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710B1 -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710B1
KR100869710B1 KR1020070037862A KR20070037862A KR100869710B1 KR 100869710 B1 KR100869710 B1 KR 100869710B1 KR 1020070037862 A KR1020070037862 A KR 1020070037862A KR 20070037862 A KR20070037862 A KR 20070037862A KR 100869710 B1 KR100869710 B1 KR 100869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dule
module
intelligent transportation
network
transport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730A (ko
Inventor
박부식
신대교
임기택
곽재민
최종찬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3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7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1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저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DSRC 방식과 고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IEEE 802.11p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각각 다른 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스템 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보급을 활성화할 수 있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ETC, DSRC, IEEE 802.11p, 네트워크 모듈 제어

Description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NETWORK INTERFACE DEVICE FOR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가상 디바이스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네트워크 모듈 130: 제1 RF 모듈
160: 제1 신호 처리 모듈 200: 제2 네트워크 모듈
230: 제2 RF 모듈 260: 제2 신호 처리 모듈
300: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 400: 저장 제어부
500: 애플리케이션 5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600: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 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저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DSRC 방식과 고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IEEE 802.11p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각각 다른 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스템 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보급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Intelligence Transport System)은 기존의 교통 정보 시스템에 첨단 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 혼잡도를 줄이고 안전 운행과 대기 오염 감소 등을 실현하는 교통관리 체제를 지칭한다. 이들 ITS 서비스는 기존의 공중 무선 통신망과는 달리 도로에서 주행 중인 차량을 대상으로 하여 도로변에 노변통신장치(RSE, Road Side Equipment, 또는 RSU, Road Side Unit)라는 비교적 간단한 기지국을 설치하고 차량에는 차량 통신장치(OBE, On Board Equipment 또는 OBU, On Board Unit)라는 저가의 통신 단말기를 탑재하여 고속으로 무선 패킷 통신을 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장치는 용도상 통상 100m 이내의 무선 링크를 통신 범위로 하므로 단거리 전용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통신방식이 정립되고 있다.
DSRC 방식은 ITS 전용의 단거리 통신 방식으로 도로변에 설치된 노변통신장치(RSE)와 차량에 설치된 차량통신장치(OBE) 사이에 단거리 무선 고속 패킷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차량 통행료 자동징수 서비스와 노변 검색, 교통정보 수집 및 제공, 교통신호 전달 등 다양한 ITS 서비스가 가능하다. DSRC는 ITS 구축에 최적 기술로 평가되고 있으며, ITS 제공 서비스의 개발과 함께 적용 분야가 더욱 확장되고 있으므로 선진 각국은 표준화 연구와 관련 제품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DSRC는 물리계층과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 LLC(Logical Link Control)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된다. DSRC 규격에 대한 표준화는 유럽의 CEN, 일본의 ARIB, 미국의 ASTM에서 진행되었고, 국제적으로는 ITU-R SG8과 ISO/TC204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ITS의 구현에 있어서 통신 방식 중의 하나로서 1Mbps DSRC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1Mbps DSRC는 5.850~5.925GHz 대역을 사용하며, 채널당 10MHz 대역을 할당해서 사용한다. 또한 1Mbps DSRC는 Slotted ALOHA 방식과 예약(Reservation) 방식이 혼합된 방식이다. 현재 이러한 1Mbps DSRC는 현재 RF방식의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및 BIS(Bus Information System) 등에 적용되고 있다. 1Mbps DSRC는 ITS의 구현에 있어서 주로 ETC나 단문 서비스와 같은 저속의 대역폭으로 가능한 간단한 부가 서비스에 사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ETC는 현재 고속도로 등의 유료 도로에서는 현금 또는 통행권 형식으로 통행료를 지불하기 위해서 요금소(Toll Booth)에 일시 정차하는 방식의 요금 징수 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여 전자적으로 요금을 징수하는 시스템으로서 ITS의 구현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도입이 고려되고 있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ETC 시스템은 특히 차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도로 정체에 기인한 물류 비 용의 증가와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국내에서도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예컨대 하이패스 지불 방식 등으로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ETC 시스템을 적용하면 무정차(Non-Stop), 비접촉(No-Touch) 방식의 요금 징수가 가능하므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기존에 운영되던 현금 또는 통행권 이용방식보다 약 3 배 이상의 교통소통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한편 ITS에 있어서 고속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을 위해서는 DSRC 이외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즉 충분한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방식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예컨대 IEEE 802.11p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IEEE802.11p는 5.850~5.925GHz 대역 또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채널 당 10MHz 대역을 할당해서 사용하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방식의 MAC(Media Access Control)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이다. IEEE 802.11p 방식은 IEEE 802.11a와 유사한 방식으로서, 일부 차이점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사항은 IEEE802.11a를 준용하고 있다.
ITS의 구현에 있어서 DSRC를 이용한 기술은 이미 상용화가 진행되어 예컨대 ETC 구성을 위하여 DSRC를 적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예컨대 IEEE802.11p를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기술로서 실험실 수준의 프로토타입만이 개발되고 연구되고 있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러한 ITS 기술을 구현한 단말기는 ETC 등을 위해서 DSRC 기술을 적용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예컨대 비디오 교통 정보 서비스의 수신을 위하여 IEEE802.11p를 적용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DSRC 및 IEEE802.11p를 적용한 2개의 단말기를 모두 구입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으며, 제조업체 측에서도 이러한 두 가지 단말기를 모두 제조하는데 따른 시스템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따라서 ITS 보급에 장애 요소가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저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DSRC 방식과 고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IEEE 802.11p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각각 다른 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스템 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보급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1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RF 처리를 위한 제1 RF 모듈과, 상기 제1 RF 모듈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RF 처리를 위한 제2 RF 모듈과, 상기 제2 RF 모듈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인출을 수행하는 저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제어부는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인 저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DSRC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IEEE 802.1p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에 있어서,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동일하거나 일부가 중첩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서로 중첩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한 상기 인터럽트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모듈(100)과, 제2 네트워크 모듈(200)과,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저장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과 저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여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고속 데이터 통신과 저속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즉 제1 네트워크 모듈(100)과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은 이러한 저속 데이터 통신 또는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제1 통신 방식이 저속 데이터 통신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이고 제2 통신 방식이 고속 데이터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서 사용하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서로 다른 것이 다양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제1 네트워크 모듈(100)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1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제1 통신 방식은 예컨대 1 Mbps DSRC일 수 있고 제2 통신 방식은 예컨대 제1 통신 방식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IEEE 802.1p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1 데이터는 예컨대 1 Mbps DSRC를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ETC를 위한 데이터 또는 단문 메시지 등의 작은 크기의 데이터일 수 있고, 제2 데이터는 예컨대 IEEE 802.1p를 이용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비디오 교통 정보 등의 크기가 큰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네트워크 모듈(100)은 제1 RF 모듈(130)과, 제1 신호 처리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RF 모듈(130)은 제1 통신 방식의 RF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신호 처리 모듈(160)은 제1 RF 모듈(130)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은 제2 RF 모듈(230)과, 제2 신호 처리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RF 모듈(230)은 제2 통신 방식의 RF 처리를 수행한다.
