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604B1 -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604B1
KR100865604B1 KR1020070060238A KR20070060238A KR100865604B1 KR 100865604 B1 KR100865604 B1 KR 100865604B1 KR 1020070060238 A KR1020070060238 A KR 1020070060238A KR 20070060238 A KR20070060238 A KR 20070060238A KR 100865604 B1 KR100865604 B1 KR 100865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e
container cap
liquid container
auxili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순
김성남
김신태
김신용
Original Assignee
민경순
김성남
김신태
김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순, 김성남, 김신태, 김신용 filed Critical 민경순
Priority to KR102007006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non-rigid undercut forming elements, e.g. elastic or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용기 캡의 몸체에 형성되는 유출관을 말굽형으로 구성하여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의 코어(core)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며, 몸체와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중앙에 탄성홀을 가진 반원형 연결편으로 형성하여 마개를 개방 시 탄성력을 극대화시켜 마개가 몸체로부터 최소 150˚이상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며,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의 개방작동이 4공정으로 단축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그로 인한 생산성 향상, 금형 구조의 단순화로 원가절감 및 양산(mass production)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몸체(202)의 유로(211) 내측에 개봉막(217)을 가진 유출관(210)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막(217)을 개봉하기 위하여 연결간(212)으로 연결된 링형 손잡이(20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02)에 연결편(215)으로 연결된 마개(203)가 형성된 통상의 액체 용기 캡(201)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210)은 전측은 U형으로 이루어지고 후측으로 갈수록 유출관(210)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말굽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유출관(210)의 후미부(210a)와 만곡부(209)의 후미부(209a)는 전측으로 경사진 라운드부로 형성하며, 상기 연결편(215)은 상향 반구형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연결편(215)의 중앙부에는 관통되는 탄성홀(214)을 형성토록 하였다.
그리고 액체 용기 캡을 성형하는 장치 상에서는 금형을 구성하는 받침판(9)과 보조판-C(6) 상간에는 보조판-C 스프링(16)을 탄력설치토록 하였으며, 상기 성형장치에 의한 성형방법 상에서는 4공정으로 액체 용기 캡을 성형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출관(210)을 말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금형의 코어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 예방하며 금형의 코어 가공성이 용이하고, 금형의 수명 연장과 함께 코어의 교체 등으로 인한 경비절감 및 작업 지체 요인 등을 일소하며, 연결편(215)에는 탄성홀(214)을 갖는 반원형 연결편(215)으로 구성하며, 용기 캡(201)으로부터 마개(203)를 개방 시 개방 탄성력을 극대화시켜 개방상의 편의성과 견고성 및 액상의 내용물을 유출 시 마개(203)로 인한 유출불량 요인을 일소하며, 용기 캡(201)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 중 보조판-C 스프링(16)을 설치하여 금형의 형 개방 시에 1회 사출 타임(1 cycle)이 4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간낭비를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 향상, 원가절감 효과와 함께 종래 유압실린더 유닛을 사용 시에 발생하던 제반 문제점도 일소토록 한 것이다.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유출관, 말굽형, 연결편, 탄성홀, 보조판-C 스프링

Description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Liquid Container Cap & injection molding method & injection mold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체 용기 캡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체 용기 캡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체 용기 캡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체 용기 캡의 저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성형장치와 성형공정을 단계별로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201: (액체)용기 캡(Liquid Container Cap) 202: 몸체(body)
203: 마개(Cap) 204: 공간부(Space Portion)
205: 지지턱(Supporting Jaw) 206: 환턱(Circle Jaw)
207: 돌출부(Projection Portion) 208: 링형 손잡이(Ring Knob)
209: 만곡부(Curve Portion) 209a: 후미부(Tail Portion)
210: 유출관(Outflow Pipe) 210a: 후미부(Tail Portion)
211: 유로(=격판)(Oil Rod=Fretwork Plate) 212: 연결간(Connecting Rod)
213: 탄성부(Elasticity Portion) 214: 탄성홀(Elasticity hole)
215: 연결편(Connecting Piece) 216: 밀폐링(Seal Ring)
217: 개봉막(Open Membrane) 217a: 라운드부(Rounding Portion)
218: 절취선(Perforated Line) 219: 돌기(Projection)
219a: V자형 단부(V type Portion)
220: 몸체 중심점(Body Center Point)
221: 링형 손잡이 중심점(Body Center Point Of Ring Knob)
1 : 상고정판(Top Clamping Plate)
2 : 보조판-A(Auxiliary Plate-A)
3 : 상원판(Top Cavity Plate)
4 : 하원판(Under Cavity Plate)
5 : 보조판-B(Auxiliary Plate-B)
6 : 보조판-C(Auxiliary Plate-C)
7 : 보조판-D(Auxiliary Plate-D)
8 : 보조판-E(Auxiliary Plate-E)
9 : 받침판(Support Plate)
