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61B1 - Brick - Google Patents

Br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61B1
KR100867761B1 KR1020070050334A KR20070050334A KR100867761B1 KR 100867761 B1 KR100867761 B1 KR 100867761B1 KR 1020070050334 A KR1020070050334 A KR 1020070050334A KR 20070050334 A KR20070050334 A KR 20070050334A KR 100867761 B1 KR100867761 B1 KR 10086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groove
hole
see
brick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철
Original Assignee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가람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7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7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A brick is provided to make electric wiring possible and to prevent the edge of brick from being broken. A brick comprises a body(100), one or more penetration holes(110) formed in the body, one or more supporting part(120) which is formed along the body and is adjacent to one or more penetration holes, one or more boundary groove(130) which is formed between the set position and the body of one or more supporting part and sections the body and one or more supporting part. The supporting part supports the body normally and is separated from the body along the boundary groove in needed by an external force. The space which the supporting part made is connected to the penetration hole.

Description

벽돌{BRICK}Brick {BRICK}

도 1은 종래의 전기 배선용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rick for electrical wiring.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FIG. 2.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전선관 측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 to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for masonry brick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duit side.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bric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전선관 100: 몸체20: conduit 100: body

110: 제1 관통공 120: 제1 지지부110: first through hole 120: first support part

130: 제1 경계홈 140: 모서리130: first boundary groove 140: corner

121: 삽입 경로121: Insertion path

본 발명은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기 배선이 가능한 벽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ck capable of electrical wiring.

일반적으로, 벽돌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한다. 또한, 벽체를 튼튼하게 시공하기 위해 벽돌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놓이게 된다. 이렇게 벽돌을 지그재그 형태로 놓는 시공을 조적 공사라 한다.In general, brick is used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and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addition, the bricks are placed in a zigzag form to each other in order to construct a strong wall. This construction of laying bricks in a zigzag form is called masonry construction.

특히, 이러한 조적 공사는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용 전선관을 설치한 후 하게 되는데, 전선관과 벽돌이 만나는 지점에서 통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전선관의 수용 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벽돌을 쪼개어 쪼개진 부위에 전선관을 설치한다. 이 후, 후속작업으로 쪼개진 부위의 공간에 몰탈 사춤(콘크리트로 메우는 일)을 하게 된다. 또한, 쪼개진 벽돌들 사이의 결합력 향상을 위해 층과 층 사이에 철선을 넣어 상기 쪼개진 벽돌들을 연결하여 몰탈(콘크리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such masonry construction is generally perform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onduit for the electrical wiring, the conduit to install the conduit in the split portion of the brick so as to prevent the joint line at the point where the conduit and the brick meet, and to secure the receiving width of the conduit do. Subsequently, the mortar is filled in the space of the cleaved area by subsequent work.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divided bricks by inserting the wire between the layers can be fixed by mortar (concrete) by connecting the divided bricks.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벽돌을 이용한 조적 공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masonry construction using such a conventional brick ma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쪼개진 부위에 몰탈 사춤을 하더라도 전선관과 쪼개진 벽돌 사이에 결합력이 매우 약하여 벽체가 흔들리거나 전선관을 기준으로 양 옆의 벽체가 앞뒤로 뒤틀릴 수 있다. 또한, 쪼개진 벽돌들 사이에 몰탈 사춤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 인력 및 비용이 요구되므로, 작업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Even mortars in the split areas may have very weak coupling forces between the conduits and the split bricks, causing the walls to shake or the sides of the walls to twist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conduits. In addition, since the time,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to mortar the divided brick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은 전기 배선용 벽돌을 출원한 바 있으며, 이 출원은 2001년 2월 21일 출원(한국 출원번호: 20-2001-0004518)되고, 2001년 9월 28일 등록 공고(한국 공고번호: 2001-0234527-00-00)되었다. 특히, 이 전기 배선용 벽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10)을 쪼개지 않고도 전선관(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게 설계된 것으로서, 벽돌(10)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전선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11)이 형성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applicant has applied for an electric wiring brick, which is filed on February 21, 2001 (Korean Application No. 20-2001-0004518), and registered on September 28, 2001. (Korean Publication No. 2001-0234527-00-00). In particular, this electrical wiring brick, as shown in Figure 1, is designed to install a conduit (not shown) without breaking the brick 10, the conduit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central portion of the brick (10). The guide groove 11 is form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기 배선용 벽돌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electrical wiring brick ma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벽돌을 하역하거나 벽돌을 운반하거나 조적 공사를 하는 동안 벽돌 중 가이드 홈(11)이 형성된 부위의 모서리(12)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부러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부러질 경우 조적 공사 중 또는 후속 작업시 부러진 부위의 공간에 몰탈 사춤을 별도로 해야 하므로, 이에 요구되는 시간, 인력 및 비용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During unloading, transporting or masonry of the bricks, the edges 12 of the portions in which the guide grooves 11 are formed in the bricks can be easily broken by external impacts. As a result, when the broken so as to separate the mortar in the space of the broken portion during the masonry construction or subsequent work,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work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time, manpower and cost required for this.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배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서리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ck that can prevent not only the electrical wiring, but also the edges brok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에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에 각각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 나의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설정 부위와 상기 몸체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사이에 각각 경계를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평상시 상기 몸체를 지지하고, 필요시 외력에 의해 상기 경계홈을 따라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그 분리된 공간이 상기 관통공에 연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body along the body,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respectively in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And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boundary groove respectively formed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to define a boundary between the body and the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support portion usually supports the body, and if necessary,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body along the boundary groove by an external force, the separated spa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제1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계홈은 제1 경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제1 관통공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몸체의 끝단을 이루고, 그리고 상기 제1 경계홈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설정 부위와 상기 몸체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the at least one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and the at least one boundary groove includes a first boundary groove, and the first support part One end may be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may form an end of the body, and the first boundary groove may define a boundary between a set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body.

