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200B1 - Elevator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200B1
KR100866200B1 KR1020077002343A KR20077002343A KR100866200B1 KR 100866200 B1 KR100866200 B1 KR 100866200B1 KR 1020077002343 A KR1020077002343 A KR 1020077002343A KR 20077002343 A KR20077002343 A KR 20077002343A KR 100866200 B1 KR100866200 B1 KR 10086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r
lowest
tank
low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5296A (en
Inventor
쿄조 오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16For single car elev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에 공조 설비 및 드레인 탱크를 장비하는 동시에, 최하층에 드레인 설비를 장비하고, 통상 운전시 최하층이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드레인 설비로 드레인 탱크의 배수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탱크 배수 운전시, 최하층을 정지 가능층으로 설정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드레인 탱크내의 배수 동작 실시시 내리지 못한 승객의 갇힘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 동작 개시전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최하층으로부터 정지 가능한 층으로 다시 주행, 정지시켜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ank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and a drain tank in a car, a drain facility in a lowermost floor, a lower floor in a normal operation, and a drainage operation of the drain tank. In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which the lowermost floor is set as the stopperable floor during drainage operation, when any button is operated before the drainage operation to prevent the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when the drainag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drain tank. The control means is provided in the lowermost floor to run and stop again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stoppable floor to get off the passenger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공조 설비를 장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equipped with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공조 설비 및 드레인 탱크를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하, 간단히 「엘리베이터 칸」이라고 칭함)에, 드레인 설비를 탱크 배수층인 최하층에 장비하고, 상기 드레인 탱크내의 물이 소정량을 넘으면, 상기 공조 설비의 운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에 되돌리고,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해당 최하층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문을 닫은 채로 상기 드레인(drain) 탱크(tank)의 배수 밸브를 개방하여 해당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배수하는 작업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배수를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최하층을 향하게 하는 탱크 배수 운전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일단 상기 최하층보다 한층 앞의 층에 강제적으로 정지시켜서 해당 엘리베이터 칸 문을 여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승객에게 해당 층에서 내리도록 알리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When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and the drain tank are equipped with an elevator ca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n "elevator car"), the drain equipment is installed on the lowest floor of the tank drainage layer, and the water in the drain tank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car is returned to the lowermost floor, and the drain valve of the drain tank is opened while the car door is closed at the lowest floor set as the non-floored floor to drain the water in the drain tank. In an elevator that performs drainage, in a tank drainage operation in which the car faces the lowest floor for drainage, the car is forced to stop on the floor one floor ahead of the lowest floor to open the car door. At the same time, for passengers in the car It is proposed to have a means for notifying to get off the floor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5-22974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229748

탱크 배수층인 최하층이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종래는 상기 특허 문헌 1과 같이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정지층에 강제적으로 정 지시켜서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열고, 하차를 촉구하는 알림 또는 표시를 실행하고 있다.In the case of an elevator in which the lowest floor, which is the tank drainage floor, is set as the non-flooring floor, conventionally, as in Patent Literature 1, a notice is urged to stop at the stop floor just before the lower floor to open the door of the car and prompt the driver to get off. The display is running.