10 : 다리(Spacer Block)
11 : 하고정판(Bottom Clamping Plate)
12 : 상밀판-하(Top Pushing Plate-Under)
13 : 상밀판-상(Top Pushing Plate-Upper)
14 : 하밀판-상(Low Pushing Plate-Upper)
15 : 하밀판-하(Low Pushing Plate-Under)
16 : 보조판-C 스프링(Auxiliary Plate-C Spring)
17 : 하원판 스프링(Under Cavity Plate Spring)
18 : 상부 리턴핀(Top Return Pin)
19 : 마개코어(Cap Core)
20 : 몸체상부코어(Mold Top Core)
21 : 링형 손잡이 코어(Ring Knob Core)
22 : 가이드 핀(Guide Pin)
23 : 고정볼트(Clamping Bolt)
24 : 상원판 스프링(Cavity Plate Spring)
25 : 코어핀(Core Pin)
26 : 개봉막 코어(Open Membrane Core)
27 : 몸체 하부코어(Mold Under core)
28 : 고정볼트(Clamping Bolt)
29 : 하부 리턴핀(Under Return Pin)
30 : 이젝트 홀(eject hole)
본 발명은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액체 용기 캡의 몸체에 형성되는 유출관을 말굽형으로 구성하여 성형장치 를 구성하는 금형의 코어(core)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며,
몸체와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편에는 중앙에 탄성홀을 가진 반원형 연결편으로 형성하여 마개를 개방 시 탄성력을 극대화시켜 마개가 몸체로부터 최소 150˚ 이상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견고성을 극대화하며,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의 개방작동이 4공정으로 단축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그로 인한 생산성 향상, 금형 구조의 단순화로 원가절감 및 양산(mass production)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종래 본 발명의 발명자는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에 관하여 특허를 기히 등록(등록번호: 10-0530422) 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는 액체 용기 캡을 성형하는 성형장치, 즉 금형의 개방을 유압실린더 유닛(unit)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금형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유압실린더의 장착 위치와 방향 선택의 난제와 다수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즉, 액체 용기 캡을 구성하는 성형장치(즉, 금형)에 유압실린더를 장착하면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1회 사출타임(1 cycle)이 6공정의 형 개방작동이 이루어져야 사출성형이 완료되므로 작업속도의 저하 등으로 작업상 시간적인 낭비와 함께 제품의 생산에 있어서 원가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규격화(standard)화된 사출성형기에도 유압실린더 코어가 작동 시에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어 이의 개선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다년간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공정과정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돌연변이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고, 결과를 발견할 때까지는 무엇을 어떻게 구성하느냐? 어떻게 장치하느냐? 에 따라서 많은 문제점과 원인이 규명되는 것이고, 어려운 난제들을 실험의 결과에서 새로운 장치와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효과를 발견함으로서, 그 장치와 방법과 효과가 결과물이 되는 것이다. 그 결과에 따라서 기술의 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기술의 진보성은 보다 높은 능률과 보다 좋은 효과가 있어야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본 발명자가 선 특허받은 액체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가 가진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다년간 연구, 개발을 거듭하여 액체 용기 캡의 구조적 결함과 성형장치가 갖는 구조적 개선점, 성형방법 상에서의 개선사항 등을 완성하게 되었고, 그러한 완성형의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에 있어서,
첫째, 액체 용기 캡의 몸체에 형성되는 유출관을 말굽형으로 구성하여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의 코어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며, 둘째, 액체 용기 캡의 몸체와 마개를 연결하는 연결편에는 중앙에 탄성홀을 가진 반원형 연결편으로 형성하여 마개를 개방 시 탄성력을 극대화시켜 마개가 몸체로부터 최소 150˚이상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견고성을 극대화 하며,
셋째,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의 개방작동이 4공정으로 단축되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동시에 그로 인한 생산성 향상, 금형 구조의 단순화로 원가절감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체 용기 캡(201)의 구성과, 그러한 액체 용기 캡(201)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방법을 성형장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용기 캡(20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용기 캡(201)의 단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저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우선 액체 용기 캡(201)의 구성부터 상세히 살펴 본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캡(201)은 통상의 용기 캡(201) 몸체(202)에 형성된 유출관(210)의 외측(outside)으로 링형 손잡이(208)를 형성함으로써, 링형 손잡이(208)의 내경(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잡을 수 있는 파지공)이 커지게 되고, 사용자들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봉막(217)을 개봉하는 링형 손잡이(208)가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210)은 몸체 중심점(220)을 기점으로 하여 형성되고, 링형 손잡이(208)는 용기 캡(201) 몸체(202)의 전측으로 편심된 위치인 링형 손잡이 중심점(221)을 기점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유출관(210)의 상단부와 링형 손잡이(208)의 상단부는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토록 형성한다.
