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257B1 -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257B1
KR100866257B1 KR1020070028951A KR20070028951A KR100866257B1 KR 100866257 B1 KR100866257 B1 KR 100866257B1 KR 1020070028951 A KR1020070028951 A KR 1020070028951A KR 20070028951 A KR20070028951 A KR 20070028951A KR 100866257 B1 KR100866257 B1 KR 100866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omputer
roller
degree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959A (ko
Inventor
정다은
Original Assignee
정다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은 filed Critical 정다은
Priority to KR102007002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25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integrated keyboard independently from the mai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키보드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용 키보드; 상기 키보드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키보드의 저면부위에 양측으로 체결 및 장착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된 베이스 양측의 좌측단부위 및 우측단부위에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60도 내지 160도 범위의 각도(K1)로 상기 키보드의 외면부위를 잡아주도록 탄성력을 가진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의 인접한 부위에 상기 회동부재의 외측면부 상에 세로 중심선(X)과 직각으로 가로 기준선(Y)이 정의되었다면, 상기 정의된 가로 기준선(Y)과 롤러에 구비된 회전축의 회전축선(Z)이 이루는 변위각(θ1)이 5도 내지 85도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롤러부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컴퓨터 작업시 키보드가 작업자의 몸 움직임을 따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터 사무작업을 보다 편안하고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컴퓨터, 키보드, 회동

Description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Computer keyboard}
도 1은 종래의 컴퓨터용 키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회동부재가 장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회동부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부재의 내측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제1실시사례 도면이고, (나)는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부재의 외측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동부재에 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 7의 A-A’부 절단도면으로서, (가)는 하우징에 롤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나)는 하우징에 롤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컴퓨터 2: 모니터
3: 키보드 4: 마우스
5: 신호케이블 6: 문자판
7: 손가락 20, 20a: 회동부재
21, 21a: 베이스(Base) 22, 22a: 리브(Rib)
23, 23a: 내측면부 24: 외측면부
25, 25a: 하우징(Housing) 26, 26a: 보스(Boss)
27, 27a, 37: 압입돌기 28: 요홈
29: 고정구 30: 안내면
31: 고정홈 40: 롤러(Roller)
41: 체결공 42: 회전축
50: 롤러부 61: 외면부위
71: 좌측단부위 72: 우측단부위
81: 저면부위
본 발명은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컴퓨터 작업시 키보드를 작업자의 몸 움직임을 따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용 키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1)에는 문자판(6)에 표시된 각종 문자와 숫자 등을 이용하여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주변기기로 키보드(3)와 마우스(4)가 구성된다.
상기 키보드(3)와 마우스(4)는 신호케이블(5)을 통하여 컴퓨터(1)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컴퓨터(1) 작업은 보편적으로 키보드(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모니터(2)의 화면 중심부와 일직선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놓고 상기 키보드(3)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때, 작업자가 몸을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컴퓨터(1)의 키보드(3) 입력작업을 할 경우에는 상기 키보드(3)를 양손으로 들고 그 때 마다 좌우측 방향으로 적당히 이동시켜 주어야만 했었다.
따라서, 작업자의 몸을 좌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컴퓨터(1)의 키보드(3)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사실상 매우 번거로웠다.
이로 인해 컴퓨터(1) 키보드(3) 입력작업을 장시간 하게 되면 목을 비롯하여, 팔, 어깨, 허리 등 신체의 요부위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어 업무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자세를 나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10-1999-0026930에 의해 출원된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전장치에는 키보드의 바닥면에 회전 받침판을 체결하여 상기 키보드를 좌우측 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시되었다.
이는 회전 받침판이 키보드의 가운데 부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키보드를 통한 자료의 입력작업시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문자판을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 그 힘에 의해 키보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하로 흔들릴 수가 있다.
