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13B1 -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 Google Patents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913B1
KR100868913B1 KR1020060126295A KR20060126295A KR100868913B1 KR 100868913 B1 KR100868913 B1 KR 100868913B1 KR 1020060126295 A KR1020060126295 A KR 1020060126295A KR 20060126295 A KR20060126295 A KR 20060126295A KR 100868913 B1 KR100868913 B1 KR 10086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height
predetermined
digging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2444A (ko
Inventor
민선영
Original Assignee
민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선영 filed Critical 민선영
Priority to KR102006012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1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2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또는 항만의 외항으로부터 선박이 접안하는 내항으로 몰아치는 파고의 월파를 차단하여, 선박 및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에 과한 발명으로서, 상기 항만 구조물의 중도부 상단에서 외항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형성되는 작동공간과; 상기 작동공간의 하단에서 외항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항만 구조물의 상부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면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대와;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날개판이 구비된 연결판을 상하측으로 다수개 힌지 결합하며, 상기 작동공간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대를 타고 승하강 작동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낮은 높이의 파고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높은 높이의 파고가 월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내항에 접안된 선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내항, 외항, 선박, 항만 구조물, 파고

Description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Harbor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차단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횡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차단판이 하부의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공간 11 : 유입구
20 : 차단판 21 : 몸체
22 : 날개판 30 : 가이드대
본 발명은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폭이 넓은 대형의 하천이나 항만의 외항으로부터 선박이 접안하는 내항으로 몰아치는 파고의 높이가 높아져 항만 구조물을 월파하는 경우에 항만 구조물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월파를 차단하여, 선박 및 인명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는 하천 또는 항 만 구조물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외해의 파고로부터 안전하게 정박하고, 승객과 수하물을 쉽게 하역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항만 구조물에 의해 내항이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 높이로 축조되는 방파제 등의 항만 구조물은 보통 5M 정도 높이의 파고를 차단하기 위해 설계되어 축조가 되는 바, 태풍 등으로 인해 파고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항만 구조물을 월파하여 내항에 접안된 선박은 물론 인명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그렇다고, 무작정 높은 높이의 항만 구조물을 축조할 수는 없는 것이며, 몇 년에 한번 발생할지도 모를 파고의 높이에 대처하기 위해 항만 구조물의 높이를 높여 축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기간의 공기가 소요되는 것은 물론 막대한 공사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고의 높이가 높아져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을 월파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단벽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넓은 대형의 하천이나 내항으로의 월파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단벽의 높이가 가변되면서도 별도의 동력이나 작업자의 조작이 필요 없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구성으로서 외항의 파고로부터 내항을 보호하고자 축조되는 항만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항만 구조물의 중도부 상단에서 외항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형성되는 작동공간과; 상기 작동공간의 하단에서 외항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항만 구조물의 상부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면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대와;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날개판이 구비된 연결판을 상하측으로 다수개 힌지 결합하며, 상기 작동공간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대를 타고 승하강 작동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판의 연결판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차단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횡방향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구조물의 차단판이 하부의 물의 압력에 의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횡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항만 구조물은 외항의 파고로부터 내항을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인 항만 구조물의 높이와 마찬가지로 축조되며, 그 상단 중도부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작동공간(10)을 형성하되, 외항 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작동공간(10)과 외항이 연통되도록 작동공간(10)의 하단에는 유입구(11)를 소정의 간격마다 다수 관통 형성한다.
그리고, 차단판(20)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공간(10)에 삽입 설치하여 승하강 작동하도록 하는 바, 상기 차단판(20)은 항만용 구조물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시공의 편의성 및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위해 소정의 간격마다 구획하여 다수개의 차단판(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항만용 구조물의 상단에 소정의 간격마다 가이드대(30)를 설치하여 승하강 작동하는 차단판(20)을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작동공간(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항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대(30) 또한, 상기 작동공간(10)과 연설되도록 같은 곡률로 만곡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차단판(20)은 소정의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연결판(21)의 양측면에 날개판(22)을 하부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판(21)을 서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다수개 힌지 결합하여 연결하고, 각각의 연결판(21) 양측면에는 가이드롤러(23)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항만용 구조물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항만용 구조물은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항만 구조물과 마찬가지의 높이로 이루어져 작은 파고를 차단하고, 내항의 선박을 외항의 파고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만약 외항으로부터 몰아치는 파고의 높이가 항만 구조물의 높이보다 높아 항만 구조물을 월파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외항으로부터 내항으로 몰아치는 파고의 힘에 의해 항만용 구조물 하부의 유입구(11)마다 강한 압력의 물이 유입되면서, 작동공간(10)에 설치된 차단판(20)의 날개판(22) 하부에 부딪치면서 밀어 올려주므로, 이에 연결고정하여 주는 연결판(21)과 같이 가이드대(30)가 형성된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차단판(20)의 다수개로 힌지 연결된 연결판(22)은 소정의 곡률로 절첩되면서 상측의 만곡된 가이드대(30)를 따라 상승하며, 내항으로 월파하는 파고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대(30)가 외항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파고에 의해 상승하는 차단판(20)은 가이드대(30)를 따라 외항방향으로 만곡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큰 힘을 요하지 않고서도 쉽게 상승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밀려온 파도가 다시 빠지게 되면, 작동공간(10)에 유입된 물도 유입구(11)를 통해 다시 외항으로 빠지게 되며, 차단판(20) 또한 가이드대(30)를 타고 하강하게 된다.
즉, 외항의 파고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경우에는 항만 구조물에 의해 파고를 차단하게 되나, 파고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그 파고가 밀려오는 힘에 의해 높은 높이의 파고를 차단판(20)이 상승하면서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낮은 높이의 파고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높은 높이의 파고가 월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내항에 접안된 선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끔씩 발생하는 높은 높이의 파고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그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은 일반적인 높이만으로 축조하여도 되므로, 공사비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높은 파고에 대응하기 위해 별도의 조작을 가하거나 동력 을 필요로 하지도 않으므로, 작동을 위한 인력이 필요 없고, 유지보수에 따르는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외항의 파고로부터 내항을 보호하고자 축조되는 항만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항만 구조물의 중도부 상단에서 외항측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형성되는 작동공간과;
    상기 작동공간의 하단에서 외항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항만 구조물의 상부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면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대와;
    양측면에 하부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날개판이 구비된 연결판을 상하측으로 다수개 힌지 결합하며, 상기 작동공간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대를 타고 승하강 작동하는 차단판;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연결판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KR1020060126295A 2006-12-12 2006-12-12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KR10086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295A KR100868913B1 (ko) 2006-12-12 2006-12-12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295A KR100868913B1 (ko) 2006-12-12 2006-12-12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768 Division 2005-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444A KR20070062444A (ko) 2007-06-15
KR100868913B1 true KR100868913B1 (ko) 2008-11-17