그리고 또한 용기 캡(201)의 몸체(202)에 유출관(210) 상단부 전측(front)은 반원형으로 만곡 형성되는 만곡부(209)로 구성되어, 상기 만곡부(209)에서 점성유체 운동작용을 응용하여 내용물을 사용 중 또는 사용 후 용기 겉으로 누유를 방지하기 위해 만곡부(209)의 라운드(Round) 부위와 각도를 이용하여 내용물 유출 후 액체 용기를 바로 세우면, 잔류 내용물(유액)의 입자가 끊어지면서 유출관(210)을 통하여 액체 용기 속으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용기 캡(201)의 몸체(202) 하단 내주연에는 액체 용기에 끼움결합하기 위한 돌기(219)를 형성하되, 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면에서 외연부로 이어지는 몸체(202)의 하단 끝부분을 V자형 단부(219a)로 형성하여 미끄럼 방지효과와 탈착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액체 용기의 상단면과 용기의 주입구에 탈착이 용이토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자가 특허(등록번호: 10-0530422)받은 용기 캡(201)에 있어서, 본 발명은 우선 유출관(210)을 말굽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면에서 확인되듯이, 유출관(210)을 전측(도면상 좌측)은 U형으로 이루어지고 후측(도면상 우측)으로 갈수록 유출관(210)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말굽형으로 구성하여 금형의 코어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하며, 상기 유출관(210)의 후미부(210a)와 만곡부(209)의 후미부(209a)는 전측으로 경사진 라운드부로 형성한다.
그리고 용기 캡(201)의 몸체(202)와 마개(203)를 일체 연결하는 연결편(215) 은 상향 반구형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연결편(215)의 중앙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홀(Elasticity hole)(214)을 형성토록 한다.
이러한 용기 캡(201)의 구성상 특징은 도 5 내지 도 9와 같은 성형장치와 성형방법을 통하여 구현되는 것으로서, 이하 성형장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구성상 특징과 성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액체 용기 캡(201) 성형장치의 구성상 특징과 성형방법의 특징은 도 5 내지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캡(201)의 파팅 라인을 기준선으로 하여 몸체(202)의 상부측에는 몸체상부코어(20)가 몸체 중심점(220)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고, 링형 손잡이 코어(21)는 링형 손잡이 중심점(221)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며, 링형 손잡이(208)의 상단부와 유출관(210)의 상단부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성형장치가 구성되어, 하기에서 언급하는 성형방법을 통하여 용기 캡(201)을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 캡(201) 성형장치인 금형은 도시한 도면으로 볼 때 위에서부터 아래로 다음과 같은 다수의 금형판들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즉, 상고정판(1), 보조판-A(2), 상원판(3), 상기 보조판-A(2)와 상원판(3) 상간(相間)에 설치된 상밀판-하(12), 상밀판-상(13), 그리고 하원판(4), 보조판-B(5), 보조판-C(6), 보조판-D(7), 보조판-E(8), 받침판(9), 다리(10), 하고정판(11), 그리고 상기 받침판(9)과 하고정판(11) 상간에 하밀판-상(14), 하밀판-하(15)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좌우 가이드핀(22)에 안내되면서 형 폐쇄 및 사출, 형 개방에 의하여 사출성형된 용기 캡(201)이 성형장치(즉, 금형)에서 취출, 낙하 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상고정판(1)과 보조판-A(2)와 상원판(3)은 상호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보조판-B(5)와 보조판-C(6)가 또한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보조판-D(7)와 보조판-E(8)가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받침판(9)과 다리(10), 하고정판(11)이 상호 볼트로 고정되어있고, 