또한, 상기 제1 경계홈은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과, 상기 제1 지지부의 타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undary groove may include a first surface boundary groove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and a first surface boundary groove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have

일 예로써, 상기 제1 일면 경계홈은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몸체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그리고 상기 제1 타면 경계홈은 상기 몸체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and extends to the end of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first other side boundary groove is spaced from the end of the body. After it is extended to the first through hol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hrough hole.

다른 예로써, 상기 제1 일면 경계홈 및 상기 제1 타면 경계홈 각각은 상기 몸체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body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제1 일면 경계홈 및 상기 제1 타면 경계홈 각각은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몸체의 끝단까지 연장된 후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after extending to the end of the body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은 제2 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계홈은 제2 경계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관통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경계홈은 상기 제2 지지부의 설정 부위와 상기 몸체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the at least one support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part, and the at least one boundary groove further includes a second boundary groove.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second boundary groove may partition a boundary between a set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the body.

또한, 상기 제2 경계홈은 상기 제2 지지부의 일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과, 상기 제2 지지부의 타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undary groove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boundary groove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and a second surface boundary groove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body. have.

일 예로써, 상기 제2 일면 경계홈은 상기 제2 관통공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타면 경계홈은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2 관통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extends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first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other side boundary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al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may extend to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일면 경계홈 및 상기 제2 타면 경계홈 각각은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2 관통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second one surface boundary groove and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may be extende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second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일면 경계홈 및 상기 제2 타면 경계홈 각각은 상기 제2 관통공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과 연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second one surface boundary groove and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may exten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first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전선관 측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s 4 to 6 are for masonry the bri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duit sid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제1 관통공(110)과, 제1 지지부(120)와, 그리고 제1 경계홈(130)을 포함한다.Bri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body 100, the first through hole 110,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and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상기 몸체(100)는 조적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직육면체 형상하며, 점토로 만들거나 시멘트와 모래 등을 섞은 혼합물로 만들 수 있다.The body 100 is typic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 masonry, and may be made of clay or a mixture of cement and sand.

상기 제1 관통공(110)은 몸체(100)에 형성된다. 나아가, 몸체(100)에는 제1 관통공(110)과 동일 형상을 한 구멍(미도시)이 제1 관통공(110)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멍(미도시)은 몸체(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조적 공사 후, 상부의 벽돌 층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The first 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the body 100. In addition, a hole (not show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hrough hole 110 may be formed in the body 100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through hole 110. In particular, such a hole (not shown)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100, and also, after masonry, can distribute the load of the upper brick layer.

