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357B1 - 가로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로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357B1
KR100867357B1 KR1020070091643A KR20070091643A KR100867357B1 KR 100867357 B1 KR100867357 B1 KR 100867357B1 KR 1020070091643 A KR1020070091643 A KR 1020070091643A KR 20070091643 A KR20070091643 A KR 20070091643A KR 100867357 B1 KR100867357 B1 KR 10086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ght
constant
constant light
str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일
Original Assignee
양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일 filed Critical 양승일
Priority to KR1020070091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시에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격등이 소등된 상태에서도 간단 신속하게 격등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로등의 점등 및 소등상태를 사용자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 제어장치(10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적산전력량계(110)와, 주배선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로등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전류 전체를 차단하는 메인차단기(120)와, 누설전류의 발생시 감전보호를 위해 전류를 일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30)와, 가로등의 원격제어를 위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가로등 전원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점멸기(140)와, 점멸기(14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동작하는 상시등스위치(151) 및 격등스위치(152)와,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에 연결되는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과, 상기 격등스위치(152)에 연결되는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과, 상기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 및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에 연동하여 메인차단기(120)에서 누전차단기(130)로의 전원공급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 및 격등마그넷스위치(MS2, MS4)와, 수동으로 상시등을 점등하는 상시등절환스위치(153)와, 수동으로 격등을 절환하는 격등절환스위치(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등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멸기(140)는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기초로 상시등 또는 격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와 격등릴레이구동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상시등릴레이(Ra) 및 상기 격등스위치(152)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격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격등릴레이(R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장시에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91643
가로등, 가로등제어기, 격등, 상시등, 점멸기, 릴레이, 격등스위치

Description

가로등 제어장치{A Control Device for Street Lamp}
본 발명은 가로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장시에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점멸기가 2가지의 동작모드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한 동작모드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동작모드에 의해서 가로등의 전원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격등이 소등된 상태에서도 간단 신속하게 격등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가로등의 점등 및 소등상태를 사용자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가로등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가로등 제어장치(10)는 가로등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통제소에서 신호를 보내면 각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 제어장치(10) 내부의 점멸기(15)가 그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회로를 작동시켜서 가로등 선로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로등(L1, L2, L3, L4)이 점등되도록 한다.
그리고,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가로등은, 예컨대 일몰에서 일출 시까지 점등되록 하는 상시등(L1, L3)과 일몰시 점등하여 차량이나 사람의 통행이 적은 심야시간에는 소등되는 격등(L2, L4)으로 구분되어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10)의 회로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 제어장치(10)는 1상 2선식(1φ2W)의 주배선에 연계되는 구성으로, 전력량을 검출하는 적산전력량계(WHM; Watt Hour Meter)(11)와, 주배선의 과전류 차단용 메인차단기(12)(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와, 가로등의 상시 또는 격등의 분리를 위한 마그넷스위치(MGS;Magnetic Switch)(13)와, 누설전류의 발생시 감전보호를 위해 전기를 일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ELB; Earth Leakage Breaker)(14)와, 가로등의 원격제어를 위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마그넷스위치(13)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점멸기(15)로 구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시등(L1, L3)과 격등(L2, L4)을 수동으로 점등하기 위한 수동절환스위치(미도시)가 점멸기(15)와 마스넷스위치(13) 사이에 연결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어느 하나의 구성부품이 고장나는 경우 그 구성부품만을 교체하여 가로등 제어장치를 유지 보수할 수 없고 가로등 제어장치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유지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가로등 제어장치에 구비된 점멸기는 하나의 스위칭제어신호만 을 출력하므로, 점멸기가 고장나거나 점멸기와 연결된 