하원판(4)과 보조판-B(5) 사이에는 필요한 공간(space)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톱볼트(stop bolt, 도시하지 아니함)가 설치되고, 보조판-C(6)와 보조판-D(7) 상간에도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톱볼트가 설치되며, 보조판-E(8)와 받침판(9) 상간에도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톱볼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원판(3)에는 몸체 하부코어(27)가 상밀판-상(13)의 코어핀(25)에 의하여 장착되고, 개봉막 코어(26)는 보조판-A(2)에 고정 설치되며, 마개코어(19)와 몸체상부코어(20)가 보조판-B(5)에 하단이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상부코어(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링형 손잡이 코어(21)는 보조판-D(7)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고정판(1)과 상밀판-하(12) 상간에는 상원판 스프링(24)이 탄력설치되어 있고, 하원판(4)과 보조판-B(5) 상간에도 하원판 스프링(17)이 탄력설치된다.
또한 보조판-B(5)와 보조판-C(6)가 보조판-D(7)로부터 후진개방 및 전진 폐쇄시키기 위한 보조판-C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체 용기 캡(201)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용기 캡 (201)을 성형코자 할 시는 금형을 폐쇄한 후 수지 재료를 1회 인젝션몰딩(injection molding)이 완료되면(도 5 참조), 금형의 순차적인 개방작동이 4공정으로 대폭 단축되면서 개방이 이루어져 용기 캡(201)의 파팅 라인 기준선에서 상부측과 하부측에 다수의 언더컷을 갖는 본 발명의 액체 용기 캡(201)이 각각의 코어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되면서 금형으로부터 취출되는 바, 이러한 용기 캡(201)의 취출을 위한 4공정의 형 개방과정을 도면과 같이 순서에 따라 보다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1차 공정에서는 도 6과 같이 금형이 전진 개방되면서 상원판 스프링(24)의 탄성작동으로 상밀판-하(12)와 상밀판-상(13)을 연속적으로 밀어주게 되어 전진 개방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상원판(3)의 홀에서 몸체(202)가 벗어나게 되고, 몸체(202)는 몸체 하부코어(27)로부터 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보조판-A(2)에는 개봉막 코어(26)가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2차 공정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측의 보조판-C(6)와 받침판(9) 사이에 설치된 보조판-C 스프링(16)의 탄성작동으로 전진과 후진으로 동시에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보조판-D(7)에 고정되어 있는 링형 손잡이 코어(21)가 몸체(202)의 링형 손잡이(208)와 유출관(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3차 공정에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원판(4)과 보조판-B(5) 사이에 설치된 하원판 스프링(17)의 탄성작동으로 전진과 후진으로 동시에 개방되면서 보조판-B(5)에 고정되어 있던 마개코어(19)와 몸체상부코어(20)가 몸체(202)의 상부와 마개(203)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4차 공정에서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의 이젝트로드가 이젝트홀(30)을 통하여 하밀판-하(15)와 하밀판-상(14)을 밀어주게 되면, 하부리턴핀(29)에 의하여 보조판-E(8)를 밀어주게 되고, 따라서 연속적으로 원복 후진하면서 보조판-C(6)와 보조판-D(7)사이가 닫히고, 계속하여 하원판(4)과 보조판-B(5)사이가 닫히면서 몸체상부코어(20)와 링형 손잡이 코어(21)의 상단면이 유출관(210)의 만곡부(209)를 타발하여 캡(201)이 전체적인 금형의 시스템에 의해 낙하, 취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전술한 도면과 구성 설명상에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진보성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액체 용기 캡(201)에 형성되는 유출관(210)을 말굽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금형의 코어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 예방하며 금형의 코어가공성이 용이하고, 금형의 수명 연장과 함께 코어의 교체 등으로 인한 경비절감 및 작업 지체 요인 등을 일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유출관의 전측으로는 내용물이 유출되면 용기 겉으로 누유방지효과가 있고, 후측은 공기 흡입효과가 있으며,