상기 제1 지지부(120)는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100)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지지부(120)의 일단은 제1 관통공(110)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지지부(120)의 타단은 몸체(100)의 끝단을 이룬다. 상기 제1 경계홈(130)은 제1 지지부(120)의 설정 부위와 몸체(100)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100)와 제1부 지지부(120)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킨다.The first support part 120 is formed in the body 10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100.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20 is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20 forms an end of the body 100.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is formed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and the body 100 to part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first portion support portion 12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계홈(130)은 제1 지지부(120)의 일면과 몸체(1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131)과, 제1 지지부(120)의 타면과 몸체(1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일면 경계홈(131)은 제1 관통공(1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몸체(10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타면 경계홈(132)은 몸체(100)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제1 관통공(110)까지 연장되어 제1 관통공(110)과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쪽에서 공통으로 이격시키지 않고, 이렇게 제1 일면 경계홈(131)은 제1 관통공(110)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고 제1 타면 경계홈(132)은 몸체(100)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제1 경계홈(130)을 형성시키는 과정 즉, 일예로써 커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칼집(제1 경계홈)을 내고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몸체(100)가 제1 경계홈(130)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includes a first surface boundary groove 13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and the body 100, and the other surface and body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It may include a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132 formed between the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1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0 to extend to the end of the body 10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a set interval at the end of the body 100 to extend to the first through hole 11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110. In particular, the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131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rst through hole 110 and the first other side boundary groove 132 is set at the end of the body 100 without being spaced in common in either side. When the space is spaced apart, the body 100 is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and cutting the sheath (first boundary groove) using a cutter (not shown) as an example. The phenomenon that occurs based on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can be reduced.

따라서, 운반중에는 제1 지지부(120)가 몸체(100)를 지지하게 되고, 벽돌을 전선관(20)측에 조적할 경우에는, 제1 지지부(120)가 외력에 의해 제1 경계홈(130)을 따라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그 분리된 공간(도 5의 "121" 참조)(이하 "삽입 경로"로 함)이 제1 관통공(110)과 연통되게 된다. 궁극적으로, 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제1 관통공(110)까지 삽입 경로(121)가 형성되며, 그 삽입 경로(121)로 전선관(20)이 삽입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support part 120 supports the body 100 during transportation, and when the brick is laid on the conduit 20 side, the first support part 120 is driven by the external force to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The space separated from the body 100 along the separated space (refer to "121" of Figure 5)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sertion path") i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110. Ultimately, an insertion path 121 is form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to the first through hole 110, and the conduit tube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th 121.

이하,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전선관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and 4 to 6, the process for masonry the bri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du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작업 장소로 벽돌을 하역하거나 벽돌을 운반하는 동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모서리(140)는 제1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부러지지 않고 원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First, while unloading bricks or transporting bricks to a work place, as shown in FIG. 2, the edge 140 of the body 10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120, so that it is not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and is not broken. Form will be maintained.

작업 장소로 벽돌이 운반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미장손과 같은 물체로 제1 지지부에 힘(외력)을 가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0)와 몸체(100) 사이에 제1 경계홈(130)(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120)가 제1 경계홈(130)을 따라 쉽게 분리된다.When the brick is transported to the work place, as shown in FIG. 4, when the operator applies a force (external force) to the first support with an object such as a plastering han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support 120 and Since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gap) is formed between the bodies 100, the first support part 120 is easily separated along the first boundary groove 130.

이후, 작업자가 몸체(100)에 형성된 삽입 경로(121)를 기설치된 전선관(20)에 위치시킨 후, 도면상 우측으로 몸체(100)를 이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10) 또는 삽입 경로(121) 내에 전선관(20)이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음 벽돌(A)을 그 위에 조적하게 된다.Then, after the operator places the insertion path 121 formed in the body 100 in the pre-installed conduit 20, and moves the body 100 to the righ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through hole The conduit 20 is located within the 110 or the insertion path 121. In this way, the next brick A is stacked on it.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벽돌을 하역하거나 벽돌을 운반하거나 조적 공사를 하더라도, 삽입 경로(121)에 제1 지지부(120)가 형성되어 모서리(140)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모서리(140)가 부러질 우려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 공정인 몰탈 사춤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unloading bricks, carrying bricks, or performing masonry construction, since the first support part 120 is formed on the insertion path 121 to support the corner 140, Otherwise, the edge 140 will not be broken. Therefore, it will not be necessary to perform mortar scavenging,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 와, 제1 관통공(210)과, 제1 지지부(220)와, 그리고 제1 경계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제1 경계홈(23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1 경계홈(2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Bri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body 200, the first through hole 210, the first support portion 220, and the first boundary groove 230 ) May be included. In particular, since the bri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first boundary groove 23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first boundary groove 230.