그러나, 그 알림ㆍ표시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또는 지나가던 이용자가 문이 열린 엘리베이터에 그대로 승차해 버리면, 문이 완전히 닫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이 최하층으로 주행하고, 드레인 탱크의 배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몇 분간은 엘리베이터 칸의 문이 열리지 않아서, 엘리베이터 칸내의 승객이 최하층에서 갇힌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칸내의 승객에게 불안감이나 불쾌감을 주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user does not notice the notification or display, or if the user who passed by leaves the elevator as it is, the door closes completely, and the car runs down to the bottom floor for several minutes while draining the drain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of the car is not opened, so that the passengers in the car are trapped at the lowermost floor, resulting in anxiety or discomfort to the passengers in the ca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최하층이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최하층에서 배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이 일단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층에 정지했을 때 승객이 하차하지 않거나, 또는 실수로 이용자가 그 엘리베이터 칸에 승차하더라도 최하층에서 승객이 갇히지 않도록 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n an elevator in which the lowermost floor is set as an indefinite floor, when the water in the drain tank is drained from the lowermost floor, the car once stopped at the floor just before the lowermost floor. When passengers do not get off or accidentally get on the car, passengers are not trapped at the lowest floor.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에 공조 설비 및 드레인 탱크를 장비하는 동시에, 최하층에 드레인 설비를 장비하고, 통상 운전시는 상기 최하층이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드레인 설비로 상기 드레인 탱크의 배수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탱크 배수 운전시는 상기 최하층을 정지 가능층으로 설정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er and a drain tank in a car, a drain facility in a lowermost floor, and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the lowermost floor is set as an unclear floor, 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which the lowest floor is set as a stoppable floor during a tank drainage operation for performing a tank drainage operation,

상기 배수 동작을 위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최하층으로 주행할 때에, 이 최하층보다 바로 앞에서 가장 가까운 하차 가능한 정지층에 일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1 제어 수단, 상기 문 개폐 동작한 후, 승차 거부의 알림ㆍ표시를 실시하면서 상기 최하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상기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최하층으로부터 상기 하차 가능한 정지층에 다시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2 제어 수단 및 승객 하차한 후, 다시 상기 최하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문 닫힘 상태에서 상기 배수 동작을 실시하는 제 3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First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car once on a stopable floor closest to the nearest stop in front of the lowest floor when the car is driven to the lowest floor for the drainage operation, and performing a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for passengers to get off; And when any button of the car operating section is operated before the car is moved to the lowest floor and stopped while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is notified and displayed. Second control means for driving the car back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stopable stop floor, and performing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for passengers and after getting off the passenger car, driving the car to the lowest floor again and stopping. And performing the drainage operation in the door closed state.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의하면, 탱크 배수층인 최하층보다 바로 앞의 하차 가능한 층에 정지한 후에 탱크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전까지, 내리지 못한 승객이 있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되면, 엘리베이터 칸을 한번 하차 가능한 정지층에 주행시킴으로써 승객을 내리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passenger who fails to get off before starting the tank drainage operation after stopping at the lower possible floor immediately before the lowest floor, which is the tank drainage layer, In addition, the passengers can be lowered by driving the car to the stop floor where it can get off once.

따라서, 최하층에 도착하더라도 갇힌 상태가 없으며, 엘리베이터 칸내 승객의 편리성 향상과 불안감이나 불쾌감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elev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in the car and reducing anxiety or discomfort even when arriving at the lowest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ystem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is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도.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엘리베이터 제어반1 elevator control panel

2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2 car control panel

3 행선지 버튼3 destination button

4 문 개폐 버튼4 door opening and closing button

5 최하층5 lowest floor

11 최하층 탱크 배수 운전 이전 하차 수단11 lowest tank drainage operation

12 부정지층 정보12 Indeterminate Information

13 행선지 버튼 정보13 Destination button information

14 수위 검출 정보14 level detection information

15 표시ㆍ알림 수단15 Display and notification means

16 최하층의 바로 앞 층으로의 주행 지령 수단16 Driving instruction means to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lowest floor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또한, 각 도면간에 있어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In addition, between each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shows the same or equivalent part.