회로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가로등 제어장치(10) 전체를 사용할 수 없어서 가로등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가로등 제어장치(10)가 제어하는 가로등의 점등 또는 소등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서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시등(L1, L3)은 점등되어 있고 격등(L2, L4)은 소등되어 있는 격등모드에서 갑자기 주변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소등된 격등을 점등하고자 하는 경우, 상시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격등을 점등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가로등의 주변 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목적은, 점멸기에 대하여 접점출력모드와 전원출력모드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동작모드에 의해서 가로등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어서 비상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다른 목적은, 심야격등스위치의 구성에 의해서 격등이 소등된 상태라도, 간단 신속하게 격등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심야격등스위치를 상시 등스위치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하더라도 상시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에 연동하는 제1보조스위치와 격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에 연동하는 제2보조스위치의 구성에 의하여 상시등 또는 격등만을 점등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각 회로소자를 하나의 콘트롤박스에 실장함으로써, 고장시에 콘트롤박스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 제어장치가 제어하는 가로등의 점등 또는 소등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가로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가로등 제어장치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적산전력량계와, 주배선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로등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전류 전체를 차단하는 메인차단기와, 누설전류의 발생시 감전보호를 위해 전류를 일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와, 가로등의 원격제어를 위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가로등 전원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점멸기와, 점멸기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동작하는 상시등스위치 및 격등스위치와, 상기 상시등스위치에 연결되는 상시등마그네틱코일과, 상기 격등스위치에 연결되는 격등마그네틱코일과, 상기 상시등마그네틱코일 및 격등마그네틱코일에 연동하여 메인차단기에서 누전차단기로의 전원공급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상시등마그넷스위치 및 격등마그넷스위치와, 수동으로 상시등을 점등하는 상시등절환스위치와, 수동으로 격등을 절환하는 격등절환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등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멸기는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기초로 상시등 또는 격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와 격등릴레이구동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상시등스위치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상시등릴레이 및 상기 격등스위치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격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격등릴레이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상기 상시등스위치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서, 상기 격등스위치가 오프된 경우라도 상시등스위치가 온 되어 있는 경우 격등을 점등시키기 위한 심야격등스위치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상기 심야격등스위치에 직렬접속되어서 상기 상시등절환스위치에 연동되되, 상기 상시등절환스위치가 수동으로 절환된 경우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심야격등스위치를 통한 격등의 점등을 차단하는 제1보조스위치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상기 심야격등스위치와 제1보조스위치에 직렬접속되어서 상기 격등절환스위치에 연동되되, 상기 격등절환스위치가 수동으로 절환된 경우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제1보조스위치를 통한 상시등의 점등을 차단하는 제2보조스위치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상기 누전차단기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서 상시등 또는 격등의 점등 상태를 표시하는 점등상태표시등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상기 상시등스위치, 격등스위치, 상시등절환스위치, 격등절환스위치, 상시등릴레이, 격등릴레이, 심야격등스위치, 제1보조스위치, 제2보조스위치 및 점등상태표시등은 컨트롤박스에 실장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와 점멸기, 컨트롤박스와 마그네틱코일, 컨트롤박스와 메인차단기는 컨넥터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점멸기에 대하여 접점출력모드와 전원출력모드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동작모드에 의해서 가로등 전원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비상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심야격등스위치의 구성에 의해서 격등이 소등된 상태라도 현재 차량 및 보행자 통행 상태등 주변 상황에 따라서 별도의 점멸기 타이머의 설정 등 복잡한 설정이 없이도 심야격등스위치의 온 구동만으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격등을 점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심야격등스위치를 상시등스위치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하더라도, 상시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에 연동하는 제1보조스위치와 격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에 연동하는 제2보조스위치의 구성에 의하여, 상시등 또는 격등만을 점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각 회로소자를 하나의 콘트롤박스에 실장함으로써, 고장시에 콘트롤박스만을 교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100)가 제어하는 가로등은 예컨대, 상시등(L1, L3) 2개와 격등(L2, L4) 2개이고, 상시등은 예컨대 일몰부터 일출까지 계속 점등되는 가로등이고, 격등(L2, L4)은 보행자와 차량의 통행이 뜸한 자정부터 일출시까지 점등되는 가로등이다.
