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355B1 -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355B1
KR100868355B1 KR1020060113113A KR20060113113A KR100868355B1 KR 100868355 B1 KR100868355 B1 KR 100868355B1 KR 1020060113113 A KR1020060113113 A KR 1020060113113A KR 20060113113 A KR20060113113 A KR 20060113113A KR 100868355 B1 KR100868355 B1 KR 10086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image
video
information
substit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380A (ko
Inventor
양명규
김수열
이찬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355B1/ko
Priority to US11/935,909 priority patent/US8279256B2/en
Publication of KR2008004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화 시 적절한 대체영상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상통화 시에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녹화한 후, 위치정보나 시간정보와 같은 녹화시점의 상황에 관련된 정보들을 태깅하여 대체영상으로서 저장하고,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되는 경우에 해당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대방에게 송출함으로써, 각기 다른 화상통화 시의 상황마다 해당 상황에 적합한 자연스러운 대체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화상통화, 대체영상, 태그

Description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SUBSTITUTE IMAGES FOR VIDEO CALL AND A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영상에 상황정보를 태깅하여 대체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을 검색하여 전송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대체영상을 위한 영상저장과 대체영상 전송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통화 시 적절한 대체영상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과 단말기 제조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순히 이동 중에 전화통화만을 하는 수단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대방과 사진을 교환하거나 서버로부터 동영상을 내려받거나, 무선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고성능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화로 인해 화상통화 기능이 각광을 받고 있다. 게다가, 최근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의 사용량은 증대될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통화는 사용자의 통화장소 등의 노출로 인해 사생활 침해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써, 촬영되는 사용자의 배경을 다른 배경으로 바꾸어 주거나 현재 사용자의 영상을 전송하지 않고 이전에 녹화해둔 다른 영상으로 대체하여 전송하는 이른바 대체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대체영상을 전송하는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대체영상으로 사용할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화상통화 중에 직접 사용자의 영상을 녹화하는 설정을 하여 저장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저장한 영상들 중에서 대체영상으로 사용할 하나의 영상을 미리 지정하거나 화상통화 시마다 많은 영상들 중에서 스스로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리 대체영상을 지정해 놓는 경우 사용자가 화상통화 시마다 대체영상을 변경해야하는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통화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체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화상통화 시 사용자의 영상을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절한 대체영상 검색을 위해 화상통화 시 사용자의 영상과 함께 대체영상 검색에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카메라부나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대체영상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와; 위치신호 수신을 위한 위치인식부와; 화상통화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대체영상들 중 상기 위치인식부에 의해 확인되는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현재 상황에 관련된 정보에 근접한 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은, 화상통화 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대체영상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황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한 후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황정보는 화상통화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들로서, 오전이나 오후와 같은 시간대 정보, 셀 ID나 GPS 정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상황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화상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름, ID와 같은 상대방 식별을 위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110)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120)와; 상기 카메라부(110)나 송수신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부(130)와;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부(140)와;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150)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부(160)와; 위치신호 수신을 위한 위치인식부(170)와; 상기 송수신부(120)나 위치인식부(170)에 의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상황에 관련된 정보(이하, ‘상황정보’라 함)를 작성하는 상황정보작성부(180)와; 상기 유닛들(110~190)과 공조하며, 화상통화 수행 시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상황정보작성부(180)에 의해 작성된 상황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150)에서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부(120)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여 시간정보나 단말기의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20)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나 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이나 RF모듈 등의 무선통신유닛과; 전화선이나 광케이블과 같은 중계회선과 연 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통신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송수신부(120)나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90)에 의해 상기 송수신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시킨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송수신부(120)나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영상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화상통화나 영상촬영의 수행을 가능토록 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입력부(160)를 포함하여 터치 패널(touch panel)과 같은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정보나 