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670B1 - 유해 동물 포획상자 - Google Patents

유해 동물 포획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670B1
KR100866670B1 KR1020070042225A KR20070042225A KR100866670B1 KR 100866670 B1 KR100866670 B1 KR 100866670B1 KR 1020070042225 A KR1020070042225 A KR 1020070042225A KR 20070042225 A KR20070042225 A KR 20070042225A KR 100866670 B1 KR100866670 B1 KR 100866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eight
unit
user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스코
Priority to KR102007004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5/00Devices for dispensing poison for animals
    • A01M25/002Bait holders, i.e. stationary devices for holding poisonous bait at the disposal of the animal
    • A01M25/004Bait stations, i.e. boxes completely enclosing the bait and provided with animal entr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유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제공되는 먹이제의 무게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형성되며, 유해 동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유닛과, 무게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먹이제의 잔량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유닛 및 제어유닛에서 산출된 잔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전달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먹이제의 양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먹이제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먹이제의 정확한 보충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유해 동물, 먹이제, 무게, 자동, 보충시기

Description

유해 동물 포획상자{BOX FOR CAPTURING PEST}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Ⅱ - Ⅱ의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먹이용기 및 먹이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알림모듈의 일례로서,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표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무게 측정유닛을 통해 먹이제를 보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유해 동물 포획상자 110: 케이스
112: 본체부 114: 커버부
116: 먹이용기 118: 먹이제
120: 무게 감지유닛 130: 알림모듈
132: 무선 송신부 134: 무선 수신부
136: 표시부 136a: 제1 램프
136b: 제2 램프
본 발명은 유해 동물 포획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이용되는 먹이제를 손쉽게 보충할 수 있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해 동물은 인간 및 가축에게 해를 주는 곤충이나 동물 등을 가리킨다. 흔히 집이나 사무실 등 밀폐된 공간에서 볼 수 있는 유해 동물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쥐, 바퀴벌레, 먼지 다듬이, 개미, 진드기, 지네, 모기 등이 있다. 이런 유해 동물들은 음식이나 직물들을 갉아 먹어 사람들의 생활에 적잖은 피해를 주고 있다. 또한 배설물들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병원균을 옮기기도 한다. 근래에는 이러한 유해 동물들이 환경이 점점 오염돼 감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유해 동물을 제거하는 것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 회사 혹은 지역 사회에서는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유해 동물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 동물들 중 특히, 쥐를 유인하여 포획하기 위한 장치로서 쥐 먹이상자를 이용하고 있다. 쥐 먹이 상자의 기본 구조는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먹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쥐 먹이 상자는 실내에 설치하거나 포획 범위를 넓히기 위해 실외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쥐 먹이 상자는 쥐의 습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데, 설치장소는 건물의 벽면에 인접하게 설치하거나, 주위보다 좀 더 어두운 지역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쥐를 살충하기 위한 먹이에는 살충제가 함유된다. 쥐 먹이상자 내부로 들어온 쥐는 살충제가 함유된 먹이를 먹고 죽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쥐 먹이상자 내부에 저장된 먹이의 양이 현재 얼마나 되는 지와, 먹이의 상태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케이스 내부를 육안으로 직접 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일일이 케이스를 개방하여 먹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해 동물 포획상자내에 저장된 먹이제의 잔량을 센서를 통해 측정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직접 먹이제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해 동물 포획상자 내에 저장된 먹이제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유해 동물의 먹이제 섭취 여부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해 동물 및 먹이제의 종류에 따른 먹이제의 감량비를 산출하여 적절한 먹이 보충 시기를 정할 수 있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매개체를 통해 먹이제의 잔량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는 케이스, 무게 측정유닛, 제어유닛 및 알림모듈을 포함하여 유해 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 상기 유해 동물이란, 인간에게 해를 주는 각종 동물을 지칭하며, 특히 쥐를 포함하는 설치류를 의미한다.