실시 형태 1.Embodiment 1.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에 공조 설비(쿨러(cooler)) 및 드레인 탱크를 장비하는 동시에, 최하층에 드레인 설비를 장비하고, 통상 운전시는 상기 최하층이 부정지층에서 상기 드레인 탱크의 배수시에 상기 최하층을 정지 가능한 층으로 설정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 Embodiment 1 equips an elevator car with an air conditioner (cooler) and a drain tank, and equips the lower floor with a drain facility, and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the said lowermost floor has the drain tank in an unclear floor. It is related with setting the said lowest layer as the layer which can be stopped at the time of drainage.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상기 드레인 탱크내의 물이 소정량을 넘으면 승강장 호출의 접수를 캔슬하고, 공조 설비의 운전을 정지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을 부정지층인 상기 최하층으로 되돌려서, 해당 최하층에서 문을 닫은 상태에서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배수한다.An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concerning this embodiment cancels reception of a platform call, when water in the said drain tank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stops operation of an air-conditioning facility, and returns a car to the lowest floor which is an unfixed floor, Drain the water in the drain tank with the door closed at the lowest floor.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이 배수 동작에 들어가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내의 승객을 내리게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칸이 일단 가장 가까운 정지층(통상 상기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층)에 정지시키고 문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승객이 하차하지 않고 그 반대로 실수로 이용자가 그 엘리베이터 칸에 승차해 온 경우에도, 부정지층인 최하층에서 승객이 갇히지 않도록 한 최하층 탱크 배수 운전 이전 하차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tops the car at the closest stop floor (normally,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lowest floor) and closes the door so as to lower the passengers in the car before entering this drainage operation. Despite opening, even if the passenger did not get off and vice versa, when the user accidentally got on the car, the lowermost tank drainage operation was installed to prevent the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at the lowest floor, which is the wrong floor.

즉, 이 최하층 탱크 배수 운전 이전 하차 수단은 드레인 탱크내의 배수 동작 실시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가장 가까운 정지층에 일단 정지시켜서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1 제어 수단, 문 개폐 동작한 후, 승차 거부의 알림ㆍ표시를 실시하면서 상기 최하층에 주행, 정지시켜서 상기 탱크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전, 즉 그 사이에 내리지 못한 승객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최하층으로부터 정지 가능한 층으로 다시 주행, 정지시켜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제 2 제어 수단 및 승객 하차한 후, 다시 상기 최하층으로 주행, 정지시켜서 문 닫힘 상태에서 탱크 배수 동작을 실시하는 제 3 제어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car once on the closest stop floor and performing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for passengers when the discharging means before the lowest tank drainage operation performs the drainage operation in the drain tank,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After that, when any button is operated by the passenger who fails to get off the tank before the tank drainage operation is started by stopping and driving to the lowest floor while informing and displaying the refusal to ride, Second control means for driving and stopping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stoptable floor again to get off the passengers, and third control means for driving and stopping to the lowest floor again to perform the tank drainage operation in the closed state after getting off the passenger. Consists 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엘리베이터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ystem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which is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is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제어반이며, 엘리베이터 제어반(1)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관리, 속도 제어 등을 일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In FIG. 1, 1 is an elevator control panel, and the elevator control panel 1 performs the operation management of an elevator, speed control, etc. collectively.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반(1)은 탱크 배수 운전 이전 하차 수단(11), 부정지층 정보(12), 행선지 버튼 정보(13), 수위 검출 정보(14), 표시ㆍ알림 수단(15) 및 최하층(5)의 바로 앞의 층으로의 주행 지령 수단(16)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elevator control panel 1 includes the getting off means 11 before the tank drainage operation, the ground fault information 12, the destination button information 13, the water level detection information 14, the display / information means 15 and The traveling command means 16 to the layer immediately before the lowermost layer 5 is provided.

또한, 2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조작반), 3은 행선지 버튼, 4는 문 개폐 버튼이다.In addition, 2 is a car operating part (operating panel), 3 is a destination button, and 4 is a door opening / closing button.

탱크 배수 운전 이전 하차 수단(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최하층(5)이 부정지층인 경우, 탱크 배수 작업시의 승객 갇힘을 방지하기 위해, 부정지층 정보(12)와 수위 검출 정보(14)의 정보를 얻어서 다음과 같이 업(up) 주행을 지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ing means 11 before the tank drainage operation is per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passengers from being trapped during the tank drainage operation, when the lowermost floor 5 is the irregular floor. The information is obtained and the up run is commanded as follows.