제2 신호 처리 모듈(260)은 제2 RF 모듈(230)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네트워크 모듈(100)이 5.850~5.925GHz 대역을 사용하는 DSRC 네트워크 모듈이고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5.850~5.925GHz 대역을 사용하는 IEEE 802.11p 네트워크 모듈인 경우라면 제1 RF 모듈(130)과 제2 RF 모듈(230)은 동일한 대역에 대해서 RF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1Mbps DSRC 방식과 OFDM을 사용하는 IEEE802.11p 방식은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비록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RF 모듈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제1 RF 모듈(130)과 제2 RF 모듈(230)로 서로 통신 방식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제1 네트워크 모듈(100)과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 있어서 RF 구성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신호 처리 모듈인 제1 신호 처리 모듈(160) 또는 제2 신호 처리 모듈(260)은 동일한 신호 처리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신호 처리 자체는 하나의 통합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신호 처리 모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물리(PHY) 계층 또한 서로 완전히 다르게 동작하므로 서로 다른 물리 계층 모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리 계층 모듈에 대해서는 제1 RF 모듈(130)과 제2 RF 모듈(230)에 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며, 이에 대해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현재 국내에서 IEEE 802.11p를 위한 주파수 대역이 확정된 상태는 아니지만 1Mbps DSRC와 동일한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동일한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특성 때문에,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주파수 사용에 관한 관리 및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동일하지 않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주파수 사용에 관한 관리 및 제어 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는 이러한 주파수 사용에 관한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는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 형태로 제어하도록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 각각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로 하여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서 제1 통신 방식 또는 제2 통신 방식을 기초로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서 사용하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은 동일하거나 일부가 중첩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제1 네트워크 모듈(100)이 5.850~5.925GHz 대역을 사용하는 DSRC 네트워크 모듈이고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5.850~5.925GHz 대역을 사용하는 IEEE 802.11p 네트워크 모듈인 경우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것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는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동시에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동일 주 파수를 사용하지 않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해당 주파수가 아니라면 주파수 대역 내에서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동시에 동작이 가능하나 동일 주파수 또는 이와 간섭 가능성이 큰 일정한 범위 이내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서 사용하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제1 네트워크 모듈(100)이 5.850~5.925GHz 대역을 사용하는 DSRC 네트워크 모듈이고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5.850~5.925GHz 대역이 아니라 다른 대역을 사용하는 IEEE 802.11p 네트워크 모듈인 경우에는 서로 주파수 대역이 중첩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는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서로 동시에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간섭의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저장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제어부(400)는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 또는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인출을 수행한다.
즉 제1 네트워크 모듈(100)에서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제1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에 필요한 신호 처리, 제2 네트워크 모듈(200)에서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에 필요한 신호 처리,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300)에서의 제어를 위한 신호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인출을 위해서 저장 제어부(400)는 제1 네트워크 모듈(100)과 제2 네트워크 모듈(200)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인 저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적인 저장 영역은 제1 네트워크 모듈(100)과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터럽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럽트 처리부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인터럽트를 처리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가 적용된 단말기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사이의 인터럽트를 처리한다.
이 경우 인터럽트 처리부는 애플리케이션과 제1 통신 방식 또는 제2 통신 방식에 대한 인터럽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동일한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둘 중의 어느 하나만이 동작 가능하다면, 이러한 인터럽트 처리부는 해당 모듈에 대해서만 인터럽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모듈(100)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200)이 서로 다른 대 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두 모듈 모두에 대해서 인터럽트를 처리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가상 디바이스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듯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a, 550b)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500a, 500b)과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600)와의 연결을 통한 가상 디바이스 구현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a)는 도시되듯이 1Mbps DSRC에 대한 인터페이스이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b)는 IEEE 802.11p에 대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a, 550b)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500a, 500b)과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600)와의 연결이 수행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a, 550b)와,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600) 사이의 연결은 어드레스 라인(address line), 데이터 라인(data line), 판독/기록(read/write) 제어 신호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드레스 라인, 데이터 라인, 판독/기록 제어 신호 등을 통한 연결은 물리적으로 동일하지만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컨대 DSRC와 IEEE 802.11p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 단에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연결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도 분리되도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도시된 연결 A와 B는 물리적으로는 서로 같은 연결을 의미하지만 논 리적으로는 1Mbps DSRC와 IEEE 802.11p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연결된 것처럼 동작한다.
또한 C와 같은 경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a, 550b) 사이에서 인터럽트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2개 이상의 인터럽트를 사용할 수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50a, 550b)에 각각의 인터럽트 라인을 할당하는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 저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DSRC 방식과 고속 대역폭 통신에 적용되는 IEEE 802.11p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각각 다른 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스템 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보급을 활성화할 수 있다.