상기 케이스는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부 및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유해 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상측부에 결합하거나 포갤 수 있으며, 투명창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케이스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부 및 커버부로 구성되어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및 커버부가 개폐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유해 동물을 포획 또는 살충할 수 있는 먹이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먹이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먹이제를 수용하기 위한 먹이용기가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유닛은 상기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게 측정유닛의 상부에 상기 먹이제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먹이제는 고형제로 형성되어 덩어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 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유닛을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먼저 놓은 후, 그 위에 상기 먹이제를 올려놓아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을 상기 먹이용기의 저면에 위치시켜 상기 먹이용기와 함께 상기 먹이용기에 저장된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유닛은 상기 먹이용기가 놓이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먹이용기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먹이용기와 하나의 셋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은 상기 먹이용기 내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그 위에 놓여지는 상기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무게 측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무게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먹이제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먹이제의 잔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량 정보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먹이제 잔량의 무게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먹이제 잔량의 무게가 보충하기 위해 기 설정된 무게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먹이제를 보충해야 될 시기임을 알려주는 보충 알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제어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잔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상기 무게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산출된 상기 먹이제의 잔량 및 보충 시기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먹이제를 보충하거나 상기 먹이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유해 동물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포획”이란, 단어의 의미는 유해 동물을 산채로 생포하는 것뿐만 아니라 살충제 또는 전기 충격 등으로 인해서 죽여서 잡는 것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Ⅱ - Ⅱ의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 동물 포획상자(100)는 케이스(110), 무게 측정유닛(120), 제어유닛(140) 및 알림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부(112) 및 커버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2)는 내부에 유해 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유해 동물이 유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13)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113)는 상기 본체부(112)의 하면으로부터 적당한 높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출입하는 것은 차단하되, 상기 유해 동물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112)로 유출입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4)는 상기 본체부(112)의 개방된 상측부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114)의 주연부는 상기 본체부(112) 방향으로 꺾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2)와 결합시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부(114)에는 투명창(115)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즉, 상기 수용공간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본체부(112)와 상기 커버부(114)를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수용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2) 및 커버부(114)는 서로 힌지 결합되어 힌지부(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2) 및 커버부(114)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는, 예를 들어 상기 힌지부의 대향측에는 록킹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설치된 상기 케이스(110)가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에 의해서 개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는 먹이제(118)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먹이제(118)가 먹이용기(116)에 수납된다. 상기 먹이용기(116)는 상기 본체부(112)의 바닥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먹이용기(116)에 외측면에 대응되어 형성된 함몰 부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은 상기 먹이용기(116) 및 상기 본체부(112)의 바닥면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의 상면에는 상기 먹이용기(116)가 올려짐으로써, 상기 먹이용기(116)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먹이용기(116)에 상기 먹이제(118)가 저장되면, 상기 먹이용기(116)와 함께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가 측정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으로 로드 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로드셀은 상기 먹이제(118)의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로 인해 변화되는 전기적인 출력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40)은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과 연결되어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먹이제에 대한 잔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이 측정한 무게는 상기 먹이제(118) 및 먹이용기(116)의 무게이므로, 상기 제어유닛(140)을 통해 상기 먹이제(118)만의 무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먹이용기(116)의 무게를 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최초 상기 먹이용기(116)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먹이용기(116)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유닛(140)상에서 기억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먹이용기(116)에 상기 먹이제(118)를 저장 후에 측정한 무게로부터 상기 기억된 상기 먹이용기(116)이 무게를 빼면 상기 먹이제(118)만의 무게가 산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40)을 통해서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의 상면에 상기 먹이용기(116)를 올려 놓아 측정된 무게를 `0`으로 셋팅하고, 이후 상기 먹이용기(116)에 상기 먹이제(118)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무게 감지유닛(120)에 의해 측정된 무게는 순전히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제어유닛(140)은 사용자에게 상기 먹이 제(118)의 최초 무게를 알려 줄 수 있다.