즉, 드레인 탱크(도시 생략)내의 물이 소정의 수위가 되어서 드레인 탱크내의 배수 동작을 실시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5)보다 한층 바로 앞의 층에 정지시켜서 승객 하차를 실시한다. That is, when the water in the drain tank (not shown)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and performs the drainage operation in the drain tank, the passenger car is stopped by stopping the car on the floor just before the lowermost floor 5.

그 후, 최하층(5)으로 주행하여 탱크 배수 동작을 개시하게 되나 내리지 못한 승객이 생기는 것이 고려된다.Thereafter, it is considered that a passenger who travels to the lowest floor 5 to start the tank drainage operation but fails to get off.

이 때문에, 탱크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전까지의 동안에, 내리지 못한 승객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2)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되었을 경우만, 최하층(5)에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을 재차 가장 가까운 정지층을 향하여 업 주행을 지령한다.For this reason, only when any button of the car operating part 2 was operated by the passenger who failed to get off before the tank drainage operation started, the car which stopped on the lowermost floor 5 again has the closest stop floor. Command up run toward.

업 주행 개시한 후는 부정지층 정보(12)와 행선지 버튼 정보(13)의 정보를 얻고, 행선지 버튼 조작층이 부정지층이 아니면 통상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실시하고, 행선지 버튼 조작층이 부정지층이면 표시ㆍ알림 수단(15)에 「조작층에의 호출 등록은 할 수 없습니다.」를 출력하도록 지령하여, 가장 가까운 부정지층이 아닌 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실시한다.After the up-traveling starts, the information of the traffic floor information 12 and the destination button information 13 is obtained, and if the destination button operation floor is not the traffic floor, normal car call registration is performed, and the destination button operation floor is the traffic floor. The rear display and notification means 15 is instructed to output "No call registration to the operation floor." And the car call registration is performed on the floor which is not the nearest illegal floor.

이 사이에 승차 거부의 알림ㆍ표시를 실시하면서 주행하고, 새롭게 행선지 버튼(3)이 조작된 경우, 이 행선지 버튼(3)에 응답하여 다시 최종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 완료하면, 그 층에서 문을 닫고 최하층(5)으로의 주행 지령을 내고,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5)에 정지시키고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배수한다.In the meantime,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while giving a notice and display of the refusal to ride, and the destination button 3 is newly operated, when the destination button 3 is completed again in response to the final car call, the door is opened at the floor. It closes and issues a run command to the lowest floor 5, the car is stopped to the lowest floor 5, and the water in a drain tank is drained.

또, 업 주행 개시한 후 소정 시간내에 행선지 버튼(3)이 조작되지 않으면, 가장 가까운 정지층(통상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정지층)에서 정지하고, 문 열림 소정 시간 경과한 후, 문을 닫고 최하층(5)으로의 주행을 지령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5)에 정지시켜서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배수한다.If the destination button 3 is not op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the up run, the vehicle stops at the closest stop floor (normally, the stop floor just before the lowest floor), and closes the do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driving to the lowermost floor 5 is instructed, the car is stopped at the lowermost floor 5, and the water in the drain tank is drained.

다음으로, 도 2의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배수하는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draining the water in the drain tank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 of FIG. 2.

도 2에 있어서, 탱크 배수층인 최하층에서 드레인 탱크내의 물을 배수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조작반)가 조작되면, 승객을 내리게 하기 위해 다음의 동작이 실시된다.In FIG. 2, when the car operating part (operation panel) is operated before draining the water in a drain tank in the lowest floor which is a tank drainage layer, the following operation | movement is performed in order to lower a passenger.

단계 S1 : 쿨러 운전중, 탱크 배수층(최하층)은 부정지층으로서 운전한다.(통상 운전 모드) Step S1: During the cooler operation, the tank drainage layer (lowest floor) is operated as an unclear floor (normal operation mode).