이로 인해, 키보드 작업시 입력자료의 에러가 발생하는 사례가 예측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키보드를 작업자의 몸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키보드의 문자판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빈번한 자료의 입력작업시에도 그 힘에 의해 키보드가 상하로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의 사무작업을 보다 편안하게 하여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키보드를 사용한 자료입력시에 에러도 한층 더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보드의 저면부위에 회동부재를 장착하여 컴퓨터 작업시에 키보드가 작업자의 몸 움직임을 따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용 키보드가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키보드의 저면부위에 양측으로 체결 및 장착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된 베이스 양측의 좌측단부위 및 우측단부위에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60도 내지 160도 범위의 각도(K1)로 상기 키보드의 외면부위를 잡아주도록 탄성력을 가진 리브를 형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브의 인접한 부위에 상기 회동부재의 외측면부 상에 세로 중심선(X)과 직각으로 가로 기준선(Y)이 정의되었다면, 상기 정의된 가로 기준선(Y)과 롤러에 구비된 회전축의 회전축선(Z)이 이루는 변위각(θ1)이 5도 내지 85도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롤러부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의 내측면부에는 소정 크기의 바(Bar)를 비롯하여 삼각형상, 사각형상, 원형상의 엠보싱 형태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압입돌기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에는 하우징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을 형성한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의 고정홈에 롤러의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 예들 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명백하여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작용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예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들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어지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앞에서 이미 언급되었다시피 컴퓨터(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자료의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는 키보드(3)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키보드(3)가 컴퓨터(1)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할 경우에는 신호케이블(5)을 통해 연결하여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키보드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무선 키보드(도시생략)의 본체에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도시생략)와 컴퓨터(1) 본체에는 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도시생략)를 구비하여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키보드의 일반적인 공지된 기술과 그 기능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사상이 아니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회동부재가 장착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 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키보드에 회동부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1)용 키보드(3)가 구비되고, 상기 키보드(3)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키보드(3)의 저면부위(81)에 양측으로 체결 및 장착되는 회동부재(20)(20a)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동부재(20)(20a)는 키보드(3)의 가로방향으로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키보드(3)의 양측으로 즉, 좌측단 및 우측단 부위에 각각 체결 및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0)(20a)를 키보드(3)에 장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회동부재(20)(20a)에 구비된 베이스(21)(21a) 양측의 좌측단부위(71) 및 우측단부위(72)에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21)(21a)의 내측면부(23)(23a)를 기준으로 하여 60도 내지 160도 범위의 각도(K1)로 휘어지게 상기 키보드(3)의 외면부위(61)를 잡아주도록 탄성력을 가진 리브(22)(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도(K1)로 형성된 리브(22)(22a)의 탄성력에 의해서 회동부재(20)(20a)가 키보드(3)의 외면부위(61)에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부재의 내측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는 제1실시사례 도면이고, (나)는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상기 리브(22)의 내측면부(2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입돌기(27)(27a)(37)가 소정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압입돌기(27)(27a)(37)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입돌기(27)(27a)(37)의 형상은 소정 크기의 바(Bar)를 비롯하여 삼각형상, 사각형상, 원형상 등의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리브(22)의 내측면부(23)에 압입돌기(27)(27a)(37)를 형성하는 것은 회동부재(20)(20a)가 키보드(3)의 외면부위를 견고하게 압입하여 줌으로써 사용중에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21)(21a)의 내측면부(23)(23a) 소정부위 즉, 가운데 부위를 비롯한 하우징(25)(25a) 주변에 걸쳐 다수개의 보스(26)(26a)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26)(26a)는 키보드(3)의 자체무게 또는 손가락(7)으로 문자판(6)을 누르는 힘에 의해 베이스(21)(21a)가 키보드(3) 저면부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스(26)(26a)는 하우징(25)(25a)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롤러부(50)를 덮고 있는 상기 하우징(25)(25a)은 롤러(40)를 보호하기 위해 구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부재(20)(20a)의 재질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 두께의 합성수지물 또는 금속물을 사용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때, 회동부재(20)(20a)의 재질을 합성수지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성형하거나, 다양한 색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회동부재(20)(20a)의 재질을 금속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도금이나 도색처리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부재의 외측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동부재에 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21)(21a) 양측의 좌측단부위(71) 및 우측단부위(72)에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리브(22)(22a)의 인접한 부위에 상기 회동부재(20)(20a)의 외측면부(24) 상에 세로 중심선(X)과 직각으로 가로 기준선(Y)이 정의되었다면, 상기 정의된 가로 기준선(Y)과 롤러(40)에 구비된 회전축(42)의 회전축선(Z)이 이루는 변위각(θ1)이 5도 내지 85도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롤러부(50)를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부(50)부는 키보드(3)의 내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고, 그 변위각(θ1)은 상기 키보드(3)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의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 축으로 가정했을 때 그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상기 키보드(3)의 좌우 수평회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들 들면, 상기 변위각(θ1)을 너무 낮추어서 0도 가까이 되도록 하여 롤러부(50)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키보드(3)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용이할 것이나, 본 발명이 추구하는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회동에는 적합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반대로 상기 변위각(θ1)을 너무 높여서 90도 가까지 되도록 하여 롤러부(50)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키보드(3)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은 용이할 것이나,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추구하는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회동에는 적합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변위각(θ1)을 너무 낮추거나, 또는 너무 높일 경우에는 키보드(3)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에 따른 롤러부(50)에 구비된 롤러(4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 7의 A-A’부 절단도면으로서, (가)는 하우징에 롤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나)는 하우징에 롤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롤러부(50)에는 하우징(25)(25a)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30)을 형성한 고정구(29)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29)의 고정홈(31)에 롤러(40)의 회전축(42)이 억지 끼워 맞춤으로 고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경사진 안내면(30)은 회전축(42)이 고정홈(31)에 끼워지는 것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40)는 회전축(42)이 체결공(41)에 체결되어 있어서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21)(21a)의 바닥면을 통해 돌출되는 롤러(40)의 높이(H1)는 가능한 최소한의 높이로 유지하는 것이 유용하다.