'격등모드'란 상시등은 점등되고 격등은 소등되도록 가로등 제어장치(100)가 제어하는 동작모드를 의미하고, '상시등모드'란 상시등과 격등이 모두 점등되도록 가로등 제어장치가 제어하는 동작모드를 의미하며, 이는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100)는, 적산전력량계(110)와, 메인차단기(120)와, 누전차단기(130)와,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이 구비된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와,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이 구비된 격등마그넷스위치(MS2, MS4)와, 점멸기(140)와, 콘트롤박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산전력량계(110)는 가로등 제어장치(10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메인차단기(120)는 주배선에 과전류가 흐를 때에 전류를 차단하고, 누전차단기(130)는 누설전류의 발생시 감전보호를 위해 전기를 일시 차단하는 구성임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고, 도면 부호 (122)는 과전류시에 점멸기(140)와 콘트롤박스(15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보조메인스위치이다.
상기 콘트롤박스(150)에는, 수동으로 상시등을 점등하는 상시등절환스위치(153)와, 수동으로 격등을 절환하는 격등절환스위치(154)와, 점멸기(140)로부터 출력되는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동작하는 상시등스위치(151)와, 점멸기(140)로부터 출력되는 격등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동작하는 격등스위치(152)와,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상시등릴레이(Ra)와, 상기 격등스위치(152)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격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격등릴레이(Rb)와,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152)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서 상기 격등스위치(152)가 오프된 경우라도 상시등스위치(151)가 온되어 있는 경우 격등(L2, L4)을 점등시키기 위한 심야격등스위치(155)와,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에 직렬접속되어서 상기 상시등절환스위치(153)에 연동되되 상기 상시등절환스위치(153)가 수동으로 절환된 경우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를 통한 격등의 점등을 차단하는 제1보조스위치(156)와,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와 제1보조스위치(156)에 직렬접속되어서 상기 격등절환스위치(154)에 연동되되 상기 격등절환스위치(154)가 수동으로 절환된 경우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제1보조스위치(156)를 통한 상시등의 점등을 차단하는 제2보조스위치(157)와, 상기 누전차단기(130)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서 상시등(L1, L3) 또는 격등(L2, L4)의 점등 상태를 표시하는 점등상태표시등(D1, D2, D3, D4)으로 구성된다.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수동스위치(153b)를 사용자가 온 하면,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자동스위치(153a)가 오프 되고, 제1보조스위치(156)가 오프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수동스위치(154b)를 사용자가 온 하면,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자동스위치(154a)가 오프 되고 제2보조스위치(157)가 오프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TB1)과 (TB2)는 터미널단자블록이다.
제1터미널단자블록(TB1)에 있어서, 5번 6번 단자는 상시등릴레이(Ra)에 연결되고, 7번 8번 단자는 격등릴레이(Rb)에 연결되며, 10번 11번 단자는 상시등스위치(151)에 연결되고, 12번 13번 단자는 격등스위치(152)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터미널단자블록(TB2)에 있어서, 상시등스위치(151)의 출력단은 '노드1'을 통하여 제2터미널단자블록(TB2)의 1번 및 3번 단자에 연결되고, 격등스위 치(152)의 출력단은 '노드2'를 통하여 제2터미널단자블록(TB2)의 2번 및 4번 단자에 연결되며,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은 제2터미널단자블록(TB2)의 1번 및 3번 단자에 연결되며,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은 제2터미널단자블록(TB2)의 2번 및 4번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과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은 각각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와 격등마그네넷스위치(MS2, MS4)의 구성요소임은 물론이다.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의 구성에 의해서 격등(L2, L4)이 소등된 상태라도, 현재 도로 및 가로등 주변 상황에 따라서 별도의 점멸기 타이머의 설정 등 복잡한 설정 변경이 없이도 심야격등스위치(155)의 온 구동만으로 간단 신속하게 격등(L2, L4)을 점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심야격등스위치(155)를 상시등스위치(151)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152)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하더라도,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수동스위치(153b)에 연동하는 제1보조스위치(156)와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수동스위치(154b)에 연동하는 제2보조스위치(157)의 구성에 의하여, 상시등 또는 격등만을 점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점등상태표시등(D1, D2, D3, D4)의 구성에 의해서 가로등 제어장치(100)의 전원제어를 받는 가로등(L1, L2, L3, L4)의 현재 점등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은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에 연결되고, 상기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는 상시등스위치(151)가 온 구동되어서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메인차단기(120)에서 누전차단기(130)로의 전원공급을 인가 또는 차단한다.