용기 캡(201)과 마개(203)를 연결하는 연결편(215)에는 탄성홀(214)을 갖는 반원형 연결편(215)으로 구성하여 용기 캡(201)으로부터 마개(203)를 개방 시 개방 탄성력을 극대화시켜 개방상의 편의성과 견고성 및 액상의 내용물을 유출 시 마개(203)로 인한 유출불량 요인을 일소하며,
용기 캡(201)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에 보조판-C 스프링(16)을 설치하여 금형의 형 개방작동이 이루어질 시에 1회 사출 타임이 4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간낭비를 줄여 생산성 및 작업성 향상으로 원가절감 및 양산(mass production) 효과와 함께 종래 유압실린더 유닛을 사용 시에 발생하던 제반 작동상의 에러 및 고장요인 등을 일소할 수 있는 등 사출성형 업계의 성형장치와 성형공정 기술 전반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4)

  1. 몸체(202)의 유로(117) 내측에 개봉막(217)을 가진 유출관(210)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막(217)을 개봉하기 위하여 연결간(212)으로 연결된 링형 손잡이(20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202)에 연결편(215)으로 연결된 마개(203)가 형성된 통상의 액체 용기 캡(201)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210) 전측은 U형으로 이루어지고 후측으로 갈수록 유출관(210)의 내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말굽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유출관(210)의 후미부(210a)와 만곡부(209)의 후미부(209a)는 전측으로 경사진 라운드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215)은 상향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하고, 연결편(215)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탄성홀(2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캡.
  3. 상고정판(1), 보조판-A(2), 상원판(3), 상기 보조판-A(2)와 상원판(3) 상간에 설치된 상밀판-하(12), 상밀판-상(13), 그리고 하원판(4), 보조판-B(5), 보조판-C(6), 보조판-D(7), 보조판-E(8), 받침판(9), 다리(10), 하고정판(11), 그리고 상기 받침판(9)과 하고정판(11) 상간에 하밀판-상(14), 하밀판-하(15)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가이드핀(22)에 안내되면서 형 폐쇄 및 사출, 형 개방에 의하여 사출성형된 용기 캡(201)이 성형장치에서 이젝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고정판(1)과 보조판-A(2)와 상원판(3)이 상호 고정되어 있고, 보조판-B(5)와 보조판-C(6)가 고정되어 있고, 보조판-D(7)와 보조판-E(8)가 고정되어 있으며, 받침판(9)과 다리(10), 하고정판(11)이 상호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원판(3)에는 몸체 하부 코어(27)가 코어핀(25)에 의하여 장착되고, 개봉막코어(26)는 보조판-A(2)에 고정 설치되며, 마개코어(19)와 몸체상부코어(20)가 하원판(4) 하부측에 하원판스프링(17)으로 탄력설치되는 보조판-B(5)에 하단이 고정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몸체상부코어(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링형 손잡이 코어(21)는 보조판-D(7)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고정판(1)과 상밀판-하(12) 상간에 상원판스프링(24)이 탄력설치된 액체용기 캡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9)과 보조판-C(6) 상간에는 보조판-C 스프링(16)이 탄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액체용기 캡 성형장치.