Family

ID=3835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295A KR100868913B1 (ko) 2006-12-12 2006-12-12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146A (zh) * 2018-09-23 2018-12-14 杭州仙珑宇盈科技有限公司 可调整高度的防波堤及方法
CN113356141B (zh) * 2021-06-28 2023-05-02 山西蓝政建筑安装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防塌陷的护坡制作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720B1 (ko) 2006-06-08 2006-08-17 주식회사 동호 하천제방의 곡면부 국소붕괴를 방지하는 방호대
KR100639128B1 (ko) 2006-07-25 2006-10-31 주식회사 삼안코퍼레이션 방파제 기초의 세굴방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720B1 (ko) 2006-06-08 2006-08-17 주식회사 동호 하천제방의 곡면부 국소붕괴를 방지하는 방호대
KR100639128B1 (ko) 2006-07-25 2006-10-31 주식회사 삼안코퍼레이션 방파제 기초의 세굴방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2444A (ko) 200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8567B2 (ja) 自動作動式の高潮障壁
US7744310B2 (en) Hydrostatically operated variable height bulkhead
US20080050178A1 (en) Wave Trap
EP3748085B1 (en) Flood barrier
JP2006342653A (ja) 津波防波堤
KR100868913B1 (ko) 파고의 높이에 따라 가변되는 하천 또는 항만 구조물
JP2008184761A (ja) 波浪防護構造物
WO2014037824A1 (en) Gravity-based elevated hydro-technical structure
ZA201102296B (en) Breakwater structure
JP2013087574A (ja) 防波装置
KR102479875B1 (ko) 연속 결합형 파력 분산 블록
KR100612720B1 (ko) 하천제방의 곡면부 국소붕괴를 방지하는 방호대
CN103168137B (zh) 抗冰型自升式钻井单元
KR101162441B1 (ko) 부유식 구조물
CN205688393U (zh) 一种新型组合式防波堤
KR20230082103A (ko)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RU2528191C1 (ru) Модульная берегозащи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09228268A (ja) 脚式離岸堤
ES2228177T3 (es) Unidad de conversion de energia para convertir la energia de las olas marinas en energia electrica.
CN215052780U (zh) 一种具有防戳破功能的抗风浪充气式橡胶围油栏
KR20010073336A (ko) 방파제 두부 구조
JP5526056B2 (ja) 移動式防波体及び防波堤の閉塞構造
RU2264502C1 (ru) Самодействующее переналаживаемое защитное от наводнений сооружение
JP7229008B2 (ja) 防潮堤
CN214573689U (zh) 一种自适应潮差浮动码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