0 값들에서, 홉들 양단의 인터리빙은 적어도 1 dB의 이득을 성취한다.
따라서, (710에서 행해진 바와 같이) 등급 II 심벌들을 인터리빙하면 9 dB 및 그보다 높은 ES/N0 값들에서 적어도 1 dB의 우수한 이득의 결과가 성취된다. 또한, 이 VCP 작업은 무시 가능한 수의 코드의 부가적인 라인들 및 DSP 사이클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된 오디오의 품질을 강화하는 새로운 음성 채널 절차(방법)를 제공한다. VCP는 보코더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등급들 중 하나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수의 등급들 각각은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 및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를 갖는다. 오디오 비트들 각각은 자신의 비트 순차 값에 따라 분류된다. 특히,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는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고,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2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는 중간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되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나머지 수의 오디오 비트는 가장 낮은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된다.
에러 정정 코딩 및 반복 다이버시티는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 및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 각각에 적용된다. 가장 높은 에러 정정은 다수의 등급들 중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에 적용된다. 에러 정정 코딩은 제 1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에 대한 미리 결정된 레이트 컨벌루션 인코딩을 수행하고, 제 2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2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에 대한 다른 미리 결정된 레이트 컨벌루션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 2 미리 결정된 레이트가 더 높으므로, 제 1 미리 결정된 레이트보다 낮은 순방향 에러 방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적용된 에러 정정 코딩 및 반복 다이버스티는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에서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을 자신과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로 컨벌루션 인코딩하고, 실질적으로 다수의 주파수 홉들 모두에 걸쳐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중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에서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 또는 대응하는 심벌들을 반복하고, 다수의 주파수 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에 걸쳐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 된 수의 등급의 중간 중요도 등급에서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 또는 대응하는 심벌들을 인터리빙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은 제 1 그룹의 심벌들로 매핑되고, 제 2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은 제 2 그룹의 심벌들로 매핑된다. 제 2 그룹의 심벌들은 또한 세 개의 서브-그룹들의 심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세 개의 서브-그룹에 걸쳐 인터리빙된다.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나머지 개수의 오디오 비트는 제 3 그룹의 심벌들로 매핑된다. 제 3 그룹의 심벌들은 다른 세 개의 서브-그룹들로 분할된다.
다수의 블록들은 다수의 주파수 홉들 각각에 대해 한 블록씩 조립된다. 다수의 블록들 각각은 제 1 그룹, 제 2 그룹의 세 서브-그룹들 중 하나 및 제 3 그룹의 세 서브-그룹들 중 두 개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블록들 각각은 예를 들어 블록 인터리버에 의해 인터리빙되고 다수의 주파수 홉들 중 하나를 통하여 또는 이들 중 하나 동안 송신된다.
수신 품질을 강화하는 VCP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장치(10, 11)와 같은 송신기 내에서 구현된다. 송신기는 보코더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서 다수의 등급들 중 하나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오디오 비트 분류기를 포함하며, 다수의 등급들 각각 또는 적어도 그 일부는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 및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와,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반복 다이버시티를 다수의 등급들 각각에 적용하고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 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에 에러 정정 코딩을 적용하기 위한 인코딩 장치를 갖는다. 인코딩 장치는 또한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또는 코드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레이트의 컨벌루션 인코딩을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들 각각에 적용하고,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 각각과 나머지 개수의 등급들 중 나머지 개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캐리어 신호로 변조하는데 사용되는 심벌들로 매핑하고, 다수의 등급들 중 중간 중요도 등급과 관련된 심벌들을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다수의 주파수 홉들에 걸쳐 인터리빙하고,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과 관련된 심벌들을 다수의 주파수 홉들에 걸쳐 반복하고, 가장 낮은 중요도 등급과 관련된 심벌들을 다른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다수의 주파수 홉들에 걸쳐 반복하고 중간 중요도 등급과 관련된 심벌들을 다수의 주파수 홉들 중 다수에 걸쳐 반복하기 위한 것이다.
인코딩 장치 및 오디오 비트 분류기는 도 2에서 제어기(106)에 의해 표현된다. 특히, 인코딩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에러 정정, 매핑, 인터리빙, 반복 다이버시티 주파수 호핑 루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8)에 의해 구현된다. 오디오 분류기는 바람직하게는 메모리(110)에 또한 저장되는 오디오 비트 분류 루틴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8)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나, 별도의 프로세서 또는 ASIC가 매핑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VCP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세 등급들 및 세 주파수 홉들을 포함할지라도, VCP는 이와 같은 수의 등급들 또는 주파수 홉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VCP는 일반적으로 가변 중요도의 다수의 등급들 및 다수의 주파수 홉들을 포함한 다. 또한, 등급들에 적용된 에러 정정은 상술된 순방향 에러 정정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블록 코딩, 터보 코딩, 또는 연쇄 코딩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VCP는 오디오 비트들을 8-FSK 심벌들로 매핑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오디오 비트들은 일반적으로 2R-FSK 심벌들로 매핑될 수 있으며, 여기서 R은 0이상의 정수이다. 오디오 비트들은 또한 ASK, CPM, PSK, 디지털 AM, 또는 QAM과 같은 다른 변조 형태들로 매핑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의도된 사실, 적정한 범위 및 정신을 국한하기 보다는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형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된 설명은 소모적인 것이 아니며, 서술된 명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국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의 교시에 비추어 변경들 및 변화들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는 본 발명 및 그것의 실제 응용의 원리들의 최선의 설명을 제공하고, 당업자가 다양한 실시예들로 그리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바와 같은 변경들로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설명된다. 모든 이와 같은 변경들 및 변화들은 이것들이 프로세스하고, 합법적이며 정당하게 권한을 부여받은 폭에 따라 해석될 때, 본 특허 출원의 계류 중에 보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모든 등가물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존재한다.