상기 제1 경계홈(230)은 제1 지지부(220)의 일면과 몸체(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231)과, 그리고 제1 지지부(220)의 타면과 몸체(2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일면 경계홈(231) 및 상기 제1 타면 경계홈(232) 각각은 몸체(200)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제1 관통공(210)까지 연장되어 제1 관통공(210)과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쪽에서 공통으로 이격될 경우 즉, 제1 일면 경계홈(231) 및 제2 타면 경계홈(232) 각각이 몸체(100)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The first boundary groove 23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boundary groove 23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0 and the body 200, and the other surface and body 200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20. It may include a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232 formed therebetween.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231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232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ody 2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exte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210 to be the first through hole. And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210. Particularly, when one side is commonly spaced apart, that is, when each of the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231 and the second other side boundary groove 232 has a configuration of spaced apart from the set interval at the end of the body 100,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would have the advantage of simplicity.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벽돌을 전선관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 brick to the condu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0)와, 제1 관통공(310)과, 제1 지지부(320)와, 그리고 제1 경계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제1 경계홈(33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1 경계홈(330)을 중심으로 설명 한다.As shown in FIG. 8, the bri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300, a first through hole 310, a first support part 320, and a first boundary groove 330. ) May be included. In particular, since the bri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first boundary groove 330,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first boundary groove 330.

상기 제1 경계홈(330)은 제1 지지부(320)의 일면과 몸체(3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331)과, 그리고 제1 지지부(320)의 타면과 몸체(3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3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일면 경계홈(331) 및 상기 제1 타면 경계홈(332) 각각은 제1 관통공(3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몸체(300)의 끝단까지 연장된 후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쪽에서 공통으로 이격될 경우 즉, 제1 일면 경계홈(331) 및 제1 타면 경계홈(332) 각각이 제1 관통공(310)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더불어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The first boundary groove 330 is a first one-sided boundary groove 33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20 and the body 300, and the other surface and the body 300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320 It may include a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332 formed therebetween. 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331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332 extends to the end of the body 300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3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Can be. Particularly, when one side is commonly spaced apart, that is, when each of the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331 and the first other side boundary groove 332 has a configuration of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3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simplified.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벽돌을 전선관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 brick to the condu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00)와, 제1 및 제2 관통공(410)(510)과, 제1 및 제2 지지부(420)(520)와, 그리고 제1 및 제2 경계홈(430)(5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bric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400,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410 and 510,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420. 520 and first and second boundary grooves 430 and 530.

상기 몸체(400)는 조적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직육면체 형상하며, 점토로 만들거나 시멘트와 모래 등을 섞은 혼합물로 만들 수 있다.The body 400 is gener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 masonry, and may be made of clay or a mixture of cement and sand.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410)(510)은 몸체(400)에 형성되되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도면상 우측에서부터 몸체(400)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나아가, 몸체(400) 에는 제1 및 제2 관통공(410)(510)과 동일 형상을 한 구멍(미도시)이 형성되되, 제1 및 제2 관통공(410)(510)과 동일 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멍(미도시)은 몸체(4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조적 후, 상부의 벽돌 층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410 and 510 are formed in the body 400, and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body 400 from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Furthermore, a hole (not shown)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410 and 510 is formed in the body 400, and collinear wit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410 and 510. Can be formed on. In particular, this hole (not shown)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400, and also, after masonry, can distribute the load of the upper brick layer.

상기 제1 지지부(420)는 몸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400)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부(420)의 일단은 제1 관통공(410)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지지부(420)의 타단은 몸체(400)의 끝단을 이룬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경계홈(430)은 제1 지지부(420)의 설정 부위와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400)와 제1 지지부(420)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킨다. 특히, 제1 경계홈(430)은 제1 일면 경계홈(431)과 제1 타면 경계홈(432)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 일면 경계홈(431)과 제1 타면 경계홈(432)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support part 420 is formed in the body 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400,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420 is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410 and the first support part ( The other end of 420 forms an end of the body 400. In addition, the first boundary groove 430 is formed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420 and the body 400 to part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400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420. In particular, the first boundary groove 430 includes a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431 and a first other side boundary groove 432, and the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431 and the first other side boundary groove 432 I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상기 제2 지지부(520)는 몸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400)에 형성되되 제1 관통공(410)과 제2 관통공(510)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 경계홈(530)은 제2 지지부(520)의 설정 부위와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어 몸체(400)와 제2 지지부(520)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킨다.The second support part 520 is formed in the body 400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400, an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4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10. In addition, the second boundary groove 530 is formed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0 and the body 400 to parti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40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0.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경계홈(530)은 제2 지지부(520)의 일면과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531)과, 그리고 제2 지지부(530)의 타면과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53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일면 경계홈(531)은 제2 관통공(5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제1 관통공(410)까지 연장되어 제1 관통공(410)과 연통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타면 경계홈(532)은 제1 관통공(4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제2 관통공(510)까지 연장되어 제2 관통공(510)과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쪽에서 공통으로 이격시키지 않고, 이렇게 제2 일면 경계홈(531)은 제2 관통공(510)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고 제2 타면 경계홈(532)은 제1 관통공(410)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제2 경계홈(530)을 형성시키는 과정 즉, 일예로써 커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칼집(제2 경계홈)을 내고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몸체(400)가 제2 경계홈(530)을 기준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In detail, the second boundary groove 530 includes a second one-side boundary groove 53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0 and the body 400, and the other surface and body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30. It may include a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532 formed between the (4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one-sided boundary groove 531 exte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410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5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hrough hole 410.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5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4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extend to the second through hole 510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510. Particularly, the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531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510 and the second other side boundary groove 532 is not separated from one side in common. If the configuration has a configuration spaced apart, the body 40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boundary groove 530,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and cutting the sheath (second boundary groove) using a cutter (not shown) as an example The phenomenon that occurs based on the second boundary groove 530 may be reduced.

