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803B1 -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803B1
KR100867803B1 KR1020060125605A KR20060125605A KR100867803B1 KR 100867803 B1 KR100867803 B1 KR 100867803B1 KR 1020060125605 A KR1020060125605 A KR 1020060125605A KR 20060125605 A KR20060125605 A KR 20060125605A KR 100867803 B1 KR100867803 B1 KR 10086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battery
cell
cell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713A (ko
Inventor
타케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8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전류제한회로, 캐패시터 등을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인 조전지에 대한 충전 균등화를 실현함과 함께 비용 절감, EMI 및 노이즈 억제 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여러개의 셀이 배열된 배터리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Photo-MosSW)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중 하나에 연결된 충전라인과;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방전라인과; 상기 충전 및 방전라인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고,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전류제한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를 제공한다.
조전지, 배터리 셀, 충전, 방전, 전류제한회로, 캐패시터, 스위치, 저항

Description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Circuit for equalization of battery charge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의 병렬접속시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의 직렬접속시 전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 20 : 포토-모스 스위치
30 : 전류제한회로 40 : 셀
50 : 충전라인 60 : 방전라인
C1 : 제1캐패시터 C2 : 제2캐패시터
R : 저항 SW1 : 제1스위치
SW2 : 제2스위치 SW3 : 제3스위치
SW4 : 제4스위치 SW5 : 제5스위치
본 발명은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전류제한회로, 콘덴서 등을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인 조전지에 대한 충전 균등화를 실현함과 함께 비용 절감, EMI 및 노이즈 억제 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구동장치인 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수명을 더 연장하고 전동기의 성능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조전지는 단전지에 비해 전지를 전력원으로 하는 기기에서 실제 사용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진 배터리 팩(Battery Pack)이라고도 하며,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또는 순수 전기 차량에 적용된다.
종래의 조전지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는 변압기와 스위치를 사용함에 따라, 신속하게 충전 균등화를 수행할 수 있지만, 각 셀마다 변압기를 장착될 필요가 있어 중량 및 비용 모두 증가되는 문제점 있었다.
예를 들어, 충전 균등화를 가능하게 하는 회로구성이 일본특허공개2002-223528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 이는 변압기와 스위치를 조합한 방법으로서, 스위칭 으로 인해 변압기로 승압 또는 강압되어 신속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나, 전지의 모든 셀에 변압기를 장착해야 하며, 고주파 EMI 대책이 필수이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전지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는 고속 스위칭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자파(EMI)를 발생시키는 노이즈(Noise)원이 되며, 기타 제어기기의 오동작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억제 하기 위하여, 새로운 부품이 또한 필요하게 되지만, 이는 비용 증가로 이어지는 단점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포함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전류제한회로, 콘덴서 등을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인 조전지에 대한 충전 균등화를 실현함과 함께 비용 절감 및 EMI 억제, 노이즈 억제 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러개의 셀이 배열된 배터리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Photo-MosSW)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중 하나에 연결된 충전라인과;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 착된 포토-모스 스위치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방전라인과; 상기 충전 및 방전라인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고,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전류제한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전류제한회로는 배터리 셀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는 병렬회로와,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직렬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렬회로는 저항과, 방전라인과 연결된 제1스위치와, 상기 저항과 제1스위치간에 연결된 제1캐패시터와, 상기 저항과 연결된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와 연결된 제4스위치와, 상기 제2 및 제4스위치간에 연결된 제2캐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렬회로는 전류의 충전 흐름 방향을 따라 충전라인과 연결된 제5스위치와, 포토-모스 스위치와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제5스위치와 저항간에 연결된 제1 및 제2캐패시터와, 제1 및 제2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제3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를 위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균등화를 위한 회로 구성은, 배터리(10), 포토-모스 스 위치(20), 한 쌍의 캐패시터(C1,C2), 충전 및 방전을 위한 전류제한회로(30) 등으로 구성된다.
배터리(10)의 각 셀(40)에는 충전 및 방전을 위한 스위치로서, 2개씩의 포토-모스 스위치(20: photo-MosSW)가 연결되어,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각 포토-모스 스위치(20)에는 충전라인(50) 및 방전라인(6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충전 및 방전라인(50,60)에는 2개의 캐패시터(C1,C2)와 1개의 저항(R), 그리고 5개의 스위치(SW1,SW2,SW3,SW4,SW5)가 조합된 전류제한회로(30)가 연결된다.