Claims (12)

  1.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1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1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제2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제2 통신 방식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RF 처리를 위한 제1 RF 모듈과,
    상기 제1 RF 모듈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은,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RF 처리를 위한 제2 RF 모듈과,
    상기 제2 RF 모듈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신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인출을 수행하는 저장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제어부는 제1 네트워크 모듈과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 각각에 대해서 독립적인 저장 영역을 사용하는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른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DSRC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IEEE 802.1p인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 형태로 제어하는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동일하거나 일부가 중첩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서로 중첩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네트워크 모듈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모듈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모듈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 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처리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통신 방식 또는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대한 상기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것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70037862A 2007-04-18 2007-04-18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KR100869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862A KR100869710B1 (ko) 2007-04-18 2007-04-18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862A KR100869710B1 (ko) 2007-04-18 2007-04-18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30A KR20080093730A (ko) 2008-10-22
KR100869710B1 true KR100869710B1 (ko) 2008-11-21

Family

ID=4015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862A KR100869710B1 (ko) 2007-04-18 2007-04-18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82B1 (ko) 2012-08-30 2013-12-02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차량센싱 통신망 상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및 그 관리정보 베이스 설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235B1 (ko) * 2016-06-01 2017-05-2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V2x 기반 차량 위성항법신호에 대한 오차보정데이터 생성을 위한 방법, 노변장치 및 정책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812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서비스형 지능형교통시스템 단말장치
KR20050066635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모드 단거리 전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812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서비스형 지능형교통시스템 단말장치
KR20050066635A (ko) * 2003-12-26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모드 단거리 전용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282B1 (ko) 2012-08-30 2013-12-02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차량센싱 통신망 상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및 그 관리정보 베이스 설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730A (ko)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549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장치
US7999697B2 (en) WLAN-based no-stop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thereof
Jakubiak et al. State of the art and research challenges for VANETs
CN101819685A (zh) 一种etc电子标签装置以及实现路径信息上报的方法
CN101123546A (zh) 基于wlan的etc系统车载单元及其实现方法
CN105225484A (zh) 一种智能交通终端的数据处理方法、终端及系统
JP2009522841A (ja) 専用狭域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輻輳を制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937882B (zh) 通信网络中的空闲测量时段
CN109993841A (zh) 多模路侧单元rsu设备与不停车电子收费etc系统
CN102324114A (zh) 兼容多种etc标准的电子不停车收费的方法和设备
KR100869710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KR100421364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CN103021034A (zh) 根据5.8和5.9GHz DSRC标准选择性通信的无线电信号台和方法
CN101599218B (zh) 一种公交优先无线传输系统及其控制方法
JP3564665B2 (ja) 大容量狭域通信システム
KR20160015937A (ko)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KR100418199B1 (ko) 단거리 전용 고속 무선 통신 기반의 차량 탑재 장치
CN104348896B (zh) 跨平台的车辆通信方法和系统
KR100709273B1 (ko) 스마트 카드 인터페이스와 rfid 태그 기능을 겸한 차량단말기 및 이와 통신 가능한 노상기
CN215495128U (zh) Etc射频模块及微波智能天线装置
JP2007317117A (ja) 狭域通信用車載器及びその通信方法
CN105513402B (zh) 智能公交系统
CN102479393A (zh) 一种实现路径信息上报的方法
KR102316127B1 (ko) 차량용 통신단말기 및 그 통신 환경 설정 방법
CN112907771B (zh) 一个控制器控制多个etc天线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