따라서, 운반 중에는 제1 및 제2 지지부(420)(520)가 몸체(400)를 지지하게 되고, 벽돌을 전선관(도 6의 "20" 참조)측에 조적할 경우에는 제1 및 제2 지지부(420)(520)가 외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1 및 제2 경계홈(430)(530)을 따라 몸체(400)로부터 분리되어 그 분리된 공간(이하 "삽입 경로"로 함)이 제1 관통공(410) 및 제2 관통공(510)과 연통된다. 궁극적으로, 몸체(400)의 측면으로부터 제1 관통공(410)까지 삽입 경로(도 6의 "121" 참조)가 형성되며, 그 삽입 경로(도 6의 "121" 참조)로 전전관(도 6의 "20" 참조)이 삽입되게 된다. 한편, 전선관의 수 또는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제2 지지부(520)는 그대로 유지하고 제1 지지부(420)만을 몸체(400)에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420 and 520 support the body 400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when the brick is laid on the side of the conduit (see “20” in FIG. 6). 420 and 520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body 400 along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grooves 430 and 530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separated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sertion path") is first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4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10. Ultimately, an insertion path (see "121" in FIG. 6) is formed from the side of the body 400 to the first through hole 410, and the electric conduit (see "121" in FIG. 6) is formed. 6, see "20".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r size of the conduit is small, the second support 520 may be maintained as it is, only the first support 420 may be used separately from the body 400.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전선관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은 관통공, 지지부 및 경계홈의 수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 brick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duit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number of through-holes, supports and boundary grooves, so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bri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00)와, 제1 및 제2 관통공(610)(710)과, 제1 및 제2 지지부(620)(720)와, 그리고 제1 및 제2 경계홈(630)(7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제2 경계홈(73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2 경계홈(7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0, the bric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600,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610 and 710,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620. 720, and first and second boundary grooves 630 and 730. In particular, since the brick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econd boundary groove 730, the second boundary groove 73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2 경계홈(730)은 제2 지지부(720)의 일면과 몸체(6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731)과, 그리고 제2 지지부(720)의 타면과 몸체(6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7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일면 경계홈(731) 및 상기 제2 타면 경계홈(732) 각각은 제1 관통공(6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제2 관통공(710)까지 연장되어 제2 관통공(710)과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쪽에서 공통으로 이격될 경우 즉, 제2 일면 경계홈(731) 및 제2 타면 경계홈(732) 각각이 제1 관통공(610)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The second boundary groove 730 includes a second one-side boundary groove 73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720 and the body 600, and the other surface and the body 600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720. It may include a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732 formed between. In detail, each of the second one surface boundary groove 731 and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732 extends to the second through hole 710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6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710. Particularly, when one side is commonly spaced apart, that is, when each of the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731 and the second other side boundary groove 732 has a configuration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irst through hole 610, the manufacture The process would be simpler.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다른 벽돌을 전선관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 brick to the condu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bric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of a bric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800) 와, 제1 및 제2 관통공(810)(910)과, 제1 및 제2 지지부(820)(920)와, 그리고 제1 및 제2 경계홈(830)(9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제2 경계홈(93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2 경계홈(9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1, the brick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800,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810 and 910,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820. 920 and first and second boundary grooves 830 and 930. In particular, since the brick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econd boundary groove 93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second boundary groove 930.