Claims (16)

  1. 수신된 오디오의 품질을 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코더로부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획득하는 단계;
    수신된 오디오의 품질에 대한 각각의 오디오 비트의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다수의 등급들 중 한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로서, 상기 다수의 등급들 각각은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를 갖고, 상기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는 제 1 등급 및 제 2 등급 간에 상이한, 상기 분류 단계;
    등급 각자의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에 에러 정정을 적용하는 단계; 및
    등급 각자의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에 반복 다이버시티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상기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에러 정정 및 반복 다이버시티를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에 적용하는,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등급 갖가의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을 컨벌루션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 중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에 대응하는 제 1 심벌들을, 실질적으로 다수의 주파수 홉들 모두에 걸쳐 반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 각각 중 중간 중요도 등급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오디오 비트들에 대응하는 제 2 심벌들을, 상기 다수의 주파수 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에 걸쳐 인터리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적용 단계는, 다수의 등급들 중 더 높은 중요도 등급에 더 높은 에러 정정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의 오디오 비트 각각을 분류하는 상기 단계는,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자신의 비트 순차 값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의 오디오 비트 각각을 분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제 2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중간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나머지 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가장 낮은 중요도 등급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적용 단계는 제 1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레이트 컨벌루션 인코딩을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들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적용 단계는 제 2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를 제공하기 위하 여 다른 미리 결정된 레이트 컨벌루션 인코딩을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들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른 제 2 미리 결정된 레이트는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레이트보다 높은,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 1 그룹의 심벌들로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제 2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 2 그룹의 심벌들로 매핑하는 단계;
    세 개의 서브-그룹들의 심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그룹의 심벌들을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세 개의 서브-그룹들에 걸쳐 인터리빙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나머지 개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제 3 그룹의 심벌들로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그룹의 심벌들을 다른 세 개의 서브-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다수의 블록들을 조립(assembl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블록들 각각은 상기 제 1 그룹, 상기 제 2 그룹의 세 서브-그룹들 중 하나, 및 상기 제 3 그룹의 다른 세 서브-그룹들 중 두 개로 이루어지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록들 각각을 인터리빙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주파수 홉들(frequency hops) 중 하나 이상 동안, 인터리빙된 상기 다수의 블록들 각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코더로부터 상기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보코더로부터 다수의 음성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음성 프레임들 각각은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오디오 비트들로 이루어지는, 수신된 오디오 품질 강화 방법.
  12. 오디오의 수신 품질 강화용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에 대한 미리 결정된 중요도에 따라서, 보코더로부터 획득된 다수의 오디오 비트들의 각각의 오디오 비트를 다수의 등급들 중 한 등급으로 분류하는 오디오 비트 분류기로서, 상기 다수의 등급들 각각은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 및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를 갖고, 상기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는 제 1 등급 및 제 2 등급 간에 상이한, 상기 오디오 비트 분류기; 및
    상기 관련된 반복 다이버시티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반복 다이버시티를 상기 다수의 등급들 각각에 적용하고, 상기 관련된 에러 정정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에러 정정을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들에 적용하고,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러 정정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레이트 컨벌루션 인코딩을 상기 관련된 상기 미리 결정된 수의 등급들 각각에 적용하도록 하는 인코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코딩 장치는:
    상기 다수의 컨벌루션 인코딩된 비트들 각각 및 나머지 수의 등급들 중 나머지 수의 오디오 비트들을 심벌들로 매핑하고;
    상기 다수의 등급들 중 중간 중요도 등급에 대응하는 심벌들을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다수의 주파수 홉들에 걸쳐 인터리빙하며;
    가장 낮은 중요도 등급, 중간 중요도 등급, 또는 가장 높은 중요도 등급 중 하나에 대응하는 심벌들을 상기 다수의 주파수 홉들에 걸쳐 반복하도록 하는, 오디오의 수신 품질 강화용 송신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57022793A 2003-05-29 2004-05-24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디지탈화된 음성에 대한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70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47,933 US6970519B2 (en) 2003-05-29 2003-05-29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audio quality for digitized voice transmitted over a channel employing frequency diversity
US10/447,933 2003-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542A KR20060023542A (ko) 2006-03-14
KR100870195B1 true KR100870195B1 (ko) 2008-11-24

Family

ID=3345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793A KR100870195B1 (ko) 2003-05-29 2004-05-24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채널을 통하여 송신되는디지탈화된 음성에 대한 오디오 품질을 강화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70519B2 (ko)
JP (1) JP4602342B2 (ko)
KR (1) KR100870195B1 (ko)
BR (1) BRPI0410800B1 (ko)
CA (1) CA2526803C (ko)
IL (1) IL171973A (ko)
MX (1) MXPA05012819A (ko)
WO (1) WO2004107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0929A1 (en) * 2005-10-25 2007-05-0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for adapting digital data transmission parameters to measured repetitive noise