데이터 표시 기능 외에도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60)는 키패드일 수 있으며, 이와 동등한 수단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널이나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60)는 음성입력을 위한 음성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부(170)는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계산함으로써 현재 위치 및 이동상황을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인식부(17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혹은 이와 동등한 수준의 위치인식을 위한 유닛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90)와 결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황정보작성부(180)는 화상통화 수행 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촬영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화상통화 중 촬영된 영상에 포함시키는데, 예를 들어 태그 형태로 영상 데이터의 헤더부분이나 이와 동등한 수준의 영역에 태깅함으로써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상황정보작성부(180)는 상기 제어부(190)의 일부이거나, 상기 제어부(190)와 결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 전송 설정 여부에 따라,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경우,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대체영상 데이터들의 상황정보를 비교하여 상황정보가 일치하거나 유사한 대체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을 상기 송수신부(12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화상통화 중에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상황정보작성부(180)에 의해 작성된 상황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시킨다. 상기 상황정보는 태그(Tag) 형태로 작성 및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상황정보는 화상통화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들로서, 오전이나 오후 혹은 몇 시 몇 분과 같은 시간대 정보, 셀 ID나 GPS 정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나 이동상황에 관련된 위치정보, 화상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름 혹은 ID와 같은 상대방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와 동등한 수준의 분류 및 검색에 용이하게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90)는 화상통화 호가 착신 혹은 발신되면, 대체영상 전송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을 전 송하도록 설정해두었는가를 확인하거나 대체영상 전송을 설정하는 입력이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150)에 자동으로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90)는 촬영되는 시간대에 대한 정보나 현재 화상통화 상대방 전화번호와 같은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상기 위치인식부(170)나 상기 송수신부(12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상기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에 태깅(Tagging)하여 함께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대체영상들 중 현재 상황정보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한다. 예컨대, 현재시간대와 일치 혹은 유사한 시간대 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이 있는지,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상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와 일치 혹은 유사한 위치정보를 갖는 대체 영상이 있는지, 현재 착신된 호의 발신측 전화번호(또는 발신된 호의 착신측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를 갖는 대체 영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현재 화상통화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검색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대체영상 검색이 완료되고,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검색된 대체영상을 상기 송수신부(120)를 통해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대체영상의 전송은 화상통화 종료 시 혹은 대체영상 전송을 중지하는 사용자의 설정이 있을 때까지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와 같은 대체영상을 전송하는 중에도 카메라부(110) 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대체영상을 이용한 화상통화와 대체영상용 영상녹화가 함께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190)는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상황정보작성부(180)에 의해 작성된 상황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대체영상 전송 설정은 사용자가 미리 메뉴설정을 통해 설정하거나, 화상통화 시, 사용자의 핫 키(혹은 단축키) 입력이나 해당 메뉴 설정, 혹은 이와 동등한 수준의 입력에 의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대체영상의 검색결과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검색된 대체영상들을 리스트 형태나 미리보기 형태로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도록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표시된 대체영상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체영상을 상기 송수신부(120)를 통해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저장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방송수신모듈,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단자, 충전용 단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전자상거래나 모바일 뱅킹을 위한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 신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의 구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은, 화상통화 호가 발생하는 단계(S210)와; 대체영상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황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S230~S250)와,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한 후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60~S290)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90)는 S210단계에서 화상통화 호가 발생하면, 즉, 화상통화 호가 착신되거나 발신되면, S220단계에서 대체영상 전송의 설정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220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대체영상 전송을 설정한 것으로 판단되면, S2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현재 화상통화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현재 화상통화 상황을 확인한다. 현재 화상통화 상황의 확인이 완료되면, S24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확인된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 정보를 갖는 대체 영상을 검색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된 후, S250단계에서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제어부(190)는 상기 검색된 영상을 대체영상으로써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한다.