상기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은 상기 격등스위치(152)에 연결되고, 상기 격등마그넷스위치(MS2, MS4)는 온 구동되어서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메인차단기(120)에서 누전차단기(130)로의 전원공급을 인가 또는 차단한다.
상기 점멸기(140)는 가로등의 원격제어를 위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상시등스위치(151) 및 격등스위치(152)로 각각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와 격등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상시등릴레이(Ra) 및 격등릴레이(Rb)로 각각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와 격등릴레이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는 예컨대 220(V)의 전원 출력이고, 격등릴레이구동신호는 예컨대 220(V)의 전원 출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시등릴레이(Ra)와 격등릴레이(Rb)는 극성이 바뀌어서 점멸기에 접속되더라도 구동이 되기 때문에, 극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서 접속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점멸기(140)가 상시등스위치(151) 및 격등스위치(152)로 각각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와 격등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접점출력모드'라고 하고, 점멸기(140)가 상시등릴레이(Ra) 및 격등릴레이(Rb)로 각각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와 격등릴레이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를 '전원출력모드'라고 한다.
그리고, 접점출력모드 또는 전원출력모드는 점멸기(140)에 구비된 출력모드 선택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점출력모드와 전원출력모드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동작모드를 작동시켜서 가로등에 대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예컨대 접점출력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점멸기 구성이나 상시등스위치(151) 또는 격등스위치(152)가 고장인 경우에는 점멸기의 출력모드를 전원출력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고장이 나더라도 바로 가로등을 점등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시등스위치(151), 격등스위치(152), 상시등절환스위치(153), 격등절환스위치(154), 상시등릴레이(Ra), 격등릴레이(Rb), 심야격등스위치(155), 제1보조스위치(156), 제2보조스위치(157) 및 점등상태표시등(D1, D2, D3, D4)을 컨트롤박스(150)에 실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스위치소자나 릴레이가 고장난 경우 컨트롤박스(150)만을 교체하면 간단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50)와 점멸기(140), 컨트롤박스(150)와 마그네틱코일(MC1, MC2, MC3, MC4), 컨트롤박스(150)와 메인차단기(120)는 각각 컨넥터(미도시)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가로등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사용자가 점멸기(140)에서 출력모드선택스위치(미도시)를 접점출력모드로 선택한 경우, 점멸기(140)는 상시등스위치(151) 및 격등스위치(152)로 각각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와 격등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일몰부터 자정까지는 상시등스위치(151) 및 격등스위치(152) 모두가 온 구동되어서 상시등과 점등이 모두 점등되도록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와 격등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자정부터 일출까지는 상시등스위치(151)만이 온 구동되어서 상시등만이 점등되도록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와 격등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시등스위칭제어신호가 출력되어서 상시등스위치(151)가 온 되면,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로 전류가 인가되어서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가 온 되고 따라서 상시등(L1, L3)이 점등된다.
마찬가지로, 격등스위칭제어신호가 출력되어서 격등스위치(152)가 온 되면,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로 전류가 인가되어서 격등마그네넷스위치(MS2, MS4)가 온 되고 따라서 상시등(L1, L3)이 점등된다.