상기 제2 경계홈(930)은 제2 지지부(920)의 일면과 몸체(8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931)과, 그리고 제2 지지부(920)의 타면과 몸체(8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9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일면 경계홈(931) 및 상기 제2 타면 경계홈(932) 각각은 제2 관통공(9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제1 관통공(810)까지 연장되어 제1 관통공(810)과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어느 한쪽에서 공통으로 이격될 경우 즉, 제2 일면 경계홈(931) 및 제2 타면 경계홈(932) 각각이 제2 관통공(910)에서 설정 간격 이격시키는 구성을 가지게 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와 더불어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The second boundary groove 930 may include a second one-side boundary groove 93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920 and the body 800, and the other surface and body 800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920. It may include a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932 formed between. Specifically, each of the second one surface boundary groove 931 and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932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9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exte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810 to allow the first through.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810. Particularly, when one side is commonly spaced apart, that is, when each of the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931 and the second other side boundary groove 932 has a configuration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econd through hole 910, In addition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simplified.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다른 벽돌을 전선관에 조적하기 위한 과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 brick to the condu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전선관(도 6의 "20" 참조)을 삽입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전기배선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창문의 상부에 설치하는 인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인방으로 사용할 경우 제1 관통공 또는 삽입 경로(도 6의 "121" 참조)에는 철근이 삽입되어 창문의 상부를 지지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제 2, 제3, 제4,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봉 또는 관 타입의 외부 물체가 설치된 곳에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The bricks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onduit (see "20" in FIG. 6) can be inserted. It can be used for wiring or as a lining to be installed on top of a window. In particular, when used as a lining, a reinforcing bar will b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or insertion path (see “121” in FIG. 6) to support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In addition, the brick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where a rod or tube type external object is install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돌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i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적 공사 후 후속공정으로 몰탈 사춤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몰탈 사춤에 따른 시간, 인력 및 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mortar sintering in a subsequent process after the masonry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save time, manpower, cost and the like according to mortar swelling. Ultimately,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장과 같은 습식 공법보다 석고 보드와 같은 건식 공법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후속 공정으로 몰탈 사춤을 하지 않음에 따라, 건식 마감재를 곧바로 벽면에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trend that a dry method such as gypsum board is used more than a wet method such as plastering, as described above do not mortar sintering in the subsequent process, dry finish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immediate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Claims (9)