한편, 상기 S22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대체영상 전송을 설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즉, 현재 사용자 측의 영상을 상대방으로 전송하며 화상통화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26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녹화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S270단계에서 현재 화상통화 상황에 관련된 상황정보를 확인한 후, S280단계에서 상기 녹화된 영상에 상기 확인된 상황정보를 태깅한다. S29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확인된 상황정보가 태깅된 녹화영상을 대체영상 보관함과 같은 저장소에 저장한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은, S240 단계에서의 검색이 완료된 후, 검색된 대체 영상이 두 개 이상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검색된 대체영상들을 리스트나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도록 표시부에 표시하고, 표시된 대체영상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체영상을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황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통화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들로서, 오전이나 오후 혹은 몇 시 몇 분과 같은 시간대 정보, 셀 ID나 GPS 정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나 이동상황에 관련된 위치정보, 화상통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이름 혹은 ID와 같은 상대방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영상에 상 황정보를 태깅하여 대체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을 검색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대체영상 저장과 대체영상 전송을 동시에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90)는 S310단계에서 화상통화 호가 착신되면, S320단계에서 대체영상 전송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것을 확인한다. S3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현재 화상통화 상황으로서 기지국 시간정보 등을 통해 현재시간을 확인하고, 셀 ID나 GPS 정보 등을 확인함으로써 현재 위치한 장소 및 이동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34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기저장된 대체영상들의 태그를 검색하여 현재시간과 일치 혹은 유사한 시간 정보, 상기 확인된 현재 위치 및 이동상황과 일치 혹은 유사한 위치정보가 태깅된 대체영상을 검색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된 후, S350단계에서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제어부(190)는 상기 검색된 대체영상을 화상통화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90)는 S410단계에서 화상통화 호가 발신되면, S420단계에서 대체영상 전송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 S4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현재 화상통화 상황에 대한 정보로써, 촬영되는 시간대에 대한 정보나, 현재 화상통화 상대방 전화번호와 같은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및 이동상황을 포함하는 위치정보 등을 확인한다. S44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화상통화 종료 시까지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녹화한다. S45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녹화된 영상에 상기 확인된 정보들을 태깅하여 대체영상으로서 대체영상 보관함과 같은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 저장된 대체영상들은 상기 태깅에 의해 작성된 태그들에 의해 분류 및 검색되는데, 예를 들면, 다음 [표1]과 같은 태그 테이블을 만든 후, 이를 참조함으로써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112006083761612-pat00001
상기 [표1]과 같은 대체영상의 태그 테이블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화상통화 호가 착신되고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자동으로 대체영상을 검색한다. 이때 현재 상황정보 확인에 따라 현재 시간대가 저녁대이고 장소는 강남역 인근,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 중에 있으면, 이와 일치 혹은 가장 유사한 태그를 갖는 대체 영상을 검색한다. 상기 [표1]의 경우, 003번의 대체영상이 자동으로 검색되어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될 것이다. 상기 시간이나 장소, 이동유무에 쓰인 태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00, 01이나 AA, AB, A1 등과 같은 코드 형태로 쓰일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90)는 S510단계에서 화상통화 호가 착신되면, S520단계에서 대체영상 전송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것을 확인한다. S53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현재 화상통화 상황으로서 기지국 시간정보 등을 통해 현재시간을 확인하고, 셀 ID나 GPS 정보 등을 확인함으로써 현재 위치한 장소 및 이동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착신된 호를 통해 상대방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S54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기저장된 대체영상들의 태그를 검색하여 현재시간과 일치 혹은 유사한 시간 정보, 상기 확인된 장소 및 이동상황과 일치 혹은 유사한 위치정보, 상대방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태깅된 대체영상을 검색한다. 상기 검색이 완료된 후, S550단계에서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S56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검색된 대체영상을 화상통화 상대방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녹화한다. S570단계에서 화상통화가 종료되면, S58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대체영상의 전송과 사용자 영상 녹화를 중지한다. S590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녹화된 영상에 상기 S530단계에서 확인된 정보들을 태깅하여 대체영상으로서 대체영상 보관함과 같은 저장소에 저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 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은, 화상통화 시 사용자의 영상을 자동으로 저장함으로써 대체영상으로 사용될 영상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대체영상 사용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영상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 사용의 편의를 높임으로써 화상통화 사용빈도를 높이고 보급화에 기여하여 결국, 제반 기술 확충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와;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와;
    상기 카메라부나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대체영상의 저장을 위한 저장부와;
    위치신호 수신을 위한 위치인식부와;
    화상통화 시 선택적으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저장부에 상황정보와 함께 저장시키거나, 상기 저장부에서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대체영상들 중 상기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하고,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검색된 대체영상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영상의 검색결과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검색된 대체영상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체영상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부에 의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황정보를 작성하는 상황정보작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체영상을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카메라부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상황정보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황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상통화 시,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화상통화 중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상황정보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상황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태그(Tag) 형태로 작성 및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화상통화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들로서, 시간대 정보, 위치정보, 화상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화상통화 호가 발생하는 단계와;
    대체영상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황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정보를 갖는 대체영상을 검색한 후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검색된 대체영상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현재 화상통화 상황에 해당하는 대체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현재 화상통화 상황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일치하거나 유사한 상황 정보를 갖는 대체 영상을 검색하는 단계와;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상기 검색된 영상을 대체영상으로서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단계는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녹화하고 화상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확인된 현재 화상통화 상황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대체영상이 두 개 이상이면, 검색된 대체영상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체영상을 화상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대체영상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상통화가 개시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자동으로 녹화하는 단계와;
    현재 화상통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화상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녹화된 영상에 상기 확인된 정보를 태깅하여 해당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태그(Tag) 형태로 작성 및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화상통화 시 해당 상황에 적절한 대체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들로서, 시간대 정보, 위치정보, 화상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 제공방법.