그리고, 예컨대 자정 이후가 되어서 격등모드가 시행하기 위해서 격등스위치가 오프되도록 격등스위칭제어신호가 출력되면, 격등스위치(152)가 오프 되고 이때 격등마그네넷스위치(MS2, MS4)가 오프 되어서 격등(L2, L4)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이 격등(L2, L4)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서 격등모드가 시행되는 중에, 보행자 수가 많아지거나 차량 통행이 많아져서 격등모드를 해제하여 모든 가로등을 점등해야 하는 경우, 본원발명에 의한 심야격등스위치(155)를 스위칭 온한다.
심야격등스위치(155)가 온 되면, 비록 격등스위치(152)는 오프되어 있지만 상시등스위치(151)가 온되어 있으므로 상시등스위치(151)를 통과하는 전류는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로 인가될 뿐만 아니라 심야격등스위치(155)를 통해서도 전류가 흘러서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로도 전류가 흐르고 따라서 모든 마그넷스위치(MS1, MS2, MS3, MS4)가 온되어서 상시등(L1, L3) 및 격등이 모두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심야격등스위치(155)의 구성에 의해서 점멸기에 별도의 복잡한 구성 변경 없이도 간단하게 격등모드에서도 소등된 격등(L2, L4)을 점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시등만을 수동으로 점등하고자 하는 경우, 상시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를 온한다. 상기와 같이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수동스위치(153b)가 온 되면,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자동스위치(153a)가 오프 되고 제1보조스위치(156)가 오프 되어서,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로만 전류가 흐르고 심야격등스위치(155)로의 전류는 차단됨으로써, 상시등(L1, L3)만 점등된다.
그리고, 격등(L2, L4)만을 수동으로 점등하고자 하는 경우, 격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를 온한다. 상기와 같이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수동스위치(154b)가 온 되면,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자동스위치(154a)가 오프 되고 제2보조스위치(157)가 오프 되어서,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로만 전류가 흐르고 제1보조스위치(156)로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시등(L1, L3)만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심야격등스위치(155)를 상시등스위치(151)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152)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하더라도,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수동스위치(153b)에 연동하는 제1보조스위치(156)와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수동스위 치(154b)에 연동하는 제2보조스위치(157)의 구성에 의하여, 상시등만을 점등시키거나, 격등만을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점멸기(140)에서 출력모드선택스위치(미도시)를 전원출력모드로 선택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사용자가 점멸기(140)에서 출력모드선택스위치(미도시)를 전원출력모드로 선택하면, 점멸기(140)는 상시등모드인 경우에는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와 격등릴레이구동신호를 상시등릴레이(Ra) 및 격등릴레이(Rb)로 각각 출력하고, 격등모드인 경우에는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만을 상시등릴레이(Ra)로 출력한다.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가 출력되어서 상시등릴레이(Ra)가 온 되면,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로 전류가 인가되어서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가 온 되고, 따라서 상시등(L1, L3)이 점등된다.
마찬가지로, 격등릴레이신호가 출력되어서 격등릴레이(Rb)가 온 되면,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로 전류가 인가되어서 격등마그네넷스위치(MS2, MS4)가 온 되고, 따라서 상시등(L1, L3)이 점등된다.
상기 접점출력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격등(L2, L4)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서 격등모드가 시행되는 중에, 보행자 수가 많아지거나 차량 통행이 많아져서 격등모드를 해제하여 모든 가로등을 점등해야 하는 경우, 심야격등스위치(155)를 온 하면, 비록 격등릴레이(Rb)는 오프 되어 있지만 상시등릴레이(Ra)가 온되어 있으므로 상시등릴레이(Ra)를 통과하는 전류는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로 인가될 뿐만 아니라 심야격등스위치(155)를 통해서도 전류가 흘러서 격등마그네틱코 일(MC2, MC4)로도 전류가 흘르고 따라서 모든 마그넷스위치(MS1, MS2, MS3, MS4)가 온 되어서 상시등(L1, L3) 및 격등(L2, L4)이 모두 점등된다.