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를 측정한 상기 제어유닛(140)은 상기 먹이제(118)의 보충 시기를 정하기 위해 상기 먹이제(118)의 최소 무게값을 미리 설정한다. 보충하기 위한 시점의 상기 먹이제(118) 최소무게는 상기 먹이용기(116)에 최초로 채워지는 상기 먹이제(118)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먹이제(118)의 보충 시기는 상기 먹이제(118)가 덩어리 단위로 형성될 경우에는 계산 및 먹이제 보급의 편의를 위해서 한 개의 덩어리를 기초로 하여 최소무게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먹이제(118)가 분말 형태인 경우에는 정확한 무게를 최소 무게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알림모듈(130)은 상기 제어유닛(140)과 연결되어 상기 먹이제(118)의 잔량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유해 동물이 먹이제를 섭취하는지 여부를 통해 유해 동물이 출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먹이제의 섭취 정도를 통해 먹이제 보충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알림모듈(13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알림모듈(130)은 무선 송수신부(132, 134)를 포함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지역까지 상기 먹이제(118)의 잔량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부(132)는 상기 유해 동물 포획상자(100)에 장착되고, 상기 무선 수신부(134)는 사용자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유해 동물에 의해 섭취된 상기 먹이제(118)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134)는 전산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무선 송신부(132)에서 보낸 상기 먹이제(118)에 대한 잔량정보를 분석하여 유해 동물의 포획에 필요한 다양한 자료를 도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모듈(130)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표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6)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먹이제(118)에 대한 잔량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6)에는 먹이에 대한 유해 동물의 반응 및 유해 동물이 어떤 먹이제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시간에 따른 상기 먹이제(118)의 무게 감소비율을 그래프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모듈(130)은 상기 먹이제(118)의 보충 시기를 알려주기 위해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38)를 통해 나오는 음성신호를 듣고 사용자는 상기 먹이제(138)가 유해 동물에 의해서 섭취되어 현재 보충해야 하는 시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알림모듈의 다양한 예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먹이용기 및 먹이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해 동물 포획상자의 케이스(110) 내부에 수용되는 먹이제(220)는 덩어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먹이제(220)의 중앙에는 관통된 홀(222)이 형성된다.
상기 먹이제(220)를 고정하기 위한 먹이 고정대(210)는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되는 베이스(212) 및 상기 베이스(212)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바(214)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바(214)가 상기 먹이제(220)의 홀(2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먹이 고정대(210)에는 상기 먹이제(220)가 복수 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먹이제(220)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 무게 측정유닛(120)은 상기 먹이 고정대(2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은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상기 먹이 고정대(2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먹이 고정대(210) 및 먹이제(220)의 무게를 함께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120)이 상기 먹이 고정대(210)의 하면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212)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먹이제(220)의 무게만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알림모듈의 일례로서, 표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림모듈(130)로서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표시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36)에는 먹이제의 종류 및 먹이제의 잔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먹이제(118)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덩어리 형태로 형성된 먹이제(Ⅰ형), 분말 형태로 형성된 먹이제(Ⅱ형) 및 액체로 형성된 먹이제(Ⅲ형)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36)를 통해 제공된 먹이제가 어떤 형태인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각각의 먹이제의 종류에 대응하여 제1 램프(136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램프(136a)의 점멸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먹이제의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먹이제의 잔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램프(136b)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램프(136b)를 통해 눈으로 상기 먹이제를 확인하지 않고도 현재 상기 먹이제의 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먹이제의 양이 최초 먹이용기에 채워질 때는 상기 제2 램프(136b)는 상기 표시부(136)의 ‘Full’에 해당되는 곳까지 발광한다. 그리고, 상기 먹이제가 유해 동물에 의해 섭취되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램프(136b)가 서서히 점멸되면서 상기 표시부의 ‘Fill - up’에 해당하는 곳까지 점멸되면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현재 먹이제가 부족함을 알 수 있어 부족해진 먹이제를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램프(136b)가 모두 꺼지게 되어 즉,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의 ‘Empty’를 확인하여 상기 먹이제가 현재 전혀 남아있지 않음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6)는 이외에도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및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표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36)는 먹이제의 무게 - 시간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공되는 먹이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무게 - 시간 곡선을 그린다. 제1 곡선(Ⅵ1)은 제공되는 먹이제가 비교적 시간이 많이 흐른 후에 급격한 무게감소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제2 곡선(Ⅵ2)은 제공된 먹이제가 시간이 따라 균일하게 무게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제3 곡선(Ⅵ3)은 제공된 먹이제가 비교적 얼마 지나지 않아 먹이제의 무게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곡선(Ⅵ1), 제2 곡선(Ⅵ2) 및 제3 곡선(Ⅵ3)을 통해 유해 동물이 선호하는 먹이제의 종류 및 먹이제의 종류에 따른 유해 동물이 유인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대략적인 먹이제의 보충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도 7은 무게 측정유닛을 통해 먹이제를 보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유해 동물 포획상자의 케이스 내부에 먹이제를 제공한다(S110). 상기 먹이제가 덩어리 형태이면 먹이 고정대에 끼워 제공되고,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일 경우에는 먹이용기에 저장하여 제공된다.