왜냐하면, 상기 높이(H1)가 높아지게 되면 키보드(3)의 문자판(6)의 높이가 높아져서 자료의 입력작업이 불편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롤러(40)의 재질은 합성수지물이나 고무 또는 금속물, 또는 이들을 혼합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컴퓨터(1) 및 키보드(3)가 놓여 지는 작업 테이블의 바닥면의 재질이 목재, 금속판 또는 유리 등으로 된 것을 감안할 경우에는 가능한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42)의 재질은 잘 휘어지지 않고 내마모성이 강한 합성수지물이나 금속물을 사용하면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롤러부(50)를 덮고 있는 하우징(25)(25a)은 롤러(40)의 외주면이 닿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20)(20a)가 장착된 키보드(3)에 손가락(7)을 올려 놓고 컴퓨터(1)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자가 몸을 좌우로 움직이면, 이때 회동부재(20)(20a)도 몸의 움직임을 따라 동시에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 작업시 키보드가 작업자의 몸 움직임을 따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모니터 화면을 보면서 작업자가 몸을 자유롭게 움직여 가면서도 쉽고 편하게 키보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공학 측면에서 몸의 피로도가 대폭 줄어들고, 아울러 컴퓨터 사무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컴퓨터(1)용 키보드(3);
    상기 키보드(3)를 좌우측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키보드(3)의 저면부위(81)에 양측으로 체결 및 장착되는 회동부재(20)(20a)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20)(20a)에 구비된 베이스(21)(21a) 양측의 좌측단부위(71) 및 우측단부위(72)에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21)(21a)의 내측면부(23)(23a)를 기준으로 하여 60도 내지 160도 범위의 각도(K1)로 상기 키보드(3)의 외면부위(61)를 잡아주도록 탄성력을 가진 리브(22)(22a)를 형성하며;
    상기 리브(22)(22a)의 인접한 부위에 상기 회동부재(20)(20a)의 외측면부(24) 상에 세로 중심선(X)과 직각으로 가로 기준선(Y)이 정의되었다면, 상기 정의된 가로 기준선(Y)과 롤러(40)에 구비된 회전축(42)의 회전축선(Z)이 이루는 변위각(θ1)이 5도 내지 85도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롤러부(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내측면 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바(Bar)를 비롯하여 삼각형상, 사각형상, 원형상의 엠보싱 형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압입돌기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측면 가운데 부위 및 하우징 주변에는 상 기 하우징의 높이와 동일하게 다수개의 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에는 하우징 내측으로 경사진 안내면을 형성한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의 고정홈에 롤러의 회전축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KR1020070028951A 2007-03-24 2007-03-24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KR10086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51A KR100866257B1 (ko) 2007-03-24 2007-03-24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951A KR100866257B1 (ko) 2007-03-24 2007-03-24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959A KR20080086959A (ko) 2008-09-29
KR100866257B1 true KR100866257B1 (ko) 2008-10-30

Family

ID=4002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951A KR100866257B1 (ko) 2007-03-24 2007-03-24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2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108A (ko) * 1999-07-05 2000-11-06 정석화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108A (ko) * 1999-07-05 2000-11-06 정석화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959A (ko)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40676A1 (en) Key free mouse
US5731808A (en) Ergonomic keyboard
US9990057B2 (en) Mouse for computer
KR100866257B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구조
KR100883051B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동장치
KR100888361B1 (ko) 컴퓨터 키보드의 회동구조
KR101374881B1 (ko) 컴퓨터용 마우스
CN110244820B (zh) 电子装置及扩充电子系统
KR100888517B1 (ko) 노트북 컴퓨터의 회동구조
CN102340939B (zh) 掀盖式电子装置结构
KR20200143446A (ko) 입력 장치
US6822854B2 (en) Keyboard
US8614677B2 (en) Mouse with adjustable switch
CN212034176U (zh) 可更换按键的手持装置保护壳
JP3183747U (ja) 翼板を調整可能なハンドヘルド入力装置
KR100364327B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회전장치
KR100934798B1 (ko) 고정형 마우스
KR100912018B1 (ko) 노트북 컴퓨터의 전후이동 및 좌우측 수평회동장치
CN218327333U (zh) 一种支架结构和平板
CN219695740U (zh) 一种鼠标的飞梭滚轮结构
CN219042203U (zh) 一种触摸屏手持安装盒
KR100918919B1 (ko) 노트북 컴퓨터의 전후이동 및 좌우측 수평회동구조
CN2230946Y (zh) 一种鼠标器
KR20080003860U (ko) 컴퓨터 입력장치
JP3181777U (ja) 保護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