그리고, 상시등만을 수동으로 점등하고자 하는 경우, 상시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를 온 하면, 상시등절환스위치(153)의 자동스위치(153a)가 오프 되고 제1보조스위치(156)가 오프 되어서,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로만 전류가 흐르고 심야격등스위치(155)로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됨으로써 상시등만 점등되고, 격등(L2, L4)만을 수동으로 점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격등절환스위치의 수동스위치를 온 하면 격등절환스위치(154)의 자동스위치(154a)가 오프 되고 제2보조스위치(157)가 오프 되어서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로만 전류가 흐르고 제1보조스위치(156)로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됨으로써 상시등만 점등됨은 상기 접점출력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로등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에 의한 가로등 제어장치
110 ; 적산전력량계 120 ; 메인차단기
130 ; 누전차단기 140 ; 점멸기
150 ; 콘트롤박스 151 ; 상시등스위치
152 ; 격등스위치 MC1, MC3 ; 상시등마그네틱코일
MC2, MC4 ; 격등마그네틱코일 MS1, MS3; 상시등마그넷스위치
MS2, MS4; 격등마그넷스위치 153 ; 상시등절환스위치
154 ; 격등절환스위치 Ra ; 상시등릴레이
Rb ; 격등릴레이 155 ; 심야격등스위치
156 ; 제1보조스위치 157 ; 제2보조스위치
D1, D2, D3, D4; 점등상태표시등 L1, L3; 상시등
L2, L4; 격등 TB1 ; 제1터미널단자블록
TB2 ; 제2터미널단자블록

Claims (6)

  1. 가로등 제어장치(10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산출하는 적산전력량계(110)와, 주배선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가로등 제어장치에 인가되는 전류 전체를 차단하는 메인차단기(120)와, 누설전류의 발생시 감전보호를 위해 전류를 일시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30)와, 가로등의 원격제어를 위한 수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가로등 전원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점멸기(140)와, 점멸기(140)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동작하는 상시등스위치(151) 및 격등스위치(152)와,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에 연결되는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과, 상기 격등스위치(152)에 연결되는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과, 상기 상시등마그네틱코일(MC1, MC3) 및 격등마그네틱코일(MC2, MC4)에 연동하여 메인차단기(120)에서 누전차단기(130)로의 전원공급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상시등마그넷스위치(MS1, MS3) 및 격등마그넷스위치(MS2, MS4)와, 수동으로 상시등을 점등하는 상시등절환스위치(153)와, 수동으로 격등을 절환하는 격등절환스위치(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등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멸기(140)는 입력되는 구동신호를 기초로 상시등 또는 격등을 점멸시키기 위한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와 격등릴레이구동신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상시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상시등릴레이(Ra); 및
    상기 격등스위치(152)에 병렬 접속하고 상기 격등릴레이구동신호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격등릴레이(R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시등스위치(151)의 출력단과 격등스위치(152)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서, 상기 격등스위치(152)가 오프된 경우라도 상시등스위치(151)가 온 되어 있는 경우 격등(L2, L4)을 점등시키기 위한 심야격등스위치(15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에 직렬접속되어서 상기 상시등절환스위치(153)에 연동되되, 상기 상시등절환스위치(153)가 수동으로 절환된 경우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를 통한 격등의 점등을 차단하는 제1보조스위치(15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제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심야격등스위치(155)와 제1보조스위치(156)에 직렬접속되어서 상기 격등절환스위치(154)에 연동되되, 상기 격등절환스위치(154)가 수동으로 절환된 경우 스위칭 오프되어 상기 제1보조스위치(156)를 통한 상시등의 점등을 차단하는 제2보조스위치(157)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제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130)의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서 상시등(L1, L3) 또는 격등(L2, L4)의 점등 상태를 표시하는 점등상태표시등(D1, D2, D3, D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시등스위치(151), 격등스위치(152), 상시등절환스위치(153), 격등절환스위치(154), 상시등릴레이(Ra), 격등릴레이(Rb), 심야격등스위치(155), 제1보조스위치(156), 제2보조스위치(157) 및 점등상태표시등(D1, D2, D3, D4)은 컨트롤박스(150)에 실장되고,
    상기 컨트롤박스(150)와 점멸기(140), 컨트롤박스(150)와 마그네틱코일(MC1, MC2, MC3, MC4), 컨트롤박스(150)와 메인차단기(120)는 컨넥터에 의해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제어장치.