상기 전류제한회로(30)는 배터리(10)의 각 셀(40)로 방전되는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는 병렬회로와, 배터리(10)의 각 셀(40)로 충전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직렬회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터리 방전을 위한 병렬회로는 3개의 스위치(SW1,SW2,SW4)와, 2개의 캐패시터(C1,C2)와, 저항(R)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저항(R)과 제1캐패시터(C1)가 연결되고, 이 제1캐패시터(C1)와 제1스위치(SW1)가 연결되며, 제1스위치(SW1)는 충전라인(5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항(R)과 제2스위치(SW2)가 연결되고, 이 제2스위치(SW2)와 제2캐패시터(C2)가 연결되며, 상기 제2캐패시터(C2)와 제1스위치(SW1)가 제4스위치(SW4)에 의하여 연결되는 회로 구성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병렬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라인(60)에 저항(R)을 연결하고, 상기 저항(R)에 제1캐패시터(C1)와 제2캐패시터(C2)를 병렬로 연결하되, 상기 저항(R)에 연결된 제1캐패시터(C1)의 일단과 제2캐패시터(C2)의 일단 사이에 제2스위치(SW2)를, 제1캐패시터(C1)의 타단과 제2캐패시터(C2)의 타단 사이에는 제4스위치(SW4)를, 상기 제1캐패시터(C1)의 타단과 충전라인(50) 사이에는 제1스위치(SW1)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제2 및 제4스위치(SW1,SW2,SW4)의 온(On) 시에 셀(40)로부터 방전된 전류가 상기 방전라인(60) 및 저항(R)을 지나 제1캐패시터(C1)와 제2캐패시터(C2)에 병렬로 충전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직렬회로는 2개의 스위치(SW3,SW5)와, 2개의 캐패시터(C1,C2)와, 저항(R)으로 구성되는 바, 전류의 충전 흐름 방향을 따라 충전라인(50)과 제5스위치(SW5)가 연결되고, 제5스위치(SW5)와 제2캐패시터(C2)가 연결되며, 제2캐패시터(C2) 및 제1캐패시터(C1)가 제3스위치(SW3)에 의하여 연결되고, 제1캐패시터(C1)와 각 포토-모스 스위치(20)간에 저항(R)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직렬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라인(60)에 연결된 저항(R)(이 저항은 방전라인을 통해 포토-모스 스위치에 연결되고 있음)에 일단이 연결된 제1캐패시터(C1)와, 일단이 제3스위치(SW3)를 개재하여 제1캐패시터(C1)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5스위치(SW5)를 개재하여 충전라인(50)에 연결된 제2캐패시터(C2)를 이용하되, 상기 제3 및 제5스위치(SW3,SW5)의 온(On) 시에 상기 제1캐패시터(C1)와 제2캐패시터(C2)가 충전라인(50)에 직렬로 접속되면서 제1캐패시터(C1)와 제2캐패시터(C2)에 충전되어 있던 전류가 상기 충전라인(50)을 통해 셀(40)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병렬회로로 이루어진 배터리 방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CM)에서 배터리 셀중 SOC가 가장 높은 셀부(이하, Cell-max 라 칭함)와 가장 낮은 셀부(이하, Cell-min 이라 칭함)을 검출하여, 하기와 같은 흐름에 따라 충전 균등화를 수행한다.
배터리(10)의 셀(40)중 Cell-max와 제1 및 제2캐패시터(C1,C2)를 접속시켜 각 캐패시터(C1,C2)로 전류를 방전시킨다.
이때, 제1,2,4스위치(SW1, SW2, SW4)를 온 시키고, 제3,5스위치(SW3, SW5)를 오프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캐패시터(C1,C2)는 Cell-max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Cell-max로부터 방전되는 전류가 저항(R)을 지나 제1캐패시터(C1)로 방전되고, 동시에 저항(R) 및 제2스위치(SW2)를 지나 제2캐패시터(C2)로 방전된다.
상기 저항(R)은 스위치, 배터리 등의 용량에 따라 결정되고, 수시 전류제한 을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저역통과필터(LPF: Low Pass Filter) 역할도 하기 때문에 전자파(EMI) 노이즈에 대한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캐패시터(C1,C2)와 상기 배터리(10)의 셀(40)중 Cell-min간의 전위차, 저항(R)에 의하여 방전 전류(i)가 결정되며, 캐패시터(C1,C2)에 쌓인 전하는 Q=(Q1+Q2)이고, 캐패시터의 전압(Vd)은 Vd≒Cell-max 이 된다.
여기서, 상기 직렬회로로 이루어진 배터리 충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10)의 셀(40)중 Cell-max와 제1 및 제2캐패시터(C1,C2)를 단락시키고자, 제3 및 제5스위치(SW3, SW5)를 온시키는 동시에 제1,2,4스위치(SW1,SW2,SW4)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상기 충전라인(50)과 연결된 제5스위치(SW5)와, 제2캐패시터(C2)와, 제3스위치(SW3)와, 제1캐패시터(C1)와, 저항(R)이 직렬로 접속되는 상태가 되며, 이에 상기 Cell-min에 제1 및 제2캐패시터(C1,C2)가 접속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충전을 위한 전류는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제1 및 제2캐패시터의 접속 방법을 직렬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캐패시터(C1,C2)의 승압된 전압 Vc=2×V(Cell-max)와 상기 Cell-min의 전압 V=V(Cell-min)간의 전위차와, 전류제한을 위한 저항(R)을 기반으로, 옴(Ω)의 법칙에 의하여 충전전류가 아래 식과 같이 결정된다.