KR1020060113113A 2006-11-16 2006-11-16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KR10086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13A KR100868355B1 (ko) 2006-11-16 2006-11-16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US11/935,909 US8279256B2 (en) 2006-11-16 2007-11-0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titute images for video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113A KR100868355B1 (ko) 2006-11-16 2006-11-16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380A KR20080044380A (ko) 2008-05-21
KR100868355B1 true KR100868355B1 (ko) 2008-11-12

Family

ID=3941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113A KR100868355B1 (ko) 2006-11-16 2006-11-16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79256B2 (ko)
KR (1) KR10086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83B1 (ko) * 2009-05-28 2011-01-19 주식회사 지토피아 파노라믹 동영상 생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761B1 (ko) * 2009-05-28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104766A (zh) * 2009-12-18 2011-06-2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视频通话中的隐私保护系统及方法
CN101883317A (zh) * 2010-05-18 2010-11-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用户位置通知方法
CN102098379A (zh) * 2010-12-17 2011-06-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其实时视频图像获取方法和装置
US20120236105A1 (en) * 2011-03-14 2012-09-20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rphing a user during a video call
US8917307B2 (en) * 2012-02-24 2014-12-23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alling
US20130314523A1 (en) * 2012-05-24 2013-11-28 Joe Russ Inverted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CN102984494B (zh) 2012-12-06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视频通讯方法及装置
US20140281975A1 (en) * 2013-03-15 2014-09-18 Glen J. Anderson System for adaptiv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xt-based media in communications
US9277180B2 (en) 2014-06-30 2016-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facial feature substitution for video conferencing
US9204098B1 (en) 2014-06-30 2015-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haracter substitution for web conferencing based on sentiment
KR20230063112A (ko) * 2021-11-01 2023-05-09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영상 통화 시 바디 이펙트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643A (ko) * 2004-10-26 2006-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체 영상 전화 서비스 제공 단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463A (ja) 1999-05-12 2000-11-24 Nec Corp テレビ会議システム
KR100552143B1 (ko) 1999-12-02 2006-02-13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화상통화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경화면으로써의 실시간 화상합성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에 따른 배경화면 선택방법
KR100358166B1 (ko) 2000-12-19 2002-10-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화상 휴대폰 장치
KR100475953B1 (ko) 2002-10-22 2005-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영상 전화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4312634A (ja) * 2003-04-10 2004-11-04 Nec Corp テレビ電話端末、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画面表示設定方法
US7162256B2 (en) * 2003-09-30 2007-01-09 Avaya Technology Corp. Presence-based telecommunication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6643A (ko) * 2004-10-26 2006-05-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대체 영상 전화 서비스 제공 단말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683B1 (ko) * 2009-05-28 2011-01-19 주식회사 지토피아 파노라믹 동영상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9256B2 (en) 2012-10-02
KR20080044380A (ko) 2008-05-21
US20080117283A1 (en) 200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355B1 (ko) 화상통화를 위한 대체영상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방법
JP521898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99853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379073B2 (en) Method for storing data of video telephony call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of
US20110199470A1 (en) Photograph prediction including automatic photograph recording with autofocus and method
KR20120013299A (ko) 태그-다이얼 기능을 갖춘 디지털 포토 프레임
JP2002191079A (ja) 通信装置及び方法、撮像装置及び方法、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検索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5407273A (zh) 图像的拍摄方法、装置及终端
JP5152045B2 (ja) 電話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4130646B2 (ja) 映像入力部付き携帯用端末機において文字を認識する方法
US20050096087A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pying data betwe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s and data copy method using the same
WO2020215273A1 (zh) 错误原因上报方法及装置
KR100692005B1 (ko)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JP4883355B2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画像データ送信方法
JP46579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US8661085B2 (en) Adaptation method and adapter apparatus based o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JP20080109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CN103888612B (zh) 呼叫转移方法、装置及终端
CN116306736B (zh) 一种扫码识别方法及电子设备
KR10160671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 데이터 자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3443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영상 파일 검색 방법
KR20090011153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00054641A (ko) 발신자 정보 획득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120494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画像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13412A (ko) 영상데이터 공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