단계 S2 : 탱크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인, 예를 들면 80%를 검출하면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통상 운전을 계속한다(단계 S1).Step S2: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a predetermined level, for example, 80% is detect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3. Otherwise, normal operation is continued (step S1).

단계 S3 : 쿨러의 운전을 정지하고 승강장 호출에의 응답을 금지한다.(탱크 배수 운전 모드) Step S3: Stop the operation of the cooler and prohibit the response to the platform call. (Tank drain operation mode)

단계 S4 : 최종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응답하여 문이 완전히 닫히면 단계 S5로 진행하고 응답해야 할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는 경우는 단계 S3으로 진행한다.Step S4: If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in response to the final car call, proceed to step S5, and if there is a car call registration to be answered, go to step S3.

단계 S5 :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층을 향하여 주행하고, 정지한다.Step S5: Drive toward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lowermost floor and stop.

단계 S6 : 엘리베이터 칸이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층으로부터 최하층을 향하여 주행 개시하기까지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조작반)(2)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판정하고,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7로 진행하고, 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조작반)(2)의 어느 한 버튼의 조작이 있으면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Step S6: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button of the car operating part (operating panel) 2 has been operated until the car starts traveling toward the lower floor from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lower floor, and if not, proceeds to step S7. If there is operation of any button of the car operating part (operation panel) 2, it progresses to step S10.

단계 S7 : 탱크 배수층의 최하층을 향하여 주행하고, 탱크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까지의 동안에 단계 S8에서 판정한다.Step S7: Run toward the lowest floor of the tank drainage layer, and determine in step S8 until the tank drainage operation starts.

단계 S8 : 엘리베이터 칸이 탱크 배수 동작을 하기까지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조작반)(2)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되었는지 판정하고,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9로 진행하고, 또 조작반의 어는 한 버튼의 조작이 있으면 단계 S14로 진행한다.Step S8: It is determined whether any button of the car operating part (operation panel) 2 has been operated until the car performs the tank drainage operation, and if it is not opera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 and if there is an operation of any one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Proceed to step S14.

단계 S9 : 탱크내의 물을 배수한다.Step S9: Drain the water in the tank.

단계 S10 : 행선지 버튼이 조작되면 단계 S11로 진행하고,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6으로 되돌아온다.Step S10: If the destination button is operat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11, and if not, the flow returns to step S6.

단계 S14 : 행선지 버튼이 조작되면 단계 S11로 진행하고, 조작되지 않으면 단계 S5로 진행한다.Step S14: If the destination button is operated, the flow advances to step S11, and if not, the flow goes to step S5.

단계 S11 : 행선지 버튼의 조작이 부정지층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지층이 아니면 단계 S12로 진행하고, 부정지층이면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Step S1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destination button is the wrong floor, and if not, the flow advances to step S12.

단계 S12 : 통상과 동일하게 조작층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실시한다.Step S12: The car call registration of the operation floor is performed as usual.

단계 S13 : 부정지층에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불가능하므로, 가장 가까운 부정지층이 아닌 층(정지층)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실시하고, 조작층에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불가능함을 알린다.Step S13: Since the car call registration is impossible on the illegal floor, the car call registration is performed on the floor (stop floor) which is not the nearest illegal floor, and the car call registration is notified to the operation floor.

단계 S15 : 등록된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만 응답하고, 응답 완료한 후 단계 S7로 진행한다. Step S15: Answer only the registered car call and proceed to step S7 after the response is completed.

다음으로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를 설명한다.Next, the modification of Embodiment 1 is demonstrated.

상기의 경우, 엘리베이터 칸내에 남은 승객 하차를 위해, 가장 가까운 층 또는 행선지 버튼(3)이 조작된 층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 변형예의 경우는 승차 거부의 알림ㆍ표시를 실시하면서 엘리베이터 칸을 한 번 최상층으로 주행하고, 그리고 나서 최하층보다 한층 바로 앞의 층에 정지시키고, 그 후 최하층(5)에 주행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get off the remaining passengers in the car, the nearest floor or the destination button 3 was directed to the operated floor. However,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car is once the highest floor while the boarding is notified and displayed. The vehicle may then travel on the lowermost floor, and then stop on the floor immediately preceding the lowermost floor, and then travel on the lower floor 5.