KR1020070091643A 2007-09-10 2007-09-10 가로등 제어장치 KR10086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43A KR100867357B1 (ko) 2007-09-10 2007-09-10 가로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43A KR100867357B1 (ko) 2007-09-10 2007-09-10 가로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357B1 true KR100867357B1 (ko) 2008-11-06

Family

ID=4028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643A KR100867357B1 (ko) 2007-09-10 2007-09-10 가로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07B1 (ko) * 2015-09-04 2016-02-25 주식회사 두리계전 가로등 분전함 장치
KR101649886B1 (ko) * 2015-12-22 2016-08-22 (주) 시그널 절전형 led 보안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46Y1 (ko) * 2003-12-23 2004-04-01 채현철 가로등 제어 단자대
KR200357674Y1 (ko) * 2004-04-19 2004-07-30 백영환 절전형 가로등 제어기
KR200405775Y1 (ko) * 2005-08-23 2006-01-11 (주)세오전자 상용전원과 안전전압에서 이용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070000292U (ko) * 2007-02-14 2007-03-12 차보영 가로등 전원공급 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46Y1 (ko) * 2003-12-23 2004-04-01 채현철 가로등 제어 단자대
KR200357674Y1 (ko) * 2004-04-19 2004-07-30 백영환 절전형 가로등 제어기
KR200405775Y1 (ko) * 2005-08-23 2006-01-11 (주)세오전자 상용전원과 안전전압에서 이용 가능한 가로등 제어장치
KR20070000292U (ko) * 2007-02-14 2007-03-12 차보영 가로등 전원공급 제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07B1 (ko) * 2015-09-04 2016-02-25 주식회사 두리계전 가로등 분전함 장치
KR101649886B1 (ko) * 2015-12-22 2016-08-22 (주) 시그널 절전형 led 보안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16420A1 (en) Road lighting device, distributed node energy-saving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0704435B1 (ko) 가로등 관제 시스템의 가로등주 제어장치
WO2011108952A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particularly lighting lamps and control system of electrical devices, particularly lighting lamps
KR20140147226A (ko) 실시간 기상 상태에 따라 색온도/조도를 구현하는 led 가로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67357B1 (ko) 가로등 제어장치
EA005663B1 (ru) Светофор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счетчиком времени е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ES2399859T3 (es) Sistema de comunicación para el mando de cargas eléctricas
US11006508B2 (en) Chained flashlight system
JP2012238140A (ja) 信号システム
KR100491889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
JP2008269505A (ja) Led式交通信号灯器における制御機構
RU2453761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свещением дорог
US20070103337A1 (en) Backup traffi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0833683B1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등주 주간 감시 시스템
SE517523C2 (sv) Ett system för styrning av en trafiksignalanläggning
JP2007034538A (ja) 信号制御バックアップ装置
Anand et al. Intelligent street light system using RF transmission
KR20080056837A (ko) 가로등 제어시스템
KR200436449Y1 (ko) 가로등 전원공급 제어기
CN211090083U (zh) 一种船舶应急照明电路
KR102481539B1 (ko) 가로등 밝기 제어 시스템
KR200346546Y1 (ko) 가로등 제어 단자대
US11533798B2 (en) Emergency wayfinding technology
KR200427655Y1 (ko) 가로등 절전 제어기
RU2759081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уровнем светового потока уличного светиль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