다음, 상기 먹이제의 하부에 위치한 무게 측정유닛을 이용하여 최초로 공급된 상기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한다(S120). 상기 무게 측정유닛이 상기 먹이제를 지지하는 먹이 고정대 또는 먹이용기의 하면에 위치하면 상기 먹이 고정대 또는 먹이용기의 무게를 별도로 측정하여 기억하거나, 무게값을 ‘0’으로 보정한다.
다음, 상기 제공된 먹이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먹이제 보충 시점을 정하기 위한 먹이제의 무게를 설정한다(S130). 상기 먹이제가 보충되는 최소의 무게는 먹이제의 종류에 따라 변화가능하며, 또한 먹이제의 보충을 인식한 후에 보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등의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유해 동물에 의해 섭취된 상기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한다(S140). 제어유닛은 상기 무게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된 먹이제의 무게를 수신 받아 현재 먹이 고정대 및 먹이용기에 의해 지지되는 먹이제의 정확한 무게를 산출한다.
다음, 유해 동물에 의해 섭취된 먹이제의 무게와 기 설정된 보충 시기의 먹이제 무게를 비교한다(S150). 제어유닛은 기 설정된 보충 시점의 먹이제 무게와 상기 무게 측정유닛으로부터 실시간대로 전송되는 현 시점의 먹이제 무게를 수신 받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먹이제의 잔량무게가 상기 보충 시점의 무게보다 크면, 상기 무게 측정유닛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유해 동물에 의해서 섭취되는 상기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한다. 반대로, 현재 먹이제의 잔량무게가 상기 보충 시점의 무게보다 작다면, 알림모듈을 통해서 사용자로 이를 인식하여 상기 먹이제의 보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S16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동물 포획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게 측정유닛을 통해 유해 동물 먹이상자에 제공되는 먹이제의 무게를 실시간대로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일일이 먹이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먹이제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유해 동물 포획상자 내에 저장된 먹이제의 무게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유해 동물이 먹이제를 섭취하는지 여부를 통해 사용자가 유해 동물의 출현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유해 동물 포획상자 내에 구비된 먹이제의 잔량 변화를 통해 유해 동물의 출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유해 동물의 출현 빈도가 높은 위치로 유해 동물 포획상자를 적절히 배치하여 결과적으로 유해 동물 포획상자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무게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먹이제의 무게 데이터와 먹이제를 보충하기 위해 기 설정된 무게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자동으로 먹이제의 보충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먹이제의 부재로 인해 유해 동물이 케이스 내부에 유입되었다가 아무런 해도 받지 않고 유해 동물이 케이스를 도로 나가는 경우를 방지하며, 먹이제의 보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해 동물이 먹이제를 섭취하는 속도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각각의 먹이제의 종류에 따른 유해 동물의 반응 및 대략적인 먹이제의 보충 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등의 자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형성되며, 유해 동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먹이제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유닛;
    상기 무게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먹이제의 잔량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제어유닛에서 산출된 상기 잔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모듈;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정보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상기 먹이제 잔량의 무게 데이터 및 상기 먹이제 잔량의 무게가 보충하기 위해 기 설정된 무게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먹이제의 보충 시기를 알려주는 보충 알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제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의 상부에 놓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먹이제를 수용하는 먹이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측정유닛에 의한 상기 먹이제의 무게 측정은 상기 먹이제가 수용된 상기 먹이용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용기는,
    상기 무게 측정유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무게 측정유닛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잔량 정보를 원격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잔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측정유닛은,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상자.