이와 같이 하면, 승강하는 동안에 엘리베이터 칸내에 남은 승객이 결국은 목적으로 하고 있던 층의 행선지 버튼(3)을 조작하여 모든 승객이 목적으로 하는 층에서 하차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갇힘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passengers who remain in the car while getting on and off can finally operate the destination button 3 of the intended floor, so that all the passengers can get off at the intended floor, so that the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pped more reliably. have.

본 발명은 최하층에 도착하더라도 공조 설비의 드레인 탱크의 배수 동작중에 승객이 갇힌 상태가 발생하는 일 없이, 엘리베이터 칸내 승객의 편리성 향상과, 불안감이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엘리베이터의 실현에 적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liable elevator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in the car and reduce anxiety and discomfort without having a passenger stuck in the drainage operation of the drain tank of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even when it reaches the lowest floor. Suitable.

Claims (2)

엘리베이터 칸에 공조 설비 및 드레인(drain) 탱크(tank)를 장비하는 동시에, 최하층에 드레인 설비를 장비하고, 통상 운전시 상기 최하층이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드레인 설비로 상기 드레인 탱크의 배수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탱크 배수 운전시, 상기 최하층을 정지 가능층으로 설정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The car is equipped with an air conditioner and a drain tank, and the drain is installed on the lowermost floor, and the drainage is drained to the drain facility while the lowermost floor is set as an indefinite floor during normal operation. 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in which the lowest floor is set as a stoppable floor during a tank drainage operation for performing an operation, 상기 배수 동작을 위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최하층으로 주행할 때에, 이 최하층보다 바로 앞에서 가장 가까운 하차 가능한 정지층에 일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1 제어 수단,First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car once on a stop floor closest to the nearest possible stop in front of the lowest floor when the car is driven to the lowest floor for the drainage operation, and performing a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for passengers getting off; , 상기 문 개폐 동작한 후, 승차 거부의 알림ㆍ표시를 실시하면서 상기 최하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상기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의 어느 한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최하층으로부터 상기 하차 가능한 정지층으로 다시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2 제어 수단, 및 After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the car is moved to the lowest floor and stopped while informing and displaying of the refusal to ride, and when any button of the car operating unit is operated before starting the drainage operation, the elevator Second control means for driving and stopping the compartment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stopable floor, and performing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for getting off the passenger; 승객 하차한 후, 다시 상기 최하층에 주행, 정지시켜서 문 닫힘 상태에서 상기 배수 동작을 실시하는 제 3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nd a third control means for driving and stopping at the lowest floor again after the passenger gets off and performing the drainage operation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엘리베이터 칸에 공조 설비 및 드레인 탱크를 장비하는 동시에, 최하층에 드레인 설비를 장비하고, 통상 운전시 상기 최하층이 부정지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드레인 설비로 상기 드레인 탱크의 배수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탱크 배수 운전시, 상기 최하층을 정지 가능층으로 설정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A tank for equipping the car with an air conditioner and a drain tank, and equipped with a drain facility in the lowermost floor, the lowermost floor being set as an indefinite floor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drainage operation of the drain tank to the drain facility. In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set the said lowest floor as the stoppable floor at the time of drainage operation, 상기 배수 동작을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최하층으로 주행할 때에, 상기 최하층보다 바로 앞에서 가장 가까운 하차 가능한 정지층에 일단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1 제어 수단, First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car once on a stop floor closest to the nearest possible stop immediately in front of the lowest floor when the car is driven to the lowest floor for the drainage operation, and performing a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for disengagement of a passenger; , 상기 문 개폐 동작한 후, 승차 거부의 알림ㆍ표시를 하면서 상기 최하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상기 배수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칸 조작부의 행선지 버튼이 조작되고, 조작된 버튼이 부정지층의 행선지 버튼일 때는 부정지층이라는 취지의 알림과 함께 상기 최하층으로부터 상기 하차 가능한 정지층에 다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고, 조작된 버튼이 하차 가능한 정지층의 행선지 버튼일 때는 상기 행선지 버튼의 층에 상기 최하층으로부터 다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승객 하차를 위한 문 개폐 동작을 실시하는 제 2 제어 수단, 및After the do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the car is moved to the lowermost floor and stopped while notifying and displaying the refusal to ride, and before the start of the drainage operation, the destination button of the car operating unit is operated, and the operated button is the wrong floor. In the case of the destination button, the car is stopped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stopable floor from the lowest floo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for passengers to get off, and the operated button stops. Second control means for stopping the vehicle by driving the car again from the lowermost floor to the floor of the destination button when the destination button is on a floor; and 승객 하차한 후, 다시 상기 최하층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주행하여 정지시키고, 문 닫힘 상태에서 상기 배수 동작을 실시하는 제 3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nd a third control means for driving the car to stop at the lowest floor after stopping the passenger, and performing the drainage operation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KR1020077002343A 2005-04-26 2006-02-20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8662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8103 2005-04-26
JP2005128103A JP4851729B2 (en) 2005-04-26 2005-04-26 Elevator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296A KR20070065296A (en) 2007-06-22
KR100866200B1 true KR100866200B1 (en) 2008-10-30