삭제delete 몸체(도 9의 "400" 참조)와,Body (see "400" in FIG. 9), 상기 몸체(40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도 9의 "410" 또는 "510" 참조)과,At least one through hole (see “410” or “510” in FIG. 9) formed in the body 400, and 상기 몸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400)에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410 또는 510)에 각각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도 9의 "420" 또는 "520" 참조)와, 그리고At least one support part ("420" or "520" of FIG. 9) formed in the body 4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400 and formed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410 or 510, respectively.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20 또는 520)의 설정 부위와 상기 몸체(4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400)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20 또는 520) 사이에 각각 경계를 구획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홈 세트(도 9의 "430" 또는 "530" 참조)를 포함하고, 그리고At least on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420 or 520 and the body 400 to define a boundary between the body 400 and the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420 or 520, respectively. A boundary groove set (see "430" or "530" in FIG. 9), and 상기 지지부(420)는 평상시 상기 몸체(400)를 지지하고, 필요시 외력에 의해 상기 경계홈 세트(430)를 따라 상기 몸체(400)로부터 분리되어 그 분리된 공간이 상기 관통공(410)과 연통되고, 그리고The support part 420 normally supports the body 400 and, if necessary, is separated from the body 400 along the boundary groove set 430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separated space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410. In communication,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410 또는 510)은 제1 관통공(410)을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410 or 510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4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20 또는 520)는 제1 지지부(420)를 포함하고, The at least one support 420 or 520 includes a first support 4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계홈 세트(430 또는 530)는 제1 경계홈 세트(430)를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boundary groove set 430 or 530 includes a first boundary groove set 430, 상기 제1 지지부(420)의 일단은 상기 제1 관통공(410)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지지부(420)의 타단은 상기 몸체(400)의 끝단을 이루고,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420 is adjacent to the first through hole 4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420 forms an end of the body 400. 상기 제1 경계홈 세트(430)는 상기 제1 지지부(420)의 설정 부위와 상기 몸체(400)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키고, 그리고The first boundary groove set 430 partitions a boundary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420 and the body 400,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410 또는 510)은 제2 관통공(510)을 더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through hole 410 or 510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5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20 또는 520)는 제2 지지부(520)를 더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support 420 or 520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5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계홈 세트(430 또는 530)는 제2 경계홈 세트(530)를 더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boundary groove set 430 or 530 further includes a second boundary groove set 530. 상기 제2 지지부(520)는 상기 제1 관통공(410)과 상기 제2 관통공(510) 사이에 형성되고, 그리고The second support part 5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hrough hole 4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10, and 상기 제2 경계홈 세트(530)는 상기 제2 지지부(520)의 설정 부위와 상기 몸체(400) 사이에 경계를 구획시키는 벽돌.The second boundary groove set (530) is a brick for partitioning the boundary between the set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520) and the body (400).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제1 경계홈 세트(430)는The first boundary groove set 430 is 상기 제1 지지부(420)의 일면과 상기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도 9의 "431" 참조)과,A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see “431” in FIG. 9)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420 and the body 400, and 상기 제1 지지부(420)의 타면과 상기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도 9의 "432" 참조)을 포함하고,A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see “432” in FIG. 9)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420 and the body 400, 상기 제1 일면 경계홈(431)은 상기 제1 관통공(4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몸체(40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그리고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43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4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xtends to the end of the body 40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상기 제1 타면 경계홈(432)은 상기 몸체(400)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41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410)과 연통되는 벽돌.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432 exte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410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ody 4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410.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제1 경계홈 세트(도 10의 "630" 참조)는The first boundary groove set (see "630" in FIG. 10) is 상기 제1 지지부(도 10의 "620" 참조)의 일면과 상기 몸체(도 10의 "600" 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도 10의 "631" 참조)과,A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see “631” in FIG. 10)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see “620” in FIG. 10) and the body (see “600” in FIG. 10), 상기 제1 지지부(620)의 타면과 상기 몸체(6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도 10의 "632" 참조)을 포함하고, 그리고A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see “632” in FIG. 10)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620 and the body 600, and 상기 제1 일면 경계홈(631) 및 상기 제1 타면 경계홈(632)은 상기 몸체(600)의 끝단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도 10의 "610" 참조)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610)과 연통되는 벽돌.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631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632 are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ody 6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xtend to the first through hole (see “610” in FIG. 10). Brick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hrough hole (610).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제1 경계홈 세트(도 11의 "830" 참조)는The first boundary groove set (see "830" in FIG. 11) is 상기 제1 지지부(도 11의 "820" 참조)의 일면과 상기 몸체(도 11의 "800" 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일면 경계홈(도 11의 "831" 참조)과,A first one side boundary groove (see “831” in FIG. 1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see “820” in FIG. 11) and the body (see “800” in FIG. 11); 상기 제1 지지부(820)의 타면과 상기 몸체(80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타면 경계홈(도 11의 "832" 참조)을 포함하고, 그리고A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see “832” in FIG. 11)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820 and the body 800, and 상기 제1 일면 경계홈(831) 및 상기 제1 타면 경계홈(832)은 상기 제1 관통공(도 11의 "810" 참조)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몸체(800)의 끝단까지 연장된 후 외부와 연통되는 벽돌.The first one surface boundary groove 831 and the first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832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see “810” in FIG. 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xtend to the end of the body 800. After the brick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삭제delete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상기 제2 경계홈 세트(도 9의 "530" 참조)는The second boundary groove set (see "530" in FIG. 9) is 상기 제2 지지부(도 9의 "520" 참조)의 일면과 상기 몸체(도 9의 "400" 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도 9의 "531" 참조)과,A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see “531” in FIG. 9) form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see “520” in FIG. 9) and the body (see “400” in FIG. 9), 상기 제2 지지부(520)의 타면과 상기 몸체(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도 9의 "532" 참조)을 포함하고,A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see “532” in FIG. 9)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520 and the body 400, 상기 제2 일면 경계홈(531)은 상기 제2 관통공(도 9의 "510" 참조)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도 9의 "410" 참조)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410)과 연통되고, 그리고The second one-sided boundary groove 531 extends to the first through hole (see “410” in FIG. 9)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see “510” in FIG. 9)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410, and 상기 제2 타면 경계홈(532)은 상기 제1 관통공(410)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2 관통공(510)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관통공(510)과 연통되는 벽돌.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532 extends to the second through hole 510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4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510.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상기 제2 경계홈 세트(도 10의 "730" 참조)는The second boundary groove set (see "730" in FIG. 10) is 상기 제2 지지부(도 10의 "720" 참조)의 일면과 상기 몸체(도 10의 "600" 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도 10의 "731" 참조)과,A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see “731” in FIG. 10)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see “720” in FIG. 10) and the body (see “600” in FIG. 10); 상기 제2 지지부(720)의 타면과 상기 몸체(6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도 10의 "732" 참조)을 포함하고, 그리고A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see “732” in FIG. 10)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720 and the body 600, and 상기 제2 일면 경계홈(731) 및 상기 제2 타면 경계홈(732)은 상기 제1 관통공(도 10의 "610" 참조)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2 관통공(도 10의 "710" 참조)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관통공(710)과 연통되는 벽돌.The second one surface boundary groove 731 and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732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hrough hole (see “610” in FIG. 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the second through hole (“FIG. 10”). 710 ")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710).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상기 제2 경계홈 세트(도 11의 "930" 참조)는The second boundary groove set (see “930” in FIG. 11) is 상기 제2 지지부(도 11의 "920" 참조)의 일면과 상기 몸체(도 11의 "800" 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일면 경계홈(도 11의 "931" 참조)과,A second one side boundary groove (see “931” in FIG. 11)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see “920” in FIG. 11) and the body (see “800” in FIG. 11); 상기 제2 지지부(920)의 타면과 상기 몸체(8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타면 경계홈(도 11의 "932" 참조)을 포함하고, 그리고A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see “932” in FIG. 11)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920 and the body 800, and 상기 제2 일면 경계홈(931) 및 상기 제2 타면 경계홈(932)은 상기 제2 관통공(도 11의 "910" 참조)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후 상기 제1 관통공(도 11의 "810" 참조)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관통공(810)과 연통되는 벽돌.The second one surface boundary groove 931 and the second other surface boundary groove 932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see "910" in FIG. 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the first through hole (" 810 ") to communicate with said first through hole (810).
KR1020070050334A 2007-05-23 2007-05-23 Brick KR100867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4A KR100867761B1 (en) 2007-05-23 2007-05-23 Br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334A KR100867761B1 (en) 2007-05-23 2007-05-23 Br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761B1 true KR100867761B1 (en) 2008-11-10