KR1020070042225A 2007-04-30 2007-04-30 유해 동물 포획상자 KR10086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225A KR100866670B1 (ko) 2007-04-30 2007-04-30 유해 동물 포획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225A KR100866670B1 (ko) 2007-04-30 2007-04-30 유해 동물 포획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670B1 true KR100866670B1 (ko) 2008-11-04

Family

ID=4028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225A KR100866670B1 (ko) 2007-04-30 2007-04-30 유해 동물 포획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7041A (zh) * 2017-12-27 2018-05-15 广东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一种尘螨引诱剂甄别装置及其方法
CN110367221A (zh) * 2019-07-24 2019-10-25 深圳市上源卫生服务有限公司 除蟑螂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923A (ko) * 1995-12-19 1997-07-29 히로다카 오도모 흰개미 검출장치와, 이 흰개미 검출장치를 사용한 흰개미 경보장치
US6202340B1 (en) 1999-08-18 2001-03-20 Joniel Nieves Electronically actuated animal trap
JP2003284479A (ja) 2002-03-28 2003-10-07 Ikari Shodoku Kk ネズミ捕獲監視システムおよび捕獲監視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923A (ko) * 1995-12-19 1997-07-29 히로다카 오도모 흰개미 검출장치와, 이 흰개미 검출장치를 사용한 흰개미 경보장치
US6202340B1 (en) 1999-08-18 2001-03-20 Joniel Nieves Electronically actuated animal trap
JP2003284479A (ja) 2002-03-28 2003-10-07 Ikari Shodoku Kk ネズミ捕獲監視システムおよび捕獲監視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7041A (zh) * 2017-12-27 2018-05-15 广东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一种尘螨引诱剂甄别装置及其方法
CN110367221A (zh) * 2019-07-24 2019-10-25 深圳市上源卫生服务有限公司 除蟑螂方法及装置
CN110367221B (zh) * 2019-07-24 2022-03-18 深圳市上源环境科技有限公司 除蟑螂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887B1 (en) Remote sensing rodent bait station tray
KR101808706B1 (ko) 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EP2429280B1 (en) Animal feeding apparatus
EP3510863B1 (en) Pest station
US20060032110A1 (en) Trapping device
US8733291B2 (en) Wild bird catch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of catching and releasing wild birds
US20130180456A1 (en) Smart Feeder Apparatus
US20150351378A1 (en) Self emptying rat trap for dumpsters and residential waste carts
EP1313362B1 (en) Animal behaviour training apparatus
CN111436380A (zh) 饲喂方法和装置、饲养用栏位装置
CN106063460A (zh) 一种智能喂食器及远程控制方法
KR100866670B1 (ko) 유해 동물 포획상자
RU2658998C2 (ru) Ловушка для ловли животных, в частности мышиных
CA3027002A1 (en) Bed bug monitoring furniture leg
US10531643B1 (en) Bird feeder with image capturing
GB2454967A (en) Animal trap
KR102246981B1 (ko) 사육 가금류의 중량 측정 시스템
US20220295777A1 (en) Pest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US11252932B2 (en) Animal litter box
US20080184613A1 (en) Trap
KR100884874B1 (ko) 유해동물 포획상자
CA3217606A1 (en) Remote monitoring device for animals or insects
CN212164563U (zh) 饲喂装置、饲养用栏位装置
WO2012033426A1 (ru) Контейнер приманочный для грызунов
US116021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ofitting rodent traps for remote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