Family

ID=3730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343A KR100866200B1 (en) 2005-04-26 2006-02-20 Elevator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76127A4 (en)
JP (1) JP4851729B2 (en)
KR (1) KR100866200B1 (en)
CN (1) CN1989059A (en)
WO (1) WO20061179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3725B2 (en) * 2007-10-04 2013-08-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
EP2719649B1 (en) * 2011-04-14 2015-08-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CN107585646A (en) * 2017-08-30 2018-01-16 湖北天禾立方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Elevator control circu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9970U (en) * 1971-01-28 1972-11-06
JPH0266082A (en) * 1988-08-31 1990-03-06 Toshiba Corp Device for controlling elevator
JPH05229748A (en) * 1992-02-17 1993-09-07 Toshiba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9970U (en) * 1971-01-28 1972-11-06
JPH0266082A (en) * 1988-08-31 1990-03-06 Toshiba Corp Device for controlling elevator
JPH05229748A (en) * 1992-02-17 1993-09-07 Toshiba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6127A4 (en) 2012-05-23
EP1876127A1 (en) 2008-01-09
CN1989059A (en) 2007-06-27
KR20070065296A (en) 2007-06-22
WO2006117918A1 (en) 2006-11-09
JP4851729B2 (en) 2012-01-11
JP2006306524A (en)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762B2 (en) Destination entry passenger interface with multiple functions
KR100866200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9127301A (en) Opening prevention method of opening/closing body for vehicle and opening prevention apparatus of opening/closing body
WO2006100929A1 (en) Elevator operating device
CN106004441B (en) A kind of method for carrying out safeguard protection to passenger in vehicle launch
CN112829711B (en)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vehicle
US20080036578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related program
KR100718466B1 (en) Door locking apparatus for electric trai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097076A (en) Parking system
CN113482482A (en)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railway vehicle in emergency
JP2006131403A (en) Elevator device
JP2000355466A (en) Elevator
JP2005213931A (en) Safety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arrangement
KR102003385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screen door
US20230119914A1 (en) Eco-friendly vehicle and method of valet mode control for the same
JPH11171456A (en) Automatically operated escalator
JP2003112868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levator
JP4680618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H0218272A (en)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JPH06100264A (en)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JP2001130855A (en) Elevator
JP2007254076A (en) Elevator system
JPH05229748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613520B2 (en) Door open / close control method
JP2006001663A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