I={2×V(Cell-max)-V(Cell-min)}/R
이와 같이, Cell-max의 방전 및 Cell-min의 충전이 한 번 종료되면, 다시 Cell-max의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2×V(캐패시터) ≒V(Cell-min)이 된다.
이러한 공정을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배터리 셀 전체의 SOC 불균등을 억제함과 더불어 충전 균등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에 포함된 변압기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전류제한회로, 콘덴서 등을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인 조전지에 대한 충전 균등화를 실현함과 함께 비용 절감 및 EMI 억제, 노이즈 억제 등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여러 개의 셀이 배열된 배터리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Photo-MosSW)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 중 하나에 연결된 충전라인과;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방전라인과;
    상기 충전 및 방전라인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 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고,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전류제한회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류제한회로는 배터리 셀 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는 병렬회로와,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직렬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병렬회로는, 상기 방전라인에 연결된 저항과, 일단이 상기 저항에 연결된 제1캐패시터와, 제1캐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충전라인 사이에 설치된 제1스위치와, 상기 저항에 상기 제1캐패시터와는 병렬로 연결된 제2캐패시터와, 상기 제1캐패시터의 일단과 제2캐패시터의 일단 사이에 설치된 제2스위치와, 제2캐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제1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설치된 제4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및 제4스위치의 온(On) 시에 셀로부터 방전된 전류가 상기 방전라인 및 저항을 지나 제1캐패시터와 제2캐패시터에 병렬로 충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4. 여러 개의 셀이 배열된 배터리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Photo-MosSW)와;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 중 하나에 연결된 충전라인과;
    상기 각 셀에 2개씩 장착된 포토-모스 스위치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 방전라인과;
    상기 충전 및 방전라인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 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고,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전류제한회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류제한회로는 배터리 셀 중 SOC가 가장 높은 셀로부터 전류를 방전시키는 병렬회로와, 가장 낮은 셀에 전류를 충전시키는 직렬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회로는, 상기 방전라인에 연결된 저항, 일단이 상기 저항에 연결된 제1캐패시터, 제1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3스위치, 일단이 상기 제3스위치를 개재하여 상기 제1캐패시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캐패시터, 및 제2캐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충전라인 사이에 설치되는 제5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 제3 및 제5스위치의 온(On) 시에 상기 제1캐패시터와 제2캐패시터가 상기 충전라인에 직렬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KR1020060125605A 2006-12-11 2006-12-11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KR10086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605A KR100867803B1 (ko) 2006-12-11 2006-12-11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605A KR100867803B1 (ko) 2006-12-11 2006-12-11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713A KR20080053713A (ko) 2008-06-16
KR100867803B1 true KR100867803B1 (ko) 2008-11-10

Family

ID=39800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605A KR100867803B1 (ko) 2006-12-11 2006-12-11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331B2 (en) 2011-05-18 2017-01-0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7784A (zh) * 2010-03-17 2010-07-14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均衡充电装置及均衡充电方法
KR101222296B1 (ko) * 2011-02-10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충방전기 시스템
KR101246145B1 (ko) * 2011-02-22 2013-04-05 킴스테크날리지 주식회사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압균등화회로
US9444118B2 (en) 2011-05-26 2016-09-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579647B1 (ko) * 2013-07-04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WO2015156648A1 (ko) * 2014-04-11 2015-10-15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콘덴서 충전방식의 셀전압 측정회로를 이용한 능동형 셀 밸런싱 회로
KR101725158B1 (ko) * 2015-12-16 2017-04-1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셀 밸런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267A (ja) 1996-08-22 1998-03-06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267A (ja) 1996-08-22 1998-03-06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331B2 (en) 2011-05-18 2017-01-0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713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803B1 (ko) 조전지의 충전 균등화 회로 장치
KR102515549B1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PRA)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KR101558797B1 (ko) 주행거리 연장을 위한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772476B2 (ja) 電気自動車
US8754654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voltage detection lines
US8193761B1 (en) Hybrid power source
US9431180B2 (en) Energy storage arrangement
JP2013099002A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2003032908A (ja) キャパシタ組電池、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装置及び自動車用蓄電システム
WO2011102458A1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
WO2007122672A1 (ja) 電力貯蔵装置
KR101632005B1 (ko) 교류방식으로 연결된 셀 밸런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755043B2 (ja) 充放電可能な電源装置
JP2020127297A (ja) 車両電源システム
CN112039136A (zh) 车辆驱动装置
JP2006067683A (ja) 蓄電装置
CA2379915C (en) Power source system for driving vehicle
CN106080453A (zh) 电动汽车的电池切换系统
JP7396555B2 (ja) 車載用電源システム
WO2013161656A1 (ja)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4144009B2 (ja) 可変電圧型蓄電装置およびハイブリッド型電源装置
JP2004236384A (ja) 燃料電池車両用電源システム
US11218009B2 (en) Tool circuitry for series-type connected battery packs
WO2020250553A1 (ja) 高電圧電源
US20240123840A1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