US8489136B2 (en) * 2007-01-05 2013-07-16 Aliphcom Wireless link to transmit digital audio data between devices in a manner controlled dynamically to adapt to variable wireless error rates
US8923416B2 (en) * 2010-10-21 2014-12-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ion Symbol-level repetition coding in power line communications
KR20120071951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246725B2 (en) * 2011-09-06 2016-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generating and receiving packets in low energy critical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US9813262B2 (en) * 2012-12-03 2017-11-0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data using spatial diversity
US9979531B2 (en) 2013-01-03 2018-05-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uning a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 band operation
US10229697B2 (en) 2013-03-12 2019-03-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to obtain voice and noise signals
WO2015181520A1 (en) 2014-05-30 2015-12-0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Dynamic line management engine residing in the access network
CN110036624B (zh) 2016-11-08 2021-09-10 英国电讯有限公司 用于发送数据的系统
CN110036625B (zh) 2016-11-08 2021-11-19 英国电讯有限公司 用于发送数据的系统
US10354660B2 (en) * 2017-04-28 2019-07-16 Cisco Technology, Inc. Audio frame labeling to achieve unequal error protection for audio frames of unequal import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055A (en) * 1996-08-24 1999-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dapting time division duplexing/frequency hopping
US20010028684A1 (en) * 2000-04-06 2001-10-11 Sae-Young Chung Multilevel coding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and time diversity for bandwidth efficient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7143A (ja) * 1983-03-11 1984-09-20 Nec Corp 信号伝送方式
JPH04278751A (ja) * 1991-03-06 1992-10-05 Fujitsu Ltd 通信制御方式
JP2979455B2 (ja) * 1993-12-03 1999-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伝送装置
JP3394119B2 (ja) * 1995-10-17 2003-04-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誤り訂正符号化装置、誤り訂正復号化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3436650B2 (ja) * 1997-02-24 2003-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GB9715396D0 (en) * 1997-07-23 1997-09-24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H11225161A (ja) * 1998-02-05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EP0999669A1 (en) 1998-11-06 2000-05-10 Nortel Matra Cellular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sity reception of user messages with different forward error correction
US6603752B1 (en) * 1999-07-29 2003-08-05 Ahmed Saifuddi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energy in a variable rate gated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0055A (en) * 1996-08-24 1999-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dapting time division duplexing/frequency hopping
US20010028684A1 (en) * 2000-04-06 2001-10-11 Sae-Young Chung Multilevel coding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and time diversity for bandwidth efficient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10800A (pt) 2006-06-27
WO2004107696A1 (en) 2004-12-09
US20040240575A1 (en) 2004-12-02
JP4602342B2 (ja) 2010-12-22
JP2007516648A (ja) 2007-06-21
CA2526803C (en) 2010-01-05
MXPA05012819A (es) 2006-07-06
CA2526803A1 (en) 2004-12-09
US6970519B2 (en) 2005-11-29
KR20060023542A (ko) 2006-03-14
BRPI0410800B1 (pt) 2020-11-03
IL171973A0 (en) 2006-04-10
IL171973A (en)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71973A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audio quality for digitized voice transmitted over a channel employing frequency diversity
EP150737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multiple carrier system
RU215078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переменной скоростью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ортогональных каналов переполнения
US6366601B1 (en) Variable rat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397826B2 (en) MIMO transmission system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ES2391654T3 (es) Transmisión de una pluralidad de canales para un sistema de telecomunicación CDMA
EP1641135B1 (en) Channel estimation using a non-pilot portion of a signal
JPH083183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直交符号化を利用するための装置
JP2007506359A (ja)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のための反復コード化
US20030076787A1 (en) Data transfer method
KR10058968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와, 수신방법 및 그 장치
KR20040111460A (ko)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시스템들에 대한 데이터채널 절차
US7305609B2 (en) M-ary modulation for wireless systems
Islam et al. Performance of WIMAX physical layer with variations in channel coding and digital modulation under realistic channel conditions
Cromwell et al. On the design and hardware demonstration of a robust, high-speed frequency-hopped radio for severe battlefield channels
MXPA06005698A (es) Metodo para generar eficientemente el indice de filas y columnas para intercalador de media proporcion en gsm.
EP12920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channel transmission accuracy
KR20010040855A (ko) 직교 레이트-의존 월쉬 커버링 코드들을 사용하여 레이트결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11367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Samundiswary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mobile wimax sytem using turbo coding technique for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under awgn and rayleigh channel
Fortune Multi-level modulation schemes for digital cellular mobile radio
Mjögeman et al. Performance simulations of the UMTS common packet channel
Joyce et al. GSM data service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use of slow frequency hopping
MXPA00002327A (en) Time diversity in a tdm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