  4. 사출성형기 상에 설치된 성형장치에 수지재료가 인젝션몰딩된 후 이를 금형에서 형 분리하여 취출하기 위한 액체 용기캡(201) 성형방법에 있어서;
    형 폐쇄 상태에서 인젝션몰딩이 완료되는 공정과,
    1차 금형이 전진 개방되면서 상원판 스프링(24)의 탄성작동으로 상밀판-하(12)와 상밀판-상(13)을 연속적으로 밀어주게 되어 전진 개방이 이루어지고, 상원판(3)의 홀에서 몸체(202)가 벗어나고, 상기 몸체(202)는 몸체 하부코어(27)로부터 해탈이 이루어지는 공정과,
    2차 하측의 보조판-C(6)와 받침판(9) 사이에 설치된 보조판-C 스프링(16)의 탄성작동으로 전진과 후진으로 동시에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보조판-D(7)에 고정되어 있는 링형 손잡이 코어(21)가 몸체(202)의 링형 손잡이(208)와 유출관(210)으로부터 벗어나는 공정과,
    3차 하원판(4)과 보조판-B(5) 사이에 설치된 하원판 스프링(17)의 탄성작동으로 전진과 후진으로 동시에 개방되면서 보조판-B(5)에 고정되어 있던 마개코어(19)와 몸체상부코어(20)가 몸체(202)의 상부와 마개(203)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공정과,
    4차 사출성형기의 이젝트로드가 이젝트홀(30)을 통하여 하밀판-하(15)와 하밀판-상(14)을 밀어주게 되면, 하부리턴핀(29)에 의하여 보조판-E(8)를 밀어주게 되고, 연속적으로 원복 후진하면서 보조판-C(6)와 보조판-D(7) 사이가 닫히고 연속하여 하원판(4)과 보조판-B(5) 사이가 닫히면서 몸체상부코어(20)와 링형 손잡이 코어(21)의 상단면이 유출관(21)의 만곡부(209)를 타발하여 캡(201)이 코어에 의하여 취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액체용기 캡 성형방법.
KR1020070060238A 2007-06-18 2007-06-18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KR100865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38A KR100865604B1 (ko) 2007-06-18 2007-06-18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38A KR100865604B1 (ko) 2007-06-18 2007-06-18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604B1 true KR100865604B1 (ko) 2008-10-27

Family

ID=4017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238A KR100865604B1 (ko) 2007-06-18 2007-06-18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6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22B1 (ko) 2012-09-18 2013-12-06 김성남 액체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KR101546308B1 (ko) 2014-07-07 2015-08-24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이종물질 캡금형 제조장치
KR20240056357A (ko) 2022-10-21 2024-04-30 김성남 금형 냉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54U (ko) 1986-08-01 1988-02-22
KR940001910Y1 (ko) * 1991-05-10 1994-03-26 김성남 액체용기의 마개
KR100530422B1 (ko) 2002-11-14 2005-11-22 민경순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554U (ko) 1986-08-01 1988-02-22
KR940001910Y1 (ko) * 1991-05-10 1994-03-26 김성남 액체용기의 마개
KR100530422B1 (ko) 2002-11-14 2005-11-22 민경순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22B1 (ko) 2012-09-18 2013-12-06 김성남 액체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KR101546308B1 (ko) 2014-07-07 2015-08-24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이종물질 캡금형 제조장치
KR20240056357A (ko) 2022-10-21 2024-04-30 김성남 금형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69779B1 (da) Patronmagasin til strømbare masser
KR100865604B1 (ko)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EP2239045A1 (en) Porous filter cartridge
JP2008086893A (ja) 多孔質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96530A (zh) 高洁净热灌装阀
CN103998369B (zh) 一种用于排空容器的装置
US20120066823A1 (en) Toilet plunger
CN103264781B (zh) 软袋输液产品药液灌装系统
KR100941628B1 (ko) 광학 렌즈 및 조인트를 얻는 방법 및 그것의 실행을 위한디바이스
CN109772482A (zh) 一种实验用催化剂快速取用装置
CN109779285B (zh) 一种混凝土裂缝填补装置
CN204564702U (zh) 一种简易的可控清洗剂体积的进样瓶清洗装置
KR100530422B1 (ko)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CN210853276U (zh) 一种计量型洗衣液瓶
KR102418920B1 (ko) 주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추출 장치 및 방법
CN209174722U (zh) 一种用于制作具有球窝结构挺柱体的模具
CN203699879U (zh) 一种用于排空容器的装置
JP5999838B2 (ja) コンクリートまたはモルタルの供試体成型用型枠
KR101336022B1 (ko) 액체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CN206891826U (zh) 软胶囊检测处理装置
CN215687815U (zh) 皮肤阻抗检测仪
CN220729895U (zh) 一种电池端盖爆破装置
JP2007252335A (ja) 抽出カートリッジ
CN218967497U (zh) 一种改进型的桶装水瓶体结构
CN212550909U (zh) 一种洗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2