Family

ID=4028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334A KR100867761B1 (en) 2007-05-23 2007-05-23 Br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76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71A (en) * 2010-12-15 2011-05-25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Building waste residue sintering-free embedded pipeline groove brick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2343242A (en) * 2020-12-03 2021-02-09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Pipe wrapping device for wrapping electromechanical wire pipes by using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pe wrapping device
KR102355685B1 (en) 2021-03-24 2022-02-08 재현건설산업(주) Heating-type prefabricated blocks using lights and oc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305A (en) 1974-07-10 1976-01-23 Sachihiro Matsumoto
JPS52152524U (en) * 1976-05-15 1977-11-18
KR200234527Y1 (en) 2001-02-21 2001-09-28 한가람건설주식회사 Brick for electric wir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305A (en) 1974-07-10 1976-01-23 Sachihiro Matsumoto
JPS52152524U (en) * 1976-05-15 1977-11-18
KR200234527Y1 (en) 2001-02-21 2001-09-28 한가람건설주식회사 Brick for electric wir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771A (en) * 2010-12-15 2011-05-25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Building waste residue sintering-free embedded pipeline groove brick and using method thereof
CN102071771B (en) * 2010-12-15 2012-10-31 成都市第四建筑工程公司 Building waste residue sintering-free embedded pipeline groove brick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2343242A (en) * 2020-12-03 2021-02-09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Pipe wrapping device for wrapping electromechanical wire pipes by using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pe wrapping device
KR102355685B1 (en) 2021-03-24 2022-02-08 재현건설산업(주) Heating-type prefabricated blocks using lights and oc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102A (en) Molded brick module
US20110258957A1 (en) Masonry unit for constructing a multi-wythe wall
CN103711236A (en) Assembly type wallboard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101740919B1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all
KR102171006B1 (en) Modular element in sintered expanded-polystyrene for building reinforced-concrete floors
KR100867761B1 (en) Brick
US5826395A (en) Concrete block with offset ledge and installation guide means
KR20170102729A (en) Multi precast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60060392A (en) Block for constructing wall and construction wall thereof
RU2651858C2 (en) Construction element (options)
KR100835338B1 (en) A concrete block
KR20070084171A (en) Heat insulating panel concurrently served in form and form for construction using the same
KR100687133B1 (en) I-slab using slim precast composite slab deck
KR200234527Y1 (en) Brick for electric wiring
US5881512A (en) Precasted wall/column module
CN110670779A (en) Assembled building floor
KR100255380B1 (en) Wall structure to a decoration brick of a concrete revetment
CN114658142B (en) Ceramsite concrete wallboard moun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56568B1 (en) Method of Constructing Wall
KR102606698B1 (en) Precast concrete void slab,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void forming structure for the same
KR102177790B1 (en) Prefab Brick Assembly for Construction
ITTO20080430A1 (en) PREFABRICATED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WALLS AND COUNTERPARTS, PARTICULARLY IN SIMPLE OR ARMORED CEMENTITIOUS CONGLOMERATE
SG184953A1 (en) Concrete hollow modules and a wall or room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17782464U (en) Box mounting structure on wall body
CN210659241U (en) Concrete formwork of preset wire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